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422A -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422A
KR20150104422A KR1020140026141A KR20140026141A KR20150104422A KR 20150104422 A KR20150104422 A KR 20150104422A KR 1020140026141 A KR1020140026141 A KR 1020140026141A KR 20140026141 A KR20140026141 A KR 20140026141A KR 20150104422 A KR20150104422 A KR 2015010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content
information
ev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423B1 (ko
Inventor
장재석
정태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423B1/ko
Priority to US14/571,478 priority patent/US9704016B2/en
Priority to EP15151343.9A priority patent/EP2916554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422A/ko
Priority to US15/632,552 priority patent/US103754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신호처리부,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2 핑거프린트 및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니즈가 점차 다양해지면서, 방송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출처가 공중파 위주의 단일 소스에서, 케이블, IPTV(Internet Protocol TV), Vod(Video On Demand) 등의 다양한 소스들로 변화되고 있다. 일 예로, 맞춤형 광고나 프로그램 추천 등의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소스들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면에 맞게 적절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가령, 특정 제품에 대한 광고 메시지는 해당 제품이 노출되는 장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장치에서는 이벤트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엔 시청되고 있는 컨텐츠에서 추출한 핑거프린트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컨텐츠의 식별 정보와, 이벤트 정보가 출력될 미디어 타임(media time)을 TV로 전송하였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현재 식별된 컨텐츠 파트로부터 몇 초 후에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지를 미디어 타임을 이용해 TV에게 알려주었다.
따라서 종래엔 TV와 서버 간의 통신 환경으로 인한 타임 딜레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컨텐츠 정지 및 되감기 조작 등이 이루어지면, 서버로부터 새로운 미디어 타임을 받아오기 전까지는 전혀 다른 미디어 타임으로 인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벤트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매 파트 별로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가 있으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대신 상기 EPG정보에 의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또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에지 정보,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자막 정보, 로고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주파수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오디오 신호 피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쇼핑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채널 추천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방송 예정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의견 수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는 제1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제2 이벤트,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가 변경되는 제3 이벤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제4 이벤트,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핑거프린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제5 이벤트 및 상기 컨텐츠가 종료하는 제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를 포함한 핑거프린트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핑거 프린트가 복수 개이면,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EPG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가 복수 개이고, 복수의 상기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가 수신되면,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매 파트 별로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EPG 정보가 없으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EPG 정보가 있으면,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상기 EPG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대신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또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에지 정보,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자막 정보, 로고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주파수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오디오 신호 피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쇼핑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채널 추천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방송 예정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의견 수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는 제1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제2 이벤트,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가 변경되는 제3 이벤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제4 이벤트,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핑거프린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제5 이벤트 및 상기 컨텐츠가 종료하는 제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서버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보고자하는 컨텐츠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신호 처리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핑거프린트(fingerprint)를 추출할 수 있다.
핑거프린트란, 오디오 신호,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메타 데이터와는 달리, 신호 자체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핑거프린트를 지문 데이터, DNA 데이터 또는 유전자 데이터라고도 한다. 예컨대 오디오 신호인 경우, 핑거프린트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진폭 등의 특징 데이터이거나, 이미지나 비디오 신호인 경우,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프레임의 모션 벡터, 색상 정보 등의 특징 데이터이다.
서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00) 장치와 인터넷, 케이블 또는 위성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서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서버 매칭을 수행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를 인식하며,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의 어느 파트가 시청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시청되고 있는 컨텐츠 파트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가 있는 경우, 서버 장치(200)는 그 서비스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이벤트 정보가 표시될 컨텐츠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도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핑거프린트와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는 컨텐츠 각 파트의 핑거프린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로컬 매칭을 수행하여, 일치되는 핑거 프린트가 검출되는 시점에 이벤트 정보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 의하면,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로컬 매칭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에게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버 장치(200)에 이벤트 정보 요청이 주기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서버 장치(200) 간의 데이터 전송량이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츠의 출력 도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멈춤, 되돌리기, 빨리 감기 등의 동작이 수행되었을 때, 서버 장치(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일어나는 변수를 감지할 수 없다. 때문에 서버 매칭 방식만으론 실제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 파트를 인식하는데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나, 본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로컬 매칭 방식을 기본으로 하면서, 보충적으로 서버 매칭을 이용하는바, 위와 같은 오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서버 장치(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부(110) 신호처리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출력부(11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출력부(110)는 모니터, 스크린, 스피커, 빔 프로젝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출력부(110)에서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핑거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에지 정보,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자막 정보, 로고 정보,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주파수 정보,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오디오 신호 피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20)는 종래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신호처리부(120)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신간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시간 간격에 포함되는 주파수들의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 그리고 인접한 주파수 구간의 신호들 간의 크기 차를 구하여 주파수 기울기를 계산하고, 기울기가 양수인 경우 1로, 음수인 경우 0으로 양자화하여 핑거프린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20)는 비디오 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에지 정보, 모션 벡터, 색상 정보 등을 이용해 비디오 신호에 대한 핑거프린트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부(130)는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핑거프린트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서버 장치(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핑거프린트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서버 장치(200)로 전송되는 핑거프린트를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핑거프린트란, 제1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는 컨텐츠 파트에 후속하는 파트에서 제공될 서비스가 있는 경우, 그 서비스가 출력될 컨텐츠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이다.
