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167A - 전자 사진용의 압출된 토너 수용체 층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의 압출된 토너 수용체 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0167A KR20070090167A KR1020077012106A KR20077012106A KR20070090167A KR 20070090167 A KR20070090167 A KR 20070090167A KR 1020077012106 A KR1020077012106 A KR 1020077012106A KR 20077012106 A KR20077012106 A KR 20077012106A KR 20070090167 A KR20070090167 A KR 20070090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receptor
- layer
- polyolefin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22—Heterocyclic compounds
- G03G5/06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 G03G5/066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in different ring systems, each system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 r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22—Heterocyclic compounds
- G03G5/06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e hetero ring
- G03G5/062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e hetero ring being three- or four-membere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98—Compounds of unspecifi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substituent onl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28—Next to second layer of polyami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 및 에스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과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을 위에 갖는 기재(base)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체 층의 측정된 Tg가 5℃ 미만의 Tg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수용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토너 수용체 층.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인쇄용 토너 수용체 부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단일 층으로서 종이 지지체 상으로 압출되고 전자 사진술을 이용하여 사진 품질의 인쇄물을 제공하며 융합기 오일(fuser oil) 흡수성이고 광택성이며 지문 저항성이고 우수한 토너 접착력을 갖는 토너 수용체 층을 포함하는 이미지화 요소(imaging element)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이미지화 기법을 이용하여 거의 사진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높다. 심지어, 인쇄물이 할로겐화은 이미지화 기법으로 생성된 전형적인 사진 인쇄물의 외관 및 느낌(예컨대, 광택도 및 광택의 균일성, 강성 및 불투명성, 및 상응하게 낮은 오톨도톨한 외관과 함께 높은 해상도 및 선명도)을 갖게 하는 기판 상에 이러한 이미지를 생성시키고자 하는 요구는 더 높다. 디지털 전자 사진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기판 상에 사진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점은 개선된 환경 친화성, 사용의 용이성, 및 텍스트와 이미지를 조합할 때와 같이 이미지 를 자유자재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5,846,637 호는 (1) 셀룰로즈 기판; (2) 기판의 한 표면과 접촉하는 제 1 대전 방지 코팅 층; (3) 대전 방지 층 상의 제 2 토너 수용체 코팅(이는 결합제 중합체, 토너 전착제, 광견뢰도 유도제, 살생물제 및 충전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짐); 및 (4) 기판의 배면과 접촉하는 제 3 견인 조절 코팅(이는 약 -50 내지 약 5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중합체, 대전 방지제, 광견뢰도 유도제, 살생물제 및 안료로 구성됨)으로 이루어진 코팅된 제로그래픽(xerographic) 사진 용지를 기재한다. 이 용지는 기판의 배면상의 제 3 층에서 토너를 수용하지만, 이는 기판의 다른쪽 표면 상의 제 2 층 대신 이 제 3 층 상에 생성되는 이미지가 높은 이미지 품질을 갖도록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유럽 특허원 제 1,336,901 A1 호에는 릴리이스제를 함유하고 고정 벨트형 전자 사진술에 사용하기 위하여 지지체 시트 상에 생성된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을 갖는 전자 사진 이미지 수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 사용되는 지지체는 어느 한 쪽 면에 폴리에틸렌 층을 갖는 종이 기재(base)를 가졌으며, 이미지 면은 광택이 있고 배면은 무광택 마무리 외관을 갖는다. 배면 상에 토너 이미지를 수용하도록 준비된 바는 없다.
미국 특허원 제 2003/0082354 A1 호는 기재 종이, 및 열가소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에 기초하여 40질량% 미만의 보강 충전제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이미지 수용 시트를 개시한다. 열가소성 층은 기재 종이 두께의 1 내지 50%의 깊이로 침투한다. 토너 이미지의 부풀음(blister) 형성 및 거칠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이 임의의 안료 또는 충전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이미지 수용 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코팅 용액으로서 바람직하게 도포되고, 수지는 물에 가용성이거나 분산성이며, 용액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mPa.sec이다. 유사하게, 미국 특허원 제 2003/0082473 A1 호는 용액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mPa.sec인 코팅액의 사용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원 제 2003/0037176 A1 호에는 주성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이는 120℃에서 약 200 내지 2,000Pa-sec의 용융 점도를 가짐)를 함유하는 이미지 수용 층을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전사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원은 열가소성 수지의 점도가 2,000Pa-sec를 초과하는 경우, 컬러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의 매립이 불충분하고 컬러 토너 이미지가 표면 상에서 들떠서 광택 균일성을 열화시킨다고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원은 또한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을 생성시키기 위한 역회전 롤 코팅기, 바 코팅기, 커튼 코팅기, 다이 슬롯 코팅기 또는 그라비야 코팅기 같은 코팅 방법도 개시한다. 이 특허원에 개시된 전자 사진 전사 시트의 구조체는 한 면에만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을 갖는다.
