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512A -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512A
KR20070092512A KR1020060022749A KR20060022749A KR20070092512A KR 20070092512 A KR20070092512 A KR 20070092512A KR 1020060022749 A KR1020060022749 A KR 1020060022749A KR 20060022749 A KR20060022749 A KR 20060022749A KR 20070092512 A KR20070092512 A KR 2007009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nit
user
mounting apparatu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852B1 (ko
Inventor
변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852B1/ko
Priority to US11/698,840 priority patent/US20070213036A1/en
Priority to CNA2007100791972A priority patent/CN101035338A/zh
Publication of KR2007009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거치장치는, 소정의 제어정보에 따라 복수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부에 연결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거치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 시,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다양한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수행시키는 거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SUPPORTING APPARATUS, PORTAB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거치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능 선택 과정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거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거치장치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저장부 130 : 음성 출력부
140 : 연결부 150 : 전원 공급부
160 : 제어부 200 : 휴대용 단말기
본 발명은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장치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 시,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다양한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이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일정관리 등 더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배터리를 구비하여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휴대용 배터리의 충전은, 충전장치가 마련된 거치장치, 이른바 크래들(cradle)에 휴대용 단말기를 안착시켜,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크래들은 충전장치뿐 아니라 TV 또는 컴퓨터 시스템 등의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도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크래들에 거치시킨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서는 거치시키기 전 또는 후에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켜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할 때마다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에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거치 시에 특정 기능을 자주 수행하고, 이러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이 복잡하다면 사용자는 더욱 불편을 느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와 거치장치가 연결 시,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다양한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정보에 따라 복수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치장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데이터에 기초한 음성을 상기 음성 출력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거치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복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와,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거치장치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동작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수행부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동작 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정보 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된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작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다른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데이터에 기초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소정의 거치장치에 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거치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작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거치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거치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며, TV 또는 컴퓨터 시스템 등의 외부장치와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거치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크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200)는 사진 촬영 및 디스플레이, 동영상 촬영 및 재생, 음악 파일 재생, 전자 사전, e-book , 카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PMP, PDA, DMB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치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저장부(120), 음성 출력부(130), 연결부(140), 전원 공급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200)가 가지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
저장부(12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가지는 복수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기능에 대한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음성 출력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변환, 처리하여 소정 음량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30)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200)에 인가하며, 이러한 기능을 위한 전원공급 단자를 포함한다. 연결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이러한 기능을 위한 통신 단자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용 단말기(200)의 휴대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적절한 전원을 연결부(140)로 공급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 저장부(120), 음성 출력부(130), 연결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기능 선택 과정에서 제공되는 메뉴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메뉴 선택 신호가 입 력되면, 사용자에게 GUI(graphic user interface)로서 도 3과 같은 메뉴화면을 제공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에 구비된 상/하 이동 버튼 및 선택 버튼의 조작에 따라 MP3, 동영상 앨범, 사진 앨범, 게임 및 네비게이션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연결부(14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소정 포트를 포함한다. 연결부(140)에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속되면, 제어부(160)의 소정 포트에 논리레벨 'high'가 인가되고, 연결부(140)에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속되지 않으면, 논리레벨 'low'가 인가되게 함으로써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전원 턴온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160)가 연결부(14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로 응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소정 시간 안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이 음성 출력이라면, 제어부(160)는 출력할 음성데이터를 요청하는 내용의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변환,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미리 선택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20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복수의 기능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신호가 있으면, 신규하게 선택받은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범용 프로세서에 적합하도록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되고, 소정의 메모리(예컨대, ROM)에 저장되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거치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거치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S100),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한다(S110).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거치장치(100)에 거치되어, 연결부(140)에 휴대용 단말기(200)가 연결된 것을 감지하면(S120),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단계 S130에서,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전원 턴온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S140), 휴대용 단말기(200)를 턴온시킨다.
휴대용 단말기(200)가 전원 온 상태가 되면,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50).
제어부(160)는 출력할 음성데이터를 요청하는 내용의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변환,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음성출력부(130)를 제어한다(S160). 본 실시예에서,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은 음성 출력이고,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이 음성 출력이 아니라면, 단계 S160은 생략 가능하다.
제어부(160)가 단계 S100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20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복수의 동작 중 다른 하나를 택하는 입력신호가 있으면(S170), 선택받은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는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능을 선택받은 후, 휴대용 단말기(200)가 연결부(140)에 연결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연결 후에 기능을 선택받는 경우에도, 그 후의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S130 내지 단계 S170과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사진 촬영 및 디스플레이, 동영상 촬영 및 재생, 음악 파일 재생, 전자 사전, e-book , 카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PMP, PDA, DMB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실시예의 거치장치(400)는 휴대용 단말기(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크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300)는 사용자 입력부(310), 동작 수행부(320), 저장부(330), 연결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350)에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300)가 가지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
동작 수행부(32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0)가 가지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 수행부(320)는 사진 촬영 및 디스플레이, 동영상 촬영 및 재생, 음악 파일 재생, 전자 사전, e-book , 카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300)의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연결부(340)는 거치장치(400)와 연결되어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휴대용 단말기(300)의 휴대용 배터리(미도시)로 공급한다. 연결부(340)는 이러한 기능을 위한 소정의 전원 단자를 포함한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10), 동작 수행부(320), 저장부(330) 및 연결부(34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3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제어부(350)는 거치장치(400)가 연결부(340)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50)는 거치장치(400)와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소정 포트를 포함한다. 연결부(340)에 거치장치(400)가 접속되면, 제어부(350)의 소정 포트에 논리레벨 'high'가 인가되고, 연결부(340)에 거치장치(400)가 접속되지 않으면, 논리레벨 'low'가 인가되게 함으로써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연결부(340)에 거치장치(40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저장부(33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 수행부(320)를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미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복수의 기능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신호가 있으면, 신규하게 선택받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 수행부(320)를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범용 프로세서에 적합하도록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되고, 소정의 메모리(예컨대, ROM)에 저장되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3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3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S200),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한다(S210).
제어부(350)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거치장치(400)에 거치되어, 연결부(340)에 거치장치(400)가 연결된 것을 감지하면(S220), 저장부(330)에 저장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 수행부(320)를 제어한다(S230).
제어부(350)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미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300)의 복수의 기능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신호가 있으면(S240), 신규하게 선택받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 수행부(32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거치장치가 연결 시,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크래들에 장착 시, 휴대용 단말기가 가지는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거치할 때마다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8)

