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056B1 -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056B1
KR100598056B1 KR1020030098664A KR20030098664A KR100598056B1 KR 100598056 B1 KR100598056 B1 KR 100598056B1 KR 1020030098664 A KR1020030098664 A KR 1020030098664A KR 20030098664 A KR20030098664 A KR 20030098664A KR 100598056 B1 KR100598056 B1 KR 10059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terminal
earjack
modul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664A (ko
Inventor
백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0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어잭에 연결 가능한 USB 포트-이어잭 변환 모듈을 적용하고, 이어잭 경로에 스위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경로와 USB 포트용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모리를 휴대용 저장 장치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USB 저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정보 단말 장치의 USB 단자와 이어잭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착탈식 USB-이어잭 모듈;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접속되면 저장용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고, 이어-마이크 모듈이 접속되면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상기 이어잭 단자; 상기 이어잭 단자에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접속됨에 따라 USB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수단; 오디오 스위치 신호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USB 스위치 신호에 따라 저장용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 및 평상시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USB 감지신호에 따라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단말기 등에 이용됨.
USB, USB-이어잭 모듈, 단말기, 이어잭, 메모리

Description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Terminal with USB memory device and its embodying method}
도 1 은 종래의 USB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USB-이어잭 모듈의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USB-이어잭 모듈 220 : 이어잭
230 : 감지부 240 : 제어부
250 : 스위칭부 260 : 오디오 경로부
270 : USB 경로부 280 : 메모리
본 발명은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용 메모리 장치인 USB 저장 장치로 이용하는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USB 저장 장치는 단말기과는 별도의 아이템으로써 사이즈가 적고 이동이 편리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용 저장 장치로 이용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USB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USB 저장 장치는, 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휴대폰 등의 정보 단말 장치와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USB 플러그(110); USB 플러그(110)와 정보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메모리(130)에 데이터를 저장, 삭제, 변경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일반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 및 필요에 따라 설치하며, 전원공급상태 및 데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1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USB 저장 장치는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불편이 있고,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저장 장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긴 케이블을 포함하는 카키트 인터페이스 포트를 별도로 지참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어잭에 연결 가능한 USB 포트-이어잭 변환 모듈을 적용하고, 이어잭 경로에 스위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경로와 USB 포트용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모리를 휴대용 저장 장치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USB 저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정보 단말 장치의 USB 단자와 이어잭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착탈식 USB-이어잭 모듈;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접속되면 저장용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고, 이어-마이크 모듈이 접속되면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상기 이어잭 단자; 상기 이어잭 단자에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접속됨에 따라 USB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수단; 오디오 스위치 신호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USB 스위치 신호에 따라 저장용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 및 평상시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USB 감지신호에 따라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외부 정보 단말 장치의 USB 단자와 단말기의 이어잭 단자를 연결하는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되는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USB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USB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이어잭 단자에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 결과,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되지 않음에 따라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USB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는, USB-이어잭 모듈(210), 이어잭(220), 감지부(230), 제어부(240), 스위칭부(250), 오디오 경로부(260), USB 경로부(27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한다.
USB-이어잭 모듈(210)은, 단말기의 이어잭에 적용되어, 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휴대폰 등의 정보 단말 장치의 USB 단자와 상기 단말기의 이어잭 단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어잭(220)은, 상기 USB-이어잭 모듈(210)이 적용되면, 저장용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고, 이어마이크 모듈이 적용되면,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감지부(230)는, 상기 이어잭(220)에 상기 USB-이어잭 모듈(210)이 적용된 것이 감지되면, USB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USB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상기 감지부(230)로부터 상기 USB 감지 신호를 입력받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USB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USB 감지 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경우에는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용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상기 저장용 데이터를 후술하는 메모리(280)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음성 처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40)에는 관련된 펌웨어를 저장하는 ROM(Read-Only Memory) 및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RAM(Random-Access Memory)과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시키기 위한 입출력 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스위칭부(250)는,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상기 USB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저장용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상기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디오 경로부(260)는, 상기 스위칭부(25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4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부(2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USB 경로부(270)는, 상기 스위칭부(250)로부터 상기 저장용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4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부(2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모리(280)는,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상기 저장용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USB-이어잭 모듈의 예시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USB-이어잭 모듈(210)의 USB 플러그(310)는, A-type USB 플러그, B- type USB 플러그, Mini-type USB 플러그 등이 사용되며, 네 개의 단자(1, 2, 3, 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USB 플러그(310)를 통하여 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휴대폰 등의 정보 단말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USB 소켓의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USB-이어잭 모듈(210)의 이어잭 결합부(320)는, 상기 