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709A -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709A
KR20070093709A KR1020060023928A KR20060023928A KR20070093709A KR 20070093709 A KR20070093709 A KR 20070093709A KR 1020060023928 A KR1020060023928 A KR 1020060023928A KR 20060023928 A KR20060023928 A KR 20060023928A KR 20070093709 A KR20070093709 A KR 20070093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over plate
chassis
plat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209B1 (ko
Inventor
이익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209B1/ko
Priority to US11/713,003 priority patent/US20070230097A1/en
Publication of KR2007009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형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며, 그 가장자리에 서브섀시가 형성되어 있는 섀시, 상기 섀시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 상기 서브섀시를 경유하면서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부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전달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전달부재 위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전달부재를 보호하는 것으로, 얇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에서 꺾여 세워져 있으며, 그 말단에 클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Coverplate and plasm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플레이트가 서브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사용된 커버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버플레이트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0: 섀시 131: 서브섀시
140: 회로부 150: 신호전달부재
151: 집적회로 260: 커버플레이트
261: 플레이트부 262: 홀더부
263: 클립부 264: 완충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클립형 TCP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말하는데, 대화면,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광시야각의 우수한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 방전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발광시켜 이미지 등의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을 구비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인가되는 방전전압에 따라 직류(direct current)형, 교류(alternating current)형 및 혼합형(hybrid)형으로 분류되고, 방전구조에 따라 대향 방전형(opposed discharge type) 및 면 방전형(surface discharge type)으로 분류된다.
대향 방전형은 방전시 나오는 이온에 의한 형광체 열화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는 반면, 면 방전형은 방전을 형광체 반대편 면으로 모아 형광체 열화를 최소화함으로써 대향형 구조의 문제점을 극복하였고, 현재 대부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전면패널(21)과 후면패널(22)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 양면테이프(25), 서브섀시(31)가 형성되어 있는 섀시(30), 회로부(40), 집적회로(51)가 실장된 신호전달부재(50), 커버플레이트(6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신호전달부재(50), 예컨대 TCP(tape carrier package)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요소인데, 구동시 많은 열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신호전달부재(50)에 실장되는 집적회로(51)의 발열량이 현저하다.
커버플레이트(6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신호전달부재(60), 특히 집적회로(51)을 보호하고, 신호전달부재(60)를 섀시(30)측에 밀착시켜 방열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플레이트(60)는 섀시의 일측을 경유하는 신호전달부재(50)들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섀시(30)와 커버플레이트(60)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커버플레이트(60)는 방열 효율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알루미늄은 철 등의 금속에 비해 고가이기 때문에 커버플레이트(60)의 크기가 클수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용부담이 커진다.
또한, 많은 경우 커버플레이트(60)와 집적회로(51) 사이에는 집적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패드(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으나, 실리콘은 열 전도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방열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체형의 커버플레이트(60)를 다수의 스크류로 체결함으로써 섀시(30)와 결합시키기 때문에 생산리드타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전달부재를 커버할 수 있는 클립형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며, 그 가장자리에 서브섀시가 형성되어 있는 섀시, 상기 섀시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 상기 서브섀시를 경유하면서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부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전달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전달부재 위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전달부재를 보호하는 것으로, 얇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에서 꺾여 세워져 있으며, 그 말단에 클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전달부재는 TCP(tape carrier package)일 수 있으며, 상기 신호전달부재에는 케이블부와 상기 케이블부에 실장된 집적회로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집적회로를 압박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집적회로가 상기 서브섀 시에 밀착되게 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클립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부 안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다시 상기 플레이트부 바깥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는 실리콘 또는 그라파이트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기 클립부가 상기 서브섀시와 맞물리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서브섀시에 결합시키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서브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전달부재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서브섀시에 밀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과 타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은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서브섀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전달부재가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서브섀시는 상기 섀시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한 번 절곡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섀시와는 다른 독립적인 부재로서 상기 섀시의 가장자리에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결합수단으로는 스크류, 리벳, 또는 용접 중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얇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에서 꺾여 세워져 있으며, 그 말단에 클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커버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구리, 알루미늄, 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기 