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766A -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766A
KR20070093766A KR1020060024114A KR20060024114A KR20070093766A KR 20070093766 A KR20070093766 A KR 20070093766A KR 1020060024114 A KR1020060024114 A KR 1020060024114A KR 20060024114 A KR20060024114 A KR 20060024114A KR 20070093766 A KR20070093766 A KR 20070093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semble
service
information
user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826B1 (ko
Inventor
고우석
전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8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저가 선택하는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가 어떤 앙상블에 속하는가에 대한 제한 조건 없이, 두개 이상의 다중 서비스를 동시에 수신하여 유저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저는 앙상블에 관계없이 다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정보만을 복조하여 복호화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크기를 줄이고, 사용 소모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동, 전력, 앙상블, 서비스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Broadcasting receiver and processing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신호 결합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신호 수신부 201 : 안테나
202 : 튜너 203 : 자동 이득 제어기
204 : A/D 변환기
210,220 : 앙상블 처리부 211,221 : BPF
212,222 : DAGC 213,223 : I/Q 분리기
214,224 : 모드 검출부 215,225 : 신호 동기부
230,240 : 서비스 처리부
231,241 : OFDM 복조기 232,242 : 주파수 역 인터리버
233,243 : 차등 복호화기 234,244 : 블록 결합기
250 :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 260,270 : FIC 처리부
280 : MSC 처리부 290 : 전원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등 기존 매체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방송 산업의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새롭게 등장한 매체가 이동형 방송 수신기이다.
상기 이동형 방송 수신기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일 예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디어 플로우 등의 단말기가 있다. 상기 이동형 방송 수신기는 핸드폰이나 PDA, 노트북 컴퓨터, 차량용 단말기 등 개인 휴대형 단말기에 방송 수신 기능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동 중이나 고정된 장소에서 유저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한다.
특히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은 듣는 방송에서 보고 듣는 방송으로 진화하였다. 상기 지상파 DMB는 유럽의 지상파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된 Eureka-147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에 기반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방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된 것은, 전송 채널상 발생할 수 있는 연집 에러(Burst Error)에 강인한 RS 코드(Reed-Solomon Code)와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이다. 추가된 상기 두 블록은 송신기에서 DAB 앙상블(Ensemble) 입력 신호에 대해 적용하며, 이동 수신환경에서도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할 만큼 충분히 낮은 에러율을 제공한다.
또한 DMB 방송의 전송채널은 무선 이동수신 채널로서, 수신신호의 크기(Amplitude)가 시변(Time-Varying)할 뿐만 아니라, 이동 수신기의 영향으로 수신신호 스펙트럼(Spectrum)의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DMB 송신 방식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OFDM)에 기반한 차 부호화(Differential Coding)를 이용한다. 즉, 상기 OFDM 방식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데이터를 여러 협대역 캐리어(Carrier)에 변조한 후 이들을 합해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때 동시에 보내지는 한 무리의 신호를 OFDM 심볼(Symbol)이라 하며 OFDM 변/복조는 OFDM 심볼을 단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 부호화는 OFDM의 각 협대역 캐리어에 데이터를 부호화할 때 직전 OFDM 심볼의 해당 협대역 캐리어와 현재 OFDM 심볼의 해당 협대역 캐리어의 위상 차를 부호화하는 방법이다.
이때, DMB 송신신호는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 신호에 비해 매우 작은 신호 세기로 전송되며, 도심과 같은 심한 페이딩(Fading) 채널 환경에서 자동차에 서와 같은 이동수신을 고려하면, 실제 수신신호의 신호세기는 매우 작다. 따라서 DMB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는 이러한 열악한 수신환경에서 최대한 수신신호를 받아들여, 전송에러를 보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동수신 단말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제한된 비용을 들여서 최대의 수신성능을 내는 것이 방송 수신기 구성의 핵심 요건이 된다.
이러한 DMB에서는 하나의 물리적 채널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앙상블(Ensemble)을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앙상블 구조에 대한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하나의 앙상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service)로 구성되고, 각 서비스는 다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콤포넌트(Service components)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는 TV나 라디오의 1개 채널에 해당한다. 상기 서비스 콤포넌트는 방송을 구성하는 영상, 음성, 교통정보, 혹은 방송 서비스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콤포넌트로 올 수 있는 것은 MSC(Main Service Channel)의 각 서브 채널과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이다.
그리고 상기 앙상블에 다중화되어 있는 서비스와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콤포넌트가 무엇인지, 서비스 콤포넌트는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로서, 다중화 배열 정보(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 MCI)가 있다. 상기 MCI는 DMB 전송 프레임 내 FIC(Fast Information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즉, 상기 DMB 전송 프레임은 동기화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과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및 MSC(Main Service Channel)로 구성된다.
상기 동기화 채널은 DMB 수신기가 프레임의 초기임을 인식하도록 정해진 일정한 형태를 갖으며, 널(Null) 심볼과 위상 기준 심볼(Phase Reference Symbol ; PRS)이 할당된다.
상기 FIC는 방송 서비스 수신을 위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MCI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 SI),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및 CA(Conditional Access)로 구성된다.
상기 MSC는 하나 이상의 CIF(Common Interleaved Frame)로 구성되며,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의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상기 FIC에는 MSC내의 CIF에 실려오는 데이터들의 구조를 알려주는 정보가 들어있고, 각 CIF에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실제 데이터들이 들어있다. 그리고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 따라서 FIC에 실리는 FIB(Fast Information Blocks)의 수와 MSC에 실리는 CIF의 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전송 모드 I의 경우, FIC는 12개의 FIB로 구성되며, MSC는 4개의 CIF로 구성된다.
즉 송신측에서 각각의 서비스 요소(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서비스)는 개별적으로 오류 방지를 위해 부호화된 후 시간 영역에서 인터리빙되고, 시간 영역에서 인터리빙된 각각의 서비스 신호들은 다중화되어 데이터 채널인 MSC로 합쳐진다. 그리고 다중화된 신호는 제어 채널인 FIC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MCI와 SI와 함께 주파수 영역에서 인터리빙된다. 이때 FIC로 전송되는 정보는 시간 지연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 영역 인터리빙은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주파수 인터리빙된 비트열 은 DQPSK(Differential Quaternary Phase Shift Keying) 심볼로 매핑된 후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을 통해 OFDM 심볼이 된다. 상기 OFDM 심볼은 RF 신호로 변조되어 전송된다.
