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179B1 -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179B1
KR101717179B1 KR1020130001800A KR20130001800A KR101717179B1 KR 101717179 B1 KR101717179 B1 KR 101717179B1 KR 1020130001800 A KR1020130001800 A KR 1020130001800A KR 20130001800 A KR20130001800 A KR 20130001800A KR 101717179 B1 KR101717179 B1 KR 101717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display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interfac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859A (ko
Inventor
윤여리
김대현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0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7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03343.1A priority patent/CN104838341B/zh
Priority to EP14735363.5A priority patent/EP2941680B1/en
Priority to PCT/KR2014/000087 priority patent/WO2014107064A1/en
Priority to CN201810788908.1A priority patent/CN109032489B/zh
Priority to US14/149,217 priority patent/US20140195958A1/en
Publication of KR2014008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79B1/ko
Priority to US16/432,476 priority patent/US10986393B2/en
Priority to US17/233,648 priority patent/US11363324B2/en
Priority to US17/838,623 priority patent/US11665387B2/en
Priority to US18/308,805 priority patent/US1193023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4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가변적으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제공받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넷 서핑 등의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
종래에는 리모컨과 같은 문자 입력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장치를 통하여 문자 입력을 받았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받기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ad)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리모컨 상의 좌측/우측, 상측/하측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였다.
한편,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제어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하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무선 키보드 등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무선 키보드를 통하여 문자 입력을 입력받는 경우에도,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인 리모컨과 같은 제어 장치를 통하여 문자 입력을 받는 경우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였다.
하지만,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키보드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현재 입력 중인 문자의 내용이 화면상에 정확하게 반영되는지만을 확인하면 되는데,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와 같은 상황과 무관하게 항상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였다는 점에서, 화면의 복잡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가변적으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QWERTY 자판을 구비하는 경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선택받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는 QWERTY 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표시 방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QWERTY 자판을 구비하는 경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UI 표시 방법은,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선택받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는 QWERTY 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UI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UI 표시 방법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표시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UI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영상/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모니터, 디지털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문자 입력이 필요한 상태인 경우에,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20)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 디바이스(2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구체적으로 물리 버튼 또는 UI 버튼)을 구비하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어 디바이스(20)는 문자 입력 수단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적인 리모컨일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키보드, 스마트폰, MP3, PMP 등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온 스크린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온 스크린 키패드에 의하여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어 디바이스(20)가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어 디바이스(20)는 라우터 등의 중계 장치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20)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제어 디바이스(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표시부(120), 사용자 조작부(130), 저장부(140), 판단부(150), 영상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유선 연결(USB, PS/2),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제어 디바이스(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제어 디바이스로(20)부터 제어 디바이스의 장치 정보(예를 들어, 장치명, 모델명, 문자 입력 수단의 포함 여부)를 수신하고,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영상 제공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 등)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되는 방송 신호일 수 있으며, DVD 플레이어, 블루 레이 플레이어 등으로부터 HDMI 케이블, AV 단자 등을 통하여 전달되는 영상 컨텐츠일 수 있으며, 휴대폰, 컴퓨터 등으로부터 USB 단자 등을 통하여 전달되는 영상 컨텐츠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터넷 망으로부터 인터넷 웹 페이지, 인터넷 동영상 등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LCD, PDP, CRT 등과 같은 영상 표시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20)는 후술할 영상 처리부(160)에서 생성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문자 입력이 필요한 상태인 경우,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 및 컨텐츠 검색 등의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20)는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영상을 표시 중인 경우에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영상 처리부(160)에서 생성한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함께 표시되는 영상은 웹 페이지 영상, 동영상, TV 영상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제어 명령이 입력된 제어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가변 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이 입력된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 표시부(120)는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ad)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갖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 명령이 입력된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 표시부(120)는 상술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제2 영역을 갖지 않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선택받는 제3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사용자 조작부(130)는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120)와 사용자 조작부(13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저장부(140)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모델 명, 장치 명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저장부(140)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면, 모든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제조사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별도의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판단부(150)는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 및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제어 명령을 입력한 제어 디바이스가 QWERTY 자판과 같은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 QWERTY 자판만을 예를 들었지만, 한들 2벌식, 한글 3벌식, 드보락(Dvorak) 자판과 같은 다른 배열의 자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판단은 최초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실시간(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점 주기별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60)는 영상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표시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어 디바이스(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하면, 제어 명령을 입력한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인지 판단되도록 판단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어 명령을 입력한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장치이면, 