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072A -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072A
KR20040021072A KR1020020052513A KR20020052513A KR20040021072A KR 20040021072 A KR20040021072 A KR 20040021072A KR 1020020052513 A KR1020020052513 A KR 1020020052513A KR 20020052513 A KR20020052513 A KR 20020052513A KR 20040021072 A KR20040021072 A KR 2004002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universal
free
controller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진
Original Assignee
(주)포스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퍼전자 filed Critical (주)포스퍼전자
Priority to KR102002005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1072A/ko
Publication of KR2004002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기종의 휴대용 전화기와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핸즈프리에 부착 또는 탈착되어 핸즈프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기 및,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기를 통해 핸즈프리로 전송되도록 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기종 변경(또는 분실)시에도 상기 변경된 휴대용 전화기에 맞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UNIVERSAL HANDS FREE APPARATUS}
본 발명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기종의 휴대용 전화기와 각각 연결하여 사용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도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정보 통신 분야의 발전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왔고, 이에 따라 정보 통신분야와 관련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보 통신 분야 중에서 이동 통신 분야의 발전은 시장이 넓을 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도 빠르게 진척되고 있는 실정으로 전세계 각국에서 이동 통신 분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유무선 통신망들 중 휴대용 전화기는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아울러 자동차의 폭넓은 보급으로 인하여 자동차 운행시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운전 중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하는 것은 운전자의 집중도 저하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기 때문에 운전자는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때 전방을 주시하면서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운전하는 도중 휴대용 전화기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의 핸즈프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핸즈프리 장치란, 휴대용 전화기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서도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을 통해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자동차용 핸즈프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거치대(1)는 자동차 내부의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자동차 배터리(2)에 연결되어 휴대용 전화기(6)를 충전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화기(6)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에는 마이크(3) 및 스피커(4)를 연결하는 전선이 구비되어 있으며,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화기(6)와 결합되는 커넥터(5)가 구비되어 있다.
마이크(3)는 거치대(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용 전화기(6)로 출력하여 상대방 전화 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며, 통상 거치대(1)에 부착되어 있다.
스피커(4)는 거치대(1)에 연결되는 자동차 내부의 스피커로서, 휴대용 전화기(6)에서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커넥터(5)는 휴대용 전화기(6)의 저면에 형성된 접속커넥터 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우선, 휴대용 전화기(6)를 거치대(1)에 장착하고, 휴대용 전화기(6)의 접속커넥터 홈에 커넥터(5)를 연결하여야 한다.
이렇게 휴대용 전화기(6)를 거치대(1)에 장착하면, 상대방 전화 가입자에게 전화가 걸려 오는 경우 운전자는 휴대용 전화기(6)를 손으로 직접 잡고 통화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대방에 의해 전화가 걸려 온 경우 운전자는 단순히 휴대용 전화기(6)의 통화키를 누르면 상대방의 음성은 자동차 핸즈프리 세트의 스피커(4)를 통해 출력되고, 운전자의 음성은 마이크(3)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운전중 전화로 인한 집중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운전자가 전화를사용할 경우에도 상대방 전화 가입자의 전화 번호만 누른 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는 거치대에 부착이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스피커(speaker)에서 나오는 소리가 마이크로 루프(loop)되어 울림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대다수이다.
또한, 기존의 핸즈프리 장치는 그 기종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는 잭이 각기 다른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삼성 애니콜(Anycall)과 연결되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핸즈프리 장치의 연결 잭과 LG 싸이언(Cyon)과 연결되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핸즈프리 장치의 연결 잭 부분이 서로 다르다.
