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141A - 롤러 클램프 - Google Patents

롤러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141A
KR20070092141A KR1020070022283A KR20070022283A KR20070092141A KR 20070092141 A KR20070092141 A KR 20070092141A KR 1020070022283 A KR1020070022283 A KR 1020070022283A KR 20070022283 A KR20070022283 A KR 20070022283A KR 20070092141 A KR20070092141 A KR 2007009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oller
flow rate
shaft portion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513B1 (ko
Inventor
가즈히로 아베
이찌로 기따니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9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a screw-spindle, cam, or other mechanical means
    • F16K7/065Cam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6Wedge clamps, e.g. roller clamps with inclined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Flow Control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소정 비율로 유지할 수 있는 롤러 클램프에 대한 것이다. 롤러 클램프(RC)는 튜브가 장력을 받을 때 유동률 설정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튜브(T)가 그 주변을 통과하는 튜브 권취 샤프트부(31)를 포함한다.
롤러 클램프, 튜브 권취 샤프트부, 튜브, 튜브 설치부, 유동률 제어 롤러

Description

롤러 클램프 {ROLLER CLAMP}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 클램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는 롤러 클램프의 정면도.
도3은 롤러 클램프의 배면도.
도4는 도1의 선 4-4를 따른 단면도.
도5는 도2의 선 5-5를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C: 롤러 클램프
T: 튜브
10: 튜브 설치부
20: 유동률 제어 롤러
30: 튜브 권취 샤프트부
본 발명은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약제 유체의 유동률을 조절하기 위한 롤러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체 수혈 라인 또는 혈액 수혈 라인이 환자에게 약제 유체 또는 혈액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이러한 경우, 유동률 조절기가 유체의 유동률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어 정확한 속도로 튜브를 통해 유동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6(1994)-109147호는 롤러를 활용하는 롤러 클램프를 포함하는 유동률 조절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롤러 클램프의 경우에, 안내 홈이 편평 저부 플레이트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측벽의 내부 표면 각각에 형성되고, 지지 샤프트가 롤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 홈에 걸쳐 위치된다.
부가로, 저부 플레이트의 표면과 안내 홈 사이의 높이는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에서 변경되고, 편평 홈과 편평 홈의 에지부를 따라 형성된 돌출 열은 저부 플레이트의 길이를 따라 저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제공된다. 그 다음에, 저부 플레이트에 대한 롤러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튜브는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조절하기 위해 저부 플레이트와 롤러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환자가 유체 롤을 수용할 때 또는 개인 또는 물건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롤러 클램프의 튜브가 접촉하여 갑작스럽게 당겨질 때, 롤러의 위치가 변화하고,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소정의 비율로 유지할 수 있는 롤러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클램프는 일측에서 타측 으로 연장하는 저부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그 높이가 변화하도록 안내 홈이 저부의 길이 방향으로 양 에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표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갖는 튜브 설치부와, 양 에지부에서 안내 홈에 의해 가동식으로 지지되면서 한 쌍의 측벽부를 가로질러 위치된 중심축부와 축방향의 중심축부의 중심에 제공되어 중심축부 주위에서 안내 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제어하도록 저부에 대해 튜브 설치부에 제공된 유체 유동용 튜브를 가압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유동률 조절 롤러를 갖고, 튜브를 권취하기 위한 튜브 권취 샤프트부가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일부 제공되고, 유동률 조절 롤러는 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튜브 설치부에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구성된 롤러 클램프의 경우에, 튜브 설치부의 저부와 측벽부에 형성된 안내 홈 사이의 높이 방향 길이는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제어하기 위해 튜브 설치부의 저부에 대해 유동률 조절 롤러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변화한다. 