미국 특허원 제 2004/0058176 A1 호에는 기재상에 코팅된 폴리에틸렌 층 상에 토너 수용 층이 코팅된 전자 사진 이미지 수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을 생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중합체 및 방법이 나열되어 있기만, 이 특허원은 수지의 압출 코팅 및 토너로의 접착 같은 공정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수지의 특성이 무엇인지 교시하고 있지 않다. 이 특허원은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의 열 가소성 수지가 하기 특성을 충족시키는 자가 분산 수분산성 폴리에스터 수지 유화액임을 청구한다: 5000의 수평균 분자량(Mn), 4 이하의 분자량 분포(중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의 비), 40 내지 100℃의 유리전이온도(Tg) 및 20 내지 200nm의 부피평균 입자 직경. 이 특허원에서는 또한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이 폴리올레핀 수지도 함유할 수 있고 이 층이 압출 코팅될 수 있음도 청구한다.
미국 특허 제 6,217,708 호는 그 위에 코팅된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을 갖지 않는 전자 사진용 총천연색 전사 용지를 개시한다. 이 방법은 종이의 얼룩 및 다른 종이 결함을 나타내는 사진 또는 이미지를 생성시키기 때문에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원 제 2003/0175484 A1 호는 탁월한 광택을 갖고 고압하에 고온에서의 고정 단계 동안 높은 오프셋 저항성을 갖는 이미지 수용 시트의 제조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가 알콜 성분의 몰수에 기초하여 10% 이상의 비스페놀 A를 다가 알콜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달성하며,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0.3 내지 0.7의 고유 점도(IV)를 갖는다. 이 특허원은 폴리에스터의 분지화에 대해서는 논의 또는 청구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압출 코팅을 가능케하는 특성에 대해서도 논의 또는 청구하지 않는다.
미국 특허원 제 2003/0235683 A1 호에는 지지체 및 열가소성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이는 지지체의 표면 상에 배치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이미지 수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지지체의 표면은 75°에서 25% 이상의 광택도를 갖고 열가소성 수지의 질량에 기초하여 40질량% 미만의 안료 함량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또한 부풀음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 이미지 수용 층이 임의의 안료 또는 충전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입자 크기는 또한 전자 사진에서 이미지 품질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보다 작은 입자가 통상적으로 더욱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생성시킨다. 그러나, 입자가 작아짐에 따라 입자를 광전도체에 보유시키는 힘의 물리적 현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바, 이들을 광전도체로부터 수용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신규 방법이 필요하다. 매우 작은 토너 입자를 사용한다면 이 방법에 의해 사진 품질의 인쇄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작은 입자를 사용하는 단점은 이들을 맨 종이 위로 전달함에 있어서의 어려움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수용체 시트의 표면을 열가소성 층으로 코팅한 미국 특허 제 4,968,578 호에 설명되어 있다.
광택 차이, 이미지 들뜸 및 잔류 표면 융합기 오일이 최소화되고 토너 접착력이 최대화되는, 높은 광택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사진 인쇄용의 개선된 토너 수용체 요소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쇄물이 지문 저항성 및 액상 오염 저항성일 것이 요구된다. 모든 특허 및 특허원에서는, 여러 제조 단계를 이용하여 토너 수용체 요소를 제조하였다. 저렴한 비용의 매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체 요소 제조에서의 제조 단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중합체 용융 압출 코팅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전자 사진 인쇄용의 저렴한 매체를 생성시킬 필요가 있다.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
융합 후 광택 차이가 감소된 수용체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거의 사진 품질의 인쇄물을 생성시키는 전자 사진 인쇄용 토너 수용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전자 사진 인쇄에 적합한 토너 수용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 및 에스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과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의 측정된 Tg는 5℃ 미만의 Tg를 포함함)을 그 위에 갖는 기재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수용체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융합 후 개선된 광택을 갖는 수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광택 차이, 이미지 들뜸 및 잔류 표면 융합기 오일이 최소화되고, 토너 접착력이 최대화되며, 시판중인 점토 코팅된 종이에 비해 지문 저항성 및 내수성을 나타내는, 거의 사진 품질의 고광택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사진 인쇄용 토너 수용체 요소를 제공한다. 토너 수용체 요소는 또한 탁월한 백색도(degree of whiteness)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과 에스터 함유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토너 수용체 층용 물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체 층의 측정된 Tg는 5℃ 미만의 Tg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과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토너 수용체 층용 물질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체 층의 측정된 Tg는 5℃ 미만의 Tg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마이드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스터(예컨대,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개질된 폴리올레핀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토너 수용체 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도제 층 또는 결합 층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압출된 단일 층으로서 기재로 도포될 수 있는 토너 수용체 층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속으로 압출 코팅될 수 있는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만질 때 들러붙지 않고 점착성이지 않은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융합기에서 표면 상에 위치하는 실리콘유를 흡수하는 토너 수용체 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들 이점 및 다른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부재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순서대로 포함하는데, 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은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마이드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스터(예컨대,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 또는 폴리올레핀과 개질된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블렌드의 층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기재"는 종이, 폴리에스터, 비닐, 합성 종이, 직물 또는 이미지를 보는데 적합한 다른 물질 같은, 이미지화 요소의 주요 부품인 기판 물질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는 이미지화 용도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기재일 수 있다. 