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829B1 -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829B1
KR101775829B1 KR1020160059575A KR20160059575A KR101775829B1 KR 101775829 B1 KR101775829 B1 KR 101775829B1 KR 1020160059575 A KR1020160059575 A KR 1020160059575A KR 20160059575 A KR20160059575 A KR 20160059575A KR 101775829 B1 KR101775829 B1 KR 10177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remote controller
user
detec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6005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829B1/ko
Priority to US15/254,270 priority patent/US9900542B2/en
Priority to EP16204293.1A priority patent/EP32467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Abstract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는 리모콘의 키로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동일한 키로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입력들 중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 1 레벨과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사이에 위치하는 레벨에 해당하는 입력은 상기 normal 입력 또는 상기 force 입력으로 보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COMPUT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ORDINATE COMPENSATION AND ERROR FOR REMOTE CONTROL KEY USING USER PROFILE INFORMATION BASED ON FORCE INPUT}
본 발명은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서비스의 장애를 판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셋탑 박스(Set-Top Box)는 TV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와 음성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고 그 내용을 TV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셋탑 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 외에도,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셋탑 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셋탑 박스나 TV가 제공하는 기능도 다양해졌고,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의 버튼 개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에 배치된 많은 버튼들의 용도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가 많기 때문에, TV 화면에 향해있는 시선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콘을 조작하는 블라인드 콘트롤(blind control)은 어렵고, 리모콘을 조작할 때마다 TV 화면에 향해있던 시선을 다시 리모콘으로 돌려야 하는 등 리모콘 조작 시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이 리모콘의 사용 방법을 용이하게 숙지하도록 함은 물론 리모콘 조작 시 블라인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별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O5147호 (공개일 : 2002년 1월 17일)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설정 시,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 및 서비스 관련 에러를 검출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는 리모콘의 키로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동일한 키로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입력들 중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 1 레벨과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사이에 위치하는 레벨에 해당하는 입력은 상기 normal 입력 또는 상기 force 입력으로 보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는 감지 레벨이 보정되지 않은 리모콘 키의 입력 및 감지 레벨이 보정된 리모콘 키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되 적어도 하나의 force 입력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레벨이 보정된 입력은 상기 리모콘의 키로 입력되는 입력들 중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 1 레벨과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사이에 위치하는 레벨에 해당하는 입력을 상기 normal 입력 또는 상기 force 입력으로 보정함에 의해 생성된 입력을 나타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는 리모콘에서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인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설정 후 상기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감지 레벨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감지 레벨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서비스 장애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서비스 장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애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생성되는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가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을 보정하는 방법은, 리모콘의 키로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동일 키로의 입력에 대하여 상기 입력들 중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 1 레벨과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 2 레벨 사이에 위치하는 레벨에 해당하는 입력은 상기 normal 입력 또는 상기 force 입력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가 서비스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은, 리모콘에서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인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프로파일 설정 후 상기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감지 레벨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감지 레벨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서비스 장애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애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생성되는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리모콘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을 제공하며, 각 입력마다 셋탑 박스, TV 등의 이미지 처리 단말의 다양한 기능들에 매칭된다.
