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612Y1 -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612Y1
KR200282612Y1 KR2019980018973U KR19980018973U KR200282612Y1 KR 200282612 Y1 KR200282612 Y1 KR 200282612Y1 KR 2019980018973 U KR2019980018973 U KR 2019980018973U KR 19980018973 U KR19980018973 U KR 19980018973U KR 200282612 Y1 KR200282612 Y1 KR 200282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ox
vehicle
ear microphone
hand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561U (ko
Inventor
차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8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61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61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
본 고안은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내의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ICC를 통신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든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기와 상기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여,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 및 상기 이동 전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의 잭을 꽂아 상기 이동 전화기에 내장된 이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소켓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이동 전화기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간의 연결 장치{Connecting apparatus between vehicle handfree box and mobile phone}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 마이크로폰(Ear Microphone)을 이용하는 이동 전화기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사용자들이 운전중에 전화를 안전하게 사용하게 하는 기능과 이동 전화기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핸드프리는 크게 회로 부분이 집약된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를 차량에 부착하여 핸드프리 박스와 연결하도록 구성한 거치대(Cradle)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거치대의 기능은 이동 전화기를 고정하여 주고 전기적으로 ICC(In Car Connector)와 컬 케이블(Curl Cable)로 연결을 제공해 준다. 이를 통해 음성 신호와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종래의 거치대는 굵고 투박한 컬 케이블 및 ICC를 통해 이동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의 충전 기능은 대부분 ICC를 통해서 충전하는 것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음성 신호는 그 출력 형태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이라도 모두 ICC를 통해 출력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거치대의 경우, 외관상 투박한 컬 케이블로 인해 차량 내부에 정돈되지 않은 인상을 주고, 음성 신호가 디지털로 출력되는 경우 음성 데이터 이외에 제어용으로 별도의 신호들을 처리하야 하기 때문에 컬 케이블의 굵기가 굵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와 이동 전화를 설계하는 설계자 입장에서는 핸드프리 박스와 거치대를 사용하여 이동 전화기가 거치대에 장착되고 ICC가 연결되면, 이동 전화기가 거치대의 모드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ICC의 전기적 규격 설정 및 이동 전화기 내부에서 소프트웨어로 처리되어져야 하는 부분들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따라 ICC 규격이 다르게 설계되므로, 거치대는 비록 그 기능은 같더라도 각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동 전화기의 기종을 변경하게 되면 부가적으로 거치대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내의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ICC를 통신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든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간의 연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거치대 111 : 음성 조절부
112 : 폰 장착 감지부 120 : 핸드프리 박스
121,122,132 : 신호 변환부 123 : 반향 음성 제거부
124 : 증폭부 125 : 제어부
130 : 이동 전화기 131 : 접속부
133 : 송수신 처리부 134 : 안테나
140 : 연결선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기와 상기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여,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 및 상기 이동 전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의 잭을 꽂아 상기 이동 전화기에 내장된 이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소켓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전화기에서 핸드프리 박스로 전달되는 신호는 아날로그인 경우 오디오, 디지털인 경우에는 펄스 부호 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음성 신호, 타이밍, 클럭 신호 등이 필요하지만, 이어 마이크로폰(Ear Microphone)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즉,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는 최신형 이동 전화기에는 대부분 제공되는데, 이를 통하는 신호는 오로지 아날로그 음성 신호 뿐이다. 따라서, 거치대(Cradle)에서 컬 케이블(Curl Cable)로 연결되던 부분을 없애고 이어 마이크로폰으로 연결을 하면 간단해진다. 또한, 핸드프리 박스와 거치대의 연결 부분을 규격화한다면, 이동 전화기의 모델이 변경되어도 해당 모델에 맞는 거치대만 교체하면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핸드프리의 또 한 가지 기능인 충전 기능은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치 않고 거치대에 이동 전화기와 접촉식 단자를 만들어 이동 전화기를 거치대에 올려 놓기만 하면 충전 기능이 항시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간의 연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간의 연결 장치는, 차량의 거치대(110)에 연결되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120)와 이동 전화기(130)를 연결하는 연결선(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140)과 이동 전화기(130)에 구비되어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연결선)(140)의 잭을 꽂아 이동 전화기(130)에 내장된 이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접속부(이어 마이크로폰 소켓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선(140)에는 이동 전화기(130)의 소켓(socket)에 꽂을 수 있는 이어 마이크로폰 플러그(plug) 또는 잭(Jack)(도시되지 않았음)이 부착되어 있다. 이는 이동 전화기(130)와 핸드프리의 거치대(110) 또는 핸드프리 박스(120)와 음성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또는 잭이 연결된 케이블이다.
거치대(110)는 음성 조절부(111)와, 폰 장착 감지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 전화기(130)의 부착시 핸드프리 박스(12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전원을 이동 전화기(130)의 충전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하는 충전용 단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치대(110)에 충전용 단자가 부착되어 접촉식 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충전 기능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다.
핸드프리 박스(120)는 신호 변환부들(121,122)과, 반향(Echo) 음성 제거부(123)와, 증폭부(124)와, 제어부(125)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핸드프리 박스(120)에는 이동 전화기(130)의 충전기(Battery)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다.
이동 전화기(130)는 접속부(이어 마이크로폰 소켓)(131)와, 신호 변환부(132)와, 송수신 처리부(133)와, 안테나(1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접속부(131)는 연결선(140)의 플러그 또는 잭을 꽂을 수 있는 소켓(도시되지 않았음)과, 이 소켓에 연결되어 연결선(14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이동 전화기(130)와 접속시키기 위한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치대(110)의 음성 조절부(111)는 스피커(15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성 조절부(111)를 통해 음성 크기를 조절하면 핸드프리 박스(120)의 제어부(115)가 증폭부(124)를 조절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거치대(110)의 폰 장착 감지부(112)는 이동 전화기(130)가 거치대(110)에 장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핸드프리 박스(120)의 제어부(125)로 전달한다.
핸드프리 박스(120)의 신호 변환부(121)는 이동 전화기(130)로부터 연결선(140)을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 전달하고,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연결선(140)을 통해 이동 전화기(130)로 전달한다.
핸드프리 박스(120)의 신호 변환부(122)는 증폭부(124)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 전달하고,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24)로전달한다.
핸드프리 박스(120)의 반향 음성 제거부(123)는 신호 변환부(121)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간에 발생되는 반향 현상을 제거하여 신호 변환부(122)로 전달하고, 신호 변환부(122)로부터 전달된 음성 신호간에 발생되는 반향 현상을 제거하여 신호 변환부(121)로 전달한다.
핸드프리 박스(120)의 증폭부(124)는 제어부(125)의 제어를 받아, 신호 변환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하고, 마이크(1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변환부(122)로 전달한다.
이동 전화기(130)의 접속부(131)는 연결선(140)을 통해 핸드프리 박스(1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신호 변환부(132)로 전달하고, 신호 변환부(13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연결선(140)을 통해 핸드프리 박스(120)로 전달한다.
이동 전화기(130)의 신호 변환부(132)는 접속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 처리부(133)로 전달하고, 송수신 처리부(133)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접속부(131)로 전달한다.
이동 전화기(130)의 송수신 처리부(133)는 안테나(13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복조하여 신호 변환부(132)로 전달하고, 신호 변환부(132)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변조하여 안테나(134)를 통해 외부로 송신한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는, 기존의 컬 케이블(CurlCable)을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 또는 잭이 연결된 연결선을 사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내의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연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차량의 ICC를 데이터 통신 전용으로만 쓸 수 있게 되어 음성 신호 및 기타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부분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회로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둘째, 이어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경우와 ICC 통해 거치대가 연결된 경우 각각에 대하여 이동 전화기 내부의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였으나, ICC가 연결된 경우 핸드프리 기능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원가 절감 및 개발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셋째, 이어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이동 전화기를 장착하는 거치대만 해당 모델로 교체하여 주면 어떠한 이동 전화기라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Claims (1)