이러한 DMB를 수신하기 위한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하나의 앙상블 내에 여러 개의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에는 여러 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방송 수신기는 하나의 앙상블 내에 있는 여러 개의 서비스 지원만 가능할 뿐, 유저가 원하는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가 서로 다른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앙상블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데,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복호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 내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적어도 복수의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한 후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별로 해당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 및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에서 분리된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은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심볼들,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 내 심볼들, 그리고 상기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심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는 적어도 복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복조된 경우,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는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할 때 각 서비스의 앙상블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는, 하나의 튜너로 적어도 복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하여 각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별로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 리한 후 각 앙상블의 데이터 정보를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하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 및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에서 분리된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는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복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한 후 자동 이득 제어 및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해당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해당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는 적어도 복수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상기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와 복호화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는,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로 동일한 앙상블을 각각 수신하고, 각 튜너별로 상기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를 수행한 후 신호 결합하여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해당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 및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에서 분리된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기에서 이동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a) 유저에 의해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들이 포함되는 앙상블들을 동시에 튜닝하여 디지털화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 및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기에서 이동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a)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로 동일한 앙상블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b) 각 튜너별로 수신된 상기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를 수행한 후 신호 결합하여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 및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 비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FIC(Fast Information Channel) 정보이고, 데이터 정보는 MSC(Main Service Channe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을 동시에 수신하여 각 앙상블 내 서비스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를 제1,제2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DMB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를 하나의 실시예로 나타 내고 있다.
도 2의 방송 수신기는 신호 수신부, 앙상블 처리부, 및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동시에 수신을 원하는 앙상블의 수만큼 상기 앙상블 처리부와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는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하나의 튜너로 튜닝한 후 디지털화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이 두 개의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두 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튜너로 동시에 튜닝하여 디지털화한다.
상기 하나의 앙상블 처리부는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자동 이득 제어 및 동기 복원을 수행한 후 OFDM 심볼 형태로 출력한다.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해당 앙상블 처리부의 출력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에 대해서만 OFDM 복조, 주파수 역 인터리빙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앙상블 처리부와 두 개의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상측의 앙상블 처리부를 제1 앙상블 처리부(210), 하측의 앙상블 처리부를 제2 앙상블 처리부(220)라 한다. 또한 상측의 서비스 처리부를 제1 서비스 처리부(230), 하측의 서비스 처리부를 제2 서비스 처리부(240)라 한다.
상기 신호 수신부(200)는 안테나(201), 튜너(202), 자동 이득 제어기 (AGC)(203), 및 아날로그/디지털(Analog/Digital ; A/D) 변환기(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튜너(202)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를 포함하는 앙상블을 적어도 복수개 이상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제1 앙상블 처리부(210)는 필터(211),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기(DAGC)(212), I/Q 분배기(213), 모드 검출부(214), 및 신호 동기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앙상블 처리부(220)도 필터(221), 디지털 자동 이득 제어기(DAGC)(222), I/Q 분배기(223), 모드 검출부(224), 및 신호 동기부(2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제2 필터(211,221)는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 BPF)로 구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230)는 OFDM 복조기(231), 주파수 역 인터리버(232), 차등 복호화기(233), 및 블록 결합기(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서비스 처리부(230)도 OFDM 복조기(241), 주파수 역 인터리버(242), 차등 복호화기(243), 및 블록 결합기(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의 방송 수신기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 제1 FIC 처리부(260), 제2 FIC 처리부(270), MSC 처리부(280), 및 전원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FIC 처리부(260)는 제1 앙상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IC를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길쌈 복호화기(261),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262), FIC 복호화 기(263), 및 FIC 데이터 복호화기(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FIC 처리부(270)는 제2 앙상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IC를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길쌈 복호화기(271),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272), FIC 복호화기(273), 및 FIC 데이터 복호화기(2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SC 처리부(280)는 시간 역 인터리버(281), 길쌈 복호화기(282),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283), 채널 분배기(284), 오디오/데이터 복호화기(285), 길쌈 역 인터리버(286), 리드 솔로몬(RS) 복호화기(287), 및 비디오 복호화기(2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저가 선택한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가 두 개의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 수신부(200)의 튜너(202)는 안테나(20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들 중 유저가 선택한 두 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튜닝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의 통과대역(Pass-band) 신호로 변환한 후 AGC(203)로 출력한다. 상기 AGC(203)는 상기 IF 신호의 A/D 변환을 위해 기준 신호 크기에 따라 계산된 이득값을 상기 IF 신호에 곱하여 상기 IF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 후 A/D 변환기(204)로 출력한다.
상기 A/D 변환기(204)는 수신된 신호의 크기에 무관하게 상기 이득 조정된 IF 신호에 대해 표본화(Sampling)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앙상블 처리부(210)는 유저가 선택한 두 개의 앙상블 중 하나의 앙 상블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분리하여 자동 이득 제어 및 동기 복원을 수행하고, 제2 앙상블 처리부(220)는 다른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분리하여 자동 이득 제어 및 동기 복원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에서는 상기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에서 각각 동기 복원된 해당 앙상블의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만을 선택하여 OFDM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앙상블 처리부(2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2 앙상블 처리부(220)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2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2 서비스 처리부(240)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제1 앙상블 처리부(210) 내 대역 통과 필터(211)는 상기 A/D 변환기(20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제1 앙상블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DAGC(212)로 출력한다. 상기 DAGC(212)는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제1 앙상블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의 이득을 디지털 영역에서 재조정한 후 I/Q 분배기(21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신호 수신부(200)의 AGC(203)는 아날로그 영역에서 입력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DAGC(212)는 디지털 영역에서 입력 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즉, 상기 AGC(203)는 두 개의 앙상블 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신호의 크기를 A/D 변환기(204)의 디지털화에 필요한 신호의 크기로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가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의 BPF(211,221)를 통과하게 되면 각 BPF(211,221)의 출력 신호는 크기가 작아질 뿐 아니라, 전송 채널의 특성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 내 각 I/Q 분배기(213,223) 이후의 처리 성능을 열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최선의 수신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각 BPF(211,221)의 출력 신호 크기를 후단의 처리에 적합한 기준 레벨의 크기로 재조정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 BPF(211,221)의 출력단에는 각각 DAGC(212,222)가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 영역에서 입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해 준다.