결과적으로, 리모콘을 최소한의 키로 구현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디어 시스템은 상기 리모콘으로의 force 입력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며, 이때, 사용자에게 최적화되도록 리모콘의 키 좌표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콘으로의 force 입력의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오류 등의 문제를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링 및 개인화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변경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5의 사용자 프로파일 변경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보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애 인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즉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단말,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및 서버를 포함하는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단말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 박스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이미지 처리와 관련되는 기기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자체일 수도 있고, 셋탑 기능을 가지는 TV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모콘은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레벨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상기 키의 레벨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하거나 다른 화면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는 돔 키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키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일 수도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리모콘으로의 입력, 특히 후술하는 force 입력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 시,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를 사용자에게 최적화되도록 보정하고, force 입력을 분석하여 서비스 오류 등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2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들을 가지는 리모콘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 이미지 처리 단말(102) 및 서버(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104)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기이므로,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computer processing device)로 언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바디(200) 상에 형성되며 상하좌우 방향 키와 관련된 내비 키(Navigation Key, 210), ESC 키, 홈 키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 키(214) 및 OK 키 등과 같이 동작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정 키(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모콘(100)에는 다양한 키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키들은 내비 키(210), 결정 키(212) 및 기능 키(214)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 예를 들어 TV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2개 이상의 동작과 관련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100)은 손가락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이 달라지게 되며, 따라서 리모콘(100)은 키의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리모콘(100)으로 터치 수단의 입력은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ormal 입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르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기존의 리모콘에서의 키의 동작과 동일하게 리모콘(100)의 키에 설정된 일반적인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UP 키를 누르면 UP 동작이 실행된다.
force 입력은 normal 입력보다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키를 누르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 또는 화면은 normal 입력에서의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 또는 화면과 다르다.
한편, normal 입력을 long press하더라도 이러한 동작은 force 입력으로 인지되지 않고 normal 입력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후술하겠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수단으로 선택한 리모콘(100)의 키의 좌표가 (x, y)라고 하면,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는 z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3차원 좌표 (x, y, z)를 이용하면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을 표현하는 방법은 (x, y, z)로 표현하는 방법 외의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고, 3차원 좌표가 아닌 4차원 이상의 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감지 레벨로 특정 키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특정 키에 해당하는 좌표(x, y) 및 감지 레벨과 관련된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은 제어 신호(C(x, y, z))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감지 레벨(normal 입력)로 우측 방향 키에 해당하는 내비 키(210)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좌표(x, y, z1)를 가지는 제어 신호(C1)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더 강한 세기로 내비 키(210)를 누르면, 예를 들어 제 2 감지 레벨(force 입력)로 내비 키(210)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좌표(x, y, z2)를 가지는 제어 신호(C2)를 이미지 처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1 제어 신호(C1)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제어 신호(C2)에 따라 추천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100)의 키에 가한 힘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TV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겠지만, 셋탑 박스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등과 관련된 이미지 신호를 TV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리모콘(100)은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라는 직접적인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보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모콘(100)은 좌표 (x, y, z)를 포함한 제어 신호만을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 (x, y, z)와 관련된 동작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이 동일한 좌표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한편, force 입력은 force up 및 force down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 키(210)로서 UP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force up으로 설정하고 DOWN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force dow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화면에서 UP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추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DOWN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서 UP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추천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그런 후 DOWN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홈 화면에서 DOWN 방향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동일한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2 감지 레벨이 되면 force up으로 설정되고 제 3 감지 레벨이 되면 force down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화면에서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2 감지 레벨이 되면 추천 리스트가 제시되고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3 감지 레벨이 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서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2 감지 레벨로 만들면 추천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그런 후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3 감지 레벨로 만들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홈 화면에서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제 3 감지 레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 VOD 리스트가 표시되며,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2 감지 레벨로 만들면 홈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리모콘(100)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는 기기로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인지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다른 화면을 실행시킨다.
서버(104)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과 연결되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거나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부터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4)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런 후 force 입력 시 해당 사용자 프로파일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개인화 서비스, 예를 들어 추천 리스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4)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좌표 값, 즉, 감지 레벨을 분석하고, 해당 감지 레벨의 값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감지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감지 레벨을 상기 특정 레벨들 중 하나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의 감지 레벨 값은 이미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감지 레벨 값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의 경계에 위치하면, 서버(104)는 이를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 좌표 보정을 통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 중 어느 하나로 인식되면, 해당 내용은 사용자의 키 선택에 대한 이력으로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 생성 시 반영될 수 있다.
