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267A -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267A
KR20070093267A KR1020060023216A KR20060023216A KR20070093267A KR 20070093267 A KR20070093267 A KR 20070093267A KR 1020060023216 A KR1020060023216 A KR 1020060023216A KR 20060023216 A KR20060023216 A KR 20060023216A KR 20070093267 A KR20070093267 A KR 2007009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ouse
power
mode
wireless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3267A/ko
Publication of KR2007009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마우스 시스템은 무선 마우스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고,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마우스는,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마우스 내부에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의 전원 온/오프 여부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무선 마우스, 수신 장치, 전원

Description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WIRELESS MOUSE SYSTEM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OF WIRELESS MO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무선 마우스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a는 무선 마우스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무선 마우스에 인터페이스 장치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마우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마우스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의 공급 여부를 제어 할 수 있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컴퓨터는 서로 분리된 본체, 모니터, 키보드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 등이 일정 공간에서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 이용도가 극히 감소한다.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나 실외 또는 이동중에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마우스 대신에 터치패드 또는 트랙볼 등의 포인팅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포인팅 속도가 느릴뿐만 아니라 정확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포인팅 장치 대신 별도의 유선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유선 마우스의 접속이 불편하고, 공간의 제약이 있어 무선 마우스가 개발되게 되었다.
종래의 무선 마우스 시스템은 무선 마우스, 수신기 및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마우스는 독립된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상기 컴퓨터의 일부분에는 컴퓨터의 내부 처리기와 외부 통신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가 마련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 마우스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컴퓨터에 전달한다.
상기 컴퓨터는 상기 USB 포트로부터 상기 무선 마우스의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한다.
한편 상기 무선 마우스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온(ON) 시킬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 시킬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를 사용한 후,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로 전환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마우스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고, 전력이 낭비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마우스의 사용 여부에 따라 일일이 상기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마우스 내부에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의 전원 온/오프 여부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마우스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무선 마우스의 배터리 수명이 연장되고, 편리성이 증가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은 무선 마우스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 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고,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마우스는,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마우스 시스템은 무선 마우스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고,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마우스는,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상기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전원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마우스의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모드가 상기 오토 모드일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는 수신 장치가 상기 무선 마우스 내부에 삽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마우스 내부에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는 수신 장치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마우스 내부에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의 전원 온/오프 여부가 자동으 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무선 마우스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a는 무선 마우스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무선 마우스에 인터페이스 장치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무선 마우스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마우스 시스템은 정보 단말 장치(100), 인터페이스 장치(200) 및 무선 마우스(300)를 포함한다.
정보 단말 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운영 체제(OS)에 의해 동작하며, 무선 마우스(300)의 입력을 받아들여 정보 단말 장치(100)의 프로그램 운영에 사용한다.
정보 단말 장치(100)의 일단에는 유에스비(USB) 포트(110)가 마련된다.
USB는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모뎀 등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최대 127개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자동인식이 되어서 재부팅이나 셋업과정 없이 연결이 되고,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USB 포트(110)는 수신 장치(220)로부터 받은 무선 마우스(300) 동작 신호를 정보 단말 장치(100)에 전달하거나 플래쉬 메모리 장치(230)와의 데이터 교환을 하 는데 이용된다. USB 포트(110)는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USB 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USB 단자(210), 수신 장치(220),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장치(230), 제어부(240), 키 입력부(250) 및 충전부(260)를 포함한다.
USB 단자(210)는 정보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USB 포트(110)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USB 포트(110)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금속의 도체로 형성된다.
수신 장치(220)는 무선신호 수신부(222), 수신장치 제어부(224), 버스 제어부(226) 및 CIS(Card Information Structure) 메모리(228)를 포함한다.
무선신호 수신부(222)는 무선 마우스(300)로부터 패킷 단위로 발생되는 아날로그의 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탈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수신장치 제어부(224)에 직렬로 전송한다.
수신장치 제어부(224)는 정보 단말 장치(100)의 명령을 제어부(240)를 통해 전송 받아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주로, 무선신호 수신부(222)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탈 무선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독한 후 디지탈의 무선신호를 정보 단말 장치용 데이터로 가공한다.
CIS 메모리(228)는 수신 장치(220)에 대한 기능 및 특성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버스 제어부(226)는 CIS 메모리(228)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장치 제 어부(224)에서 가공된 무선 마우스(300)의 정보 단말 장치용 데이터가 USB 단자(210)를 통해 정보 단말 장치(100)에 전송되도록 정보 단말 장치(100)의 어드레스 버스(미도시)와 데이타 버스(미도시)를 디코딩(Decording)한다.
무선 마우스(300)로부터 발생되는 무선신호의 패킷에는 무선 마우스(300)의 이동량, 이동 방향 및 무선 마우스(300)에 형성된 각 버튼의 눌림 상태 등을 포함한다.