전형적인 기재는 직물, 종이 및 중합체 시트일 수 있다. 기재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고, 반사성이거나 반사성이 아닐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투명한"은 상당한 편향 또는 흡수 없이 선(radiation)을 통과시키는 능력을 의미한다. 불투명한 기재는 맨 종이(plain paper), 코팅된 종이, 합성 종이, 저밀도 포움 코어를 기제로 하는 기판 및 저밀도 포움 코어를 기제로 하는 종이를 포함한다. 기재는 또한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PPG Industries, Inc.)에서 상표명 테슬린(Teslin; 등록상표)으로 시판중인 폴리에틸렌 중합체-함유 물질, 타이벡(Tyvek; 등록상표) 합성 종이[듀퐁 코포레이션(DuPont Corp.)], 듀라폼(Duraform; 등록상표) 같은 함침된 종이, 오피팔라이트(OPPalyte; 등록상표) 필름[모빌 케미칼 캄파니(Mobil Chemical Co.)] 및 미국 특허 제 5,244,861 호에 나열된 다른 복합체 필름 같은 미세다공성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투명한 기재는 유리; 셀룰로즈 에스터, 셀룰로즈 트라이아세테이트, 셀룰로즈 다이아세테이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로피온에이트,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뷰티레이트 같은 셀룰로즈 유도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같은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설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터 이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나열된 종이는 최상급 종이(예컨대, 사진 용지)로부터 최하급 종이(예컨대, 신문 용지)까지의 광범위한 종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는 약 50 내지 약 500㎛,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3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화 지지체는 임의의 수의 보조 층, 예컨대 기능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층은 결합 층 또는 접착 촉진 층, 운송 층, 차단 층, 접착(splice) 제공 층 및 UV 흡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에 코팅되어 이미지화 지지체를 생성시키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용융 압출 코팅가능한 폴리올레핀 물질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코팅에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스타이렌, 폴리뷰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헥센, 뷰텐 및 옥텐 같은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비롯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도 유용하다. 폴리올레핀을 또한 폴리에스터(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설폰,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폴리카본에이트, 셀룰로즈 에스터(예컨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즈 프로피온에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와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는 비닐 스테아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아마이드,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및 비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은 가격이 저렴하고 바람직한 코팅 특성을 갖기 때문에 수지 코팅된 종이 지지체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필름 형성성이고 종이에 대해 접착성이다. 사용가능한 폴리에틸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0.90 내지 0.980g/cm3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지지체가 종이 및 하나 이상의 2축 또는 1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층 구조체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아연, 황화아연, 이산화지르코늄, 연백(white lead), 황산납, 염화납, 알루민산납, 프탈산납, 삼산화안티몬, 백색 비스무트, 산화주석, 백색 망간, 백색 텅스텐 및 이들의 조합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백색 안료를 지지체 상의 이미지화 기재의 폴리올레핀 수지 층에 혼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안료는 높은 굴절률(이로 인해 합리적인 가격에서 탁월한 광학 특성이 제공됨) 때문에 이산화티탄(TiO2)이다. 안료는 폴리올레핀 내에서 편리하게 분산되는 임의의 형태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안료는 예추석(anatase) 이산화티탄이다. 가장 바람직한 안료는 가장 저렴한 비용에서 최고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금홍석 이산화티탄이다. 금홍석 TiO2의 평균 안료 직경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6㎛이다. 0.26㎛보다 큰 안료는 이미지화 요소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황색이고, 0.1㎛ 미만의 안료는 중합체에 분산될 때 충분히 불투명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를 폴리올레핀 코팅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7 내지 약 50중량%로 사용해야 한다. TiO2 7% 미만에서는, 이미지화 시스템이 충분히 불투명하지 않고 열등한 광학 특성을 갖게 된다. 50%보다 많은 TiO2의 경우에는,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할 수 없다.
수산화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화합물 또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갖는 알루미나, 플루오라이드 화합물 또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갖는 실리카, 수산화규소, 이산화규소, 산화붕소, 보리아-개질된 실리카(미국 특허 제 4,781,761 호에 기재되어 있음), 포스페이트, 산화아연 또는 ZrO2 같은 무기 화합물로, 또한 다가 알콜, 다가 아민, 금속 비누, 알킬 티타네이트, 폴리실록세인 또는 실레인 같은 유기 처리제로, 지지체 상의 이미지화 기재에 사용되는 TiO2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TiO2 처리제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의 중량에 대해 무기 처리제의 경우 0.2 내지 2.0%, 유기 처리제의 경우 0.1 내지 1%이다. 이러한 처리제 수준에서, TiO2는 중합체에 잘 분산되고 이미지화 지지체의 제조를 방해하지 않는다.
