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209B1 -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209B1
KR101886209B1 KR1020160047579A KR20160047579A KR101886209B1 KR 101886209 B1 KR101886209 B1 KR 101886209B1 KR 1020160047579 A KR1020160047579 A KR 1020160047579A KR 20160047579 A KR20160047579 A KR 20160047579A KR 101886209 B1 KR101886209 B1 KR 10188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detection level
control signa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491A (ko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6004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209B1/ko
Priority to US15/255,050 priority patent/US10097876B2/en
Priority to EP16204977.9A priority patent/EP3236662A1/en
Publication of KR2017011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 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키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한 키 정보 및 상기 키를 누른 세기 또는 면적에 상응하는 감지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레벨은 상기 키에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제어 신호 수신 시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와 상기 선택된 키 정보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MEDIA SERVICE}
본 발명은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콘에 적은 개수의 키가 제공되더라도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탑박스(Set-Top Box)는 TV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와 음성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고 그 내용을 TV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셋탑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 외에도,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TV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셋탑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셋탑박스나 TV가 제공하는 기능도 다양해졌고,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에 제공되는 키의 개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에 배치된 많은 키들의 용도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키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TV 화면에 향해있는 시선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콘을 조작하는 블라인드 콘트롤(blind control)은 어렵고, 리모콘을 조작할 때마다 TV 화면에 향해있던 시선을 다시 리모콘으로 돌려야 하는 등 리모콘 조작 시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키 개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이 리모콘의 사용 방법을 용이하게 숙지하도록 함은 물론 리모콘 조작 시 블라인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블라인드 콘트롤이 가능한 리모콘이 제공 가능한 경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096호 (공개일 : 2015년 12월 15일)
본 발명은 리모콘의 적은 개수의 키를 구비하더라도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출력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키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한 키 정보 및 상기 키를 누른 세기 또는 면적에 상응하는 감지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레벨은 상기 키에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제어 신호 수신 시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와 상기 선택된 키 정보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키는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미리 설정된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로 키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키에 본래 부여된 속성이 아닌 다른 속성에 상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 선택한 키의 본래 속성에 상응하는 동작 실행을 위한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1 감지 레벨, 상기 키의 본래 속성과 다른 속성의 동작 실행을 위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상기 제2 감지 레벨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인지 주문형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 신호에 미리 설정된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이 포함되는 경우, 편성표, 인기 채널 리스트, 선호 채널 리스트 및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인지 주문형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가 주문형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 신호에 미리 설정된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이 포함되는 경우, VOD 리스트, 인기 VOD 리스트 및 선호 장르 VOD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선택된 키는 내비키 또는 결정키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면상에 force 입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식별 이미지에 인접하게 내비키의 normal 입력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콘이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레벨은 복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 신호가 복수의 제2 감지 레벨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면상에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2 감지 레벨에 상응하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키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선택된 키의 평면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 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깊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셋탑박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리모콘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화면상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키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한 키 정보 및 상기 키를 누른 세기 또는 면적에 상응하는 감지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레벨은 상기 키에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중 하나임-; 상기 제어 신호 수신 시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컨텐츠와 상기 선택된 키 정보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이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마다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어 적은 개수의 키를 포함하더라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시스템의 전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시에도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리모콘의 구조가 단순하여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force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force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선택 수단의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주문형 프로그램, 게임 및 쇼핑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미리 저장된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가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단말인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하나의 키에 대해 복수의 감지 레벨이 설정되어 미디어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과 연결되는 이미지 처리 단말이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서비스 관점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헤드엔드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라이브 프로그램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다양한 방송 채널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AV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방송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상향 채널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서버(예를 들어, 리턴패스 서브)를 구비하면서 인터넷 서비스 및 각종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근거리에 위치한 리모콘(104)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컨텐츠 수신, 출력 및 그밖에 기능을 수행하고, 화면을 전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통상의 TV, 셋탑박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며, 리모콘(104)으로부터 제어 신호 수신이 가능한 단말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리모콘(104)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 정보 및 사용자가 키를 누른 세기 또는 면적에 상응하는 