이로 인하여, 일반 휴대용 전화기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전화기를 분실하거나 또는 다른 기종의 휴대용 전화기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 그에 맞는 핸즈프리 장치를 새로 구입해야만 한다. 이는, 일반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저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자원 낭비를 유발시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기종의 휴대용 전화기와 각각 연결되어 통화 관련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자동차용 핸즈프리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뒷면)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기능별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중앙 제어부(210)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220)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충전전압 생성/공급부(230)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송수신부(26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모콘 20 : DC 전원 연결/제공기
24 : 스윙부 30 :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
30' : 유니버셜 ID 모듈 30a : 사각홈
30b : 연결핀 30c : 인터페이서 연결 잭
30d : 잠금홈 31 : 볼륨부
32 : 상태 변경 버튼부 32a : 상태 표시용 LED
33 : 스피커부
35 :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
36 :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 버튼
40 : 휴대폰 인터페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상기 핸즈프리에 부착 또는 탈착되어 상기 핸즈프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및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을 통해 상기 핸즈프리로 전송되도록 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은, 사다리꼴 형태의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사각홈; 상기 사각홈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된 핸즈프리와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의 하측면에 가늘고 긴 원통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서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서 연결 잭; 및 직사각형 형태의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홈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뒷면)의 조립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시 상태도이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리모콘(10)과 DC 전원 연결/제공기(20),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 유니버셜 ID 모듈(30') 및 휴대폰 인터페이서(40)를 포함하며, 휴대폰 인터페이서(40)는 휴대용 전화기(50)와 연결 또는 분리된다.
리모콘(10)은 핸들 부착부(11)와 리모콘 콘트롤러부(12) 및 기능별 버튼부(13)를 포함하며, DC 전원 연결/제공기(20)는 플러스 연결단자(21), 연결부(22), 그라운드 연결단자(22) 및 스윙부(24)를 포함한다.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는 볼륨부(31), 상태 변경 버튼부(32), 상태 표시용 LED(32a), 스피커부(33) 및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35)를 포함한다.
유니버셜 ID 모듈(30')은 사각홈(30a), 연결핀(30b), 인터페이서 연결 잭(30c) 및 잠금홈(30d)을 포함하며, 휴대폰 인터페이서(40)는 제어기 연결부(41), 신호 전송용 케이블(42) 및 휴대폰 연결 단자(4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10)은 핸들 부착부(11)를 통해 자동차 내의 핸들(handle)과 연결/분리되며, 사용자의 기능별 버튼 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제어 신호)를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로 송신한다.
DC 전압 연결/제공기(20)는 외부의 직류용 전원 공급 장치(예를 들어, 소정의 DC 전압을 공급하는 차량용 배터리 등)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DC 전압(10∼24V)을 인가한다.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는 DC 전압 연결/제공기(20)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화기(50)를 간이 충전하며, 휴대용 전화기(50)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관련 신호를 스피커부(33)를 통해 출력한다. 또는, 리모콘(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50)를 이용한 상대방과의 통화 및 그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니버셜 ID 모듈(30')과 휴대폰 인터페이서(40)는 휴대용 전화기의 각 기종별로 제작 가능하며, 이러한 유니버셜 ID 모듈(30')은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에 탈부착되고, 유니버셜 ID 모듈(30')의 인터페이서 연결 잭(30c)은 휴대폰 인터페이서(40)의 제어기 연결부(41)와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휴대폰 인터페이서(40)의 휴대폰 연결 단자(43)는 휴대용 전화기(50)와 연결 또는 분리된다.
이를 통하여, 유니버셜 ID 모듈(30')은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로부터 인가되는 통화 관련 신호 또는 소정 크기의 충전 전압을 휴대폰 인터페이서(40)를 통해 휴대용 전화기(50)로 공급하거나 또는 휴대용 전화기(50)로부터 인가되는 상대방의 음성 및 그와 관련된 신호를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로 공급한다.