또한, 통신부(130)는 출력될 이벤트 정보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및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가 리스트 형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어부(150)는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매 프레임마다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이벤트 발생의 경우에만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도록 신호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변경되는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이벤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가 변경되는 이벤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서버 장치(200)로부터 핑거프린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이벤트,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가 인식되는 이벤트 등이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도록 신호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가 인식되는 이벤트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를 검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가 종료된 이후엔 다음 컨텐츠까지 광고가 출력되는 것이 대부분인바, 제어부(150)는 새로운 컨텐츠가 출력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가 새로운 컨텐츠를 인식한 결과로서 제2 핑거프린트 및 이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면, 제어부(150)는 제1 핑거프린트 추출을 중단하고 제2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로컬 매칭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컨텐츠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가 있으면, 제1 핑거프린트 대신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EPG란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며, 방송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EPG정보를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TV 채널 가이드 목록 형태로 보여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매 파트 별로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도록 신호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파트란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프레임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위와 같이 추출된 핑거프린트와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2 핑거프린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로컬매칭을 수행하여, 제2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 컨텐츠 파트에서,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는 컨텐츠의 특정 파트와 관련된 쇼핑 정보와 같은 광고 목적의 정보, 출력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 채널에 대한 추천 정보 또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입력받기 위한 의견 수렴 정보 등일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하단의 팝업 형식으로 출력되거나, 컨텐츠에 따라 화면상에서 표시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 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UI 화면을 통해 서비스 실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출력이 완료된 이벤트 정보 및 그 이벤트 정보에 매칭된 제2 핑거프린트를 삭제하도록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저장부(150)의 저장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가 포함된 리스트가 수신된 경우, 리스트에는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에 대응하는 핑거프린트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 마지막 파트에 대응하는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부(110)에서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가 출력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다시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서버 장치(200)로 하여금 서버 매칭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컨텐츠의 재생중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벤트 정보 요청을 위하여 서버 장치(200)에 지속적인 쿼리(query)를 보내지 않아도 되며, 컨텐츠가 변경되거나 종료되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만 쿼리를 보내도 되므로, 데이터 전송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청하는 컨텐츠 파트 식별을 위해, 미리 전송받은 정보를 기초로 로컬 매칭을 수행하므로, 컨텐츠의 재생 중 정지, 스킵, 되감기, 빨리 감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변수에 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서버 매칭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차가 줄어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추출된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핑거프린트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서버 장치(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핑거프린트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서버 장치(200)로 전송되는 핑거프린트를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핑거프린트란, 제1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는 컨텐츠 파트에 후속하는 파트에서 제공될 서비스가 있는 경우, 그 서비스가 출력될 컨텐츠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이다.
또한, 통신부(210)는 특정 컨텐츠에서 제공될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및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는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에 대응되는 핑거프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20)는 컨텐츠 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핑거프린트들을 저장하며, 이 중 일부 핑거프린트들은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핑거프린트와 핑거프린트에 매칭된 이벤트 정보를 컨텐츠를 제공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서버 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추출된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가 수신되면, 서버 매칭을 개시한다. 서버 매칭을 통해 그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핑거프린트 데이터 베이스 내에 제1 핑거프린트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 파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 파트에 후속하는 파트들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이벤트 정보만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핑거프린트(제2 핑거프린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벤트 정보는 컨텐츠의 특정 파트와 관련된 쇼핑 정보와 같은 광고 목적의 정보, 출력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 채널에 대한 추천 정보 또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입력받기 위한 의견 수렴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EPG 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수신된 컨텐츠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이벤트 정보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및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된 이벤트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고, 이 리스트에는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에 대응하는 핑거프린트도 함께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리스트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의 출력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 후 새롭게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새로운 제1 핑거프린트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제1 핑거프린트를 수신한 서버 장치(200)는, 서버 매칭을 다시 개시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서버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모든 이벤트 정보를 핑거프린트와 함께 전송해주고 나면, 새로운 컨텐츠의 출력이 인식되기 전까진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데이터 전송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가 이벤트가 출력될 컨텐츠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해주고 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로컬 매칭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주고 받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출력 시간 지연 문제가 발생될 염려가 적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입력소스를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이때, 다양한 입력소스에는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뿐 아니라 IPTV, VOD와 같은 입력 소스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한다(S410).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S420). 예를 들어 제1 핑거프린트는, 컨텐츠가 변경되는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이벤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가 변경되는 이벤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서버 장치(200)로부터 핑거프린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이벤트 및 컨텐츠가 종료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S430).