참고로, force 입력의 감지 레벨이 복수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좌표 보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감지 레벨을 복수의 force 입력 감지 레벨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4)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을 분석하여 서비스 오류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송출이나 콘텐츠 재생이 중단되거나 화면에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리모콘의 특정 키를 평소보다 세게 누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리모콘의 특정 키에 대한 force 입력의 회수와 세기 등을 모니터링하고, 평소보다 해당 회수와 세기가 증가하면, 서비스 상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인식하고 이를 관련 담당자의 단말기로 통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마다 force 입력을 가하는 세기 또는 면적이 다르며,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는 force 입력시 제 1 세기로 키를 누르고 제 2 사용자는 force 입력시 제 2 세기로 키를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4)는 일정 기간 동안 개별 사용자의 force 입력의 세기 또는 면적, 즉 감지 레벨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force 입력시의 감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리모콘(100)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들마다 감지 레벨이 다를 수 있으며, 서버(104)는 이러한 감지 레벨의 차이 및 force 입력시의 사용자의 시청 정보 등의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런 후 force 입력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력은 이미지 처리 단말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프로그램 시청 이력, 로그인 이력 및 애플리케이션 접속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먼저 수행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인증 과정 없이 force 입력 또는 force 입력 및 normal 입력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인증 과정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이름을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force 입력을 입력한 사용자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는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리모콘(100)은 터치 수단의 터치 면적, 터치 세기 등을 감지하여 감지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force 입력 및 사용자의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런 후 force 입력 시 상기 입력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 시 force 입력뿐만 아니라 normal 입력도 고려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하지 않았지만 키의 누름에 의한 감지 레벨은 세기 또는 면적이 기 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을 때에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수단의 터치에 해당하는 레벨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벨은 상기 특정 레벨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레벨은 상기 특정 레벨들 중 상위 레벨 또는 하위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미디어 시스템은 force 입력뿐만 아니라 제스쳐(gesture)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수단으로 소정 길이 이상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제스쳐에 따라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orce 입력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특정 개체의 영상이 PIP로 보여질 때, 특정 제스쳐에 따라 상기 PIP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거나 force 입력 전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쳐는 복수의 키들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3차원 좌표 (x, y, z)로만 좌표를 표시하였지만, 면적과 세기를 별개의 좌표로 부여하면 좌표는 4차원 좌표(x, y, z, 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감지 레벨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종래 리모콘과 비교하면, 종래에는 키의 normal 입력만이 존재하였으며, 따라서 하나의 키에 하나의 기능만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에는 무수히 많은 키들이 존재하여야만 하였으며, 그 결과 리모콘의 구조가 복잡하여지고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반면에, 본 발명의 리모콘(100)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도 제공하므로, 하나의 키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들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에는 최소한의 키만 존재하여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리모콘(100)의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제 1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UP 키와 같은 내비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기능은 기능 키 또는 결정 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 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force 입력은 홈 키 또는 esc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물론, 기능 키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 키 또는 결정 키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결정 키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 키 또는 기능 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 2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개체(entity)로서 제 1 UI(User Interface)가 표시된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1 UI와 다른 제 2 UI가 표시된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3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에 따라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배열한 상태에서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커서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고,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커서를 상기 제 1 속도와 다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예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예들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 4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개체를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프로그램 가이드와 관련된 개체를 디스플레이하고,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과 관련된 개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 5 견지에서,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설정된 모드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리모콘(100)의 동일한 키에 동일한 force 입력을 가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프로그램 리스트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결정 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프로그램 리스트들의 배열이 변화되는데 반하여,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사업자가 제공하는 VOD 리스트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사용자에 맞는 추천 VOD 리스트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6 견지에서, 서버(104)는 기 설정 기간 동안의 force 입력 및 시청 이력 등의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런 후 새롭게 입력되는 force 입력에 매칭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시 force 입력뿐만 아니라 normal 입력도 고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감지 레벨에 따른 다양한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겠다.