이미지화 기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TiO2 및 임의적인 다른 첨가제를 분산제의 존재하에 서로 혼합할 수 있다. 분산제의 예는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팔미트산칼슘, 라우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지르코늄 옥틸레이트 또는 스테아르산아연 고급 지방산 같은 고급 지방산의 금속 염, 고급 지방 아마이드 및 고급 지방산이다. 바람직한 분산제는 스테아르산나트륨이고, 가장 바람직한 분산제는 스테아르산아연이다. 이들 분산제 둘 다는 수지 코팅된 층에 탁월한 백색도를 부여한다.
또한, 착색제, 증백제, 대전 방지제, 가소화제, 산화방지제, 활지제(slip agent) 또는 윤활제 및 광 안정화제(수지 코팅된 지지체에) 뿐만 아니라 살생물제(종이 요소에)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첨가제를 첨가하여 특히 충전제 및/또는 착색제의 분산성 뿐만 아니라 가공 동안의 열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및 최종 마무리된 제품의 제조능 및 긴 수명을 개선시킨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코팅은 4,4'-뷰틸리덴-비스(6-3급-뷰틸-메타-크레솔), 다이-라우릴-3,3'-티오프로피온에이트, N-뷰틸화-p-아미노페놀, 2,6-다이-3급-뷰틸-p-크레솔, 2,2-다이-3급-뷰틸-4-메틸-페놀, N,N-다이살리실리덴-1,2-다이아미노프로페인, 테트라(2,4-3급-뷰틸페닐)-4,4'-다이페닐 다이포스포나이트, 옥타데실 3-(3',5'-다이-3급-뷰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온에이트), 상기 화합물의 조합 등과 같은 산화방지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팔미트산칼슘, 지르코늄 옥틸레이트, 라우르산나트륨 같은 고급 지방족 산 금속 염, 및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마그네슘 및 벤조산아연 같은 벤조산의 염 등의 열 안정화제;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HALS)[이의 바람직한 예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뷰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4-피페리딘일)-이미노]-1,6-헥세인다이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이미노]}; 키마솔브(Chimassorb) 944 LD/FL임] 같은 광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이미지화 지지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코팅은 연속적인 다중 코팅 또는 동시 압출을 통한 다중 코팅에 의해 달성되는 것과 같은 다층 폴리올레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요구되는 수지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면에서 1 내지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구조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층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는 폴리올레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3층 구조체에서, 각 면 상의 3개의 층중 2개(바람직하게는 두 외부 층)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중심 또는 기재에 인접한 층 대 외부 층의 두께 비는 1 내지 8이고, 5 내지 7이 가장 바람직하다. 외부 층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임의적으로 안료 및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종이 기재 물질을 폴리올레핀으로 코팅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온 용융물로부터의 압출에 의한다. 지지체의 의도하는 특정 용도에 따라, 광범위한 압출 온도(예를 들어, 150 내지 350℃) 및 광범위한 속도(예컨대, 60 내지 460m/분) 내에서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용도에서, 바람직한 압출 온도는 300 내지 330℃이다.
전위 기록 및 전자 사진 공정 및 이들의 개별적인 단계는 다수의 문헌 및 간행물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정은 광전도체를 하전 및 노출시키고, 하전된 착색된 입자(토너)로 이미지를 현상하며, 임의적으로는 현상된 이미지를 제 2 기판(예컨대, 고무 같은 연질-탄성 표면 또는 고무 블랭킷을 갖는 실린더)으로 전사한 다음, 최종 기판 또는 수용체 상으로 전사하고, 이미지를 수용체 상에 고정 또는 융합시킴을 포함하는, 정전기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기본 단계를 포함한다. 환경 안정성 및 확장 이미지 품질 면에서, 중간 전사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최종 수용체 시트는 토너 입자를 수용하도록 디자인된 토너 수용체 층을 가질 수 있다.