부가로, 튜브는 튜브 설치부의 저부와 유동률 조절 롤러 사이에 샌드위치된 튜브의 위치와 유동률 조절 롤러의 위치가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튜브 권취 샤프트부 주위에서 권취된다. 따라서, 튜브에 대해 설정된 소정량의 유체가 튜브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롤러 클램프가 부착되는 튜브가 약제 유체를 보유하는 용기와 유체가 공급되는 환자 사이에 제공되고, 롤러 클램프가 튜브에 부착되면서 튜브 권취 샤프트부가 설치부의 유동률 조절 롤러보다 환자에게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튜브가 환자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끌어당겨질 때, 당김력은 우선 튜브가 권취되는 튜브 권취 샤프트부의 일부에 의해 흡수되어, 당김력은 튜브 설치부의 저부와 유동률 조절 롤러 사이에 샌드위치된 부품에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유동률 조절 롤러와 튜브는 변위되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튜브의 유동률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튜브가 갑자기 당겨지더라도, 튜브 권취 샤프트부 주위에 권취된 튜브의 일부 또는 튜브 설치부의 저부와 유동률 조절 롤러 사이의 부분만이 신장됨에 따라 얇아지게 되지만, 유동률 조절 롤러와 튜브의 위치는 변위되기 어렵게 된다. 즉, 튜브 권취 샤프트부 주위에 권취된 튜브의 일부가 롤러 클램프의 외측으로 당겨질 때,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은 튜브 권취 샤프트부 주위에 권취된 부분이 얇아짐에 따라 감소된다. 그러나, 튜브는 튜브에 당김력이 없어지게 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유체의 유동률은 소정 유동률로 복귀한다. 따라서, 저부와 유동률 조절 롤러 사이에 샌드위치된 튜브의 일부는 전혀 영향받지 않는다.
롤러 클램프가 상기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은 과도하게 큰 힘이 튜브에 인가되지 않으면 소정 유동률로 유지된다. 즉, 튜브가 튜브 설치부의 저부와 유동률 조절 롤러 사이와 튜브 권취 샤프트부 주연부 둘레에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은 튜브 설치부의 저부와 유동률 조절 롤러 사이에 끼워맞춤된 부분의 위치와 튜브 권취 샤프트부 주연부에 끼워맞춤된 부분의 위치가 모두 이동되지 않는 한 결코 변화하지 않는다. 부가로, 본 발명의 튜브 권취 샤프트부는 양 측벽부에 걸쳐 위치될 수 있거 나 또는 튜브 설치부의 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부가로, 튜브 권취 샤프트부는 튜브 설치부에 대해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샤프트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튜브 설치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클램프의 구조적 특징은 튜브 권취 샤프트부가 샤프트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로써, 튜브를 따른 롤러 클램프의 이동 작동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클램프의 다른 구조적인 특징은 튜브 권취 샤프트부가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튜브 권취 샤프트부가 회전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튜브 권취 샤프트부는 결코 돌발적으로 회전하지 않아서 튜브의 변위가 방지될 수 있다.
부가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클램프의 다른 구조적인 특징은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튜브 권취 샤프트에 튜브가 권취되어 있다는 점이다. 튜브가 권취되는 튜브 권취 샤프트부의 일부의 단면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삼각형 또는 원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튜브가 권취되는 튜브 권취 샤프트부의 일부의 단면이 삼각형이면, 튜브 권취 샤프트부와 튜브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이 증가되어 튜브의 변위를 방지하는 개선된 롤러 클램프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튜브가 권취되는 튜브 권취부의 일부의 단면이 원형이면, 튜브는 손쉽게 권취되고, 튜브의 권취부는 잘 변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단지 예로써만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롤러 클램프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 내지 3은 본 실시예의 롤러 클램프(RC)를 도시한다. 롤러 클램프(RC)는 튜브(T)를 통해 유동하는 약제 유체와 같은 유체의 유동률을 조절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롤러 클램프(RC)는 튜브(T)와, 튜브(T)가 권취됨에 따라 튜브 설치부(10)의 내측으로 튜브(T)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튜브 권취부(3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조절하도록 채널형 튜브 설치부(10)에 대해 튜브(T)를 가압하는 유동률 조절 롤러(20)로 구성된다.
