KR20070096051A -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051A
KR20070096051A KR1020077019461A KR20077019461A KR20070096051A KR 20070096051 A KR20070096051 A KR 20070096051A KR 1020077019461 A KR1020077019461 A KR 1020077019461A KR 20077019461 A KR20077019461 A KR 20077019461A KR 20070096051 A KR20070096051 A KR 2007009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device
multimedia
multimedia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벤 레오폴드 알베르타인 트래페니어스
마크 브루노 프리다 고든
툰 코펜스
코엔 핸드카인
헨드릭 유진 이렌 니콜라스 댁퀸
잔 알폰스 앨버트 보웬
아르젠 헨드릭세
잔 로데 미아 문스
로니 알폰스 마리아 배클랜드
시그루드 밴 브로엑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7009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에 결합되는 단말 장치(TD). 단말 장치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선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거동에 대응하는 재핑 의도들을 단말 장치에 구축된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센서들(SNS)과 연관된 선택 버튼들을 구비한 인터페이스(IM)가 제공된다. 재핑 의도들은 압력, 움직임, 온도, 맥박 및/또는 땀 등의 생체인식 파라미터들로부터 유도되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고 해석되는 거동 파라미터들로 변형된다. 피드백으로서,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그 선택에 방향을 제공하거나 영향을 주기 위해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로 응답한다. 그 결과, 한 채널로부터 재핑하려는 사용자의 진정한 의도가 감지되고, 재핑 후의 재핑에 대한 정성적인 컨텍스트가 제공됨으로써, 브로드캐스트 사용자의 채널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 생체인식, 핸드헬드 단말 장치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PREDICTOR OF MULTIMEDIA SYSTEM USER BEHAVIOR}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으로부터의 소정의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선택하게 하는 복수의 선택 수단을 갖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에 결합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단말 장치는, 예컨대 TV 브로드캐스트, 대화형 TV(iTV), 디지털 오디오 브로드캐스트 등의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상의 채널들을 선택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이다.
공지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한 채널로부터 "재핑(zap)"을 할 것인지의 여부, 즉 현재의 채널 선택을 변경할 의도를 갖는지를 예측하기 위한 수단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로 하여금 소위 ISM(Intent State Machine)을 통해 최적의 종점(endpoint)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메뉴 구성들 및 광고 컨텐츠를 이용하여 iTV를 개인화(personalize)하는 해결책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공지된 해결책들은 프로그램 내부 거동(in-program behavior)에 초 점을 맞춘 것이며, 채널 변동률(channel churn)을 다룬 것은 아니다. 또한, ISM의 구성은 공지된 사용자 프로파일들의 데이터베이스들과 결합되는 사용자의 사용 파로파일들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진정한 "의도(intent)"와는 전혀 연관성없는 대략적이고 부정확한 ISM에 이르게 할 뿐이다. 공지된 단말 장치들은 사용자의 상태 또는 의도들을 검지할 수단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관측된 거동에 대해 컨텍스트(context)를 제공할 수 없다. 즉, ISM(Intent State Machine)을 구축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가 부재하여 "사실과 숫자(fact-and-figures)" 사용 프로파일들을 착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공지의 타입이되 한 채널로부터 재핑하는 사용자의 진정한 의도를 검지하고, 재핑 발생 후 재핑에 대해 정성적 컨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 사용자의 채널 충실도를 개선하도록 구성된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목적은, 상기 인터페이스의 선택 수단이, 상기 사용자의 거동을 검지하고 분석하고, 대응하는 거동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거동 분석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거동 파라미터들을,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반환값으로 제공히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센서들은 사용자의 거동에 대응하는 재핑 의도들을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에 송신하는 감지 버튼들이다. 후자의 장치는 이 의도들을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에 의해 해석되는 거동 파라미터들로 변환한다. 피드백으로서,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은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방향을 제공하도록(orienting)(또는 영향을 주도록)하기 위해,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송신한다.
그 결과, 본 단말 장치는 상호작용을 개인화하고 개인화된 컨텐츠, 즉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주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실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즉, 본 단말 장치는 변동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채널 조작자 또는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에 의해 사전적 조치(pro-active action)가 착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생체인식(biometric) 파라미터들을 검지하고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압력, 움직임, 온도, 맥박 및/또는 땀(sweat)이다.