이어잭(22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1 단자(a)가 상기 USB 플러그(310)의 네 개의 단자 중 제1 단자(1)에 연결되고, 제2 단자(b)가 상기 USB 플러그(310)의 네 개의 단자 중 제2 단자(2)에 연결되며, 제3 단자(c)가 상기 USB 플러그(310)의 네 개의 단자 중 제3 단자(3)에 연결되고, 제4 단자(d)가 상기 USB 플러그(310)의 네 개의 단자 중 제4 단자(4)에 연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어잭에 연결된 모듈이 일반 이어마이크 모듈인 경우에는, 감지부(230)에 의해 USB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제어부(240)는,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 후, 스위칭부(250)는, 제어부(240)로부터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게 되므로,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인 오디오 경로부(260)로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이후에, 제어부(24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어잭에 연결된 모듈이 USB-이어잭 모듈(210)인 경우에는, 감지부(230)에 의해 USB 감지 신호를 생성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240)는,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 후, 스위칭부(250)는, 제어부(240)로부터 SB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게 되므로, 저장용 데이터를 위한 경로인 USB 경로부(270)로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이후에, 제어부(240)는 저장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28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280)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경로부(270)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구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40)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USB 모드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1). 여기서, 단말기 사용자가 USB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단말기 사용자가 USB 모드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1)를 반복 수행한다.
만약, 단말기 사용자가 USB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부(240)에서 감지부(230)를 통하여 USB-이어잭 모듈(21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2).
이 때, USB-이어잭 모듈(21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USB-이어잭 모듈(210)을 장착하기 위한 요청을 사용자에게 표시한 후, 제어부(240)에서 감지부(230)를 통하여 USB-이어잭 모듈(21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402)로 돌아간다(S405).
한편, USB-이어잭 모듈(210)이 장착된 경우에는, 감지부(230)에 의해 USB 감지 신호가 생성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240)는,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스위칭부(250)는, 제어부(240)로부터 SB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게 되므로, 저장용 데이터를 위한 경로인 USB 경로부(270)로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이후에, 제어부(240)는 저장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28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280)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경로부(270)를 통하여 출력한다(S403).
그 후,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USB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지를 판정하고, 만약, 사용자가 USB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28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280)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경로부(27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S403)를 계속 수행한다(S40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어잭에 연결 가능한 USB 포트-이어잭 변환 모듈을 적용하고, 이어잭 경로에 스위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경로와 USB 포트용 경로를 분리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모리를 휴대용 저장 장치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USB 저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정보 단말 장치의 USB 단자와 이어잭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착탈식 USB-이어잭 모듈;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접속되면 저장용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고, 이어-마이크 모듈이 접속되면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상기 이어잭 단자;
    상기 이어잭 단자에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접속됨에 따라 USB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지수단;
    오디오 스위치 신호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고, USB 스위치 신호에 따라 저장용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수단; 및
    평상시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USB 감지신호에 따라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USB 저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4. 삭제
  5. 외부 정보 단말 장치의 USB 단자와 단말기의 이어잭 단자를 연결하는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USB 저장 장치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USB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USB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이어잭 단자에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 결과,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되지 않음에 따라 오디오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 상기 USB-이어잭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USB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USB 데이터를 위한 경로가 도통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USB 저장 장치의 구현 방법.
KR1020030098664A 2003-12-29 2003-12-29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59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664A KR100598056B1 (ko) 2003-12-29 2003-12-29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664A KR100598056B1 (ko) 2003-12-29 2003-12-29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664A KR20050067664A (ko) 2005-07-05
KR100598056B1 true KR100598056B1 (ko) 2006-07-10

Family

ID=3725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664A KR100598056B1 (ko) 2003-12-29 2003-12-29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0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664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6509B2 (en) Signal transmission path selection circuit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circuit
US94141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earphone and USB to share micro-USB interface
CN107835033B (zh) 天线调谐开关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2632177B1 (en)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ccessory
US20070255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serial bus hub port reversal
US20140104491A1 (en) Protective shell having shutter pressing structur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080182618A1 (en) Configurable serial memory interface
CN108024128B (zh) 蓝牙音乐播放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KR1006514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독출 방법
TW201306551A (zh) 通信系統、附件設備及擴展使用sim卡的方法
EP3399364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system
KR101277657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 사이의 입력 이벤트 처리 방법
CN109189313B (zh)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EP19864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external device by portable terminal
KR100598056B1 (ko) Usb 저장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CN108196664B (zh) 屏幕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TW201740281A (zh) Usb對接裝置與其控制方法
US10104462B2 (en) Sound output unit
KR20030057250A (ko) Host 기능을 겸비한 USB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9991866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20220146618A (ko) 전자기기
KR100866239B1 (ko) 블루투스 외장형 모뎀 겸용 헤드셋 및 그 제어 방법
US8224383B2 (en) Extensible mobile compu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