또한, 휴대폰 인터페이서(40) 및, 휴대폰 인터페이서(40)와 연결/분리되는 유니버셜 ID 모듈(30')은 휴대용 전화기의 각 기종별로 제작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니버셜 ID 모듈(30')은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에 탈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의 분실 또는 기종 변경시에도 핸즈프리 장치를 새로 구입하지 않아도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 인터페이서(40)와 연결되는 휴대용 전화기의 연결 단자는 그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를 이룬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전화기의 기종 변경 또는 분실시, 그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까지 전부 변경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60)의 기종 변경시, 첨부된 도 4와 같이, 다른 기종의 휴대용 전화기(60, 플립형)일지라도 그에 맞는 연결 단자들이 핸즈프리 제어기에 탈착 또는 부착되도록 함으로서, 핸즈프리 장치 구입으로 인한 자원 및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화기별로 제작되어 있는 휴대폰 인터페이서(40), 휴대폰 인터페이서(40)와 연결되어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핸즈프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유니버셜 ID 모듈(30')을 핸즈프리 제어기(30)에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 교체시 기존의 유니버셜 ID 모듈(30')만을 탈착한 후, 상기 새로 교체하고자 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맞는 휴대폰 인터페이서 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유니버셜 ID 모듈을 새로 부착하면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증대 및 그로 인한 경제성 향상 등과 같은 큰 효과를 불러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니버셜 ID 모듈이 아닌 휴대폰 인터페이서를 통해 휴대용 전화기와 핸즈프리 제어기간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기종 변경시, 상기 변경된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구성 장치들의 외부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10)의 측면에는 자동차의 핸들과 연결/분리되는 핸들 부착부(11), 핸들 부착부(1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기능별 버튼 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핸즈프리 제어기(30)로 전송하는 리모콘 콘트롤러부(12) 및, 리모콘 콘트롤러부(12)와 이어지도록 리모콘(10)의 정면에 돌출 형성되며, 소정 개수의 기능별 버튼을 포함하는 기능별 버튼부(13)를 포함한다.
이때, 핸들 부착부(11)는 핸들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핸들과 동일한 형태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14) 및 원통부(14)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핸들과의 연결을 고정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두 개의 고정 나사(15)를 포함한다.
DC 전압 연결/제공기(20)는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DC 전원(플러스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스 연결단자(21), 플러스 연결단자(2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원을 그대로 인가하는 연결부(23), 연결부(23)의 양 측면에 버튼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DC 전원(그라운드 전원)을 공급받는 그라운드 연결단자(22) 및,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전압을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로 공급하는 스윙부(24)를 포함한다. 이때, 스윙부(24)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를 중심으로 다방향(좌우 50°유동/상하 50°유동)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관절형상으로 되어 있어, 기어식 형상으로 인한 마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대방과의 통화시 볼륨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부(31), 볼륨부(31)와 이어지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의 정면에 형성되어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핸즈프리를 이용한 통화/핸드폰을 이용한 일반 통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태 변경 버튼부(32), 상태 변경 버튼부(32)와 동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태 변경 버튼부(32)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녹색/적색)으로 발광하는 상태 표시용 LED(32a)를 포함한다.
이어,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33),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의 타측면에 사각형(-사다리꼴-)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유니버셜 ID 모듈(30')이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되도록 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35) 및, 스피커부(33)와 동일면에 형성되어 유니버셜 ID 모듈(30')이 탈착되도록 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 버튼(36)을 포함한다. 이때,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35)의 밑면에는 상기 부착된 유니버셜 ID 모듈(30')을 고정(locking)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잠금볼(35b)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35)의 사각홈(30a) 밑면에는 소정 개수의 연결 핀(pin, 35a)이 형성되어 있어,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와 유니버셜 ID 모듈(30')간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니버셜 ID 모듈(30')의 일측면에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에 끼워져 사각 홈 모양의 사각홈(30a), 사각홈(30a)의 내면에 형성되어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와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30b), 유니버셜 ID 모듈(30')의 하측면에 가늘고 긴 원통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폰 인터페이서(4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서 연결 잭(30c) 및, 사각홈(30a)을 통해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에 끼워진 유니버셜 ID 모듈(30')이 상기 잠금볼(35b)에 끼워져 잠길(locking)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의 홈 모양으로 이루어진 잠금홈(30d)을 포함한다.
한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연결 단자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의 밑면에 원통홈 모양(미도시)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태 변경 버튼부(32)의 기능 수행에 따른 상태 표시용 LED(32a)는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상대방과의 통화중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다가, 휴대용 전화기(50)만을 이용한 상대방과의 통화시(Privacy 모드일 경우)에는 적색으로 발광한다.