사용자의 생체인식 파라미터들의 이 리스트는 명백히 소모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정성 프로파일을 판정하기 위해 센서들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대해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성적 또는 감정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위해 센서들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대해 순간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 수단 또는 버튼을 효율적으로 누르기 전에, 즉 다른 채널로 재핑하기 전에,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말 장치가 헨드헬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 장치는, 예컨대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재핑 디바이스이지만, 모바일 폰(gsm) 또는 임의의 다른 핸드헬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에 대해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포함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그 후에 등재되는 수단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수단 A 및 수단 B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라는 표현의 범위는 구성요소 A 및 B로만 이루어지는 디바이스들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관련된 구성요소만이 A 및 B라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결합되는(coupled)"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인 접속에만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디바이스 B에 결합되는 디바이스 A' 라는 표현의 범위는 디바이스 A의 출력이 디바이스 B의 입력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수단들을 포함하는 경로일 수 있는 A의 출력과 B의 입력 간에 어떤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일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 자체가 최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에 결합되는 단말 장치(TD)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단말 장치(TD)의 인터페이스(IM) 및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단말 장치(TD)의 센서들(SNS)을 동작하는 사용자의 재핑 의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MDS에 결합되는 단말 장치 TD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하의 구현예에서, 단말 장치 TD는, 예컨대 "재핑(zapping)" 디바이스 또는 채널 선택 디바이스이지만, 모바일 폰(gsm) 또는 라디오, iTV, TV, 웹패드 등에 대한 원격 제어기 또는 PDA와 같은 임의의 다른 핸드헬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또는 텔레비전 MDS로부터의 소정의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선택가능하게 하기 위해 단말 장치 TD 상에는 종래의 선택 수단 또는 버튼들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이들 센서들 SNS는 선택 버튼들에 설치 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IM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들 SNS의 목적은 단말 장치 TD에 신규의 기능성을 포함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생체인식 파라미터들을 수집하는 것이다. 채널을 변경(switch)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알게됨으로써, 단말 장치 TD는 관련된 모티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들 SNS는 사용자의 거동을 검지하고 분석하여 대응하는 거동 파라미터들을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도시 하지 않음)에 결합된다.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단말 장치 TD 또는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MDS에 위치할 수 있다. 변형례에서는, 단말 장치 TD에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MDS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인터페이스 IM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동 파라미터들은 공지의 사용자 파일 기술들에 더 나아가 이벤트(예컨대 채널 변경)에 관련된 정성적인 정보(컨텍스트 및 모티브)를 제공한다. 거동 파라미터들은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MDS에 송신되고, 이에 응답하여,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은 사용자의 결정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사용자가 다른 선택 버턴을 누르기 전에, 즉 다른 채널로 재핑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신호들이다.
전술한 동작들의 목적은 브로드캐스트 소비자의 재핑 거동에서의 조속한 변동률-감지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사용자의 채널 충실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거동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가?
- 사용자가 긴장하고 있는가?
- 왜 사용자는 채널을 변경하였는가?
- 사용자가 망설였는가?
- 사용자의 기분은 어떠하였는가?
- 사용자의 맥박수는 어떠하였는가?
- 기타
센서들 SNS에 의해 검지된 생체인식 파라미터들 및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에 의해 행해진 대응 분석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압력 검지: 사용자는 변경을 주저하고 있다
- 손가락의 이동 검지: 사용자는 변경을 하려 한다
- 키에서 온도 검지: 손가락이 움직였거나 움직이고 있다
- 발광 빔의 반사: 손가락이 키 상에 존재
- 예컨대, 엄지 손가락 상에서의 맥박 검지: 감정 검지
- 예컨대, 손바닥 상에서의 땀 검지: 감정 검지
- 체온: 감정 검지
- 움직임, 방향, 등: 감정 검지
검지된 감정은 분노, 걱정, 공포, 흥분 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IM의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거동 파라미터들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MDS는 사용자에게 그 선택에 영향을 주기 위해 단말 장치 TD에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반환한다. TV 수상기의 원격 제어의 경우, 단말 장치 또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TD 및 더 나아가 최종 사용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MDS의 피드백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표시상에 개시되거나, 또는 이 핸드헬드 디바이스의 제어하에 있는 주요 시청 장치(TV) 상에 개시된 컨텐트 내에 혼재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결과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호작용층의 변경이 될 수 있다.