튜브 설치부(10)는 좁은 플레이트형 저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에지부로부터 측벽부(12, 13)를 상승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기부 단부[여기서는, 튜브(T)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상류측에 대응하는 부분을 기부 단부측으로 지칭하고, 기부 단부측은 도1 및 도2의 좌측에 대응함]로부터 중심부로 연장하는 저부(11)의 일부는 좁고, 전방 단부(도1 및 도2에서 우측부)는 넓고, 좁은 부분(11a)으로부터 넓은 부분(11b)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 가공부(11c)는 기부 단부측의 좁은 부분(11a)과 전방 단부측의 넓은 부분(11b)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부분(11a)은 기부 단부측으로부터 전방 단부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높이가 증가되는 상향 슬로프를 갖고 형성되고, 넓은 부분(11b)은 편평한 좁은 부분(11a)의 아래에 형성된다. 테이퍼 가공부(11c)는 좁은 부분(11a)의 전방 단부와 넓은 부분(11b)의 기부 단부를 연결하는 예리한 경사부에 형성된다. 부가로, 튜브(T)를 가압하기 위해 좁은 부분(11a)의 슬로프를 따라 기부 단부측으로부터 전방 단부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높이가 증가하는 홈부(11d)는 좁은 방향으로 좁은 부분(11a)의 상부 표면의 중심에 형성된다.
저부(11)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 측벽부(12, 13)는 그 상부 에지가 동일한 면에 형성되도록 직선으로 형성된다. 높이 방향으로 저부(11)의 좁은 부분(11a)에 대응하는 기부 단부측으로부터 중심부로 연장하는 측벽부(12, 13)의 길이는 짧게 제조되고, 높이 방향으로 저부(11)의 넓은 부분(11b)에 대응하는 전방 단부측의 길이는 길게 제조된다. 부가로, 저부(11)의 테이퍼 가공부(11c)에 대응하는 측벽부(12, 13)의 일부는 전방 단부측쪽으로 확장됨에 따라 이들 사이의 공간이 증가하도록 제공되고, 하단부는 테이퍼 가공부(11c)의 슬로프를 따라 형성된 슬로프부에 형성된다.
즉, 기부 단부로부터 중심부로 연장하는 튜브 설치부(10)의 일부는 폭과 높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모두 짧아지게 되는 좁은 채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단부는 폭 및 높이 방향으로의 길이에 대해 넓은 저부가 하향으로 돌출하는 짧은 채널형으로 형성된다. 그 다음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14, 15)은 측벽부(12, 13)의 대향 내부 표면에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14)은 측벽부(12)의 기부 단부로부터 측벽부(12)의 상부 에지부를 따라 전방 단부까지 연장하면서, 측벽부(12)의 상부 에지부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한다. 부가로, 안내 홈(14)의 기부 단부에 근접한 영역은 수직 방향의 폭이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부(11)가 기부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로 연장함에 따라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슬로프로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홈(14)과 저부(11)의 상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기부 단부측에 근접하여 커지고 전방 단부측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벽부(13)에 형성된 안내홈(15)은 안내홈(14)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안내홈(14)과 동일한 형상으러 형성된다. 또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의 일측에 제공된 지지 샤프트(32)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 구멍(16)은 측벽부(12)의 전방 단부를 구성하는 넒은 표면(12a)의 대략 중심에 형성되고, 튜브 권취부(30)의 타측에 제공된 회전 정지부(33)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17)은 측벽(13)의 전방 단부를 구성하는 넓은 표면(13a)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다.
다중 결합 오목부(17a)는 넓은 표면(13a)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부(17) 주위에 서로 소정 거리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부(13)쪽으로 돌출하는 굴곡면을 갖는 유지 돌출부(12b)는 넓은 표면(12a)의 상부 에지부에 형성된 지지 구멍(16) 위쪽으로 떨어져서 형성되고, 측벽부(12)쪽으로 돌출하는 굴곡면을 갖는 유지 돌출부(13b)는 넓은 표면(13a)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부(17) 위쪽으로 떨어져서 형성된다.