휴대폰 인터페이서(40)는 유니버셜 ID 모듈(30')과 연결되어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30')로부터 인가되는 휴대용 전화기(50)의 충전 전압과 상대방과의 통화 관련 제어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공급받아 그대로 전달하는 제어기 연결부(41), 제어기 연결부(41)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전 전압 및 기능별 제어/음성 신호를 그대로 전달하는 전송용 케이블(42), 전송용 케이블(42)과 이어지도록 휴대폰 인터페이서(4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해당 휴대용 전화기(50)로 충전 전압 및 기능별 제어신호 공급하는 휴대폰 연결 단자(43)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폰 연결 단자(43)는 휴대용 전화기(50)로부터 인가되는 통화 관련 신호를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에 탈부착되는 유니버셜 ID 모듈(3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기능별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보면, 리모콘(100)은 전원부(110), 버튼 조작부(120) 및 송신부(130)를 포함하며, 이러한 송신부(13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200)는 중앙 제어부(CPU, 210), 전원 공급부(220), 충전 전압 생성/공급부(230), 제어신호 송신부(240),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250), 음성신호 송수신부(260), 스피커부(270), 볼륨부(280) 및 상태 변경 버튼부(290)를 포함한다.
리모콘(100)의 전원부(110)는 3V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리모콘(100) 전체에 모든 전원을 공급하고, 버튼 조작부(120)는 사용자의 기능별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부(130)는 버튼 조작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른 적외선 신호(제어 신호)를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210)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200) 내의 모든 통화 관련 동작을 제어하여 리모콘(100)과 휴대용 전화기(500)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한 상대방과의 통화 및 그와 관련된 부가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중앙 제어부(210)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8을 보면,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가 유니버셜 ID 모듈(30')을 통해 휴대용 전화기(300)가 연결되면,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30) 내의 중앙 제어부(210)는 연결 단자(J1의 #3 DGND)를 통하여 휴대용 전화기(300)와의 연결을 인식한다.
이후, 중앙 제어부(210)는 휴대용 전화기(30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연결 단자(J1 #4 POC)를 통해 인식하게 되며, 이를 통한 상대방과의 통화 및 그와 관련된 부가 기능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220)는, 첨부된 도 9와 같이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크기의 전압(DC 10V∼24V)을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200)내의 각 기능부가 동작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충전전압 생성/공급부(230)는, 첨부된 도 10과 같이 구성되어, 전원 공급부(220)로부터 소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를 휴대용 전화기(3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전압(4.2V 정도)으로 생성하여 휴대용 전화기(300)의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신호 송수신부(240)는 중앙 제어부(210)로부터 인가되는 기능별 제어 신호, 예를 들어, 리모콘의 통화 버튼 누름으로 인한 신호가 휴대용 전화기(300)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휴대용 전화기(300)로부터 인가되는 관련 신호가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250)는 소정 개수의 연결핀을 통해 유니버셜 ID 모듈(30')과의 연결 여부를 중앙 제어부(210)로 알려주며, 이를 통해 휴대용 전화기(300)와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간의 데이터 송수신 여건을 갖추도록 한다. 즉, 핸즈프리 제어기(200)는 스탠 바이(stand by) 상태로 전환한다.
음성신호 송수신부(26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휴대용 전화기(300)로 전송하거나, 휴대용 전화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상대 통화자의 음성을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로 인가하여 스피커부(2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음성신호 송수신부(26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11을 보면, 음성신호 송수신부(260)의 OP-AMP(U5A)는 휴대용 전화기(300)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RX) 및 그와 관련한 노이즈(DIGITAL NOISE)를 공통 모드 제거비(CMRR) 기능을 통해 제거한 후, 노이즈가 제거된 음성 신호를 증폭 없이 스위칭 회로로 전송한다.