상기 DAGC(212)의 출력은 상기 I/Q 분배기(213)로 입력되고, 상기 I/Q 분배기(213)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실수 성분(Inphase component ; I)만을 가지므로 이 디지털 신호를 허수 성분(Quadrature component ; Q)도 가지는 복소 성분의 신호로 변환하여 모드 검출부(214), 신호 동기부(215)로 출력한다.
상기 모드 검출부(214)는 수신된 신호의 전송 모드를 검출한다. 즉 DMB 전송 규격에서는 주파수 대역과 수신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전송 모드 1,2,3,4의 4가지 전송 모드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부반송파 수, 프레임 길이, 보호구간 길이, 유효심볼 길이, 널 심볼 길이가 달라진다.
상기 신호 동기부(215)는 I/Q 분배기(213)의 출력과 OFDM 복조기(231)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 OFDM 심볼 동기, 반송파 주파수 동기를 수행한 다. 즉, 상기 신호 동기부(215)를 거치면 프레임의 시작 위치, 프레임 내 각 OFDM 심볼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230)의 OFDM 복조기(231)는 모드 검출부(214)와 신호 동기부(215)의 출력, 그리고 후단의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의 서비스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I/Q 분리된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제거한 후,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시간 영역의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은 프레임 내 FIC에 해당하는 OFDM 심볼들,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MSC 내 OFDM 심볼들, 그리고 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OFDM 심볼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FIC의 첫 번째 OFDM 심볼을 차등 복호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준 OFDM 심볼은 위상 기준 심볼(PRS)이다.
상기 OFDM 복조기(231)에서 선택적으로 OFDM 복조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는 주파수 역 인터리버(De-interleaver)(232)로 입력된다. 상기 주파수 역 인터리버(232)는 송신단에서 주파수 인터리빙(Interleaving)된 부반송파(Sub-carrier) 신호들의 위치를 원래대로 복원시켜 차등 복호화부(233)로 출력한다. 상기 차등 복호화부(233)는 직전 OFDM 심볼과 현재 OFDM 심볼의 위상 차를 복호화하여 송신측에서 차등 부호화하기 전의 데이터 열로 복원한 후 블록 결합기(234)로 출력한다. 상기 블록 결합기(234)는 송신측에서 OFDM 전송에 맞게 정렬시킨 데이터 열을 원래의 스트림 형태로 재정렬하여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로 출력한다.
만일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이 두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제2 앙상블 처리부(220)와 제2 서비스 처리부(240)에서도 전술한 과정대로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제2 앙상블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제2 앙상블의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OFDM 복조 및 차등 복호화한 후 블록 결합 과정을 거쳐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로 출력한다.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후단에서 복호화된 FIC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앙상블 및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정보를 신호 수신부(200)의 튜너(202)(도시되지 않음),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의 BPF(211,222)(도시되지 않음), 및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의 OFDM 복조기(231,24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의 출력 데이터 열로부터 두 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제1,제2 FIC 정보를 분리하여 각각 제1,제2 FIC 처리부(260,270)로 출력한다. 또한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의 출력 데이터 열로부터 두 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제1,제2 MSC 정보를 분리한 후 상기 제1,제2 MSC 정보를 서비스 단위로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MSC 정보를 MSC 처리부(280)로 출력한다. 즉, 상기 하나의 MSC 정보는 두개의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실제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MSC 정보의 최대 크기의 정보는 두 개의 앙상블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FIC 정보는 제1 앙상블 처리부(210)로 수신된 앙상블, 상기 앙상블 내 서비스, 서비스 컴포넌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FIC 정보는 제2 앙상블 처리부(220)로 수신된 앙상블, 상기 앙상블 내 서비스, 서비스 컴포넌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호 동기부(215,225)를 통해 프레임 동기, OFDM 심볼 동기가 이루어지고, 상기 모드 검출부(214,224)를 통해 전송 모드가 검출되므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상기 모드 검출부(214,224)와 신호 동기부(215,225)의 출력 그리고, 복호화된 제1,제2 FIC 정보를 참조하면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앙상블 정보로부터 제1,제2 FIC 정보를 각각 분리하고,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두 MSC 정보를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MSC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입력된 두 개의 앙상블 정보로부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에 대한 MSC 정보만을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MSC로 출력할 때 각각의 앙상블 정보도 제어 신호로서 출력해줘야 한다.