그 다음에, 튜브(T)가 통과하도록 오목부(18a)를 갖는 구획부(18)는 튜브 설치부(10)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다. 구획 플레이트(18)의 오목부(18a)의 상부 에지부는 외측으로 개방된다. 그 다음에, 연장되어 서로 접근하는 대향 돌출부(18b, 18c)가 구획부(18)의 상부 중심부의 개방된 위치에서 제공된다. 돌출부(18b, 18c)들 사이의 거리는 튜브(T)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튜브(T)는 반경 방향으로 찌부러짐에 의해 돌출부(18b, 18c)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유동률 조절 롤러(20)는 측벽부(12, 13)와, 롤러부(21)의 중심축을 따라 롤러부(21)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중심축부(22) 사이의 공간보다 약간 작은 두께를 갖는 디스크형 롤러부(21)로 구성된다. 그 다음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중 미끄럼 방지 돌출부(23)가 주연 방향을 따라 롤러부(21)의 주연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중심축부(22)의 직경은 수직 방향으로 안내홈(14, 15)의 폭보다 좁게 제조된다. 따라서, 유동률 조절 롤러(20)는 튜브 설치부(10) 내측으로 수직 방향 내의 작은 공간에서 이동됨에 따라 기부 단부와 튜브 설치부(10)의 전방 단부의 측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튜브(T)가 설명의 편의상 도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튜브(T)가 롤러 클램프(RC)에 부착될 때, 튜브(T)는 롤러부(21)와 홈부(11d)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측에 위치된다.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샤프트 주 본체(31)의 일단부에서 지지 샤프트(32)를 제공하고 타단부에서 회전 정지부(33)를 제공함으로써 구성된다. 샤프트 주 본체(31)는 각각의 측면이 외측으로 팽출한 삼각형 단면을 갖는 로드형 샤프트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그 다음에, 샤프트 주 본체의 주연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링형 돌출부(34)는 축방향으로 샤프트 주 본체(31)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또한, 지지 샤프트(32)는 회전식으로 측벽부(12)의 지지 구멍(16)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 정지부(33)는 지지 샤프트(3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샤프트부(33a)의 전방 단부의 외주에 정규 인터벌로 제공된 3개의 결합 돌출부(33b)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결합 돌출부(33b)는 측벽부(13)의 구멍부(17)의 외측에 위치되고 구멍부(17)의 주연부에 형성된 각각의 다중 결합 오목부(17a)와 결합 가능하다. 따 라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지지 샤프트(32)를 측벽부(13)의 측으로부터 구멍부(17) 내로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결합 오목부(17a)를 갖는 각각의 결합 돌출부(33b)와 결합시킴으로써 튜브 설치부(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돌출부(33b)와 결합 오목부(17a)는 상이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튜브(T)가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의 샤프트 주 본체(31)에 권취될 때 오버랩되는 튜브(T)의 두 에지부는 돌출부(12b, 13b)를 보유함으로써 튜브 설치부(10)의 탈락을 방지한다. 여기서, 튜브(T)의 오버랩부는 돌출부(34)에 의해 샤프트 주 본체(31)의 양측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롤러 클램프(RC)의 경우에, 소정량의 튜브(T)가 제조 프로세스 동안 샤프트 주 본체(31)에 권취된다. 이 때, 소정량의 튜브(T)가 샤프트 주 본체(31) 주위에 단단히 권취됨에 따라, 샤프트 주 본체(31) 주위에 권취된 부분은 돌출부(34)를 가로질러 샤프트 주 본체(31)의 양측에 위치된다. 그 다음에, 롤러 클램프(RC)가 이용될 때, 튜브(T)의 상류 단부는 약제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에 연결되고, 튜브(T)의 하류 단부는 환자의 신체에 삽입되는 자가 보유 니들과 같은 센테시스 요소(centesis element)에 연결된다.