이후, 전송된 음성 신호는 스위칭 회로 내의 게이트(U4 SWITCHING IC RX SIDE GATE)를 열어서 증폭된 다음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로부터 음성 신호(TX)가 수신되면, 스위칭 회로(U4 SWITCHING IC TX SIDE GATE)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한 후, 도 12의 마이크 신호 출력 단자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후, 마이크 신호 출력 단자는 인가된 음성 신호를 OP-AMP(U5B)로 인가하며, OP-AMP(U5B)는 공통 모드 제거비(CMRR) 기능을 통해 인가된 음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다음 증폭 없이(1:1) 휴대용 전화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송수신부(26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음성 관련 신호 및, 휴대용 전화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 관련 신호를 노이즈를 제거하여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볼륨부(280)는 상대방과의 통화시 스피커부(270)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의 음성이 너무 작거나 또는 너무 크게 들릴 때 음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태 변경 버튼부(290)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변경시, 외부에 드러나 있는 소정의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 변경은 상태 표시용 LED(32a)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즉,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상태 변경 버튼부(290)의 버튼을 누르면, 상태 표시용 LED(32a)가 그린색으로 발광한다. 이후, 휴대용 전화기(300)를 직접 들고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상태 변경 버튼부(290)의 버튼을 다시 누르면, 상태 표시용 LED(32a)가 적색으로 발광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 변경 버튼부(290)를 신호 수신용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 리모콘(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같은 구조를 이루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 도중 휴대용 전화기(300)의 벨이 울리게 되면,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는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기 위해 핸들에 부착되어 있는 리모콘의 통화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후, 상기 통화 버튼에 따른 신호는 버튼 조작부(120)를 통해 송신부(130)로 전송되며, 송신부(130)는 그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200) 전송한다.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200)의 중앙 제어부(210)는 리모콘으로부터 인가된 적외선 신호에 따른 신호를 제어신호 송수신부(240)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어신호 송수신부(240)는 해당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휴대용 전화기(300)로부터 인가되는 상대방의 음성은 음성신호 송수신부(260)를 통해 스피커부(270)로 인가되며, 스피커부(270)는 이를 바로 출력함으로써,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상대방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대방의 목소리가 작거나 크게 들리는 경우, 볼륨부(280)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분리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 및,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서 연결되며 유니버셜 핸즈프리 제어기에 탈부착 되는 유니버셜 ID 모듈을 휴대폰 기종별로 제작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분실 또는 기종 교체시에도 그에 맞는 휴대폰 인터페이서 및 유니버셜 ID 모듈만을 교체하여 그로 인한 서비스 만족도 증대 및 경제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는 핸드폰과 연결되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유니버셜 ID 모듈을 핸드폰 기종별로 각각 형성한 후, 상기 형성된 유니버셜 ID 모듈이 핸즈프리 제어기에 탈착 또는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전화기의 기종 변경(또는 분실)시에도 상기 변경된 휴대용 전화기에 맞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유니버셜 ID 모듈 및 휴대폰 인터페이서-)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상기 핸즈프리에 부착 또는 탈착되어 상기 핸즈프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및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을 통해 상기 핸즈프리로 전송되도록 하는 휴대폰 인터페이서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은,
    사다리꼴 형태의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사각홈;
    상기 사각홈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된 핸즈프리와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핀;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의 하측면에 가늘고 긴 원통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서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서 연결 잭; 및
    직사각형 형태의 홈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하는 잠금홈
    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핸즈프리 제어기; 및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DC 전압을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로 스위칭하는 DC 전압 연결/제공기를 포함하며,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는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를 중심으로 다방향 소정 각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압 연결/제공기는,
    외부의 DC 전압 공급기와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인가받는 플러스 연결 단자;
    상기 플러스 연결 단자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플러스 전원을 그대로 인가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 측면에 버튼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DC 전압 공급기로부터 그라운드 전원을 인가받는 그라운드 연결단자; 및
    상기 연결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로부터 인가되는 플러스 전원을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로 인가하는 스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윙부는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는,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대방과의 통화시 볼륨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부;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의 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이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꼴 홈 모양의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핸즈프리의 상태(-핸즈프리를 이용한 통화 상태 또는 핸드폰을 이용한 일반 통화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상태 변경 버튼부;
    상기 핸즈프리 제어기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와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이 탈착되도록 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 버튼; 및
    상기 잠금홈에 끼워지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볼
    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상태 표시용 LE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인터페이서는,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과 분리 또는 연결되어 상기 핸즈프리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제어기 연결부;
    상기 제어기 연결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기 연결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신호 전송용 케이블; 및