토너 패턴을 토너 수용체 층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시트를 융합 롤의 닙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수용 시트 상의 토너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토너 중합체 및 토너 수용체 층의 열가소성 중합체는 둘 다 융합 롤의 압력하에 함께 접착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연화 또는 융합된다. 토너 수용체 층 및 토너가 둘 다 연화 및 융합될 때, 토너는 열가소성 토너 수용체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자가-고정 토너의 경우, 공기-건조 또는 가열에 의해 종이로부터 잔류 액체를 제거한다. 용매를 증발시키면, 이들 토너는 종이에 결합된 필름을 형성한다. 열-융합가능한 토너의 경우에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입자의 일부로서 사용한다. 가열에 의해 잔류 액체를 제거하고 토너를 종이에 고정시킨다. 최종 이미지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융합 단계를 달성할 수 있다. 융합은 증가된 색 농도, 수용체로의 개선된 토너 접착력 및 이미지 표면 텍스쳐의 개질을 제공할 수 있다. 융합 장치는 실린더 또는 벨트일 수 있다. 융합 장치는 수용체로의 개선된 열 전달을 가능케 하는 정합(conformable) 표면을 제공하는 탄성중합체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융합 장치는 매끈하거나 텍스쳐화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융합 단계는 전사 단계와 조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수용 시트 상에 토너 이미지를 생성시킴에 있어서, 융합 롤에 의해 토너를 시트에 융합 및 고정시키면 토너를 갖는 구역, 즉 이미지의 소위 Dmax 구역 또는 흑색 구역에 광택이 생긴다. 그러나, 토너가 없는 구역, 소위 Dmin 구역 또는 백색 구역에는 광택이 생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토너-함유 수용체 시트가 융합 롤 닙에서 열 및 압력을 받으면, 시트의 표면 전체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광택을 나타낸다. 생성된 전자 사진 이미지는 할로겐화은 사진 인쇄물의 외관 및 느낌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미국 특허 제 5,895,153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벨트 융합 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인쇄된 이미지 수용체 요소에 고광택 마무리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벨트 융합기는 재생 장치로부터 분리되거나 재생 장치와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벨트 융합기는 보조 단계이다. 재생 장치 내의 융합 롤의 닙을 통해 전자 사진 인쇄된 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먼저 토너를 갖는 이미지를 고정시킨 다음, 벨트 융합시켜 균일한 고광택 마무리 외관을 수득한다. 벨트 융합 장치는 표시 입자 이미지-함유 수용체 부재를 융합 어셈블리에 전달하기 위한 투입 수송기를 포함한다. 융합 어셈블리는 폐쇄 루프 경로 둘레에서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가열된 융합 롤러 및 스티어링 롤러 둘레에 혼입된 융합 벨트를 포함한다. 융합 벨트는 예를 들어 얇은 금속 또는 내열성 플라스틱 벨트이다. 금속 벨트는 전기 주조된 니켈,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러한 다른 금속일 수 있으며, 벨트 두께는 약 50.8 내지 127마이크론이다.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물질로 이음매가 없는 플라스틱 벨트를 제조할 수 있고, 벨트 두께는 대략 50.8 내지 127마이크론이다. 통상적으로 이들 융합 벨트는 실리콘 수지, 플루오로 중합체 등과 같은 릴리이스 물질의 경질 코팅으로 코팅된다. 코팅은 전형적으로 얇고(1 내지 10마이크론) 매우 매끈하며 반들거린다. 이런 융합 벨트는 또한 약간 텍스쳐화된 표면을 갖도록 제조되어 보다 낮은 광택 또는 텍스쳐의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벨트 융합기는 가열된 융합 롤러와 닙 관계로 위치하는 가압 롤러를 가질 수 있다. 스티어링 롤러 상향으로 움직이고 스티어링 롤러에 인접한 벨트 구역에 기류를 유도하여 이 구역을 냉각시킨다. 냉각 작용으로 인해, 수용체 부재가 융합 벨트와 접촉하는 동안 표시 입자 이미지를 갖는 수용체 부재를 상응하게 냉각시킨다. 수용체 부재의 냉각 작용은 표시 입자 이미지의 가압 롤러로의 오프셋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메카니즘으로서 작용한다.
벨트 융합 장치는 벨트 트랙킹 조절 메카니즘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캘린더링 방법을 이용함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인쇄된 이미지 수용체 요소에 고광택 마무리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캘린더링은 임의적으로 가열되는 고도로 연마된 금속 롤러 사이에 기판을 통과시킴으로써 인쇄 장치에서 바람직하게 롤러 융합된 이미지를 갖는 기판에 압력을 가하여, 기판에 광택이 있는 매끈한 표면 마무리 외관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정의된다. 가압 및 가열의 정도에 따라 광택의 정도가 조절된다. 캘린더링은 롤러 융합이 반드시 고도로 연마된 롤러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항상 고온에서 수행되며 닙 압력이 캘린더링 닙에서보다 더 낮다는 점에서 롤러 융합과는 상이하다.
본원에 사용되는 토너는 예를 들어 중합체(결합제 수지), 착색제 및 임의적인 릴리이스제를 함유한다.