다음에, 약제 유체가 용기로부터 튜브(T) 내로 유동하고 튜브(T)의 공기가 배출된 후에, 유동률 조절 롤러(20)는 약제 유체의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튜브 설치부(10)의 전방 단부의 측에 위치된다. 센테시스 요소는 이러한 상태 하에서 소정 위치에서 환자의 신체를 천공하고, 롤러(20)는 튜브(T)의 약제 유체의 유동률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 튜브 설치부(10)의 기부 단부의 측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된 다. 그 다음에, 튜브(T) 상의 유동률 조절 롤러(20)와 튜브 권취 샤프트부(30) 사이의 느슨함은 샤프트 주 본체부(31) 주위에 권취된 튜브(T)의 일부가 너무 팽팽하거나 너무 느슨하지 않게 되도록 죄어진다.
여기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각각의 결합 돌출부(33b)와 결합 오목부(17a)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튜브 권취 샤프트부(30)가 약간 외향으로 당겨져서 필요에 따라 회전 가능하다. 그 결과, 고정량의 약제 유체가 용기로부터 환자에게로 공급될 수 있다. 약제 유체가 환자에게 공급되는 중에 환자가 부주의하게 이동함에 따라 튜브(T)가 당겨지더라도, 튜브(T)에 가해지는 힘은 유동률 조절 롤러(20)에 도달하지 않고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약제 유체의 유동률은 일시적으로만 감소되고, 약제 유체의 유동률은 튜브(T)에 인가된 당김력이 해제됨에 따라 원래 유동률로 복귀한다. 또한, 튜브(T) 내로 유동하는 약제 유체의 유동률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동률 조절 롤러(20)는 의도된 유동률이 달성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에, 튜브(T)가 당겨지는 양은 튜브(T)가 당겨지더라도 유동률 조절 롤러(20)가 쉽게 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롤러 클램프(RC)에 대해, 튜브(T)를 통해 유동하는 약제 유체의 유동률은 튜브 설치부(10)에 대한 유동률 조절 롤러(20) 및 튜브 설치부(10)의 저부(11)와 유동률 조절 롤러(20) 사이에 샌드위치된 부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 가능하고, 유동률 조절 롤러(20)는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의 샤프트 주 본체(31) 주위에 튜브(T)를 권취함으로써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약제 유체는 튜브(T)를 통해 신뢰성있게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튜브(T)가 갑자기 당겨지더라도, 튜브 권취 샤프트부(30) 주위에 권취된 튜브(T)의 일부만이 그 부분이 신장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수축되지만, 유동률 조절 롤러(20)와 튜브(T)의 위치를 변경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회전되도록 하고, 각각의 결합 돌출부(33b)는 소정의 위치에서 롤러 클램프(RC)를 고정시키도록 각각의 결합 오목부(17a)와 결합된다. 따라서, 튜브(T)는 롤러 클램프(RC)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한다.
또한, 튜브(T)가 권취되는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이러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주 본체(31)가 대략 삼각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와 튜브(T) 사이에 발생된 마찰이 증가되어, 튜브(T)의 변위는 방지된다. 부가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가 튜브 설치부(10)에서 유동률 조절 롤러(20)보다 환자에게 근접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유동률 조절 롤러(20)와 튜브(T)는 변위되기 어렵게 되고, 튜브(T)를 통한 유동률은 변화하기 어렵다.
또한, 롤러 클램프는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실행시에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측의 측면에서 튜브(T)의 단부는 환자의 측으로 연장되고, 튜브(T)의 유동률 조절 롤러(20)의 단부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약제 유체가 보유되는 용기측으로 연장되더라도, 그 방향은 역전 가능하다. 여기서, 튜브(T)가 튜브 권취 샤프트부(30) 주위에 권취되기 때문에, 유동률 조절 롤러(20)와 튜브(T)는 변위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결합 돌출부(33b)와 각각의 결합 오목부(17a)를 제공하는 대신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T)가 당겨질 때 튜브(T)에 대한 큰 힘의 인가가 방지될 수 있다. 즉, 튜브(T)가 당겨질 때 튜브 권취 샤프트부(30)가 회전되기 때문에, 튜브(T)는 큰 힘이 인가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매우 큰 신장이 발생하지 않고, 튜브(T)가 파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튜브(T)를 당기는 힘이 해제됨에 따라 신장된 튜브(T)는 원래 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튜브(T)를 통해 유동하는 약제 유체의 유동률은 소정의 유동률로 복귀된다.