가능한 응용예로서는:
1. "썸-오버-버튼(thumb-over-button)"인 경우의 툴팁(tooltip). 사용자가 자신의 엄지를 버튼 위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게에 메시지가 제공된다. 이 메시지는:
- 채널에 대한 광고
- 버튼의 기능을 설명하는 메시지
- 채널상의 온라인 친구들의 알림
일 수 있다.
2. 변경-의도-검지에 기초한 타겟 컨텐트의 송신: 채널을 변경하려는 의도가 검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관심 내에서 영화의 예고편을 보낸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를 변경하고 그 채널을 고정한다.
3. 채널 변경 직전의 "컨텍스트" 및 "모티브"로부터의 습득: 일단 사용자가 변경한 경우, 컨텍스트 및 모티브는 공지의 사용자-프로파일 기술들에 더 나아갈 수 있는 상세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단말 장치 TD와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의 인터페이스 IM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 기능의 면에서, 단말 장치 TD의 센서들(도 2의 행 A에 도시됨)은 센서 데이터-획득 및 상호작용 의미론 모듈(행 B)에 정보를 제공한다. 이 모듈은 센서의 정보에 의미론 및 타임-스탬프를 부가한다. 최종 데이터는 n×n의 복잡성을 보다 적은, 예컨대 2차원으로 감소시키고 프라이버시를 추가하는 다중차원의 분석을 수행하는 모듈(행 C)에 송신된다.
데이터 흐름 내의 다음 모듈은 채널-토폴로지 구성 모듈(행 D)이다. 이 모듈은 공급된 데이터를 사용자와 사용자의 선호물들 및 비호감물들(채널들) 간의 잠재적 장벽, 거리, 및 위치를 도입하는 토폴로지적 표시(topological representation)로 처리한다. 도 3에는 채널들 ChX, ChY, ChZ, 및 가능한 변경들의 다중 차원 토폴로지를 나타내는 그러한 토폴로지의 설명적인 시각화가 나타나 있다.
이 모듈은 인입중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러한 토폴로지를 점증적으로 구성하고, 공지된 패턴으로의 수렴을 검지한다.
변경-의도 검지 모듈(행 E)은 공급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충실도 및 변동률의 예측으로 처리한다. 또한, 예측된 변경 벡터의 방향의 표시자를 제공할 수 있다.
최종 모듈(행 F)은 공급된 데이터를 사전-변경 컨텍스트, 모티브, 분류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상호 작용의 정량적 분석을 행한다.
이하, 도 2에 표시된 참조 번호 및 도 3에 도시된 값들을 참조하여 데이터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61703154-PCT00001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은 브로드캐스트 채널들 간의 사용자의 재핑의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UMTS 단말에서의 영화 관람, PDA 상에서의 브라우징, 원격 제어를 이용한 홈-자동화의 조정 등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점은 본 발명은 기능성 블록들을 이용하여 기술되었다는 것이다. 이들 블록들의 기능적인 설명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고안하는 당업자라면 이들 블록들의 실시예들이 공지된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어떻게 제조될 수 있는지를 명백히 알 것이다. 따라서, 기능성 블록들의 컨텐츠의 상세한 구조는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원리는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에 결합되는 단말 장치(TD)로서,
    상기 단말 장치(TD)에는,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선택 수단(SNS)을 갖는 인터페이스(IM)가 제공되며,
    상기 인터페이스(IM)의 선택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거동을 검지하고 분석하며, 대응하는 거동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에 결합되는 센서들(SNS)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소정의 제2 멀티미디어 출력들을 회신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에 상기 거동 파라미터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인식(biometric) 파라미터들을 검지하고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 파라미터들은 압력, 움직임, 온도, 맥박 및/또는 땀(swe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센서들(SNS)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순간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성적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이력 및 학습 프로세스(historic and learning process)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성적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핸드헬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TD)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거동 분석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TD) 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MDS) 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및 멀티미디어 배급 시스템.