이벤트 정보 및 제2 핑거프린트를 수신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이벤트 정보를 출력한다(S440).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및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를 매 파트 별로 분석하여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가 검출될 때마다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 제1 컨텐츠 파트(10)에 대응되는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
추출된 제1 핑거프린트는 서버 장치(200)로 전송되고, 서버 장치(200)에는 복수의 컨텐츠 파트(20, 21, 22, 23)에 대한 핑거프린트 데이터 베이스(510)가 저장되어 있다.
서버 장치(200)는 핑거프린트 데이터 베이스(510)를 조회하여 제1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21)를 검출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 파트를 인식하고, 후속하는 컨텐츠 파트에서 출력될 이벤트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출력될 이벤트 정보가 있는 경우, 서버 장치(200)는 이벤트 정보에 매칭된 컨텐츠 파트(23)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를 결정한다. 이후 서버 장치(200)는 제2 핑거프린트와 이벤트 정보(3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30)의 출력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핑거프린트 및 이벤트 정보(30)를 수신하여, 제2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될 때, 이벤트 정보(30)를 함께 출력한다. 이때 이벤트 정보(3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UI화면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 정보(30)는, 해당하는 컨텐츠 파트가 지나간 이후에도 얼마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될지를 결정하는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력된 이벤트 정보에 응답하거나, 이벤트 정보(30)를 더 이상 제공받고 싶지 않은 경우, 삭제 버튼(31)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동안,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 서버 장치(200)로 제1 핑거 프린트를 전송한다(S710).
그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에 관련한 복수의 이벤트 정보 및 복수의 이벤트 정보와 매칭된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를 수신한다(S7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되는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7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거나, 컨텐츠가 입력되는 소스가 변경되었는지를 인식하여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변경되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변경된 컨텐츠에 대하여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컨텐츠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변경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도 함께 전송받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가 현재 출력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의 마지막 파트에 대한 핑거프린트는 이벤트 정보 및 제2 핑거프린트와 함께 리스트 형태로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로컬 매칭을 수행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핑거프린트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5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의 매 파트마다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제2 핑거프린트와 비교한다.
제2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 핑거프린트가 추출되면, 해당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고, 동시에 이벤트 정보는 저장부(140)에서 삭제한다(S76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나머지 제2 핑거프린트들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160), 입력 포트(170), 신호 처리부(120), 출력부(11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튜너부(160)는 제어부(150)의 튜닝 제어 신호에 따라 위성 수신 안테나, 지상파 수신 안테나, 케이블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방송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입력 포트(170)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포트는 USB 포트, 셋탑박스 포트, DVD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20)는 디멀티플렉서(121), 오디오 처리부(122), 비디오 처리부(123) 및 부가 데이터 처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121)는 튜너부(160) 또는 입력포트(170)를 통해 출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오디오 처리부(122), 비디오 처리부(123) 또는 부가 데이터 처리부(124)로 제공한다.
부가 데이터 처리부(124)는 컨텐츠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및 자막과 같은 부가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디멀티플렉서(121)에 의해서 분리된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자막 등을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에 부가할 수도 있다.
비디오 처리부(122)는 디멀티플렉서(121)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스플레이부(111)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을 갖도록 신호처리한다. 또한, 비디오 처리부(122)는 서버 장치(200)에서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 처리부(122)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특징 정보인 핑거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비디오처리부(122)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23)는 디멀티플렉서(121)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스피커부(112)의 출력 규격에 맞도록 신호처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23)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특징 정보인 핑거프린트를 추출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인터넷을 통해 방송서버나 서버 장치(200)와 통신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즉,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서비스를 요청하여, 외부에서 전송되는 서비스를 수신한다.
