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811A -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811A
KR20070091811A KR1020060021407A KR20060021407A KR20070091811A KR 20070091811 A KR20070091811 A KR 20070091811A KR 1020060021407 A KR1020060021407 A KR 1020060021407A KR 20060021407 A KR20060021407 A KR 20060021407A KR 20070091811 A KR20070091811 A KR 2007009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m
creep
driving
brak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811A/ko
Publication of KR2007009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 RPM 및 차속이 완만하게 감소될 수 있어, 디젤 엔진 차량에서 크립 주행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은, 차량의 주행 상태가 크립(creep)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 변속기의 단수를 인식하는 단계(S20); 브레이크로부터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되며 변속기 단수에 따른 크립 RPM보다 낮은 정지 RPM이 적용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 RPM 및 차속이 완만하게 감소될 수 있어, 디젤 엔진 차량에서 크립 주행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DRIVING EFFICIENCY IMPROVING METHOD IN CREEP DRIVING}
도 1은 종래의 크립 주행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크립 주행 중 브레이크가 작용한 경우 차속 및 엔진 RPM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중 브레이크가 작용한 경우 차속 및 엔진 RPM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 RPM 및 차속이 완만하게 감소될 수 있어, 디젤 엔진 차량에서 크립 주행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속 페달(accelerator pedal)을 밟지 않고 엔진의 아이들(idle) RPM만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크립(creep) 주행이라고 한다. 주로 도로가 막히는 경우 또는 운전자의 의지로 서행을 하고자 할 때 크립 주행을 하게 된다. MT(Manuel Transmission; 수동 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시속 10 내지 20km/h 정도의 낮은 속도로 일정하게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서행을 필요로 하는 도심 정체구간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MT 차량의 경우 각 단수별로 크립 RPM이 설정되어 있어서, ECU(Engine Control Unit; 엔진 제어장치)가 크립 주행을 인식하게 되면 각 단수에 맞는 엔진 회전수(RPM)가 계산된다. 이러한 크립 RPM은 소음이나 주행 성능 등 여러 가지 테스트를 거쳐서 결정된다. 현재 디젤 차량에는 크립 RPM은 수동 변속기가 1단에서 850 RPM, 2단 이상인 경우에는 950 RPM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립 주행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을 참고하면, ECU에서 차량이 크립 주행 상태인 것을 인식하게 되면, 변속기의 단수를 인식하여, 이 변속기의 단수(예컨대 1단 내지 5단)에 따라 설정된 크립 RPM에 맞추어 일정한 속도로 차량이 크립 주행을 계속하게 된다. 이 때 차량의 변속기간 수동 변속기(MT)인 경우에는 차속을 RPM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크립 RPM을 계산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크립 주행 중 브레이크가 작용한 경우 차속 및 엔진 RPM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변속기 단수는 2단, 차속은 14km/h, RPM은 950인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로서, 2단 크립 주행 중 브레이크를 살짝(약 15%) 밟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는 차량이 서행으로 이동하 던 중 감속을 위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살짝 밟은 상태에 해당된다.
도 2로부터, 크립 주행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살짝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은 정지하려고 하지 않고 계속에서 RPM 및 차속을 유지하려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자는 차량이 자신의 조작대로 제어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변속기 2단에서 크립 RPM이 약 950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엔진의 RPM이 목표 RPM인 950을 따라 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의 경우에는 토크가 디젤 엔진보다 작기 때문에, 위와 같이 브레이크를 밟아도 차속 및 RPM이 감소하지 않는 문제점이 일어나지 않으나, 디젤 엔진에서는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그리고 크립 RPM은 차량의 소음 및 주행 성능 등 여러 가지 테스트를 거쳐 게산된 값이기 때문에 무작정 낮출 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립 주행 중 브레이크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 RPM 및 차속이 완만하게 감소될 수 있어, 디젤 엔진 차량에서 크립 주행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가 크립(creep)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 변속기의 단수를 인식하는 단계(S20); 브레이크 로부터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되며 변속기 단수에 따른 크립 RPM보다 낮은 정지 RPM이 적용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 RPM 및 차속이 완만하게 감소될 수 있어, 디젤 엔진 차량에서 크립 주행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정지 RPM은 약 700으로서, 엔진 RPM 및 차속을 완만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추후 브레이크가 해제될 것을 대비하여 엔진 RPM이 너무 낮아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0)단계에서 브레이크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변속기 단수에 따르는 크립 RPM이 적용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ECU가 크립 주행 상태를 인식하고 변속기 단수에 따른 크립 RPM을 엔진에 적용할 때,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브레이크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크립 RPM에 따르는 주행을 계속하고,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크립 RPM이 아니라, 별도로 충분히 낮게 설정된 정지 RPM이 엔진에 적용되도록 하여, 크립 주행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엔진의 RPM 및 차속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ECU는 차량의 주행 상태가 크립 주행 상태인지 판단한다(S10). 차량이 크립 주행 상태인 경우, 변속기의 단수를 인식하여, 인식된 단수에 따르는 크립 RPM을 목표 RPM으로 하여 크립 주행을 실시한다(S20). 