이는 하나의 MSC로 다중화된 서비스들을 MSC 처리부(280) 내 채널 분배기(284)에서 역다중화하여 각 복호화기로 분배할 때 다중화된 각 서비스가 어느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인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각 서비스가 어느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인지 알게 되면, 복호화된 해당 FIC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의 타입이 오디오인지, 비디오인지, 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해당 복호화기에서 정상적으로 복호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나의 MSC로 다중화된 각 서비스에 대한 앙상블 정보는 여러 가 지 방법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앙상블 정보를 별도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MSC나 FIC에 할당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앙상블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미리 약속에 의해 다중화 및 역다중화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각각의 FIC로 전송되는 정보 중에서 FIG type 0의 extension 0 field(FIG 0/0)를 참조하여 앙상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FIG 0/0의 첫 16 비트는 앙상블 고유 정보(ensemble ID)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의 시간 다중화 과정은 유저가 선택한 두개 이상의 서비스 컴포넌트에 해당하는 서브 채널들이 두개의 앙상블 내 각 MSC 채널 내에서 동일한 시점에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언급한 앙상블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도 어느 한쪽의 서브채널을 시간적으로 지연시켜서 다중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FIC 정보는 송신측에서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하지 않았으므로 마찬가지로 수신단에서도 시간 영역 역인터리빙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제2 FIC 처리부(260,27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FIC 처리부(2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2 FIC 처리부(270)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제1 FIC 정보는 제1 FIC 처리부(260) 내 길쌈 복호화기(261)에서 길쌈 복호화된다. 이때 상기 길쌈 복호화된 FIC 정보가 스크램블되어 있다면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262)에서 원래의 데이터로 역스크램블된 후 FIC 복호화기(263)로 출력되고,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FIC 복호화기(263)로 바로 바이패스된다. 상기 FIC 복호화기(263)는 입력되는 제1 FIC 정보로부터 제1 앙상블 및 유저가 선택한 제1 앙상블 내 서비스들에 관련된 정보 및 MSC 정보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 FIC 처리부(270)도 제2 FIC 정보로부터 제2 앙상블 및 유저가 선택한 제2 앙상블 내 서비스들에 관련된 정보 및 MSC 정보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상기 제1,제2 FIC 복호화기(263, 273)에서 제공하는 FIC 정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에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블록들만을 선택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는 상기 제1,제2 FIC 복호화기(263, 273)에서 제공하는 FIC 정보로부터 유저가 선택한 제1,제2 앙상블 내 서비스들만을 시간 다중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이때, 상기 제1 FIC를 통해 전송된 별도의 제어 데이터는 제1 FIC 데이터 복호화기(264)를 통해 복원되고, 상기 제2 FIC를 통해 전송된 별도의 제어 데이터는 제2 FIC 데이터 복호화기(274)를 통해 복원된다.
한편 상기 MSC 처리부(280)의 시간 역 인터리버(281)는 송신측에서 시간 영역으로 인터리빙한 MSC의 16개의 논리적인 프레임(Logical Frame)들을 다시 원래의 프레임 순서대로 복원시킨다. 상기 시간 역인터리빙된 MSC 신호는 길쌈 복호화기(Convolutional decoder)(282)로 입력되고, 길쌈 복호화기(282)는 상기 MSC에 포함된 전송 채널에서 발생한 랜덤 에러(Random Error)를 정정한다. 상기 랜덤 에러가 정정된 데이터가 스크램블되어 있다면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283)에서 원래의 데이 터로 역스크램블된 후 채널 분배기(284)로 출력되고,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다면 채널 분배기(284)로 바이패스된다.
상기 채널 분배기(284)는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에서 각 앙상블의 MSC들을 하나의 MSC로 다중화할 때 생성한 각 서비스의 앙상블 정보와 상기 제1,제2 FIC 복호화기(263,273)에서 복호화된 제1,제2 FIC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MSC에 다중화된 각 서비스가 어느 앙상블의 어떤 서비스 타입을 갖는지를 확인한 후, DAB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오디오 서비스이면 오디오/데이터 복호화기(285)로 출력하고, 비디오 서비스이면 길쌈 역인터리버(286)로 출력한다. 즉, 상기 채널 분배기(284)가 제1 FIC 처리부(260)와 제2 FIC 처리부(270)로부터 받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시간 다중화된 MSC 채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가 어떤 앙상블에 속한 것인지를 알아야한다.
상기 길쌈 역 인터리버(286)는 채널 분배기(28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송신단에서 추가적으로 인터리빙한 데이터이므로, 이를 원래의 순서대로 재정렬하여 RS 복호화기(287)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길쌈 역 인터리버(286)에서 길쌈 역인터리빙되어 출력되는 데이터가 송신단에서 RS 인코딩(Encoding)된 데이터이므로, 상기 RS 복호화기(287)는 이를 RS 복호화한 후 비디오 복호화기(288)로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복호화기(288)는 DMB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신호를 복원해 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들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RF 신호를 하나로 튜너로 튜닝하여 디지털한 후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OFDM 심볼만을 복조 및 복호화함으로써, 수신기의 물리적 자원과 소모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앙상블의 서비스들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개념을 보인 흐름도로서, 유저에 의해 서로 다른 앙상블 내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가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10).
상기 단계 310에서 하나의 서비스만 선택되거나, 선택된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 기존의 방식대로 처리된다.
상기 단계 310에서 선택된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들이 서로 다른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면, 선택된 서비스들이 포함되는 서로 다른 앙상블들의 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RF 신호를 하나의 튜너로 튜닝하여 아날로그 영역에서 자동 이득 제어한 후 디지털화한다. 이어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들을 분리한 후 분리된 앙상블별로 디지털 영역에서 자동 이득 제어, I/Q 분배, 전송 모드 검출, 동기 복원 등을 수행한다(단계 320).
그리고 각 앙상블의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OFDM 복조, 주파수 역 인터리빙, 차등 복호화, 및 블록 결합을 수행한다(단계 330). 여기서 상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은 FIC에 해당하는 OFDM 심볼들,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MSC 내 OFDM 심볼들, 그리고 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OFDM 심볼들이다.