여기서, 또한 튜브(T)가 유동률 조절 롤러(20) 및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와 결합하기 때문에, 튜브(T)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은 유동률 조절 롤러(20)와 결합되는 부분과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와 결합되는 부분이 모두 변위되지 않는 한 결코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측벽부(12, 13)를 가로질러 위치되더라도, 튜브 권취 샤프트부는 저부(1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샤프트 본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튜브 권취 샤프트부가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회전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주 본체(31)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대략 삼각형 단면을 갖지만, 단면적은 삼각형일 필요는 없다. 삼각형이외에도, 샤프트 주 본체(31)는 또한 원형일 수 있고 또는 3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체가 약제 유체였지만, 이러한 유체는 환자에게 공급되는 치료 유체이면 임의의 유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영양분 공급제 또는 혈액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롤러 클램프의 전술한 부분 이외의 부분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로부터 벗어남없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튜브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소정의 비율로 유지할 수 있는 롤러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롤러 클램프이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하는 저부(11)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그 높이가 변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저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두 에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측면에 안내홈(14, 15)이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12, 13)를 포함하는 튜브 설치부(10)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12, 13)를 가로질러 배치된 중심축부(22)를 갖고, 상기 안내홈(14, 15)에 의해 두 에지부에서 가동식으로 지지되는 유동률 조절 롤러(20)와,
    축방향으로 상기 중심축부(22)의 중심에 제공되어, 상기 중심축부(22) 주위의 안내홈(14, 1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튜브(T)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률을 조절하도록 상기 저부(11)에 대해 튜브 설치부(10)에서 제공되는 유체 유동용 튜브(T)를 가압하는 롤러부(21)와,
    상기 저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설치부(10)에, 상기 유동률 조절 롤러(20)가 이동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튜브를 권취하기 위한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를 포함하는 롤러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권취 샤프트부(30)는 회전 방향으로 소정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클램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T)가 튜브 권취 샤프트부(30)에 권취되는 부분은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클램프.
  5. 튜브의 유체 유동률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 유동 조절기이며, 롤러 클램프와 튜브 보유 페그를 합체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롤러 클램프를 통과하여 상기 페그 주위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 조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그는 상기 본체에서 회전 가능한 유체 유동 조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그는 둥근 단면을 갖는 유체 유동 조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그는 둥근 삼각형 단면을 갖는 유체 유동 조절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보유 페그는 상기 튜브에 인가된 장력과 상기 롤러 클램프 사이의 장력 격리를 제공하는 유체 유동 조절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식 페그에 부착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유동 조절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식 페그의 자유 회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작동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경사 링을 포함하는 유체 유동 조절기.
KR1020070022283A 2006-03-08 2007-03-07 롤러 클램프 KR100862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2337A JP4817893B2 (ja) 2006-03-08 2006-03-08 ローラクランプ
JPJP-P-2006-00062337 2006-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141A true KR20070092141A (ko) 2007-09-12
KR100862513B1 KR100862513B1 (ko) 2008-10-08

Family

ID=3801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283A KR100862513B1 (ko) 2006-03-08 2007-03-07 롤러 클램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10784B2 (ko)
EP (1) EP1832304A1 (ko)
JP (1) JP4817893B2 (ko)
KR (1) KR100862513B1 (ko)
CN (1) CN101058001B (ko)
AU (1) AU2007200988B2 (ko)
BR (1) BRPI0700652A (ko)
CA (1) CA2580674C (ko)
IL (1) IL181381A0 (ko)