감지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리모콘의 제어 신호는 키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04)의 제어 신호는 키에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중 하나의 감지 레벨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에, 동일 키가 선택되었다고 하더라도 선택된 키에 대한 세기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정보는 리모콘(104)에 키패드가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 키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리모콘(104)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키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 키의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리모콘(104)으로부터 키 정보 및 감지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와 수신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2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들을 가지는 리모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04)은 바디(200), 바디(200) 상에 형성되며 상하좌우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Navigation Key, 210), ESC 키, 홈메뉴, 편성표 선택 키, 빨리감기/되감기/정지/재생과 같은 재생 제어 키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키(214) 및 OK 키(선택 키 또는 확인 키) 등과 같이 동작의 실행 또는 프로그램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키(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모콘(104)에는 다양한 키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키들은 내비키(210), 결정키(212) 및 기능키(214)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4)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제어 동작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 동작은 키에 본래 부여된 속성과 이와 다른 속성에 상응하는 동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104)은 손가락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리모콘(104)의 감지 레벨이 달라지며, 따라서 리모콘(104)은 키의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4)으로 키 선택 수단의 입력은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normal 입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르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기존의 리모콘에서의 키의 동작과 동일하게 리모콘(104)의 키에 설정된 일반적인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UP 키를 누르면 UP 동작이 실행된다. force 입력은 normal 입력보다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이, normal 입력에서의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을 갖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제어 과정은 normal 입력에서의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제어 과정과 다르다. 한편, normal 입력을 long press하더라도 이러한 동작은 force 입력으로 인지되지 않고 normal 입력으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force 입력이 복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 선택 수단으로 선택한 리모콘(104)의 키의 좌표가 (x, y)라고 하면,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는 z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3차원 좌표(x, y, z)를 이용하면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을 표현하는 방법은 (x, y, z)로 표현하는 방법 외의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고, 3차원 좌표가 아닌 4차원 이상의 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감지 레벨로 특정 키를 선택하면, 리모콘(104)은 특정 키에 해당하는 좌표(x, y) 및 감지 레벨과 관련된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4)은 제어 신호(C(x, y, z))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감지 레벨(normal 입력)로 우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내비키(210)를 선택하면 리모콘(104)은 좌표(x, y, z1)를 가지는 제어 신호(C1)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더 강한 세기로 내비키(210)를 누르면, 예를 들어 제 2 감지 레벨(force 입력)로 내비키(210)를 선택하면 리모콘(104)은 좌표(x, y, z2)를 가지는 제어 신호(C2)를 이미지 처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른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동일한 제어 신호라고 하더라도 식별된 컨텐츠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라이브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결정키(212) 입력이 있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normal 입력이면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예를 들어, 방송 시간 등) 또는 인접 채널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정보를 출력한다.
반면, 라이브 프로그램 시청 중 결정키(212)에 대해 force 입력이 있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라이브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표, 인기 프로그램 리스트, 선호 채널 리스트 또는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와 같은 라이브 프로그램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성표, 인기 채널 리스트, 선호 채널 리스트 및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의 출력은 리모콘에 구비된 기능키(214) 선택 또는 홈 메뉴에서 하위 뎁스로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force 입력을 통해 결정키(212)를 통해서도 기능키(214)의 입력과 동일한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적은 수의 키가 제공되더라도 원하는 서비스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force 입력은 결정키(212)에 기능키(214)의 속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결정키(212)에 설정된 복수의 감지 레벨 각각에 따라 편성표, 인기 채널 리스트, 선호 채널 리스트 및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한 키에 가해진 세기에 따라 제1 내지 제4 감지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결정키(212)를 제1 감지 레벨에 상응하는 세기(또는 면적)으로 누르면 normal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 감지 레벨에 상응하는 세기로 누르는 경우, 편성표가 출력되고, 제3 감지 레벨인 경우에는 인기 채널 리스트, 제4 감지 레벨인 경우에는 선호 채널 리스트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force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라이브 프로그램 시청 중 제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force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2 감지 레벨에 따른 입력 시 수행되는 편성표 아이콘(400)을 소정 시간 동안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사용자의 force 입력 시 화면상에 force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라이브 프로그램 시청 중 제3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force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3 감지 레벨에 따른 입력 시 수행되는 인기 채널 리스트 아이콘(402)을 소정 시간 동안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라이브 프로그램 시청 중 제4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force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2 감지 레벨에 따른 입력 시 수행되는 선호 채널 리스트 아이콘을 소정 시간 동안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키에 대해 normal 입력 및 하나의 force 입력에 상응하는 감지 레벨(즉, 2개의 감지 레벨)만이 설정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결정키(212)의 force 입력만으로 복수의 서비스 중 하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rce 입력이 인식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화면에 사용자가 force 입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500)와 편성표 아이콘(502), 인기 채널 리스트 아이콘(504), 선호 채널 리스트 아이콘(506) 및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 아이콘(508)을 이미지(50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내비키(210)를 통해 하나의 방향에 상응하는 키 입력(예를 들어, normal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실행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force 입력 자체 또는 force 입력 및 normal 입력의 조합으로 리모콘(104)에 적은 개수의 키가 구비되더라도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주문형 프로그램(VOD) 서비스 이용 중 결정키(212)의 force 입력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리스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결정키(212)의 normal 입력은 현재 커서가 위치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된 프로그램의 선택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상기한 상태에서 결정키(212)의 force 입력이 있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커서가 위치한 프로그램에 대한 PIP(Picture in Picture)를 출력한다.