이어 상기 단계 330에서 OFDM 복조된 각 앙상블의 신호로부터 해당 앙상블의 FIC 정보를 분리하고, 각 앙상블의 MSC 정보를 하나의 MSC 정보로 시간 다중화한다 (단계 340). 이어 각 앙상블의 FIC 정보를 복호화하고, 다중화된 MSC 내 각 서비스들을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동시에 유저에게 제공한다(단계 350). 이때 상기 동시에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일 예로,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나  타임머신  같은 W&R(Watch & Record) 기능 등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원 제어부(29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250)의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제2 앙상블 처리부(210,220),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 제1,제2 FIC 처리부(260,27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에서 선택된 서비스의 MSC 내 OFDM 심볼 구간과 FIC의 OFDM 심볼 구간(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기준 OFDM 심볼 포함)에서만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230,240) 내 일부 회로 소자 또는 전체 회로 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중지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만 존재하는 경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앙상블을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들을 처리하는 제1 앙상블 처리부(210), 제1 서비스 처리부(230), 제1 FIC 처리부(260)에는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2 앙상블 처리부(220), 제2 서비스 처리부(240), 제2 FIC 처리부(270) 내 일부 회로 소자 또는 전체 회로 소자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저 전력화가 필수적인 이동 방송 수신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서로 다른 앙상블로 전송되는 신호를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동시에 모두 수신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가 포함되는 앙상블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나의 튜너와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함으로써, 방송 수신기의 저전력/소규모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DMB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를 하나의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방송 수신기는 앙상블 처리부, 및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동시에 수신을 원하는 앙상블의 수만큼 상기 앙상블 처리부와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서비스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서비스 처리부가 구비된다면 상기 신호 결합부는 두 개의 서비스 처리부 중 하나에 포함되고, 네 개의 서비스 처리부가 구비된다면 상기 신호 결합부는 네 개의 서비스 처리부 중 하나에만 포함되거나, 네 개의 서비스 처리부 중 두 개의 서비스 처리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의 선택 사항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앙상블 처리부는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튜닝하여 디지털화 및 동기 복원을 수행한 후 OFDM 심볼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앙상블 처리부의 출력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OFDM 복조, 주파수 역인터리빙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신호 결합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법을 적용하여 각 앙상블 처리부의 튜너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출력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앙상블 처리부와 두 개의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 상측의 앙상블 처리부를 제1 앙상블 처리부(410), 하측의 앙상블 처리부는 제2 앙상블 처리부(420)라 한다. 또한 상측의 서비스 처리부는 제1 서비스 처리부(430), 하측의 서비스 처리부를 제2 서비스 처리부(440)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서비스 처리부(430)에 신호 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반대로 상기 신호 결합부는 제2 서비스 처리부(44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설계자의 선택 사항이다.
상기 제1 앙상블 처리부(410)는 안테나(411), 튜너(412), 자동 이득 제어기(AGC)(413), 아날로그/디지털(Analog/Digital ; A/D) 변환기(414), I/Q 분배기(415), 모드 검출부(416), 및 신호 동기부(4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앙상블 처리부(420)도 안테나(421), 튜너(422), 자동 이득 제어기(423), A/D 변환기(424), I/Q 분배기(425), 모드 검출부(426), 및 신호 동기부(4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는 OFDM 복조기(431), 신호 결합기(432), 선택부(433), 주파수 역 인터리버(434), 차등 복호화기(435), 및 블록 결합기(4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신호 결합기(432)와 선택부(433)를 신호 결합부라 한다.
상기 제2 서비스 처리부(440)는 OFDM 복조기(441), 주파수 역 인터리버(442), 차등 복호화기(443), 및 블록 결합기(4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의 방송 수신기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 제1 FIC 처리부(460), 제2 FIC 처리부(470), MSC 처리부(480), 및 전원 제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FIC 처리부(460)는 제1 앙상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IC를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길쌈 복호화기(461),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462), FIC 복호화기(463), 및 FIC 데이터 복호화기(4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FIC 처리부(470)는 제2 앙상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FIC를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길쌈 복호화기(471),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472), FIC 복호화기(473), 및 FIC 데이터 복호화기(4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SC 처리부(480)는 시간 역 인터리버(481), 길쌈 복호화기(482), 에너지 역 스크램블러(483), 채널 분배기(484), 오디오/데이터 복호화기(485), 길쌈 역 인터리버(486), 리드 솔로몬(RS) 복호화기(487), 및 비디오 복호화기(4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유저가 선택한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가 두 개의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면 제1,제2 앙상블 처리부(410,420)는 각 튜너(412,422)를 통해 상기 두 앙상블을 동시에 수신하여 디지털화한다. 그러면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에서는 디지털화된 해당 앙상블의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만을 선택하여 OFDM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 앙상블 처리부(410,42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앙상블 처리부(4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2 앙상블 처리부(420)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내부 구성 및 동작도 신호 결합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상기 신호 결합부가 포함된 제1 서비스 처리부(4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2 서비스 처리부(440)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1 앙상블 처리부(410) 내 튜너(412)는 안테나(411)로 수신된 RF 신호 중 유저가 선택한 제1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RF 신호를 튜닝하여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의 통과대역(Pass-band) 신호로 변환한 후 AGC(413)로 출력한다. 상기 AGC(413)는 상기 IF 신호의 A/D 변환을 위해 기준 신호 크기에 따라 계산한 이득값을 상기 IF 신호에 곱하여 상기 IF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 후 A/D 변환기(414)로 출력한다.
상기 A/D 변환기(414)는 수신된 신호의 크기에 무관하게 상기 이득 조정된 IF 신호에 대해 표본화(Sampling)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I/Q 분배기(415)로 출력한다. 상기 I/Q 분배기(415)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실수 성분(Inphase component ; I)만을 가지므로 이 디지털 신호를 허수 성분(Quadrature component ; Q)도 가지는 복소 성분의 신호로 변환하여 모드 검출부(416), 신호 동기부(417)로 출력한다.
상기 모드 검출부(416)는 수신된 신호의 전송 모드를 검출한다. 즉 DMB 전송 규격에서는 주파수 대역과 수신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전송 모드 1,2,3,4의 4가지 전송 모드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부반송파 수, 프레임 길이, 보호구간 길이, 유효심볼 길이, 널 심볼 길이가 달라진다.
상기 신호 동기부(417)는 I/Q 분배기(415)의 출력과 OFDM 복조기(431)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 OFDM 심볼 동기, 반송파 주파수 동기를 수행한다. 즉, 상기 신호 동기부(417)를 거치면 프레임의 시작 위치, 프레임 내 각 OFDM 심볼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의 OFDM 복조기(431)는 모드 검출부(416)와 신호 동기부(417)의 출력, 그리고 후단의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의 서비스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I/Q 분리된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제거한 후,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시간 영역의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은 프 레임 내 FIC에 해당하는 OFDM 심볼들,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MSC 내 OFDM 심볼들, 그리고 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OFDM 심볼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FIC의 첫 번째 OFDM 심볼을 차등 복호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준 OFDM 심볼은 위상 기준 심볼(PRS)이다.
상기 OFDM 복조기(431)에서 선택적으로 OFDM 복조된 주파수 영역의 신호는 신호 결합기(432)와 선택부(433)로 출력된다.