중합체로서 공지의 결합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결합제 수지는 폴리에스터, 스타이렌(예: 스타이렌 및 클로로스타이렌), 모노올레핀(예: 에틸렌, 프로필렌, 뷰틸렌 및 아이소프렌), 비닐 에스터(예: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온에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및 비닐 뷰티레이트), α-메틸렌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에스터(예: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뷰틸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뷰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터(예: 비닐 메틸 에터, 비닐 에틸 에터 및 비닐 뷰틸 에터), 및 비닐 케톤(예: 비닐 메틸 케톤, 비닐 헥실 케톤 및 비닐 아이소프로펜일 케톤) 같은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결합제 수지는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스타이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타이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스타이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한다. 이들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개질된 로진, 파라핀 및 왁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수지에서, 스타이렌/아크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는 공지의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루(Aniline Blue), 칼코일(Calcoil) 블루, 크롬 옐로우(Chrome Yellow), 울트라마린(Ultramarine) 블루, 듀퐁 오일 레드(Du Pont Oil Red), 퀴놀린(Quinoline) 옐로우, 메틸렌 블루 클로라이드(Methylene Blue Chloride), 프탈로사이아닌(Phthalocyanine) 블루, 말라카이트 그린 옥살레이트(Malachite Green Oxalate), 램프 블랙(Lamp Black), 로즈 벵갈(Rose Bengal), C.I. 피그먼트(Pigment) 레드 48:1, C.I. 피그먼트 레드 122, C.I. 피그먼트 레드 57:1, C.I. 피그먼트 옐로우 97, C.I. 피그먼트 옐로우 12, C.I. 피그먼트 옐로우 17, C.I. 피그먼트 블루 15:1 및 C.I. 피그먼트 블루 15:3을 포함한다. 착색제 함량은 예를 들어 2 내지 8질량%이다. 착색제 함량이 2질량% 이상이면 충분한 착색력을 수득할 수 있고, 착색제 함량이 8질량% 이하이면 우수한 투명성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체와 함께 사용되는 토너는 릴리이스제를 임의적으로 함유한다. 본원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릴리이스제는 왁스이다. 구체적으로, 본원에 사용가능한 릴리이스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뷰텐 같은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가열에 의해 연화될 수 있는 실리콘 수지; 올레아마이드, 에루카마이드, 리시놀레아마이드 및 스테아르아마이드 같은 지방산 아마이드; 카르나우바 왁스, 쌀 왁스, 칸델릴라 왁스, 재팬(Japan) 왁스 및 호호바유 같은 식물성 왁스; 밀랍 같은 동물성 왁스; 몬탄 왁스, 오조세라이트, 세레신, 파라픽 왁스, 미정질 왁스 및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같은 미네랄 및 석유 왁스; 및 이들의 개질된 생성물이다. 카르나우바 왁스 또는 칸델릴라 왁스 같은, 높은 극성을 갖는 왁스 에스터를 함유하는 왁스를 릴리이스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토너 입자 표면에 노출되는 왁스의 양은 다량이 되는 경향이 있다. 대조적으로,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파라핀 왁스 같은, 낮은 극성을 갖는 왁스가 사용되는 경우, 토너 입자 표면에 노출되는 왁스의 양은 소량이 되는 경향이 있다.
토너 입자 표면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는 왁스의 양과는 무관하게, 30 내지 150℃의 융점을 갖는 왁스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140℃의 융점을 갖는 왁스가 더욱 바람직하다.
왁스는 예를 들어 토너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질량%이다.
본 발명의 수용체와 함께 사용되는 토너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의 미세 분말 및 유기 화합물의 미세 분말을 첨가제로서 사용한다. 무기 화합물의 미세 분말은 예를 들어 SiO2, TiO2, Al2O3, CuO, ZnO, SnO2, Fe2O3, MgO, BaO, CaO, K2O, Na2O, ZrO2, CaO.SiO2, K2O.(TiO2)n, Al2O3.2SiO2, CaCO3, MgCO3, BaSO4 및 MgSO4의 미세 분말이다. 유기 화합물의 미세 분말은 지방산 및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금속 염의 미세 분말, 또한 플루오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아크릴 수지 같은 수지의 미세 분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토너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어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이다. 150℃에서 토너 자체의 저장 탄성 모듈러스 G'(10라디안/초의 각 주파수에서 결정됨)은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융합을 위해 10 내지 200Pa이다.
본 발명의 이미지 수용체 요소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상기 지지체의 양면 상에 코팅된 중합체를 함유하는 토너 수용체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토너 수용체 층은 전사 단계에서 (정)전기, 압력 등에 의해 현상 드럼 또는 중간 전사 매질로부터 이미지-형성 토너를 수용하고, 고정 단계에서 열, 압력 등에 의해 이미지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는 요소의 표면 전체가 융합 단계 후에, 구체적으로는 벨트 융합 단계 후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광택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생성되는 전자 사진 이미지는 할로겐화은 사진 인쇄물의 외관 및 느낌을 갖는다. 이는, 융합 단계 동안 이미지 구역에만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존재하여 높은 광택 차이 및 벨트 융합시 어려움(인쇄물의 다양한 구역의 가열된 벨트로의 상이한 접착력 때문)을 야기하기 때문에, 시판중인 표준 용지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은 최소한의 광택 차이 및 이미지 들뜸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5 내지 50gm/m2, 또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8 내지 35gm/m2의 건조 커버율(coverage)을 갖는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은 토너 수용체 층으로 전달되는 열가소성 토너와 가까운 유리전이온도(또는 Tg) 또는 융점(또는 Tm)을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열가소성 블렌드 또는 중합체의 열가소성 블렌드의 성분을 포함한다. 토너 수용체 층 또는 토너 수용체 층의 성분의 Tg는 토너의 Tg의 25℃ 이내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토너의 Tg의 15℃ 이내이다. 토너 수용체 층의 성분의 Tm은 토너의 Tg 의 25℃ 이내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토너의 Tg의 15℃ 이내이다. 토너 수용체 층의 수지 성분만이 토너의 Tg에 근접한 Tg를 갖는 경우, 토너 수용체 층의 중합체 매트릭스중 나머지는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더 낮은 Tg를 가져야 하지만 반결정질 중합체이다. 이 경우, 토너 수용체 층의 바람직한 중합체 매트릭스는 폴리올레핀이다. 결과적으로, 토너 및 수용체 층은 흔히 토너가 열 및 압력에 의해 수용 층에 고정될 때 연화 또는 용융된다. 이는 토너를 층에 접착시키고 또한 이미지의 토너를 갖는(Dmax) 구역 및 토너를 갖지 않는(Dmin) 구역 둘 다에서 높은 광택을 달성하여 눈에 띄지 않는 광택 차이를 생성시키는데 기여한다. 높은 광택 및 낮은 광택 차이로 인해, 생성된 인쇄물에 사진 품질의 외관 및 느낌이 부여된다.