또한, 주문형 프로그램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결정키(212)는 재생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데 주고 이용되나, 결정키(212)의 force 입력 시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현재 제공되는 주문형 프로그램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밖에,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결정키(212)의 force 입력 시 인기 VOD 리스트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의 VOD 리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동일한 결정키(212)의 force 입력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따라 서로 제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결정키(212)의 복수의 force 입력 중 하나 또는 단일 force 입력 후 내비키(210)의 normal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서비스로 접근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내비키(210) 중 하나의 force 입력이 내비키(210)를 기능키(214)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측의 내비키(210)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편성표를 출력하고, 좌측의 내비키(210)가 force 입력되면, 인기 채널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내비키(210)가 force 입력되면 선호 채널 리스트를 출력하고 하측의 내비키(210)가 force 입력되면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키(212) 뿐만 아니라, force 입력을 통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에 따라 내비키(210)에 기능키(214)의 속성이 부여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리모콘(104)은 키 선택 수단의 터치 면적, 터치 세기 등을 감지하여 감지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동작을 실행한다.
위에 설명하지 않았지만 키의 누름에 의한 감지 레벨은 세기 또는 면적이 기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을 때에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키 선택 수단의 터치에 해당하는 레벨이 기설정된 감지 레벨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벨은 상기 특정 레벨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레벨은 상기 특정 레벨들 중 상위 레벨 또는 하위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3차원 좌표(x, y, z)로만 좌표를 표시하였지만, 면적과 세기를 별개의 좌표로 부여하면 좌표는 4차원 좌표(x, y, z, 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감지 레벨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종래 리모콘과 비교하면, 종래에는 키의 normal 입력만이 존재하였으며, 따라서 하나의 키에 하나의 기능만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에는 무수히 많은 키들이 존재하여야만 하였으며, 그 결과 리모콘의 구조가 복잡하여지고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반면에, 본 발명의 리모콘(104)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도 제공하므로, 하나의 키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들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4)에는 최소한의 키만 존재하여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리모콘(104)의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신호 입력 인터페이스(600), 디먹스(602),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604), 제어부(606), 메모리(608) 및 제어 신호 수신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입력 인터페이스(600)는 압축된 방송신호(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프로그램)를 수신하는 튜너(tuner, 620), 수신된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제어부(606)의 제어 하에 추출하는 채널 디코더(channel decoder, 622)로 구성된다.
한편, 소정 프로토콜에 의해 압축표준에 의해 압축된(또는 인코딩된) 방송신호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복합 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디먹스(602)에 의해 추출 및 분리되어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604)로 보내진다.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604)는 각 신호에 대응되는 디코더, 구체적으로는 오디오 디코더(624), 비디오 디코더(626) 및 데이터 디코더(6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먹스(602)는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604) 중 오디오 디코더(624)로 전달하며, 오디오 디코더(624)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형태로 상기 신호를 사용자의 스피커로 전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비디오 신호는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604) 중 비디오 디코더(626)에 의해 디코딩된 후 TV와 같은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된다. 한편, 방송신호가 비디오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복합 신호일 경우, 데이터 신호는 디먹스(602)에 의해 추출 및 분류되어 데이터 디코더(628)로 전송되며, 데이터 디코더(628)는 압축된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그래픽 오버레이(Graphic Over Lay)에 의해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606)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그밖에 가상 머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프로세서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606)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 요청에 따라 튜너(620)가 요청된 채널로 동조하도록 하고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606)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메모리(608)는 제어부(606)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메모리(608)는 고정식 하드 드라이브나 착탈식 저장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저장 장치는 컴팩트 플래시 유닛, USB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8)는 각종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608)는 제어 신호 수신부(6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콘(104)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 정보 및 감지 레벨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606)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실행을 통해 현재 모드, 즉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식별된 컨텐츠와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키에 대해 복수의 감지 레벨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606)는 수신된 감지 레벨에 따라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인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force 입력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제어부(606)는 사용자의 키 입력이 normal 입력인지, 복수의 force 입력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터치는 키 선택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키 선택 수단의 근접 여부 판단, 터치 이후의 압력 판단을 위한 감지 레벨일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선택 수단의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개별 키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선택 수단(700)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레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감지 레벨 이하로 터치(normal 입력)하는 키 선택 수단(700)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레벨 및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터치(force 입력)하는 키 선택 수단(700)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의 개별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모든 키들에 감지 레벨들이 설정될 수도 있지만, 일부 키에는 하나의 감지 레벨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감지 레벨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감지 레벨은 키 선택 수단(700)으로 기설정 시간 이상 누른 경우에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컨텐츠를 전송하고(단계 800),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단계 802).