제어부(17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갖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 명령을 입력한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장치이면, 제어부(17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선택받는 제3 영역이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3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온 스크린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온 스크린 키패드에 의하여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판단부(150), 영상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판단부(150) 및 제어부(17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판단부(150), 영상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표시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0)은 제1 영역(320), 제2 영역(330)을 포함하며, 영상 영역(310)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영상 영역(3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0)이 표시되기 전에 표시 중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거나, 제1 영역(320)을 통하여 입력받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320)은 제어 디바이스(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20)은 온 스크린 키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2 영역(330)은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온 스크린 키패드는 QWERTY 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영어 이외의 언어의 글자를 입력하기를 선택하면 온 스크린 키패드는 한글 2벌씩, 한글 3벌씩 등의 다른 자판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제2 영역의 온 스크린 키패드 상에서 커서를 좌측/우측, 상측/하측 이동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가 "v"에 위치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가 "a"이면,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의 좌측 버튼을 3회 클릭하고, 상측 버튼을 1회 클릭하고, 입력 버튼(또는 확인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a"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a"가 입력되면, 제1 영역(320)은 입력받은 "a"라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0)은 온 스크린 키패드를 구비하는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제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제1 영역(320), 제3 영역(340)을 포함하며, 영상 영역(310)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영상 영역(3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이 표시되기 전에 표시 중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거나, 제1 영역(320)을 통하여 입력받은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320)은 제어 디바이스(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20)은 제어 디바이스(20)를 통하여 입력받은 키 입력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3 영역(340)은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3 영역(340)이 선택되면,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도 도 3과 같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게 된다. 즉, 제3 영역(340)은 수동으로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지 않은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제어 디바이스에서 불필요한 화면 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최초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된 이후에 제어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변화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문자 입력 수단이 없는 제어 디바이스로 문자를 입력하다가 문자 입력 수단이 있는 다른 제어 디바이스로 문자 키를 입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문자 입력 수단이 없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10)을 표시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하게 되면 문자 입력이 어려움을 인지하고, 블루투스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키를 누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10)의 표시 상태에서, 문자 입력 수단이 있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20)을 표시한다. 이때,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20)의 제1 영역(320)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받은 문자 입력(321)을 표시한다.
도 6은 문자 입력 수단이 있는 제어 디바이스로 문자를 입력하다가 해당 제어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문자 입력 수단이 있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으면,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지 않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10)을 표시한다.
이후에 해당 제어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끊기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20)을 표시한다. 이때,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20)의 제1 영역(320)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10)의 제1 영역(310) 상에 표시 중인 문자를 동일하게 표시한다.
도 7은 문자 입력 수단이 없는 제어 디바이스로 문자를 입력하다가 문자 입력 수단이 있는 다른 제어 디바이스로 문자 키를 입력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문자 입력 수단이 있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으면,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지 않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10)을 표시한다.
이후에 문자 입력 수단이 없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키패드 이동 명령(좌/우, 상/하 버튼)을 입력받거나, 제3 영역(340)을 선택받으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온 스크린 키패드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20)을 표시한다. 이때,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20)의 제1 영역(320)은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10)의 제1 영역(310) 상에 표시 중인 문자를 동일하게 표시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UI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S810).
그리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한다(S820).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과 함께 수신된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 및 기저장된 제어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제어 명령을 입력한 제어 디바이스가 QWERTY 자판과 같은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 QWERTY 자판만을 예를 들었지만, 한들 2벌식, 한글 3벌식, 드보락(Dvorak) 자판과 같은 다른 배열의 자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판단은 최초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실시간(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점 주기별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S830-N),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S840).
한편,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S830-Y),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S85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UI 표시 방법은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따라 온 스크린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바,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온 스크린 키패드에 의하여 화면이 가려지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과 같은 UI 표시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UI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표시부 130: 사용자 조작부
140: 저장부 150: 판단부
160: 영상 처리부 170: 제어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기 등록된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QWERTY 자판을 구비하는 경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처리된 영상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선택받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을 통해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더라도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는 QWERTY 자판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기 등록된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입력된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은 포함하되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UI 표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표시가 필요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UI 표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UI 표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QWERTY 자판을 구비하는 경우,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하는 UI 표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된 영상과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함께 표시하는 UI 표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여부를 선택받는 제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UI 표시 방법은,
    상기 제3 영역을 통해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의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I 표시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크린 키패드는 QWERTY 자판 형태를 갖는 UI 표시 방법.