KR1020077019461A 2005-01-26 2006-01-13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 KR20070096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90189A EP1686804A1 (en) 2005-01-26 2005-01-26 Predictor of multimedia system user behavior
EP05290189.9 2005-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051A true KR20070096051A (ko) 2007-10-01

Family

ID=3494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461A KR20070096051A (ko) 2005-01-26 2006-01-13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79450A1 (ko)
EP (1) EP1686804A1 (ko)
JP (1) JP2008529371A (ko)
KR (1) KR20070096051A (ko)
CN (1) CN1825901A (ko)
WO (1) WO2006079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8862B2 (en) * 2006-08-28 2013-11-19 Motorola Mobility Llc Alert sleep and wakeup for a mobile station
US8635307B2 (en) * 2007-02-08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Sensor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S20090044224A1 (en) * 2007-08-07 2009-0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channel switching
US20100042564A1 (en) * 2008-08-15 2010-02-18 Beverly Harriso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distingusihing between users of a handheld device
WO2010020924A1 (en) * 2008-08-20 2010-02-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portable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related to a user's physical state
WO2010126321A2 (ko) * 2009-04-30 201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모달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 의도 추론 장치 및 방법
US8793727B2 (en) 2009-12-10 2014-07-29 Echostar Ukraine, L.L.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udio/video content for presentation to a user in response to monitored user activity
JP5778892B2 (ja) * 2010-03-15 2015-09-16 富士通株式会社 操作状況監視プログラム、該装置、及び該方法
US10142687B2 (en) 2010-11-07 2018-11-27 Symphony Advanced Media, Inc. Audience content exposure monitoring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8631473B2 (en) 2011-07-06 2014-01-14 Symphony Advanced Media Social content monitoring platform apparatuses and systems
US9432210B2 (en) * 2012-09-12 2016-08-30 Zuli, Inc. System for monitor and control of equipment
KR101978743B1 (ko) * 2012-10-19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서버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 제어 방법
US20140272844A1 (en) * 2013-03-15 2014-09-18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increasing the likelihood to induce behavior change in a lifestyle management program
CN106446524A (zh) * 2016-08-31 2017-02-22 北京智能管家科技有限公司 智能硬件多模态级联建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019B1 (en) * 1999-03-30 2001-07-03 Eremote, Inc. Methods of u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multi-user access to the functionality of consumer devices
US20030063222A1 (en) * 2001-10-03 2003-04-0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V setting based on viewer mood
US8561095B2 (en) * 2001-11-13 2013-10-15 Koninklijke Philips N.V. Affective television monitoring and control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data
US20030126593A1 (en) * 2002-11-04 2003-07-03 Mault James R. Interactiv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9450A1 (en) 2006-08-10
CN1825901A (zh) 2006-08-30
EP1686804A1 (en) 2006-08-02
JP2008529371A (ja) 2008-07-31
WO2006079465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6051A (ko)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
US11687170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KR101065644B1 (ko) 정보 피드들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6976215B1 (en) Pushbutton user interface with functionality preview
US20120046945A1 (en) Multimodal aggregating unit
TWI784043B (zh) 遠端控制裝置、使用者識別方法及使用者識別設備
KR101483191B1 (ko)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서버
CN104978267A (zh) 网页测试方法、终端及服务器
KR101775829B1 (ko)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CN108431756B (zh) 响应作用在电子设备的触控屏上的手势的方法和电子设备
CN105554581A (zh) 弹幕显示方法及装置
CN108616771B (zh) 视频播放方法及移动终端
KR102098152B1 (ko) 사운드를 이용한 맞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8163A (ko) 음성 명령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3747308A (zh) 用模拟按键控制智能电视的方法和系统、移动终端
CN105095372A (zh) 获取搜索结果的方法及装置
CN112328158A (zh) 交互方法、显示装置、发射装置、交互系统及存储介质
KR1026544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4750401A (zh) 一种触控方法、相关装置以及终端设备
CN115994266A (zh) 资源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6604094B (zh) 输入方法及系统
CN105183159A (zh) 界面跳转方法及装置
CN114764288A (zh) 调整方法和装置
CN112637407A (zh) 语音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83998A (zh) 导航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