우선, 감지 레벨에 대하여 정의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개별 키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수단(400)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레벨,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 이하로 터치(normal 입력)하는 터치 수단(400)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레벨 및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터치(force 입력)하는 터치 수단(400)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의 개별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모든 키들에 감지 레벨들이 설정될 수도 있지만, 일부 키에는 하나의 감지 레벨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감지 레벨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감지 레벨은 터치 수단(400)으로 기 설정 시간 이상 누른 경우에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force 입력에 따른 다양한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살펴보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라 리모콘(100)은 제 1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5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레벨은 특정 키를 누르는 면적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은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좌표 (x, y, z1)로 표시하고, 좌표 (x, y, z1)를 제 1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502).
계속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키를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누를 수 있으며, 리모콘(102)은 이러한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504).
이어서, 리모콘(100)은 상기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좌표 (x, y, z2)로 표시하고, 좌표 (x, y, z2)를 제 2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제 2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506).
이러한 동작과 관련된 제 1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개체(600)를 포함한 채널 리스트(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많은 수의 채널 개체들(600)을 표시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에 따라 개체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채널 리스트를 예로 하였으나, VOD 리스트, 선호 프로그램 리스트 등 다양한 개체들에도 위의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열로 채널 개체들(600)이 배열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배열과 다른 제 2 배열로 채널 개체들(600)이 배열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배열의 변경은 개체(600)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개체(600)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경우, 개체(600)의 사이즈가 변화되는 경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예를 들 우측 방향 키에 해당하는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들(600)을 디스플레이하고 개체들(600) 중 하나 상에 선택 개체(9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선택 개체(900)를 우측 방향으로 제 1 속도(v1)를 가지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예를 들어 우측 방향 키에 해당하는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개체(900)를 우측 방향으로 제 2 속도(v2)를 가지고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는 선택 개체(900)를 건너 뛰기 방식으로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감지 레벨에 따라 개체(900)의 이동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동 속도가 아니라 VOD 등의 재생 속도가 감지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동 속도 및 재생 속도의 변화는 주로 방향 키와 관련된 내비 키(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종합하면, 리모콘(100)의 특정 키에 대한 감지 레벨이 달라지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기능 또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감지 레벨에 따라 개체 사이즈 또는 모양 변화, 컨텐츠 미리 보기, 홈 화면으로의 전환, 모드 전환 등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라 리모콘(100)은 제 1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1100).
이어서, 리모콘(100)은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3차원 좌표 (x, y, z1)로 표시하고, 좌표 (x, y, z1)를 제 1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S1102).
계속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키를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더 강한 힘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누를 수 있으며, 리모콘(102)은 이러한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1104).
이어서, 리모콘(100)은 상기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좌표 (x, y, z2)로 표시하고, 좌표 (x, y, z2)를 제 2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제 2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S1106).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 변화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처리하는 화면을 다르게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 변화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가이드를 보여주는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D 리스트를 보여주는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에 따라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링 및 개인화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콘(100)에 force 입력을 제공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공된 force 입력에 따른 동작을 실행시킨다(S1300).
서버(104)는 기 설정 기간 동안 force 입력, 관련 동작, 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 또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집하여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생성하며(S1302), 이 때 사용자 인증 과정은 필요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4)가 기 설정 기간 동안의 force 입력을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제 1 사용자가 제 1 감지 레벨로 force 입력을 입력하고 제 2 사용자가 제 2 감지 레벨로 force 입력을 입력하며, 제 3 사용자가 제 3 감지 레벨로 force 입력을 입력한다고 판단되면, 서버(10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들(1400, 1402 및 1404)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 기간 동안의 force 입력의 평균 세기 또는 면적을 기초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 후, 특정 사용자가 리모콘(100)에 force 입력을 입력하면(S1304), 서버(104)는 상기 입력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를 식별한다(S1306).
예를 들어, 제 2 감지 레벨로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서버(104)는 사용자2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1402)을 상기 force 입력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4)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을 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308).