클립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부 안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다시 상기 플레이트부 바깥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는 실리콘 또는 그라파이트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과 타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 측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섀시베이스(간단히 섀시라고 호칭 하기도 함)(130)를 구비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는 대향하는 두 기판(121, 122) 사이에 복수개의 전극(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기판(121, 122) 사이에 방전가스가 봉입된 후 방전 전압이 가해지고, 이 방전 전압으로 인하여 방전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형광체가 여기되어 원하는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후방에 위치한 섀시베이스(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섀시베이스(130)는 양면 테이프(1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는 다량의 열이 발생하므로, 섀시베이스(130)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 사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시트(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섀시베이스(130)의 상측과 하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으로 절곡되어, 섀시베이스(130)의 강성을 보강하고, 신호전달부재(150)가 경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브섀시(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재(150)에 실장되는 집적회로(151)에서 발생하는 열의 상당량은 상기 서브섀시(131)를 통하여 방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섀시(131)는 섀시베이스(130)의 일부분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독립적인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섀시베이스(130)의 가장자리에서 결합수단, 예컨대 스크류, 리벳,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섀시베이스(130)의 후방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전극들과 연결되어서 상기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부(1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전극들은 TCP 등의 신호전달부재(150)에 의하여 회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신호전달부재(150)들에는 복잡한 전기적 신호의 처리를 위한 집적회로(151)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집적회로(151)는 구동시에 다량의 열이 발생하고 또한 외부충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운활한 방열과 충격보호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전달부재(15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2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60)는 각 신호전달부재(150)당 하나씩 대응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종래의 커버플레이트를 일체형 커버플레이트로, 본 실시예의 커버플레이트(260)를 개별형 커버플레이트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섀시(1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8개의 신호전달부재(150)들이 배치되어 있는 바, 커버플레이트(260)도 이에 대응되도록 상측에 8개, 하측에 8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신호전달부재의 개수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를 수 있고, 나아가 커버플레이트의 개수도 반드시 신호전달부재들의 개수와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섀시의 측면에 배치되는 신호전달부재에 대응하는 커버플레이트도 있을 수 있으며, 섀시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신호전달부재라 하여 반드시 그 전부에 대하여 커버플레이트가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플레이트(260)의 배치 위치와 개수는 신호전달부재의 방열량, 특히 집적회로의 방 열량과 기타 요구되는 안정성의 정도, 제조단가 등 설계상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플레이트(260)의 형상과 섀시(130)와의 결합관계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섀시(130)의 하측을 경유하는 신호전달부재(150)와 여기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260)를 도시한 것으로, 커버플레이트 (260)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커버플레이트(260)는 플레이트부(261)와 홀더부(262), 클립부(26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60)는 구리, 알루미늄, 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들은 열전도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어느 재료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철(steel)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저렴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하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로 보았을 때, 본 실시예의 커버플레이트(260)는 일체형으로 된 기존의 커버플레이트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재료에 소모되는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비용절감 효과는 철을 사용하는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플레이트부(261)는 집적회로(151)를 압박하는 부분으로서 직사각형의 얇은 평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60)는 클립부(263)가 서브섀시(131)에 걸려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서브섀시(131)에 결합된다. 커버플레이트(260)와 서브섀시(131)의 사이에 신호전달부재(150)가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클립부(263)를 이용한 결합방식에 의해 신호전달부재(150), 그 중에서도 특히 집적회로(151)가 상기 서브섀시(131)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충분한 방열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브섀시(131)와 집적회로(151)의 밀착이 중요한데, 상기한 클립형 커버플레이트(260)의 결합방식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형 결합방식은 종래의 일체형 커버플레이트에서 사용하던 스크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에 비해 제조공정에서 체결 소요시간을 현저히 줄여준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261)에는 딱딱한 재질의 상기 플레이트부(261)가 집적회로(151)에 밀착함에 따라 상기 집적회로(151)가 파손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완충재(26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완충재(264)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실리콘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방열효과가 좋은 그라파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완충재의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과 방열 효과가 우수하다면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존의 일체형 커버플레이트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개별형 커버플레이트의 또 하나의 장점은 소음 저감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이다. 일체형 커버플레이트의 경우, 개별형 커버플레이트에 비해 그 면적과 중량이 크기 때문에, 집적회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전달되어 공명(resonance)현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집적회로의 진동주파수와 일체형 커버플레이트의 고유진동수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별형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집적회로의 진동주파수와 개별형 커버플레이트의 고유진동수의 주파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구동 중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든다.