  1. 거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정보에 따라 복수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장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데이터에 기초한 음성을 상기 음성 출력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
  8.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거치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복수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와;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거치장치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동작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수행부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사용자에 의해 다른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동작 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복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장치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된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작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다른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데이터에 기초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장치의 제어방법.
  17. 복수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거치장치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면, 상기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중,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동작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22749A 2006-03-10 2006-03-10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5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49A KR101053852B1 (ko) 2006-03-10 2006-03-10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698,840 US20070213036A1 (en) 2006-03-10 2007-01-29 Portable system, portable apparatus, suppor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0791972A CN101035338A (zh) 2006-03-10 2007-02-15 便携式系统、便携式设备,支持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49A KR101053852B1 (ko) 2006-03-10 2006-03-10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512A true KR20070092512A (ko) 2007-09-13
KR101053852B1 KR101053852B1 (ko) 2011-08-03

Family

ID=3847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749A KR101053852B1 (ko) 2006-03-10 2006-03-10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13036A1 (ko)
KR (1) KR101053852B1 (ko)
CN (1) CN101035338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221A (en) * 1994-09-16 1997-08-12 Medialink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on-computer system devices by manipulat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US5794164A (en) * 1995-11-29 1998-08-11 Microsoft Corporation Vehicle computer system
US5793366A (en) * 1996-11-12 1998-08-11 Sony Corporation Graphical display of an animated data stream between devices on a bus
JP3870983B2 (ja) * 1997-02-17 2007-01-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5990884A (en) * 1997-05-02 1999-11-23 Sony Corporation Control of multimedia information with interface specification stored on multimedia component
US6990208B1 (en) * 2000-03-08 2006-01-24 Jbl, Incorporated Vehicle sound system
US20020091848A1 (en) * 2000-09-06 2002-07-11 Robert Agresta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providing, accessing and using personal entertainment media
KR20040021072A (ko) * 2002-09-02 2004-03-10 (주)포스퍼전자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KR20050036508A (ko) * 2003-10-16 200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 오디오 디스플레이부에 휴대폰 문자 메세지 표시하는방법
US20050149213A1 (en) * 2004-01-05 2005-07-07 Microsoft Corporation Media file management on a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
US20070055395A1 (en) * 2005-08-24 2007-03-08 Lisa Debettencourt Audio system contro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3036A1 (en) 2007-09-13
KR101053852B1 (ko) 2011-08-03
CN101035338A (zh)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ruption of a process in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priority of the process, and program
US8676270B2 (en) Display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system
US20170270897A1 (en) Earphone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74685B2 (en) Electronic devic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program
EP2184908B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502655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781242B2 (en) Setting systems and setting methods
JP2007129342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機能付携帯電話機
KR200600800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게임 조작을 위한 지원 장치
US10397698B2 (en) Audio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device
KR101053852B1 (ko)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13165A1 (en) Terminal apparatus usign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201302349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4122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アップグレード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この制御方法
US8423684B2 (en) Display apparatus operated in multiple modes and mode changing method thereof
JP4510746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機能付携帯電話機
JP2006320053A (ja) 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装置
WO2022052907A1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230120651A1 (en) Charg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698263B1 (ko) 외장 메모리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6610720B2 (ja) 設定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45274B1 (ko) 듀얼 엘시디 제어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434647Y1 (ko) 유에스비 호스트를 지원하는 스피커 시스템
KR100677418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모드에서 이미지첨부 방법
CN116709104A (zh) 场景转换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