예를 들어, 서버(104)는 force 입력 시 제 2 사용자와 매칭되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추천 프로그램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306 및 S1308은 서버(104)가 아닌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시스템은 기 설정 기간의 force 입력 및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force 입력 시 상기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는 인증 과정이 별도로 수행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정확한 이름이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될 수 없고, 임의로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이름이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이름을 변경하는 등의 사용자 설정 과정을 살펴보겠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변경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5의 사용자 프로파일 변경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버(104)는 기 설정 기간 동안 입력된 사용자의 force 입력 및 이력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생성하고(S1500),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미지 처리 단말(102)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한다(S1502).
예를 들어, 서버(10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으로 기록된 사용자 프로파일들(1600, 1602 및 1604)을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특정 사용자가 리모콘(100)으로 force 입력을 입력하면(S1504), 서버(104)는 상기 입력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개체, 즉 사용자 프로파일을 하이라이팅 시킬 수 있다(S1506).
예를 들어, force 입력이 사용자 프로파일(1602)에 해당하면, 서버(104)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파일(1602)을 하이라이팅시킬 수 있다(S1506).
따라서, force 입력을 입력한 사용자는 자신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이 사용자 프로파일(1602)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하이라이팅된 사용자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1508).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팅된 사용자 프로파일(1602)의 이름을 자신의 이름, 예를 들어 "홍길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시스템은 force 입력 및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서버(104)는 기 설정 기간 동안 입력된 사용자의 force 입력 및 이력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생성한다(S1900).
이어서, 서버(104)는 특정 사용자의 force 입력 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S1902).
한편, 서버(104)는 단계 S1900 후에도 기 설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force 입력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거나 미디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후 기 설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904).
계속하여, 서버(104)는 상기 수집된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고(S1906), 업데이트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S1908).
정리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일정 간격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 상황에서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하고,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보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4)는 기 설정 기간 동안 입력된 사용자의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특정 사용자의 키 입력 시, 입력된 키의 감지 레벨, 즉, normal 또는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의 감지 레벨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감지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감지 레벨을 상기 특정 레벨들 중 하나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레벨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으로 구분되는 경계 값은 0.9와 1.0이다.
즉, 입력된 키의 3차원 좌표 값 중 z축의 값이 0.9이하이면 normal 입력으로, 1.0 이상이면 force 입력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그러나, 키를 누르는 z축 값이 '0.93'과 같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104)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의 z축 좌표 값을 normal 입력으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키를 누르는 z축 값이 '0.97'과 같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104)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의 z축 좌표 값을 force 입력으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force 입력의 감지 레벨이 복수로 구분되는 경우, 전술한 좌표 보정과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rce 입력의 감지 레벨이 복수로 구분되는 경우, 키를 누르는 z축 값이 '1.3과 같이 제 1 감지 레벨과 제 2 감지 레벨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104)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의 z축 좌표 값을 force 입력의 감지 레벨 중 제 1 감지 레벨으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키를 누르는 z축 값이 '1.7과 같이 제 1 감지 레벨과 제 2 감지 레벨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104)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의 z축 좌표 값을 force 입력의 감지 레벨 중 제 2 감지 레벨으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키의 감지 레벨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감지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감지 레벨 값을 반올림하여 특정 레벨들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감지 레벨 값의 반올림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1.0 미만은 모두 normal 입력으로, 1.0 이상은 모두 force 입력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표 보정으로 결정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생성 시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이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서버(104)는 전술한 좌표 보정이 수행되지 않은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의 이력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이 기 설정된 감지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감지 레벨을 기 설정된 감지 레벨들 중 하나로 직접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감지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창을 리모콘(100)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감지 레벨들에 대한 기능 설명도 함께 보여질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애 인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방송이나 IPTV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 시 동일한 동작 또는 화면의 실행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리모콘의 키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각 사용자가 입력한 키의 감지 레벨에 대한 이력을 분석하면, 특정 메뉴를 실행시키기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각 사용자가 입력한 키의 감지 레벨에 대한 이력을 분석한 결과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A라는 메뉴를 실행시키기까지 리모콘에서 선택하는 키와 그 패턴은 '홈 키 → 우측 방향 키 → 상 방향 키 → 하 방향 키 → OK 키' 이며, 각 키별 감지 레벨은 '홈 키(normal 입력, z 좌표 값 평균 0.8) → 우측 방향 키(normal 입력, z 좌표 값 평균 0.8) → 상 방향 키(force 입력, z 좌표 값 평균 1.2) → 하 방향 키(force 입력, z 좌표 값 평균 1.2) → OK 키(normal 입력, z 좌표 값 평균 0.8)'이다.