리모콘(104)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804).
리모콘(104)이 전송하는 제어 신호는 키 정보 및 선택한 키에 대한 감지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force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806).
단계 806에서,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어 신호가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 여부와 force 입력에 대한 감지 레벨이 복수로 설정된 경우, 복수의 force 입력 중 어느 force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force 입력인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식별한다(단계 808).
이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식별된 컨텐츠 및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810).
단계 810에서,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force 입력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일 키에 대해 복수의 force 입력이 가능한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현재 입력된 감지 레벨에 따라 실행될 기능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아이콘)를 소정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일 force 입력이 지원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force 입력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와 내비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콘을 상기한 식별 이미지에 인접하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2 : 이미지 처리 단말
104 : 리모콘 210 : 내비키
212 : 기능키 214 : 결정키

Claims (14)

  1. 컨텐츠를 출력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사용자가 상기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과 미리 설정된 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키 입력이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이 force 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수신 시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컨텐츠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및 주문형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이고,
    식별된 컨텐츠와 상기 force 입력의 조합을 통해 상기 키에 대한 normal 입력과 다른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키는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키 입력이 상기 force 입력인 경우. 상기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인지 주문형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종류의 프로그램을 탐색하기 위한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미리 설정된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로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키에 본래 부여된 속성이 아닌 다른 속성에 상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레벨은,
    상기 입력된 키의 본래 속성에 상응하는 동작 실행을 위한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1 감지 레벨, 상기 키의 본래 속성과 다른 속성의 동작 실행을 위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제어 신호에 상기 제2 감지 레벨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인지 주문형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 신호에 미리 설정된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이 포함되는 경우, 편성표, 인기 채널 리스트, 선호 채널 리스트 및 최근 시청 채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컨텐츠가 라이브 프로그램인지 주문형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컨텐츠가 주문형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어 신호에 미리 설정된 세기 또는 면적 이상의 감지 레벨이 포함되는 경우, VOD 리스트, 인기 VOD 리스트 및 선호 장르 VOD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키는 내비키 또는 결정키인,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면상에 force 입력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레벨은,
    상기 입력한 키의 본래 속성에 상응하는 동작 실행을 위한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1 감지 레벨, 상기 키의 본래 속성과 다른 속성의 동작 실행을 위한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 레벨은 복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 신호가 복수의 제2 감지 레벨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면상에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제2 감지 레벨에 상응하는 기능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키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입력된 키의 평면 좌표 및 상기 키의 입력 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셋탑박스인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13.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리모콘의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화면상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상기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과 미리 설정된 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키 입력이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키 입력이 force 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수신 시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및 주문형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이고,
    (e) 식별된 컨텐츠와 상기 force 입력의 조합을 통해 상기 키에 대한 normal 입력과 다른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키는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키 입력이 force 입력인 경우, 상기 컨텐츠가 방송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라이브 프로그램인지 주문형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식별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종류의 프로그램을 탐색하기 위한 리스트를 출력하는,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20160047579A 2016-04-19 2016-04-19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86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79A KR101886209B1 (ko) 2016-04-19 2016-04-19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5/255,050 US10097876B2 (en) 2016-04-19 2016-09-0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rvices
EP16204977.9A EP3236662A1 (en) 2016-04-19 2016-12-1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r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79A KR101886209B1 (ko) 2016-04-19 2016-04-19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491A KR20170119491A (ko) 2017-10-27
KR101886209B1 true KR101886209B1 (ko) 2018-08-08

Family

ID=5775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579A KR101886209B1 (ko) 2016-04-19 2016-04-19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97876B2 (ko)
EP (1) EP3236662A1 (ko)
KR (1) KR101886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37B1 (ko) * 2019-01-07 2021-09-29 (주) 헬로팩토리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
CN109889368B (zh) * 2019-01-07 2022-04-08 浙江工业大学 一种基于stm32控制器的gprs远程升级方法