상기 신호 결합기(432)는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의 OFDM 복조기(431)의 출력과 제2 서비스 처리부(440)의 OFDM 복조기(441)의 출력을 결합하여 선택부(433)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부(433)는 선택 신호(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OFDM 복조기(431)의 출력과 신호 결합기(432)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파수 역 인터리버(434)로 출력한다. 즉, 상기 선택부(433)는 두 개의 앙상블 신호를 처리하는 경로와 하나의 앙상블 신호를 처리하는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선택 신호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서로 다른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신호로서, 유저의 입력을 받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부(433)는 유저에 의해 하나의 서비스만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만 포함되어 있으면 신호 결합기(432)의 출력을 선택하고,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포함되어 있다면 OFDM 복조기(431)의 출력을 선택하여 주파수 역 인터리버(434)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모두 하나의 앙상블 안에 존재하는 경우, 수신 다이버시티(diversity) 방법을 이용하여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결합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은 서로 독립적인 여러 경로를 통해 방송 수신기로 수신되어 각 튜너에서 튜닝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신호들이 왜곡된 정도나 왜곡된 부분이 다르므로 이를 결합시키면 손상된 부분이 상호 보완되어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모두 하나의 앙상블 안에 존재하는 경우, 각 앙상블 처리부 내 튜너에서 튜닝되는 앙상블들은 모두 같은 앙상블이므로 서로 독립적인 여러 경로를 거쳐서 각 튜너에서 튜닝된 앙상블의 신호들을 결합하면, 각각의 신호가 왜곡된 부분을 보완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모두 하나의 앙상블 안에 존재하는 경우, 각 서비스 처리부 내 OFDM 복조기(431,441)의 출력 신호들을 결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신호 결합기(432)는 신호 결합기 출력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Signal/Noise Ratio ; SNR)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각 OFDM 복조기(431,441)의 출력 신호를 결합(combining)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선택부(433)가 상기 신호 결합기(432)의 출력을 선택할 경우, 두개의 튜너(412,422)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수신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게 되므로, 하나의 튜너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서 수신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선택부(433)가 신호 결합기(432)의 출력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처리부(440)의 주파수 역 인터리버(442), 차등 복호화기(443), 블록 결합기(444), 및 제2 FIC 처리부(470)를 비활성화시키고, 그 외 나머지 블록들을 활성화시켜 신호 전력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비활성화 방법으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제2 서비스 처리부(440)의 일부 블록(즉, 442,443,444) 및 제2 FIC 처리부(4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클럭을 제공하지 않는 등의 비활성화를 위해 전원 제어부(49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전원 제어부(490)는 후단의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의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제2 앙상블 처리부(410,420),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 제1,제2 FIC 처리부(460,470)의 일부 또는 전체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거나, 클럭 제공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
또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이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490)는 상기 제1, 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에서 선택된 서비스의 MSC 내 OFDM 심볼 구간과 FIC의 OFDM 심볼 구간(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기준 OFDM 심볼 포함)에서만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일부 또는 전체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클럭 공급을 중지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저 전력화가 필수적인 이동 방송 수신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신호 결합기(432)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Maximum Ratio Combining(MRC) 방식을 적용하여 신호 결합기(432) 출력의 SNR을 최대화시키는 예이다.
도 5의 신호 결합기(432)는 제1,제2 채널 추정기(511,521), 제1,제2 콘쥬게이터(512,522), 제1,제2 곱셈기(513,523), 제1,제2 크기 제곱기(514,524), 제1,제2 가산기(531,532), 및 나눗셈기(5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의 OFDM 복조기(431)의 출력은 제1 채널 추정기(511)와 제1 곱셈기(513)로 입력되고, 제2 서비스 처리부(440)의 OFDM 복조기(442)의 출력은 제2 채널 추정기(521)와 제2 곱셈기(523)로 입력된다.
상기 제1 채널 추정기(511)는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의 OFDM 복조기(431)의 출력으로부터 전송 채널의 임펄스 응답(즉, 전달함수)을 추정한 후 제1 콘쥬게이터(512)에서 콘쥬게이트(conjugate ; 공액)시켜 제1 곱셈기(513)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1 콘쥬게이터(512)는 추정된 채널 임펄스 응답의 복소 콘쥬게이트 값을 제1 곱셈기(513)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채널 추정기(521)는 상기 제2 서비스 처리부(440)의 OFDM 복조기(441)의 출력으로부터 전송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추정한 후 제2 콘쥬게이터(522)에서 콘쥬게이트시켜 제2 곱셈기(52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곱셈기(513)는 제1 서비스 처리부(430) 내 OFDM 복조기(431)의 출 력과 제1 콘쥬게이터(512)의 출력을 복소곱하여 상기 OFDM 복조기(431)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채널 왜곡을 보상한 후 제1 가산기(531)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곱셈기(523)는 제2 서비스 처리부(440) 내 OFDM 복조기(441)의 출력과 제2 콘쥬게이터(522)의 출력을 복소곱하여 상기 OFDM 복조기(441)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채널 왜곡을 보상한 후 제1 가산기(531)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가산기(531)는 제1,제2 곱셈기(513,523)의 출력을 더하여 나눗셈기(533)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1 가산기(531)는 채널 왜곡이 보상된 두 신호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제2 채널 추정기(511,521)의 출력은 각각 제1,제2 크기 제곱기(514,524)로 입력된다. 상기 제1 크기 제곱기(514)는 복소값인 채널 추정기(511)의 채널 임펄스 응답의 크기를 제곱하여 제2 가산기(532)로 출력하고, 상기 제2 크기 제곱기(524)는 복소값인 채널 추정기(521)의 채널 임펄스 응답의 크기를 제곱하여 제2 가산기(532)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가산기(532)는 상기 제1,제2 크기 제곱기(514,524)의 출력을 더하여 나눗셈기(533)로 출력한다. 상기 나눗셈기(533)는 채널 왜곡이 보상된 수신 신호의 합을 채널 임펄스 응답의 크기 제곱 합으로 나누어 상기 채널 보상된 수신 신호의 합을 정규화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신호 결합기(432)는 각 튜너로 수신된 앙상블 신호를 MRC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신호 결합기(432)의 출력 신호의 SNR이 최대가 되도록 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선택부(43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는 주파수 역 인터리버(De- interleaver)(434)로 입력된다. 상기 주파수 역 인터리버(434)는 송신단에서 주파수 인터리빙(Interleaving)된 부반송파(Sub-carrier) 신호들의 위치를 원래대로 복원시켜 차등 복호화부(435)로 출력한다. 상기 차등 복호화부(435)는 직전 OFDM 심볼과 현재 OFDM 심볼의 위상 차를 복호화하여 송신측에서 차등 부호화하기 전의 데이터 열로 복원한 후 블록 결합기(436)로 출력한다. 상기 블록 결합기(436)는 송신측에서 OFDM 전송에 맞게 정렬시킨 데이터 열을 원래의 스트림 형태로 재정렬하여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로 출력한다.