그런데, 상기 패턴 중 현재 입력되는'상 방향 키(force 입력, z 좌표 값 평균 1.2)'에서 특정 회수 이상 '상 방향 키'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며, 입력되는 감지 레벨의 값도 평균 1.2를 넘어서는 2.0의 값인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해당 사용자의 키 선택 패턴 중 상 방향 키(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에 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동작 또는 화면의 실행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리모콘의 키를 누르게 되지만,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작업과 관련된 키를 평소보다 더 강하게 누르는 습관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1을 참고하면, 콘텐츠 시청 도중 재생이 중단된 경우, 사용자는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리모콘(100)의 키를 평소보다 더 강하게, 그리고 여러 번 반복적으로 누르게 된다.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리모콘(100)의 키의 감지 레벨이 평소보다 크게 증가했고, 반복적으로 해당 키가 눌려지는 것을 인식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하여 서비스 상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자체 점검을 통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장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판단된 오류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도 21과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오류 내용을 서비스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미도시), 서비스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서버(104)등으로 전송하여, 해당 오류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자신의 식별자(기기 ID) 또는 고객 식별자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담당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기기 ID나 고객 식별자를 이용하여 고객의 연락처와 주소 등을 파악하고 고객과 직접 통화하거나 장애 해결을 위해서 해당 주소로 직접 방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 발생 시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신속히 장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서비스사의 고객 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각 오류에 대한 대응 매뉴얼을 저장하고, 화면에 해당 오류의 해결 방안(예를 들어, '전원을 OFF하고 다시 ON 해보세요', '일시적 장애 입니다. 고객 센터 1500-XXXX번으로 문의 바랍니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미도시), 서비스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서버(104)로부터 오류 해결 방안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이 normal 입력에 해당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관련 개체가 도시되지 않으나,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이 force 입력에 해당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force 입력임을 알리는 force 입력 표시 개체(2000)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100)을 보지 않고 이미지 처리 단말(102)만을 보면서도 normal 입력하였는지 force 입력하였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force 입력 표시 개체(2000)는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force 입력 표시 개체(200)에 사용자 프로파일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하여, force 입력 표시 개체(2000)가 이미지 처리 단말(102) 또는 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된다. 한편, force 입력을 표시하기 위하여, force 입력시 리모콘(100)에서 진동 또는 소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force 입력시 리모콘(100)에 햅틱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미디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리모콘(100)은 별도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콘(100)은 좌표 (x, y,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만을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좌표 (x, y, z)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이 동일한 좌표 (x, y,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은 별도로 업그레이드되지 않으므로, 리모콘(100)의 구조가 간단하여지고 높은 성능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후 일정 기간 동안 force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이 다시 생성되거나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리모콘(100)은 제어부(2200), 통신부(2202), 키 관리부(2204), 감지부(2206), 제어 신호부(2208) 및 저장부(22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 또는 서버(104)와 연결되는 통로이며,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일 수 있다.
키 관리부(2204)는 내비 키, 결정 키, 기능 키 등을 관리하며, 키들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키의 구성 및 배열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감지부(2206)는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부(2208)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좌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저장부(2210)는 제어 신호, 프로그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200)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어부(2300), 통신부(2302), 분석부(2304), 입력 실행부(2306), 개인화 서비스부(2308), 업그레이드부(2310) 및 저장부(23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2)는 리모콘(100) 또는 서버(104)와의 연결 통로이다.