토너 수용체 층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고정 온도에서 변형될 수 있고 토너를 수용할 수 있으며 융합 후 균일한 광택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블렌드는 혼화성 또는 비혼화성 블렌드일 수 있다. 토너 수용체 층의 수지 성분의 Tg가 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수용체 층의 하나 이상의 수지 성분이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의 Tg, 또는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의 융점(Tm)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토너 수용체 층의 수지 성분의 Tg 또는 토너 수용체 층의 수지 성분의 Tm은 토너의 Tg의 15℃ 이내이다.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분산 상 및 연속 상이 존재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연속 상을 매트릭스 중합체라고 부른다. 바람직한 경우, 매트릭스 중합체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올레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중합체는 폴리올레핀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이다. 폴리에틸렌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토너 수용체 층의 지지체에 대한 우수한 접착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체의 선택에 의해 매트릭스 수지의 선택을 결정한다. 한 바람직한 지지체는 미가공(raw) 종이 기재이다. 하도제 또는 결합 층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이로의 우수한 접착력을 수득하기 위하여, 종이에 접착되는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이다. 폴리에틸렌이 토너 수용체 층의 매트릭스 중합체이면, 그의 Tg가 5℃ 미만인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10℃ 미만이다[Polymer Handbook, 브랜드럽(J. Brandrup), 이머굿(E. H. Immergut), 제 3판, 페이지 V/19]. 폴리프로필렌이 매트릭스 중합체인 경우, 그의 Tg 또한 5℃ 미만이다.
토너 수용체 층용의 본 발명의 중합체 블렌드는 만질 때 들러붙지 않고 또한 점착성이 아니도록 디자인된다. 들러붙음은 두 물체를 서로 영구적으로 결합하지 않도록 분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서 정의된다(Science, vol. 285, pg 1219-1220).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토너 수용체 부재는 낮은 들러붙음을 나타낸다. 토너 수용체 부재가 높은 들러붙음을 가지면, 이로 인해 인장하에 권취되는 마스터 롤 상에 부재의 다양한 층이 점착되며, 또한 연(ream)으로 팩킹된 부재의 다양한 층이 점착되어, 개별적인 시트의 공급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들러붙지 않으면서 토너 수용체 층을 기재에 우수하게 접착시키고 토너 수용체 층을 토너에 탁월하게 접착시키도록 최적화하기 위하여, 블렌드 구성성분의 부피 분율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비혼화성 중합체 블렌드의 경우에는, 토너 수용체 층의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이 하기 조건을 만족시킨다:
상기 식에서,
φ1은 매트릭스 중합체(연속 상)의 부피 분율이고,
φ2는 분산 상(매트릭스 내로 블렌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부피 분율이다.
η1 및 η2는 각각 상기 식에서 매트릭스 상 및 분산 상의 용융 점도이다. 중합체 블렌드 문헌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분산 상의 크기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중합체 블렌드 특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용화제의 선택은 분산 상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몇몇 바람직한 상용화제는 개질되거나 작용화된 폴리올레핀이다. 상기 식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은 부피 분율 비에 대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조성물은 분산 상의 중량%가 3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인 조성물이다.