  1.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기와 상기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여,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간에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 및
    상기 이동 전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잭 및 케이블의 잭을 꽂아 상기 이동 전화기에 내장된 이어 마이크로폰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이어 마이크로폰 소켓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
    을 포함하는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간의 연결 장치.
KR2019980018973U 1998-10-01 1998-10-01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KR200282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73U KR200282612Y1 (ko) 1998-10-01 1998-10-01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73U KR200282612Y1 (ko) 1998-10-01 1998-10-01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61U KR20000007561U (ko) 2000-05-06
KR200282612Y1 true KR200282612Y1 (ko) 2002-09-19

Family

ID=6952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73U KR200282612Y1 (ko) 1998-10-01 1998-10-01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072A (ko) * 2002-09-02 2004-03-10 (주)포스퍼전자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072A (ko) * 2002-09-02 2004-03-10 (주)포스퍼전자 유니버셜 핸즈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61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709B2 (en) Universal mobile phone adapter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s
US6058184A (en) Speaker unit with boom microphone
CN109068209A (zh) 蓝牙耳机、充电盒、蓝牙耳机组件及其交互方法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KR200282612Y1 (ko)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WO1998058454A3 (en) A docking station
JP2002247173A (ja) 携帯電話機の充電用置台
KR200226768Y1 (ko) 차량용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
KR200193124Y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이어마이크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200282169Y1 (ko) 에프엠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KR20040078518A (ko) 이동 단말기의 다기능 인터페이스장치
KR950004457Y1 (ko) 통화선택기능을 갖는 전화기용 아답타
KR200353232Y1 (ko) 에프엠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KR100343157B1 (ko) 스피커폰기능을제공하는크래들
KR200211481Y1 (ko) 핸드프리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용 밧데리팩
KR200243501Y1 (ko) 핸드프리 장치에서의 하울링 제거장치
KR200243840Y1 (ko) 핸드프리 장치에서의 하울링 제거장치
KR20010000437U (ko)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폰 기능을 갖는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
KR200202198Y1 (ko) 핸드폰의 보관대
JP2004147266A (ja) 電話機用ブルートゥースアダプタ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KR0134694B1 (ko) 보조 송수화기를 가진 휴대용 전화기
KR200260826Y1 (ko) 휴대폰 충전기
KR200221529Y1 (ko)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201

Effective date: 2002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