한편, 상기 커버플레이트(260)에서 홀더부(262)의 길이가 플레이트부(261)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클립부(263)가 정확하게 서브섀시(131)의 모서리에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서 서브섀시(131)의 형상에 따라 홀더부(262)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홀더부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전술한 실시예를 제1 실시예, 본 실시예를 제2 실시예라 한다.도 4에서 도 3과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는 부재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1 실시에와 제2 실시예에서 동일 부재들에 대한 설명은 이미 기술한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대신에 앞서 기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으로서 커버플레이트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과 도 4의 대비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실시예에서는 커버플레이트(360)가 하나의 신호전달부재(150)에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2개 내지 3개의 신호전달부재(150)에 대응하도록 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1 실시예의 커버플레이트보다 제조공정 소요시간을 더욱 단축시키므로 보다 유리하다.
하나의 커버플레이트(360)가 커버해야 하는 신호전달부재(15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와 섀시의 일측에 배치되는 신호전달부재들의 개수 등 다른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비록 동일한 도면부호 360번으로 커버플레이트를 지칭하였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커버플레이트가 사용되었다. 섀시의 일측에 8개의 신호전달부재(15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개의 신호전달부재(150)를 커버하는 커 버플레이트와 2개의 신호전달부재(150)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두 가지 종류가 제2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었다.
도 5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60)의 모양을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360)에는 집적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고 방열을 촉진하기 위한 완충재(364)가 부착되어 있다. 다만, 그 크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361)의 크기와 같거나 이에 상응하는 정도일 필요는 없으며 집적회로의 크기보다 커서 상기 집적회로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도 6은 커버플레이트의 일 변형예로서 강성보강부(365)가 추가된 형태이다. 기타 부분들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커버플레이트와 동일하므로 같은 부재번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강성보강부(365)가 추가됨으로써 얇은 판상으로 된 커버플레이트의 강성이 보강되며, 집적회로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더 많이 흡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강성보강부(365)가 추가됨으로써 방열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방열 성능의 향상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일체형 커버플레이트를 얇은 조각으로 된 개별형 커버플레이트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클립형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단계에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며, 그 가장자리에 서브섀시가 형성되어 있는 섀시;
    상기 섀시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
    상기 서브섀시를 경유하면서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부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전달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전달부재 위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전달부재를 보호하는 것으로, 얇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에서 꺾여 세워져 있으며, 그 말단에 클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재는 TCP(tape carrier package)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재에는 케이블부와 상기 케이블부에 실장된 집적회로가 포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집적회로를 압박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집적회로가 상기 서브섀시에 밀착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부 안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다시 상기 플레이트부 바깥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는 실리콘 또는 그라파이트가 도포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가 상기 서브섀시와 맞물리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서브섀시에 결합시키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서브섀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신호전달부재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서브섀시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과 타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은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서브섀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전달부재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섀시는 상기 섀시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한 번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섀시는 상기 섀시와는 다른 독립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섀시의 가장자리에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스크류, 리벳, 또는 용접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얇은 판상(板狀)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 모서리에서 꺾여 세워져 있으며, 그 말단에 클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들을 포함하는 커버플레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구리, 알루미늄 및 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재료로 포함하는 커버플레이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부 안쪽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다시 상기 플레이트부 바깥쪽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가지는 커버플레이트.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는 실리콘 또는 그라파이트가 도포되어 있는 커버 플레이트.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과 타측에 형성되는 홀더부들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 측에는 바깥쪽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
KR1020060023928A 2006-03-15 2006-03-15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928A KR100768209B1 (ko) 2006-03-15 2006-03-15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1/713,003 US20070230097A1 (en) 2006-03-15 2007-03-02 Cover plat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928A KR100768209B1 (ko) 2006-03-15 2006-03-15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709A true KR20070093709A (ko) 2007-09-19
KR100768209B1 KR100768209B1 (ko) 2007-10-18

Family

ID=3855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928A KR100768209B1 (ko) 2006-03-15 2006-03-15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30097A1 (ko)
KR (1) KR100768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36B1 (ko) * 2006-06-20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섀시의 부착 방법 및 분리 방법
KR100829758B1 (ko) * 2007-03-09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137A (ja) * 1995-02-20 1996-08-30 Fujitsu General Ltd Pdpパネル
JPH11184391A (ja) 1997-12-22 1999-07-09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平面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0097A1 (en) 2007-10-04
KR100768209B1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700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7447034B2 (en) Chassis base assembly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18509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394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619891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6077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885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259401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2006065326A (ja) プラズマ表示装置
KR100768209B1 (ko) 커버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291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6567B1 (ko)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44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8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623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6792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6979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샤시 베이스의 보강 구조
KR20060100769A (ko) 커버 플레이트 장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KR1005509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936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92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51358B1 (ko) 섀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672B1 (ko) 구동회로보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08122A (ko) 구동보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932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