CN111079529B (zh) * 2019-11-07 2022-05-20 广州方硅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868608B (zh) * 2019-11-28 2021-11-16 国家广播电视总局广播电视科学研究院 一种直播业务调度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182317B (zh) * 2019-12-13 2022-05-20 广州方硅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信息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D989744S1 (en) * 2021-02-04 2023-06-20 Pure-Development 1 B.V.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0857B1 (en) * 2000-06-09 2007-04-03 Scientific-Atlanta, Inc. Synchronized video-on-demand supplemental commentary
US7814174B2 (en) * 2000-10-20 2010-10-12 Jerding Dean F Adaptation to device-capability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US6704611B2 (en) * 2001-08-21 2004-03-09 Surf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gh milling
US7457582B2 (en) * 2003-08-29 2008-11-25 Access Co., Ltd. Broadcast program scene notification system
KR101690164B1 (ko) *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KR101162550B1 (ko) * 2006-11-01 2012-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00793072B1 (ko) * 2006-11-07 2008-01-10 주식회사 휴맥스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EP2073508B1 (en) * 2007-12-21 2010-05-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101467790B1 (ko) * 2008-09-08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JP4626701B2 (ja) * 2008-10-21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128704B1 (ko) * 2010-03-24 2012-03-23 글로벌테크링크(주) 터치 장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 장치
US9584867B2 (en) * 2010-06-28 2017-02-28 Vizio Inc Selecting remote services throug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110321090A1 (en) * 2010-06-28 2011-12-29 Vizio, Inc. Selecting television inputs throug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1763595B1 (ko) * 2010-11-16 201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1750542B1 (ko) * 2010-12-09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90866B1 (ko) * 2011-12-29 2019-06-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94905A (ko) * 2012-02-17 201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입체감 조정방법
US20130241854A1 (en) * 2012-03-06 2013-09-1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Image sharing system and user terminal for the system
KR101769353B1 (ko) * 2012-03-22 2017-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방송 스트림 송출 장치 및 방법, 및 증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113193A (ko) * 2012-04-05 2013-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EP2660998A3 (en) * 2012-05-04 2014-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device
KR20130126067A (ko) * 2012-05-10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52581A1 (en) * 2012-11-30 2014-06-05 Lenovo (Singapore) Pte. Ltd. Force as a device action modifier
US9182890B2 (en) * 2013-01-31 2015-11-10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100694A (ko) * 2013-02-07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주변장치 제어방법
EP3144780A1 (en) * 2013-06-11 2017-03-2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e-based haptic effects
US9696819B2 (en) * 2013-06-28 2017-07-0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 stylus having a multi-level force-sensitive user interface
KR20150054631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874051A1 (en) * 2013-11-14 2015-05-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634639B (zh) * 2013-11-29 2018-02-23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电视控制方法及电视遥控器
KR102254889B1 (ko) * 2013-12-24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5072B1 (ko) * 2014-01-03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40096A (ko) 2014-06-05 2015-12-15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센서 리모콘
US10070171B2 (en) * 2014-12-22 2018-09-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ser interface navigation assistanc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97876B2 (en) 2018-10-09
US20170302986A1 (en) 2017-10-19
EP3236662A1 (en) 2017-10-25
KR20170119491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209B1 (ko)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972267B2 (en) Controlling audio video display device (AVDD) tuning using channel name
KR101843592B1 (ko) 동적 ui 프레임워크를 통한 주 스크린 뷰 제어
US855871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adaptively change functionality of a remote control device to execute the script on a client program for reprogramming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KR1024243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528012B2 (en) Interactiv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118647B1 (en) Video device and remote control function for the video device
US8542320B2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KR201501044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CN113259741B (zh) 一种剧集经典看点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2011007297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33790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690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set-top box capabilities
KR101853961B1 (ko) 포스 입력의 식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821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774812B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sensing levels of a key in a remote controller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4221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1007254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osd 표시 방법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30088676A (ko) 재생 장치 및,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113883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메뉴 제공 방법
KR20080080065A (ko) 아이피티브이 메뉴선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