    상기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호 전송용 케이블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인가하는 휴대폰 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연결단자는, 여러 기종의 휴대용 단말기 연결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는,
    상기 리모콘과 상기 휴대용 전화기간의 신호 송수신을 통한 상대방과의 통화 및 그와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핸즈프리 내의 모든 기능 블록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전압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충전전압 생성/공급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기능별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기능별 제어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부;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상대방의 음성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과 관련된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전화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음성신호 송수신부;
    상기 음성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관련 신호에 따라 상대방의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볼륨부; 및
    상기 유니버셜 ID 모듈과의 연결 여부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알려주어 상기휴대용 전화기와 상기 핸즈프리간의 신호 송수신 여건을 갖추도록 하는 유니버셜 ID 모듈 연결/분리부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자동차 내부의 고정 수단과 분리 또는 결합되며, 사용자의 기능별 버튼 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상기 핸즈프리로 송출하는 리모콘
    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자동차 내부의 고정 수단인 핸들과 부착 또는 분리되는 핸들 부착부;
    상기 핸들 부착부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기능별 버튼 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상기 핸즈프리로 전송하는 리모콘 콘트롤러부; 및
    상기 리모콘 콘트롤러부와 이어지도록 상기 리모콘의 정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소정 개수의 기능별 버튼을 포함하는 기능별 버튼부
    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KR1020020052513A 2002-09-02 2002-09-02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KR20040021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13A KR20040021072A (ko) 2002-09-02 2002-09-02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13A KR20040021072A (ko) 2002-09-02 2002-09-02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72A true KR20040021072A (ko) 2004-03-10

Family

ID=3732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513A KR20040021072A (ko) 2002-09-02 2002-09-02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10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852B1 (ko) * 2006-03-10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098A (ja) * 1994-12-16 1996-10-01 Aman Kazanqian 多機能ハンドフリー移動型電話機アダプタ
KR20000020941A (ko) * 1998-09-24 2000-04-15 이한상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차량용 유니버셜 핸즈프리 어댑터
KR200211438Y1 (ko) * 2000-08-04 2001-01-15 주식회사지티아이 텔레콤 여러기종의 핸드폰에 사용이 가능한 핸즈프리
US6349223B1 (en) * 1999-03-08 2002-02-19 E. Lead Electronic Co., Ltd. Universal hand-free system for cellular phones in combination with vehicle's audio stereo system
US6411823B1 (en) * 1999-03-08 2002-06-25 E. Lead Electronic Co., Ltd. Replaceable signal cable making a sound-controlled or externally dialed hand-free system universally compatible with all types of cellular phones
KR200282612Y1 (ko) * 1998-10-01 2002-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098A (ja) * 1994-12-16 1996-10-01 Aman Kazanqian 多機能ハンドフリー移動型電話機アダプタ
KR20000020941A (ko) * 1998-09-24 2000-04-15 이한상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차량용 유니버셜 핸즈프리 어댑터
KR200282612Y1 (ko) * 1998-10-01 2002-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US6349223B1 (en) * 1999-03-08 2002-02-19 E. Lead Electronic Co., Ltd. Universal hand-free system for cellular phones in combination with vehicle's audio stereo system
US6411823B1 (en) * 1999-03-08 2002-06-25 E. Lead Electronic Co., Ltd. Replaceable signal cable making a sound-controlled or externally dialed hand-free system universally compatible with all types of cellular phones
KR200211438Y1 (ko) * 2000-08-04 2001-01-15 주식회사지티아이 텔레콤 여러기종의 핸드폰에 사용이 가능한 핸즈프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852B1 (ko) * 2006-03-10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장치,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291B1 (en) Interface device for control of a cellular phone through voice commands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KR100422475B1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20020046102A (ko)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JP2006246420A (ja) 移動通信周辺機器
KR20040021072A (ko)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KR20010095498A (ko) 무선통화장치를 갖는 차량용 핸즈프리키트
KR20029734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100451177B1 (ko)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단자접속구조
KR200252843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및 핸즈프리와 한 조가된 운전대 부착 장치
KR20010067943A (ko) 휴대전화에 착탈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
KR20022997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보조 키패드
KR200451312Y1 (ko) 무전기용 핸즈프리 유니트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200203580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장치
KR200194623Y1 (ko) 핸들에 통화스위치가 부착된 무선 이어폰 핸즈프리 시스템
KR200258285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운전대부착 장치
JP2002152371A (ja) 携帯電話機
KR20030050311A (ko) 리모콘을 이용한 자동차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58284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운전대 부착장치
KR19990084177A (ko)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JPH0927984A (ja) 携帯電話機
KR200252842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휴대폰 및 핸즈프리와 한 조가 된운전대 부착 장치
KR200275126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운전대 부착 장치
KR200268770Y1 (ko) 핸즈프리 및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운전대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