통신부(2302)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2)는 서버(104)로부터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애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104)나 서비스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104)나 서비스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메시지 등)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분석부(2304)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분석부(2304)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가 이용 중인 서비스의 장애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동일한 동작 또는 화면의 실행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리모콘의 키를 누르게 되지만,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작업과 관련된 키를 평소보다 더 강하게 누르는 습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분석부(2304)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특정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기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에 기초하여, 현재 수신된 키의 제어 신호가 속한 감지 레벨과 반복되는 회수 등에 따라서, 현재 사용자가 이용 중인 서비스의 장애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부(2304)에서 생성된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2302)를 통해 서버(104)나 서비스 관리자의 단말기(미도시)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실행부(2306)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한편, 개인화 서비스부(2308)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force 입력 시 서버(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적합한 추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업그레이드부(2310)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관리하며, 예를 들어 서버(104)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31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을 사용하는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force 입력에 대하여 보정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는 특정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기까지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보정된 좌표'는 키의 감지 레벨을 나타내는 z축 값이 특정 감지 레벨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감지 레벨을 특정 감지 레벨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도록 보정된 값이다.
따라서, 분석부(2304)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감지 레벨을 나타내는 z축 값이 특정 감지 레벨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입력 실행부(2306)는 보정된 좌표에 따라서 force 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12)는 각종 장애 발생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메시지는 장애 발생의 원인, 고객 센터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12)는 각 태스크(task)에서 리모콘(100)의 키와 감지 레벨에 따른 동작 또는 화면에 대한 제어 명령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0)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포함된 상기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2304)에서 생성된 장애 발생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즉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한편,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force 입력에 따라 특정 개체를 표시하는 force 입력 표시 개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서버(104)는 제어부(2400), 통신부(2402), 정보 수집부(2404), 분석부(2406), 프로파일링부(2408), 개인화 서비스부(2410), 업그레이드부(2412) 및 저장부(24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과의 연결 통로로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부터 식별자(해당 이미지 처리 단말의 ID)와, 사용자가 선택한 리모콘(100) 키의 좌표 값(감지 레벨을 나타내는 3차원 좌표 값)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키의 좌표 값과 함께 해당 키의 식별자도 함께 수신될 수 있으며, 해당 키가 선택될 때의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수행 중인 태스크(동작이나 화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정보들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리모콘(100)으로부터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주기, 예를 들어 시간(hour), 일(day), 주(week), 월(month)별로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40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부터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장애 발생 원인이나 장애 발생 대응 방안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각 사용자별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별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키의 제어 신호(감지 레벨)와 그에 대한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태스크 정보의 조합을 통해서 사용자가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수집부(2404)는 통신부(2402)로부터 수신되는 키의 좌표 값(감지 레벨 포함)과 태스크 정보 및 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수집부(2404)의 정보 수집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리모콘(100)으로부터 해당 정보들을 수신하는 즉시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도 있고, 특정 주기를 가지고 수집될 수도 있다.