명령입력부(180)는 사용자명령을 입력받는 각종 키를 포함하며,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한다. 혹은, 명령입력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1)와 결합되어 터치패널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명령입력부(18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명령은 대응되는 키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에 전달된다.
저장부(1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추출된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의 핑거프린트 및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핑거프린트 및 이벤트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추출된 핑거프린트와 서버 장치(200)에서 수신한 핑거프린트를 비교 분석하는 분석 모듈(141) 및 서버 장치(200)에서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고 이벤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모듈(142)을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 특정 이벤트 발생시 신호처리부(120)에서 추출된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컨텐츠에 포함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하고, 컨텐츠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전송한 제1 핑거프린트 또는 컨텐츠 인식 정보에 대한 응답을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핑거프린트를,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매 파트별 핑거프린트와 비교하여, 비교결과 일치할 때 해당 핑거프린트에 매칭된 이벤트 정보를 출력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컨텐츠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등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기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나 안경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서버 장치
120: 신호처리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가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매 파트 별로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가 있으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대신 상기 EPG정보에 의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또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에지 정보,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자막 정보, 로고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주파수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오디오 신호 피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쇼핑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채널 추천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방송 예정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의견 수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는 제1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제2 이벤트,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가 변경되는 제3 이벤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제4 이벤트,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핑거프린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제5 이벤트 및 상기 컨텐츠가 종료하는 제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서버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를 포함한 핑거프린트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핑거 프린트가 복수 개이면,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EPG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컨텐츠 파트가 출력되는 타이밍에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가 복수 개이고, 복수의 상기 제2 핑거프린트 각각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에 대한 리스트가 수신되면,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를 매 파트 별로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핑거프린트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EPG 정보가 없으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EPG 정보가 있으면,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상기 EPG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대신 상기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2 핑거프린트 및 상기 제2 핑거프린트에 매칭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프린트 또는 상기 제2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에지 정보, 상기 비디오 프레임 내에 포함된 자막 정보, 로고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주파수 정보, 상기 오디오 신호 내의 특정 구간의 오디오 신호 피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쇼핑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채널 추천 정보,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방송 예정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의견 수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는 제1 이벤트, 기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는 제2 이벤트,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가 변경되는 제3 이벤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제4 이벤트,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핑거프린트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제5 이벤트 및 상기 컨텐츠가 종료하는 제6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KR1020140026141A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KR10216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41A KR102166423B1 (ko)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US14/571,478 US9704016B2 (en) 2014-03-05 2014-12-16 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EP15151343.9A EP2916554A1 (en) 2014-03-05 2015-01-15 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US15/632,552 US10375440B2 (en) 2014-03-05 2017-06-26 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41A KR102166423B1 (ko)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422A true KR20150104422A (ko) 2015-09-15
KR102166423B1 KR102166423B1 (ko) 2020-10-15

Family

ID=5247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141A KR102166423B1 (ko) 2014-03-05 2014-03-05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704016B2 (ko)
EP (1) EP2916554A1 (ko)
KR (1) KR1021664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394A1 (ko) * 2015-10-14 2017-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099444A1 (en) * 2015-12-10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processing method thereof,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80105749A (ko) * 2016-02-29 2018-09-28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매칭 검출 및 단일 매칭 기반의 명확화를 통한 미디어 채널 식별
WO2020106056A1 (ko) * 2018-11-20 2020-05-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50374A1 (en) * 2019-09-13 2021-03-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uniting metadata with media-stream content at a media client, to facilitate action by the media cl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23B1 (ko) * 2014-03-05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KR102560635B1 (ko) * 2015-12-28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924222B2 (en) 2016-02-29 2018-03-20 Gracenote, Inc. Media channel identification with multi-match detection and disambiguation based on location
US9930406B2 (en) 2016-02-29 2018-03-27 Gracenote, Inc. Media channel identification with video multi-match detection and disambiguation based on audio fingerprint
GB201617409D0 (en) 2016-10-13 2016-11-30 Asi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acoustic communication of data
GB201617408D0 (en) 2016-10-13 2016-11-30 Asi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acoustic communication of data