플래쉬 메모리 장치(230)는 인터페이스부(232), 플래쉬 메모리 제어부(234) 및 플래쉬 메모리(23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32)는 USB 단자(210)를 통해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여 플래쉬 메모리 제어부(234)로 출력한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23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신호로 변환하여 USB 단자(210)로 전송한다.
플래쉬 메모리 제어부(234)는 인터페이스부(232)와 플래쉬 메모리(236) 사이에 연결되며, 플래쉬 메모리(236)의 데이터 읽기/쓰기를 제어한다.
플래쉬 메모리 제어부(234)는 인터페이스부(232)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에 포함된 주소를 인식하고, 상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236)의 해당 주소에 기록하거나, 플래쉬 메모리(236)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인터페이스부(232)로 전송한다.
키 입력부(250)는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수신 장치(220)와 플래쉬 메모리 장치(230) 중 특정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지를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키 입력부(250)의 버튼을 한번 누르면 수신 장치(220)(또는 플래쉬 메모리 장치(230))의 기능이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플래쉬 메모리 장치(230)(또는 수신 장치(220))의 기능이 선택된다.
키 입력부(250)에서 특정 장치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해당 장치로 기능하도록 수신장치 제어부(224)와 플래쉬 메모리 제어부(234)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충전부(260)는 USB 단자(210)가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110)와 연결되면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충전부(260)는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삽입될 경우, 무선 마우스(300)를 충전시킨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상기와 같이 플레쉬 메모리 장치(230)를 구비하지 않고, 수신 장치만(220)을 구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삽입되거나 무선 마우스(300)와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무선 마우스(300)의 후단에는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310)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정보 단말 장치(100)의 USB 포트(110)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마우스(300)의 후단에 마련된 삽입부(310)에서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분리시킨다. 무선 마우스(300)는 상부에 위치한 고정장치(320)의 버튼을 누르면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튀어나오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무선 마우스(300)의 후단에 마련된 삽입부(310)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삽입한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삽입부(310)에 밀어넣으면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내부에서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무선 마우스(3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RF)를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마우스(300)는 전원 제어부(310), 무선 마우스 제어부(320), 모드 선택부(330) 및 무선신호 송신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마우스(300)는 유선 마우스와 같이 마우스 버튼들과 휠 부분들을 비롯하여 무선 마우스(300)의 움직임을 검지할 수 있는 볼이나 광센서(미도시)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모드 선택부(330)는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 모드가 선택되는 부분으로, 온(ON) 모드, 오프(OFF) 모드 및 오토(AUTO) 모드를 포함한다.
온 모드 선택시, 무선 마우스(3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오프 모드 선택시, 무선 마우스(30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오토 모드는 무선 마우스(300)의 사용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300)에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전원 제어부(310)는 전원부(312), 스위칭부(314) 및 스위칭 구동부(316)를 포함한다.
전원부(312)는 무선 마우스(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된다. 무선 마우스(300)의 내부 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될 경우,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충전부(도 1의 260)에 의해 전원부(312)가 충전되도록 설계된다.
스위칭부(314)는 전원부(312)에서 공급하는 전원이 실제 무선 마우스(300)의 각 장치로 제공되도록 하는 연결 통로로서, 스위칭부(314)가 온(ON) 상태일 경우 무선 마우스(3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칭부(314)가 오프(OFF) 상태일 경우 무선 마우스(30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스위칭부(314)는 스위치나 릴레이 등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위칭 구동부(316)는 모드 선택부(330)에서 선택된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 모드에 따라 스위칭부(31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모드가 온 모드일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온 상태로 구동하여 전원부(312)에서 공급하는 전원이 무선 마우스(300)의 각 장치로 제공되도록 한다.
전원 모드가 오프 모드일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오프 상태로 구동하여 전원부(3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무선 마우스(3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일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314)를 구동한다.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었을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오프 상태로 구동하여 무선 마우스(300)가 동작하 지 않도록 한다.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서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분리되었을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온 상태로 구동하여 전원부(3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무선 마우스(300)의 각 장치로 제공되도록 한다.
무선 마우스 제어부(320)는 무선 마우스(300)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특히, 모드 선택부(330)에서 선택된 전원 모드에 따라 스위칭 구동부(316)에 해당 모드에 상응하여 스위칭부(314)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무선신호 송신부(340)는 볼이나 광센서와 같은 입력 장치들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 장치(220)의 근거리 통신 수단과 대응되는 내부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 장치(220)의 무선신호 수신부(도 1의 222)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무선 마우스 제어부(320)는 모드 선택부(330)를 통해 선택된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 모드를 감지한다(S100).
이어서, 상기 선택된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0).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일 경우,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 (200)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S120).
