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444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444A
KR20070092444A KR1020060022582A KR20060022582A KR20070092444A KR 20070092444 A KR20070092444 A KR 20070092444A KR 1020060022582 A KR1020060022582 A KR 1020060022582A KR 20060022582 A KR20060022582 A KR 20060022582A KR 20070092444 A KR20070092444 A KR 2007009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sharing
client
hom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2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2444A/ko
Publication of KR2007009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내부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면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유선망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검사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클라이언트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댁내장비를 활성화시키고, 댁내장비가 활성화되면 댁내장비 내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댁내장비가 유선망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클라이언트에게,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댁내장비로 각각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와 댁내장비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접속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가 유동 IP를 가지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 할지라도 외부 클라이언트와 홈 네트워크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 있더라도 댁내의 정보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양질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정보 공유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METHOD FOR PROVIDING FILE MANAGEMENT SCHEME ON WIRE/WIRELESS NETWORK IN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공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클라이언트 102 : 무선망
104 : 이동 교환국
106 : HLR(Home Location Register)
108 :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110 : 게이트웨이 112 : 인터넷
114 :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 116 : 클라이언트
200 : 홈 네트워크 202 : 홈 게이트웨이
204/1∼204/n : 정보가전기기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이언트 또는 이동 클라이언트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원격 접속하여 통신하는데 적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을 시장 중심에 두는 홈 네트워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란 가정의 모든 통신과 전자기기를 연결해 집안과 외부에서 모두 통제하는 것을 뜻한다. 연결 대상은 TV, PC, 오디오, 전화, 팩스, 프린터 등 영상·음향·정보가전 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도어-록 냉난방장치 등 생활가전까지 다양하다.
홈 네트워크 산업은 통신 건설 가전 등 3개 산업이 융합돼야 한다.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는 통신업계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 시장의 포화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로 홈 네트워크를 육성하고 있으며 가전업계 역시 기존의 백색 가전에서 디지털 정보가전, 디지털 컨버전스(conversions) 가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업체도 차별화와 고급화를 위해 홈 네트워크 도입이 필수다.
IT 벤처업계에서는 음성인식 기술, 로봇 개발 기술, 임베디드(embeded) 소프트웨어,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홈 네트워크 사업을 준비 중이다.
특히, 한 가정에 복수의 PC(Personal Computer)를 두는 추세인데다 네트워크 게임이 활성화되고, 전국의 대부분 가구에서 초고속 통신을 가입하는 등 홈 네트워크 산업의 기반은 이미 갖춰진 상태다.
PC나 특정 관련 장비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던 환경과는 달리 지금의 인터넷 환경은 모든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고 접속되는 환경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 중에 원하는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인터넷 환경이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가정 내의 환경도 기존과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가전제품들이 고유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들 간에 서로 네트워킹 하고자 하고 상호 원하는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도 기존의 TV나 에어컨을 제어하던 단순한 기능의 리모컨이 아닌 더 지능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TV나 오디오 등을 서로 연결하고 가정 내에서 제품들 간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 기술들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술은 정보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가전 제어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홈 게이트웨이에서 각 가전을 제어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현재의 기술로는 가정 내에서만 통신을 하는 경우라면 큰 어려움이 없지만, 사용자들이 외부에서 홈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에 자유롭게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복잡해진다. 예컨대, 가정에서 인터넷 접속을 할 경우에는 주소를 비롯한 다양한 설정을 필요로 하며, PC와는 달리 홈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은 별도의 특정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환경을 대부분 지니지 않고 있다.
즉, 댁내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연결 장비, 예를 들면 PC나 셋톱박스 등은 유동 IP(Dynamic 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설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외출 시에는 일반적으로 이들 장비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가 허다하므로 외부에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비록, 인터넷에 연결된 장비끼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 예컨대 소켓 통신을 이용한 FTP(File Transfer Protocol) 데이터 전송 방법이 존재하기는 하나, 이러한 방법도 마찬가지로 통신하고자 하는 양측 장비의 전원이 모두 켜져 있어야만 하고 통신을 시작하고자 하는 측에서는 상대방의 IP 주소를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접속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의 댁내장비가 유동 IP를 가지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 할지라도 외부 클라이언트와 홈 네트워크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유선망을 통해 댁내장비의 정보를 활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내부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면 상기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유선망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 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검사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댁내장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댁내장비가 활성화되면 상기 댁내장비 내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댁내장비가 상기 유선망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상기 댁내장비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댁내장비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이동 클라이언트가 무선망을 통해 댁내장비의 정보를 활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 내부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면 상기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무선망 및 인터넷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검사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유선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댁내장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댁내장비가 활성화되면 상기 댁내장비 내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댁내장비가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상기 댁내장비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와 상기 댁내장비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 클라이언트 및 클라이언트는 저장매체가 탑재된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면 PMP, PDA, 이동통신 단말기, 랩톱, 데스크톱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들 기기들 중 어느 하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기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이동 클라이언트(100), 무선망(102), 이동 교환국(104), HLR(Home Location Register)(106), VLR(Visitor Location Register)(108), 게이트웨이(110), 인터넷(112),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 클라이언트(116), 홈 네트워크(200), 홈 게이트웨이(202), 정보가전기기(204/1∼204/n)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클라이언트(100)는,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무선망(102)을 통해 후술하는 홈 네트워크(200)와 접속된다. 이와 같은 이동 클라이언트(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무선망(102)에는 다수 개 의 이동 클라이언트들이 접속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무선망(102)은, 예를 들면 RAN(Radio Access Network)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접속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망(102)은,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도시 생략됨)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동 클라이언트(100)가 후술하는 이동 교환국(104)과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교환국(104)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제공한다.