한편, 분석부(2406)는 상기 정보 수집부(2404)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부(2406)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키의 제어 신호와 그 이력 등을 분석하여 감지 레벨을 나타내는 z축 값이 특정 감지 레벨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감지 레벨을 특정 감지 레벨들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좌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좌표가 보정된 정보는 프로파일링부(2408)에 의해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406)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기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에 대한 통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파일링부(2408)는 상기 분석부(2406)에서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시 사용자 인증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파일링부(2408)는 분석부(2406)에서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기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파일링부(2408)에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해당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는 특정 동작 또는 화면을 실행시키기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콘(100)으로부터 수신된 키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현재 사용자가 이용 중인 서비스의 장애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개인화 서비스부(2410)는 force 입력시 해당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추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업그레이드부(2412)는 미디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제공하여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장부(2414)는 각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사용자별 프로파일 정보, 소프트웨어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2400)는 상기 서버(104)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리모콘
102 : 이미지 처리 단말
104 : 서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리모콘에서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인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설정 후 상기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감지 레벨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설정된 감지 레벨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서비스 장애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서비스 장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애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생성되는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설정된 감지 레벨로부터 이탈되는 감지 레벨이 미리 정해진 회수 이상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장애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관련 서버 및 장애 관리 담당자의 단말기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의 식별자, 상기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락처 및 주소 중 하나 이상이 더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8. 삭제
  9.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가 서비스 장애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에서 선택된 키의 감지 레벨인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설정 후 상기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감지 레벨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감지 레벨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서비스 장애가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장애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생성되는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서비스 장애 판단 방법.
KR1020160059575A 2016-05-16 2016-05-16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KR10177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75A KR101775829B1 (ko) 2016-05-16 2016-05-16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US15/254,270 US9900542B2 (en) 2016-05-16 2016-09-01 Comput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ordinate compensation for a remote control key and detecting errors by using user profile information based on force inputs
EP16204293.1A EP3246799A1 (en) 2016-05-16 2016-12-15 Comput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ordinate compensation for a remote control key and detecting errors by using user profile information based on force inpu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75A KR101775829B1 (ko) 2016-05-16 2016-05-16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003A Division KR20170129070A (ko) 2017-07-18 2017-07-18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829B1 true KR101775829B1 (ko) 2017-09-06

Family

ID=5782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75A KR101775829B1 (ko) 2016-05-16 2016-05-16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00542B2 (ko)
EP (1) EP3246799A1 (ko)
KR (1) KR101775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262B2 (en) * 2017-02-01 2021-06-22 Opentv, Inc. Menu modification based on controller manipulation data
CN111295633B (zh) 2017-08-29 2024-02-20 新加坡商欧之遥控有限公司 精细的用户识别
USD858486S1 (en) 2018-03-21 2019-09-03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
CN111193831A (zh) * 2019-12-27 2020-05-22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手机app页面刷新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69778S1 (en) 2020-06-10 2022-11-15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
CN112445565B (zh) * 2020-11-30 2022-10-2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窗口布局中基于方向键选择窗口的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6470B4 (de) * 2001-09-21 2007-05-31 3Dconnexion Gmbh Auswahl von Software- und Hardwarefunktionen mit einem Kraft-/Momentensensor
KR20100136618A (ko)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10057886A1 (en) * 2009-09-10 2011-03-10 Oliver Ng Dynamic sizing of identifie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KR20110067559A (ko) * 2009-12-14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48948A1 (en) * 2010-04-08 2011-10-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US20120105367A1 (en) * 2010-11-01 2012-05-03 Impress Inc. Methods of using tactile force sensing for intuitive user interface
KR101189078B1 (ko) 2010-12-17 2012-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사용자 식별 장치 및 방법
US20130234984A1 (en) * 2012-03-06 2013-09-12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KR102101432B1 (ko) * 2013-01-31 202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터 표시 제어 방법 및 포인터 표시 방법과 그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2031A1 (en) 2017-11-16
US9900542B2 (en) 2018-02-20
EP3246799A1 (en)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829B1 (ko)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EP3151547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973323B (zh) 电子设备和在电子设备中扫描频道的方法
KR20070096051A (ko) 멀티미디어 시스템 사용자의 거동 예측기
KR101886209B1 (ko)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2595045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020874A (zh) 显示装置、输入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1833788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748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70129070A (ko)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KR101833790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P3247122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862845B1 (ko)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75404A (ko) 이벤트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026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포인터 표시 방법
KR1017171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40103631A (ko)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111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4302247A (zh) 显示设备及多窗口音频参数调整方法
KR101599531B1 (ko)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