물론 변속기가 수동 변속기인 경우에는 차속을 RPM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목표 RPM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크립 주행 중에는, 브레이크의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브레이크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변속기 단수에 따른 크립 RPM 값이 적용되어 차량은 크립 주행을 하게 된다(S50). 만일 브레이크 신호가 있으면, 상기 크립 RPM 값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크립 RPM보다 충분히 낮게 설정된 정지 RPM이 적용되어 크립 주행 상태보다 엔진의 RPM 및 차속이 보다 감소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 정지 RPM 값은 엔진 RPM 및 차속을 완만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추후 브레이크가 해제될 것을 대비하여 엔진 RPM이 너무 낮아지지 않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700 RPM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중 브레이크가 작용한 경우 차속 및 엔진 RPM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에 의하면,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 경우에 차속과 RPM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은 크립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 RPM 및 차속이 완만하게 감소될 수 있어, 디젤 엔진 차량에서 크립 주행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주행 상태가 크립(creep) 주행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
    변속기의 단수를 인식하는 단계(S20);
    브레이크로부터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되며 변속기 단수에 따른 크립 RPM보다 낮은 정지 RPM이 적용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RPM은 약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에서 브레이크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변속기 단수에 따르는 크립 RPM이 적용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KR1020060021407A 2006-03-07 2006-03-07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KR20070091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07A KR20070091811A (ko) 2006-03-07 2006-03-07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07A KR20070091811A (ko) 2006-03-07 2006-03-07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11A true KR20070091811A (ko) 2007-09-12

Family

ID=3868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407A KR20070091811A (ko) 2006-03-07 2006-03-07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8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5186B1 (en) 2014-09-30 2016-04-1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eep torque of hybrid electric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3429A (ja) * 1986-03-31 1987-10-13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2127132A (ja) * 1988-11-08 1990-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の速度制御装置
JPH04112943A (ja) * 1990-08-30 1992-04-1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914297A (ja) * 1995-07-03 1997-01-1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20020018756A (ko) * 2000-09-04 2002-03-09 이계안 차량의 크리프 주행 운전성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3429A (ja) * 1986-03-31 1987-10-13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2127132A (ja) * 1988-11-08 1990-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の速度制御装置
JPH04112943A (ja) * 1990-08-30 1992-04-1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914297A (ja) * 1995-07-03 1997-01-1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20020018756A (ko) * 2000-09-04 2002-03-09 이계안 차량의 크리프 주행 운전성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5186B1 (en) 2014-09-30 2016-04-1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eep torque of hybrid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7876B2 (en) Decel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US86907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op-start system for a vehicle engine
US20090114468A1 (en) Method for Vehicle Creep Torque Control
US89589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coasting operating mode
JP2007500824A (ja) 自動車における自動変速機の運転方法
JP5883472B2 (ja) 自動車を動作させる装置
CN1590739A (zh) 内燃发动机的燃料切断控制系统
KR20070091811A (ko) 크립 주행 중의 운전성 개선방법
KR20110116594A (ko) 슬라이딩 모드 제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차간 유지 방법
KR101500220B1 (ko) 차량의 래틀소음 저감방법
KR101448765B1 (ko) 액티브 에코 드라이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036524B2 (ja) 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10462203B (zh) 用于引起机动车的内燃机的自动的关断和/或接通过程的起停装置
CN114754134A (zh) 一种挡位控制方法及装置
KR970046538A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 적합도 판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1111896A (ja)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JP2011085140A (ja) 内燃機関と機械式動力伝達装置とを搭載した自動車の運転方法
KR20200062430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4889578A (zh) 汽车行驶过程同时踩下刹车和油门的控制方法
JP2010270689A (ja) 内燃機関の自動停止制御装置
JP2004316550A (ja) ドライバの加減速意思の判定方法
KR100911539B1 (ko) 자동변속기의 내리막 퍼지 제어방법
KR101992752B1 (ko) 자동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329786A (ja) 追従走行制御装置
KR100357590B1 (ko) 연료 차단 해제시 댐퍼 클러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