HLR(106)은 VLR(108)로부터 이동 클라이언트(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LR(106)에는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클라이언트(10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VLR(108)은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단말기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104)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게이트웨이(110)는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IWF(Inter Working Function) 변환 기능을 가지며, 셀(Cell)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 리를 서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 한다. 게이트웨이(112)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IN(Intelligent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타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무선망(102), 인터넷(112) 등을 통한 이동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200)와 접속된다.
홈 네트워크(200) 내의 정보가전기기들(204/1∼204/n)은, 예컨대 TV, 홈시어터 시스템 등의 영상기기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홈 게이트웨이(202)와 공통으로 연결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은 홈 게이트웨이(202)와 정보가전기기들(204/1∼204/n)을 공통으로 '댁내장비'라 지칭하기로 한다.
홈 게이트웨이(202)는 인터넷(112)에 접속하여 각종 파일들, 예컨대 동영상 파일, MP3 파일 등을 이동 클라이언트(100)로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포인트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홈 게이트웨이(20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200) 내의 정보가전기기(204/1∼204/n)와 이동 클라이언트(100)간의 IP 주소 전송을 위해 인터넷(112)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는 인터넷(112)에 접속되는 이동 클라이언트(100) 또는 후술하는 클라이언트(116)의 인증 처리 과정에 관여하며,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에 대응하는 댁네장비를 활성화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의 IP 주소와 댁네장비의 IP 주소를 서로 교환시켜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100)는, 예컨대 데스크톱으로서, 인터넷(112)을 통해 상술한 홈 네트워크(200)와 접속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100)와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인터넷(112)에는 다수 개의 클라이언트들이 접속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는 데스크톱과 같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즉 유선망에 접속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휴대폰과 같은 이동 클라이언트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공유가 가능함을 상술한 도 1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무선망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와 같은 도 2의 실시예가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16)가 활성화되면(S200), 클라이언트(116)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자신의 내부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면 단계(S204)로 진행한다. 여기서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라 함은, 본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또는 이동 클라이언 트)가 댁네장비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단계(S204)에서 클라이언트(116)는 자신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고, 인터넷(112)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에 접속한다.
이후 클라이언트(116)는 단계(S206)로 진행하여 자신의 인증정보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로 전송한다.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에서는 별도의 승인 과정을 거쳐 클라이언트(116)의 인증정보를 검사하고, 인증에 성공하면(S208)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는 단계(S210)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116)의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홈 네트워크(200)의 댁내장비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댁내장비의 활성화는, 예컨대 댁내장비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바람직하게는 "Wake-up by Modem"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댁내장비가 활성화되면 홈 네트워크(200)에서는 댁내장비 내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고 인터넷(112)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에 접속한다(S212).
그리고 홈 네트워크(200)는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로 전송한다(S214).
이에 따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는 단계(S216)에서와 같이 홈 네트워크(200)의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클라이언트(116)에게, 클라이언트(116)의 IP 주소를 홈 네트워크(200)의 댁내장비로 각각 전송한다.
클라이언트(116)의 IP와 홈 네트워크(200)의 댁내장비의 IP가 서로 교환되면, 단계(S218)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116)와 홈 네트워크(200)의 댁내장비 간 소켓이 연결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116)와 홈 네트워크(200)의 댁내장비들 간의 정보가 서로 공유될 수 있다(S220).
한편, 단계(S202)에서의 판단 결과, 클라이언트(116) 내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222)로 진행한다.