MX (1) MX2007002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6A1 (ko) * 2014-12-31 2016-07-07 정인화 밀폐식 석션 카테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9330A (en) * 2008-04-24 2009-10-28 Robert Almond Flow restrictor for a hose
DE102010005597A1 (de) * 2010-01-25 2011-07-28 BOMAG GmbH, 56154 Bodenverdichtungsgerät mit abklemmbarer Kraftstoffleitung
KR101266756B1 (ko) * 2012-06-20 2013-05-28 김동식 플러싱 기능을 가진 수액조절기
EP2693090B1 (de) 2012-08-01 2015-01-28 Vacuubrand Gmbh + Co Kg Handbedieneinheit für eine Absaugvorrichtung
US9572933B2 (en) * 2014-09-19 2017-02-21 Shawn Grannell Extravas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10232130B2 (en) 2015-03-26 2019-03-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nti-run dry membrane
US10201667B2 (en) 2015-03-26 2019-02-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V membrane attachment systems and methods
US10646648B2 (en) 2015-04-01 2020-05-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V flow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P3746144A4 (en) 2018-02-02 2021-11-24 Calyxo, Inc. DEVICE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KIDNEY STONE REMOVAL BY COMBINED SUCTION AND FLUSHING
CN116857391B (zh) * 2023-09-05 2023-11-03 烟台金丝猴食品科技有限公司 液体出料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6015A (en) * 1952-12-30 1955-12-06 Everett E Walker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from a collapsible tube
JPS54108492A (en) 1978-02-13 1979-08-25 Nitsushiyou Kk Roller clamp
JPH0316570A (ja) 1989-06-14 1991-01-24 Nissho Corp ローラクランプ
US5232193A (en) * 1989-09-20 1993-08-03 Baxter International Inc. Clamp for intravenous tubing
US5078703A (en) * 1989-10-13 1992-01-07 Abbott Laboratories Catheter adapter and retainer
US5058771A (en) * 1989-12-14 1991-10-22 William Curtis Tube rollup
JPH06109147A (ja) 1990-12-14 1994-04-19 Nissho Corp ロ−ラクランプ
JP3518119B2 (ja) 1995-12-05 2004-04-1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ロ−ラクランプ
US6422529B1 (en) * 1996-05-07 2002-07-23 Adelberg Kenneth Roller clamps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sets
US5827238A (en) * 1997-10-30 1998-10-27 Microwave Medical Systems, Inc. Roller clamp-connecto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6A1 (ko) * 2014-12-31 2016-07-07 정인화 밀폐식 석션 카테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0674C (en) 2010-08-31
MX2007002714A (es) 2008-11-14
US20070272886A1 (en) 2007-11-29
JP4817893B2 (ja) 2011-11-16
AU2007200988A1 (en) 2007-09-27
AU2007200988B2 (en) 2009-02-19
EP1832304A1 (en) 2007-09-12
JP2007236589A (ja) 2007-09-20
CA2580674A1 (en) 2007-09-08
KR100862513B1 (ko) 2008-10-08
CN101058001A (zh) 2007-10-24
US7810784B2 (en) 2010-10-12
IL181381A0 (en) 2007-07-04
CN101058001B (zh) 2010-06-09
BRPI0700652A (pt)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513B1 (ko) 롤러 클램프
ES2734213T3 (es) Emisor y tubo para riego por goteo
JP6532757B2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JP4691528B2 (ja) 流体流を制御するための調節可能の二方弁構造および限界圧力差を調節する方法
US7594902B2 (en) Catheter head with catheter drain in discrete rotational positions
JP7257318B2 (ja) 安全機能と圧力制御弁体を備えた静脈カテーテル装置
MX2012006037A (es) Camara de goteo con control de flujo.
EP3075237A1 (en) Emitter and drip irrigation tube
KR20050057507A (ko)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KR100578001B1 (ko) 약액 유량 조절기
JP2020521617A (ja) チューブ構成要素
WO2018055977A1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KR101312556B1 (ko)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100007015A (ko)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0474401Y1 (ko) 링거액 유량 조절장치
US20080125727A1 (en) Apparatus for the administration of a fluid product
JP7156651B2 (ja) クランプ
US20200254222A1 (en) Fixation devices for catheters
JP4866142B2 (ja) 混注ポート
KR102486266B1 (ko)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KR20160137184A (ko) 약물주입을 위한 미세유로를 가지는 단일채널 조향 카테터
JPH052194Y2 (ko)
JP7144728B2 (ja) 流量制御装置
JP2002119592A (ja) 流量調節器および輸液・輸血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