WO2018117619A1 (en) 2016-12-21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tent recogniz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GB201704636D0 (en) 2017-03-23 2017-05-10 Asi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device
GB2565751B (en) * 2017-06-15 2022-05-04 Sonos Experience Ltd A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events
GB2570634A (en) 2017-12-20 2019-08-07 Asi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acoustic transmission of data
KR102546026B1 (ko) 2018-05-21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KR102599951B1 (ko) 2018-06-25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80387A (ko) 2018-12-18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95554B2 (en) * 2019-03-25 2021-12-07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ized content
US11082757B2 (en) 2019-03-25 2021-08-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ized content
US11256863B2 (en) 2019-07-19 2022-02-2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ntent for a screenplay
KR20210051048A (ko) *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04827B2 (en) 2020-02-21 2023-03-1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improved content based on matching mappings
CN111428078B (zh) * 2020-03-20 2023-05-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音频指纹编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575963B2 (en) 2020-04-08 2023-02-07 Roku, Inc. Content-modification system with feature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content modification by a tuner device
US11988784B2 (en) 2020-08-31 2024-05-21 Sonos, Inc. Detecting an audio signal with a microphone to determine presence of a playback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82A1 (ko) * 2012-02-10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4451B2 (en) * 2004-11-02 2009-08-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eeding up database lookups for multiple synchronized data streams
US20060179453A1 (en) * 2005-02-07 2006-08-10 Microsoft Corporation Image and other analysis for contextual ads
US8589984B1 (en) * 2006-02-22 2013-11-19 Jpmorgan Chase Bank, N.A. In-show product advertisement and purchase system
US7739596B2 (en) * 2007-04-06 2010-06-1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with media
WO2009143668A1 (en) * 2008-05-26 2009-12-03 Yuvad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viewing activities of television signals
KR20100095924A (ko) * 2009-02-23 2010-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의 상황정보를 반영한 광고 키워드 추출 방법 및 장치
US20100262488A1 (en) * 2009-04-08 2010-10-14 Google Inc. Policy-based media syndication and monetization
US8769584B2 (en) * 2009-05-29 2014-07-01 TVI Interactive Systems, Inc. Method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targeted content on a connected television
US8763067B2 (en) * 2009-12-18 2014-06-24 Samir ABE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closed captions in real time or near real-time and tagging of streaming data for advertisements
US9508011B2 (en) * 2010-05-10 2016-11-29 Videosurf, Inc. Video visual and audio query
KR101310943B1 (ko) 2011-09-26 2013-09-23 (주)엔써즈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연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118951B2 (en) 2012-06-26 2015-08-25 Arris Technology, Inc. Time-synchronizing a parallel feed of secondary content with primary media content
CN104471951B (zh) 2012-07-16 2018-02-23 Lg电子株式会社 处理数字服务信号的方法及装置
KR101369475B1 (ko) * 2013-01-23 2014-03-06 (주)엔써즈 방송 시청률 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423B1 (ko) * 2014-03-05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82A1 (ko) * 2012-02-10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394A1 (ko) * 2015-10-14 2017-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43944A (ko) * 2015-10-14 2017-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616595B2 (en) 2015-10-14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7099444A1 (en) * 2015-12-10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processing method thereof,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10142679B2 (en) 2015-12-10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processing method thereof,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80105749A (ko) * 2016-02-29 2018-09-28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매칭 검출 및 단일 매칭 기반의 명확화를 통한 미디어 채널 식별
KR20190073603A (ko) * 2016-02-29 2019-06-26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매칭 검출 및 단일 매칭 기반의 명확화를 통한 미디어 채널 식별
KR20200084065A (ko) * 2016-02-29 2020-07-09 그레이스노트,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매칭 검출 및 단일 매칭 기반의 명확화를 통한 미디어 채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US11627372B2 (en) 2016-02-29 2023-04-11 Roku, Inc. Media channel identification with multi-match detection and disambiguation based on single-match
WO2020106056A1 (ko) * 2018-11-20 2020-05-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722708B2 (en) 2018-11-20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1050374A1 (en) * 2019-09-13 2021-03-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uniting metadata with media-stream content at a media client, to facilitate action by the media cl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5400A1 (en) 2017-10-12
US10375440B2 (en) 2019-08-06
EP2916554A1 (en) 2015-09-09
US9704016B2 (en) 2017-07-11
US20150254497A1 (en) 2015-09-10
KR102166423B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440B2 (en) 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KR20150107464A (ko)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이벤트 제공 방법
EP291655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63545A1 (en) Identification of video content segments based on signature analysis of the video content
KR101313293B1 (ko) 방송콘텐츠의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78285B2 (en) Computing system with channel-change-based trigger feature
US20150256905A1 (en) Server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finger print thereof,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1886209B1 (ko)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1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JP706578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07278B2 (en) Customer voting on timeslots for shows
KR101143942B1 (ko) 방송사업자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03046B1 (ko) 특정 채널을 이용한 방송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84276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을 제어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20130227602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er
KR2016014422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941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107816A (ko) 방송 단말, 연관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