계속하여,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20)가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0).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무선 마우스(300)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볼 수 있다.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오프 상태로 구동시켜 전원부(3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오프한다(S140).
한편,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서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분리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무선 마우스(300)를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온 상태로 구동시켜 전원부(3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 마우스(300)의 각 장치로 공급하여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온 시킨다(S150).
110단계에서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가 아닐 경우, 전원 모드가 오프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60).
전원 모드가 오프 모드일 경우,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오프 상태로 구동시켜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오프한다(S140).
한편, 전원 모드가 오프 모드가 아닌, 온 모드일 경우,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온 상태로 구동시켜 무선 마우스(300)를 전원을 온 시킨다(S150).
이와 같이,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인지의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300)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원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무선 마우스 제어부(320)는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S200).
계속하여, 무선 마우스(300) 내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0).
판단결과, 무선 마우스(300) 내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삽입되었을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오프 상태로 구동시켜 전원부(3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오프한다(S220).
한편, 무선 마우스(300) 내부에서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분리되었을 경우, 스위칭 구동부(316)는 스위칭부(314)를 온 상태로 구동시켜 전원부(3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 마우스(300)의 각 장치로 공급하여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온 시킨다(S230).
이와 같이,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별도로 조작함이 없이, 무선 마우스(300) 내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삽입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마우스 내부에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무선 마우스의 전원 온/오프 여부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은 무선 마우스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무선 마우스의 배터리 수명이 연장되고, 편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무선 마우스;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고,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 수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마우스는,
    전원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전원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자동 모드;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이 공급되는 온 모드;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이 차단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상기 수신 장치가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온 모드 시,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오프 모드 시, 상기 무선 마우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발생된 전원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우스는, 상기 무선 마우스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정보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플래쉬 메모리 기능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전원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9. 무선 마우스;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고,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 수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마우스는,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상기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전원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우스는,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에 상기 수신 장치가 삽입될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11. (a) 무선 마우스의 전원 모드가 오토 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원 모드가 상기 오토 모드일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는 수신 장치가 상기 무선 마우스 내부에 삽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무선 마우스 내부에 상기 수신 장치가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원 모드가 온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원 모드가 오프 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14. (a) 무선 마우스 내부에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단말 장치로 전송시키는 수신 장치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신 장치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마우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무선 마우스 내부에 상기 수신 장치가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무선 마우스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무선 마우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060023216A 2006-03-13 2006-03-13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70093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216A KR20070093267A (ko) 2006-03-13 2006-03-13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216A KR20070093267A (ko) 2006-03-13 2006-03-13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267A true KR20070093267A (ko) 2007-09-18

Family

ID=3868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216A KR20070093267A (ko) 2006-03-13 2006-03-13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326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814A (ja) * 1989-09-29 1991-05-20 Toshiba Corp ガス遮断装置
KR100379629B1 (ko) * 2000-12-01 200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버스 울림 방지장치
KR100396291B1 (ko) * 2003-05-02 2003-09-03 유옥수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JP2004192046A (ja) * 2002-12-06 2004-07-08 Sanyei Corp ワイヤレスマウ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814A (ja) * 1989-09-29 1991-05-20 Toshiba Corp ガス遮断装置
KR100379629B1 (ko) * 2000-12-01 200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버스 울림 방지장치
JP2004192046A (ja) * 2002-12-06 2004-07-08 Sanyei Corp ワイヤレスマウス
KR100396291B1 (ko) * 2003-05-02 2003-09-03 유옥수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563B1 (ko) 플래쉬 메모리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US7336259B2 (en) Rechargeable wireless input device
US7944170B2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US7380145B2 (en) Modifying a power management algorith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US20060252372A1 (en) Bluetooth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JPH10283094A (ja) 有無線兼用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80111792A1 (en) Input device including wireless and wired modes
JP2011082911A (ja) 周辺機器および機器接続システム
KR100860608B1 (ko) 플래쉬 메모리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US20030071783A1 (en) Wire/wireless dual mode operating input device
US8024584B2 (en) Remote connec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wake-up command and method thereof
TWI577107B (zh) 無線輸入裝置、充電板及其充電方法
EP1237287A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extension unit
KR100907301B1 (ko) 플래쉬 메모리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KR101233201B1 (ko)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70093267A (ko)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무선 마우스의 전원 제어 방법
CN107203284B (zh) 无线输入装置、充电板及充电板的充电方法
CN214098378U (zh) 双模鼠标及其2.4g接收器
KR200360687Y1 (ko) 유무선 복합마우스
KR20080043961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TWI460610B (zh) 無線裝置配對的方法
KR20080080473A (ko) 플래쉬 메모리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KR200392724Y1 (ko) 무선 마우스
KR200304510Y1 (ko) 포인팅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저장장치
KR100598056B1 (ko)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