단계(S222)에서 클라이언트(116)는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에 접속한 후, 단계(S224)로 진행하여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S224)에서의 로그인 과정 수행 결과, 로그인에 실패되면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는 단계(S226)로 진행하여 회원 가입 과정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116)가 로그인에 성공한 경우에는,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는 단계(S228)로 진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16)가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단계(S230)에서는, 클라이언트(116) 측에서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114)는 단계(S210)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 정보에 대응하는 댁네장비를 활성화시킨다. 단계(S210)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구현 과정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접속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가 유동 IP를 가지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 할지라도 외부 클라이언트와 홈 네트워크 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 있더라도 댁내의 정보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양질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6)

  1.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유선망을 통해 댁내장비의 정보를 활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내부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면 상기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유선망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검사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댁내장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댁내장비가 활성화되면 상기 댁내장비 내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댁내장비가 상기 유선망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상기 댁내장비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댁내장비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댁네장비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장비의 활성화는, 상기 댁내장비의 전원을 온 시키는 동작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
  4. 임의의 이동 클라이언트가 무선망을 통해 댁내장비의 정보를 활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 내부에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면 상기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무선망 및 인터넷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인증정보를 검사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유선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댁내장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댁내장비가 활성화되면 상기 댁내장비 내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상기 댁내장비가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여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공유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댁내장비의 IP 주소를 상기 이동 클라 이언트에게,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상기 댁내장비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와 상기 댁내장비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는,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가 상기 댁네장비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장비의 활성화는, 상기 댁내장비의 전원을 온 시키는 동작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 방법.
KR1020060022582A 2006-03-10 2006-03-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KR20070092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582A KR20070092444A (ko) 2006-03-10 2006-03-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582A KR20070092444A (ko) 2006-03-10 2006-03-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444A true KR20070092444A (ko) 2007-09-13

Family

ID=3868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582A KR20070092444A (ko) 2006-03-10 2006-03-1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2444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9981A (ja) * 1999-03-16 2000-09-29 Toshiba Corp 情報共有装置、及び情報共有方法
KR20020042305A (ko) * 2000-11-30 2002-06-05 윤종용 홈게이트웨이와 홈포탈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접근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25550A (ko) * 2003-11-20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50037666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킹에 의한 가전기기의 메모리 공용방법
KR20050062849A (ko) * 2003-12-18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2509B1 (ko) * 2005-11-07 200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미디어 컨텐츠 원격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재생 단말과그 방법
KR20070048922A (ko) * 2005-11-07 2007-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9981A (ja) * 1999-03-16 2000-09-29 Toshiba Corp 情報共有装置、及び情報共有方法
KR20020042305A (ko) * 2000-11-30 2002-06-05 윤종용 홈게이트웨이와 홈포탈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접근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37666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킹에 의한 가전기기의 메모리 공용방법
KR20050025550A (ko) * 2003-11-20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50062849A (ko) * 2003-12-18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2509B1 (ko) * 2005-11-07 200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미디어 컨텐츠 원격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재생 단말과그 방법
KR20070048922A (ko) * 2005-11-07 2007-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간 미디어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0185B2 (en) Extended handset functionality and mobility
CN106789468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家电设备控制方法及系统
CN106358265B (zh) 一种智能终端设备接入互联网的方法及装置
US895357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3181234A (zh) 移动终端与局域网络的动态连接
CN104023328A (zh) 一种运营商移动蜂窝网络接入系统及相应的通信方法
US9270571B2 (en) Router collaboration
JP2017102627A (ja) IoTデバイスのネットワーク
EP1534010A2 (en) Video-conferenc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WO2015066972A1 (zh) 一种视频通话的转接方法、终端及系统
CN105072511A (zh) 一种互联网智能楼宇对讲系统及装置
CN113132997B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通信方法、设备及系统
CN105025273A (zh) 楼宇可视对讲系统的连接方法、密码设置方法及系统
US8396469B2 (en) Association of a mobile user identifier and a radio identifier of a mobile phone
CN101715183B (zh) 网络接入方法和装置
US20130107697A1 (en) Network Connection System of Network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o Solve Terminal Device Unable to Reach Electronic Device Caused by Router Not Supporting NAT Loopback
CN211378259U (zh) 一种智能家居设备及其通信系统
JP2007028234A (ja) 無線lanシステム
JP5152514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3796333A (zh) 一种数据通信方法、终端及系统
CN104640094A (zh) 一种小区接入方法、汇聚终端和接入终端
KR2007009244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유/무선망을 통한 정보 공유방법
KR101496963B1 (ko) WebRTC 기반 VoIP 전화기
CN108270756B (zh) 一种设备间通信的方法及系统
CN101771967A (zh) 发送、转发短信的方法及终端、接入网关和短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