이때 유저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의 블록 결합기(436)의 출력만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로 입력되고, 유저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블록 결합기(436,446)의 출력이 모두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로 입력된다.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는 후단에서 복호화된 FIC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앙상블 및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정보를 제1,제2 앙상블 처리부(410,420)의 튜너(412,422)(도시하지 않음)와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OFDM 복조기(431,44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는 제1 및/또는 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출력 데이터 열로부터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분리하여 해당 FIC 처리부와 MSC 처리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는 상기 제1 서비스 처리부(430) 내 블록 결합기(436)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앙상블의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분리한 후, 분리된 FIC 정보는 제1 FIC 처리부(460)로 출력하고, MSC 정보는 MSC 처리부(480)로 출력한다. 이후의 처리는 기존의 처리 방법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유저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는 상기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블록 결합기(436,446)의 출력으로부터 두 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제1,제2 FIC 정보를 분리하여 각각 제1,제2 FIC 처리부(460,470)로 출력한다. 또한 제1,제2 서비스 처리부(430,440)의 출력 데이터 열로부터 두 개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제1,제2 MSC 정보를 분리한 후 서비스 단위로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MSC 정보를 MSC 처리부(480)로 출력한다. 즉, 상기 하나의 MSC 정보는 두개의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실제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는 입력된 두 개의 앙상블 정보로부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에 대한 MSC 정보만을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MSC로 출력할 때 각각의 앙상블 정보도 제어 신호로서 출력해줘야 한다.
이는 하나의 MSC로 다중화된 서비스들을 MSC 처리부(480) 내 채널 분배기(484)에서 역다중화하여 각 복호화기로 분배할 때 다중화된 각 서비스가 어느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인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각 서비스가 어느 앙상블에 해당하는 서비스인지 알게 되면, 복호화된 해당 FIC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의 타입이 오디오인지, 비디오인지, 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해당 복호화기에서 정상적으로 복호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앙상블 정보 전송 및 제1,제2 FIC 정보의 복호화, 그리고 상기 복호화된 제1,제2 FIC 정보와 앙상블 정보를 이용한 MSC 정보의 복호화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를 구비하면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OFDM 복조된 신호들을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신기의 물리적 자원과 소모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앙상블 내 서비스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개념을 보인 흐름도로서, 유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선택되면(단계 610), 선택된 서비스들이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하나의 앙상블에만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620).
상기 단계 620에서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존재한다고 판별되면 신호 결합 과정을 거쳐 하나의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들을 복원하고(단계 630 내지 단계 670), 그렇지 않으면 각 앙상블별로 선택된 서비스들을 복원한다(단계 680 내지 단계 720).
즉 상기 단계 620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존재한다고 판별되면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에서 각각 상기 하나의 앙상블을 동시에 튜닝하여 디지털화한 후 I/Q 분배, 전송 모드 검출, 동기 복원 등을 수행한다(단계 630). 그리고 각 튜너에서 튜닝되어 디지털화된 OFDM 심볼들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OFDM 복조를 수행한 후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적용하여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OFDM 복조된 신호들을 결합한다(단계 640). 여기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은 FIC에 해당하는 OFDM 심볼들,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MSC 내 OFDM 심볼들, 그리고 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OFDM 심볼들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으로 결합된 신호에 대해 주파수 역 인터리빙, 차등 복호화, 및 블록 결합을 수행한다(단계 650). 이어 상기 단계 650에서 처리된 신호로부터 상기 앙상블 내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분리한다(단계 660). 그리고 나서, 상기 분리된 FIC 정보는 복호화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기(450)로 출력하고, 동시에 MSC 정보의 복호화에 이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앙상블 내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가 동시에 유저에게 제공된다(단계 670).
한편 상기 단계 620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이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에 존재한다고 판별되면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를 통해 선택된 서비스들이 포함되는 앙상블들을 동시에 튜닝하여 디지털화한 후 I/Q 분배, 전송 모드 검출, 동기 복원 등을 수행한다(단계 680).
그리고 상기 단계 680에서 처리된 각 앙상블별로 해당 앙상블의 OFDM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에 대해서만 OFDM 복조를 수행한 후(단계 690), 주파수 역 인터리빙, 차등 복호화, 및 블록 결합을 수행한다(단계 700). 여기서 상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들은 FIC에 해당하는 OFDM 심볼들, 상기 서비스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MSC 내 OFDM 심볼들, 그리고 상기 OFDM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OFDM 심볼들이다.