  18.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UI 표시 방법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저장된 '복수의 기 등록된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입력된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수단의 구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온 스크린 키패드(On Screen keyped)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30001800A 2013-01-07 2013-01-07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1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00A KR101717179B1 (ko) 2013-01-07 2013-01-07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14735363.5A EP2941680B1 (en) 2013-01-07 2014-01-06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CT/KR2014/000087 WO2014107064A1 (en) 2013-01-07 2014-01-06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810788908.1A CN109032489B (zh) 2013-01-07 2014-01-06 显示设备及显示用户界面的方法
CN201480003343.1A CN104838341B (zh) 2013-01-07 2014-01-06 显示装置、用户界面显示的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4/149,217 US20140195958A1 (en) 2013-01-07 2014-01-07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6/432,476 US10986393B2 (en) 2013-01-07 2019-06-05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7/233,648 US11363324B2 (en) 2013-01-07 2021-04-19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7/838,623 US11665387B2 (en) 2013-01-07 2022-06-13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8/308,805 US11930237B2 (en) 2013-01-07 2023-04-28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00A KR101717179B1 (ko) 2013-01-07 2013-01-07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59A KR20140089859A (ko) 2014-07-16
KR101717179B1 true KR101717179B1 (ko) 2017-03-16

Family

ID=5106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00A KR101717179B1 (ko) 2013-01-07 2013-01-07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20140195958A1 (ko)
EP (1) EP2941680B1 (ko)
KR (1) KR101717179B1 (ko)
CN (2) CN104838341B (ko)
WO (1) WO20141070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6916A1 (en) 2010-05-10 2011-11-1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011460A1 (en) 2010-07-12 2012-01-12 Action Star Enterprise Co., Ltd. System capable of simulating variety of output/inpu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626C (zh) * 1999-06-28 2004-12-15 联合视频制品公司 具有新闻组的交互电视系统
CA2377941A1 (en) 1999-06-28 2001-01-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niche hubs
US6765557B1 (en) * 2000-04-10 2004-07-20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touch pad to screen mapping
US20040078792A1 (en) * 2002-10-21 2004-04-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deactivating auto-deploy functionality of a software input panel
CN1236374C (zh) * 2003-11-18 2006-01-11 建汉科技股份有限公司 字符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TW200743320A (en) * 2006-05-15 2007-11-16 Tatung Co Ltd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ing-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US20080303793A1 (en) * 2007-06-05 2008-12-11 Microsoft Corporation On-screen keyboard
US8065624B2 (en) * 2007-06-28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US20090231281A1 (en) * 2008-03-11 2009-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touch virtual keyboard
JP5047128B2 (ja) 2008-11-11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20030607A1 (en) * 2009-04-29 2012-02-02 Alexandra Michel Controlling a keyboard
US8508482B2 (en) * 2009-11-30 2013-08-13 Neil Van der Byl Programmable remote control
US20110175826A1 (en) * 2010-01-15 2011-07-21 Bradford Allen Moore Automatically Displaying and Hiding an On-screen Keyboard
US9400585B2 (en) * 2010-10-05 2016-07-26 Citrix Systems, Inc.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KR20120038629A (ko) * 2010-10-14 2012-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TW201237732A (en) * 2011-03-11 2012-09-16 Sunplus Technology Co Ltd Nine-square arrangement virtual input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US8928582B2 (en) * 2012-02-17 2015-01-06 Sri International Method for adaptive interaction with a legacy software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6916A1 (en) 2010-05-10 2011-11-1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011460A1 (en) 2010-07-12 2012-01-12 Action Star Enterprise Co., Ltd. System capable of simulating variety of output/in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5387B2 (en) 2023-05-30
CN109032489A (zh) 2018-12-18
WO2014107064A1 (en) 2014-07-10
US11363324B2 (en) 2022-06-14
CN104838341A (zh) 2015-08-12
US20210243489A1 (en) 2021-08-05
EP2941680A4 (en) 2016-09-07
US10986393B2 (en) 2021-04-20
US20230269414A1 (en) 2023-08-24
CN109032489B (zh) 2022-07-01
KR20140089859A (ko) 2014-07-16
US20190289245A1 (en) 2019-09-19
EP2941680A1 (en) 2015-11-11
US20220312064A1 (en) 2022-09-29
EP2941680B1 (en) 2020-08-05
US20140195958A1 (en) 2014-07-10
US11930237B2 (en) 2024-03-12
CN104838341B (zh)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6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708534B2 (en)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EP2744218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1137261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400554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046294A1 (en)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item providing method
CN104768055B (zh) 显示设备、移动设备、系统及其连接的设置控制方法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171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8724028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50268844A1 (en) Display apparatus interworking with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ouchpad
US201603499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21444A (ko) 심볼(symbol) 생성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1387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19834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및 제어 방법
KR2017007454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973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CN117971086A (zh) 显示设备和悬浮窗口显示方法
KR201400892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