그리고나서, 각 앙상블별로 블록 결합된 신호로부터 해당 앙상블의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분리하고, 분리된 각 앙상블의 MSC 정보를 하나의 MSC 정보로 시간 다중화한다(단계 710). 이어 각 앙상블의 FIC 정보를 복호화하고, 다중화된 MSC 내 각 서비스들을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유저에게 제공한다(단계 720). 이때 상기 동시에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일 예로,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나  타임머신  같은 W&R(Watch & Record) 기능 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도 서로 다른 앙상블로 전송되는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가 포함되는 앙상블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복수개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적용하여 수신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을 복조 및 복호화함으 로써, 필요한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적어도 두개의 독립적인 전송모드 검출기를 사용함으로써, 각 앙상블의 전송 모드가 다른 경우에도 상관없이 다중 서비스를 동시에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전국적인 SFN과 지역적인 SFN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에 의하면, 유저가 선택하는 서비스가 어떤 앙상블에 속하는가에 대한 제한 조건 없이 복수개 이상의 다중 서비스를 수신하여 제공함으로써,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나  타임머신  같은 W&R(Watch & Record) 기능들을 아무런 제약조건 없이 비디오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정보만을 복조 및 복호화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하여 처리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크기를 줄이고, 사용 소모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 정보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구간에서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이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적용하여 수신 신호들을 결합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29)

  1.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적어도 복수의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한 후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별로 해당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 및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에서 분리된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은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에 해당하는 심볼들,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 내 심볼들, 그리고 상기 심볼들을 차등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기준 심볼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적어도 복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한 경우, 각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적어도 복수의 튜너를 이용하여 동일한 앙상블을 각각 수신한 경우, 각 튜너별로 상기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를 수행한 후 신호 결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복조된 심볼들을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FIC(Fast Information Channel) 정보이고, 데이터 정보는 MSC(Main Service Channe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는
    적어도 복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복조된 경우,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를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는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할 때 각 서비스의 앙상블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하나의 튜너로 적어도 복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하여 각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별로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한 후 각 앙상블의 데이터 정보를 시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하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 및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에서 분리된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하나의 튜너를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복 수의 서로 다른 앙상블들을 동시에 수신한 후 자동 이득 제어 및 디지털화를 수행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해당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해당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는 적어도 복수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는
    일정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구비하여, 적어도 복수개의 앙상블 신호 중 해당 앙상블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는
    분리된 해당 앙상블 신호에 대해 디지털 영역에서 자동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FIC(Fast Information Channel) 정보이고, 데이터 정보는 MSC(Main Service Channe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는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할 때 상기 데이터 정보의 역다중화를 위해 각 서비스의 앙상블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와 복호화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 구간에서는 상기 각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각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 내 적어도 일부 회로 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클럭 공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앙상블 및 해당 서비스들을 처리하는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와 복호화부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앙상블 및 서비스 처리부와 복호화부의 적어도 일부 회로 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하거나 클럭 공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8.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로 동일한 앙상블을 각각 수신하고, 각 튜너별로 상기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를 수행한 후 신호 결합하여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해당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는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 및
    상기 서비스 선택/채널 분배부에서 분리된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출력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복조된 심볼들을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하나의 앙상블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튜닝하여 디지털화 및 동기 복원을 수행하는 앙상블 처리부와, 상기 앙상블 처리부의 출력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적어도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서비스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처리부는 동일한 앙 상블의 서비스들을 처리하는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 처리부에서 선택적으로 복조된 각 심볼들의 신호를 수신 결합하는 신호 결합기와, 상기 신호 결합기의 출력 신호와 선택적으로 복조된 심볼들의 신호 중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결합기는
    각 서비스 처리부에서 선택적으로 복조된 신호로부터 채널을 추정하여 상기 복조된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적어도 복수개의 보상부; 및
    상기 각 보상부의 출력의 합을 상기 각 보상부의 채널 추정값의 크기 제곱의 합으로 나누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서 신호 결합기의 출력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신호 결합기를 포함하지 않는 서비스 처리부 및 복호화부의 일부 회로 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클럭 공급을 중지시키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3. 하나의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기에서 이동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유저에 의해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들이 포 함되는 앙상블들을 동시에 튜닝하여 디지털화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을 분리한 후 분리된 각 앙상블별로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 및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 및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적어도 복수개의 서비스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FIC(Fast Information Channel) 정보이고, 데이터 정보는 MSC(Main Service Channe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각 앙상블 내 선택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들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데이터 정보로 출력할 때 각 서비스의 앙상블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복호화된 제어 정보와 데이터 정보 내 각 서비스의 앙상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나의 데이터 정보에 다중화된 각 서비스들을 역다중화한 후 해당하는 복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28.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기에서 이동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유저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하나의 앙상블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복수개의 튜너로 동일한 앙상블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b) 각 튜너별로 수신된 상기 앙상블의 심볼들 중 유저가 선택한 서비스들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심볼들에 대해서만 복조를 수행한 후 신호 결합하여 차등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로부터 각 앙상블의 제어 정보와 선택된 서비스들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분리 및 복호화하여 유저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되어 선택적으로 복조된 심볼들의 신호를 수신 다이버시티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처리 방법.
KR1020060024114A 2006-03-15 2006-03-15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KR10082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14A KR100820826B1 (ko) 2006-03-15 2006-03-15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14A KR100820826B1 (ko) 2006-03-15 2006-03-15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766A true KR20070093766A (ko) 2007-09-19
KR100820826B1 KR100820826B1 (ko) 2008-04-10

Family

ID=3868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114A KR100820826B1 (ko) 2006-03-15 2006-03-15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8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4931A (ja) 2002-10-09 2004-04-30 Kenwood Corp Dab放送受信装置
KR20050037778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서비스 이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826B1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873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수신기 내의 tps 디코더
US76534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rate in a mobile terminal using spatial multiplexing for DVB-H communication
EP1113607A2 (en) A cluster frame synchronization scheme for a satellite digital audio radio system
US80277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rate in a mobile terminal using spatial multiplexing for DVB-H communication
EP0938203A1 (en) Receiver and receiving circuit
US898336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e satellite radio receivers
CN1860753A (zh) 正交频分多路复用接收器
US8116414B2 (en) Diversity receiver and diversity reception method
JP4731442B2 (ja) スケルチ装置
KR100820826B1 (ko)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JP371742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02255B1 (ko) 디브이비-티와 디에이비 겸용 직교분할대역 수신시스템
US20090316053A1 (en) Mobile digital television demodulation circuit and method
KR20050063154A (ko) Dmb 수신기에서 정수 주파수 오차 정정 장치 및 방법
EP1009114A2 (en)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s
KR20050063155A (ko) Dmb 수신기에서의 전송 모드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70090666A (ko)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KR100710327B1 (ko) 유료 이동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유료 이동형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20060068255A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시간 동기 방법
KR100672304B1 (ko) 방송 수신기에서 심볼 위치 추적 방법
KR101268198B1 (ko)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KR100672578B1 (ko) 시간 영역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1215492B1 (ko) 방송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735703B1 (ko) 이동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및 방법
JP4257255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