토너 수용체 층의 분산 상의 경우,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 및 에스터 함유 중합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우레아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프로피온에이트 공중합체 수지, 폴리올 수지(예: 폴리비닐 뷰티랄), 셀룰로즈 수지(예: 에틸 셀룰로즈 수지 및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카프로락톤 수지, 스타이렌/말레산 무수물 수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폴리에터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올레핀(예: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비닐 단량체로 구성된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스타이렌/뷰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아크릴, 스타이렌, 스타이렌 공중합체(예: 스타이렌/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스타이렌/메타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여러 경우에, 상기 수지 및 공중합체를 토너 제조에 사용하기 때문에, 토너 이미지-수용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들 수지 및 공중합체와 동일한 군에 속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이는 분산 상임)를 함유하는 중합체 블렌드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토너 수용체 층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는 (a) 반복 발생하는 이염기 산 유도되는 단위 및 다이올 유도되는 단위를 포함하며, 이염기 산 유도되는 단위의 50몰% 이상은 4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환족 고리를 함유하는 다이카복실산 유도되는 단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고리는 상응하는 다이카복실산의 각각의 카복실기의 탄소 원자 2개 이내이며, (b) 다이올 유도되는 단위의 25 내지 75몰%는 상응하는 다이올 또는 지환족 고리의 각각의 하이드록실기에 바로 인접하지 않은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며, (c) 폴리에스터의 다이올 유도되는 단위의 25 내지 75몰%는 4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환족 고리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중합체는 지환족 이염기 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발생하는 단위(Q) 및 다이올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발생되는 단위(L 및 P)에 기초한 축합형 폴리에스터이다. 여기에서, (Q)는 각 카복실기가 지환족 고리의 탄소 원자 2개 내에(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에 바로 인접하여) 있는 다이카복실산 단위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지환족 고리를 나타내고, (L)은 각각의 하이드록실기에 바로 인접하지 않은(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 내지 약 4개만큼 떨어진)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 또는 하이드록실기에 인접할 수 있는 지환족 고리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다이올 단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이염기 산 유도되는 단위" 및 "다이카복실산 유도되는 단위" 또는 "다이카복실산" 및 "이산"은 카복실산 자체뿐만 아니라 그의 등가물(예: 산 클로라이드, 산 무수물, 및 이들 산의 에스터)로부터 유도되는(각각의 경우에, 생성되는 중합체에서 동일한 반복 발생 단위가 수득되기 때문에) 단위를 정의하고자 한다. 상응하는 이염기 산의 각 지환족 고리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C1 내지 C4 알킬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각각의 다이올은 또한 방향족 또는 지환족 고리 상에서 예컨대 C1 내지 C6 알킬, 알콕시 또는 할로겐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폴리올(둘 이상의 OH 또는 OH 유도되는 기를 갖는 모든 화합물, 다이올, 트라이올 등을 포함함)과 관련하여, 이 성분의 총 몰%는 100몰%이다. 유사하게, 산 성분(둘 이상의 산 또는 산 유도되는 기를 갖는 모든 화합물/단위)과 관련하여, 이 성분의 총 몰%는 100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토너 수용체 층의 폴리에스터는 다이카복실산 유도되는 단위 및 다이올 유도되는 단위 둘 다에 4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환족 고리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환족 고리는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이러한 지환족 다이카복실산 단위(Q)는 하기 Q1 내지 Q12 같은 구조로 표시된다:
방향족 다이올(L)은 하기 L1 내지 L14 같은 구조로 표시된다:
지환족 다이올(P)은 하기 P1 내지 P9 같은 구조에 의해 표시된다:
압출가능한 폴리에스터의 경우, 단량체(분지화를 제공할 수 있는 셋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이산 및/또는 다이올, 바람직하게는 하나보다 많은 다작용성 폴리올(N) 또는 다산 및 그의 유도체(O)에 대한 대체물로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작용성 폴리올은 예를 들어 글라이세린, 1,1,1-트라이메틸올에테인 및 1,1,1-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둘보다 많은 카복실산기(그의 에스터 또는 무수물 유도체 포함)를 갖는 다산은 예를 들어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메스산, 1,2,5-, 2,3,6- 또는 1,8,4-나프탈렌 트라이카복실산 무수물, 3,4,4'-다이페닐트라이카복실산 무수물, 3,4,4'-다이페닐메테인트라이카복실산 무수물, 3,4,4'-다이페닐에터트라이카복실산 무수물, 3,4,4'-벤조페논트라이카복실산 무수물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다작용성 폴리올 또는 무수물은 예컨대 하기 N1 내지 N3 및 O1 및 O2 같은 구조에 의해 표시된다:
방향족 이산 또는 무수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도입되는 소량의 방향족 화합물은 임의적이고, 이미지화된 염료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로는 테레프탈산(S1) 및 아이소테레프탈산(S2)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가적인 이산(R) 및 다이올(M)을 첨가하여 예를 들어 중합체의 Tg, 용해도, 접착성 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산 공단량체는 Q의 환상 구조체를 갖거나 선형 지방족 단위 또는 약간 방향족일 수 있다. 추가적인 다이올 단량체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구조체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페놀성이 아니다.
R로 적합한 단량체의 일부 예는 하기 R1 내지 R4 같은 이염기 지방족 산을 포함한다:
M으로 적합한 일부 다른 단량체의 몇몇 예는 하기 M1 내지 M7 같은 다이올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하기와 같은 구조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식에서,
o+q+r+s는 100몰%(이산 성분에 기초하여)이고,
p+m+n+l은 100몰%(폴리올 성분에 기초하여)이다.
이산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q는 50몰% 이상이고, r은 40몰% 미만이고, s는 10몰% 미만이다. 폴리올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p는 25 내지 75몰%이고, l은 25 내지 50몰%이고, m은 0 내지 50몰%이다. 다작용성 단량체(둘보다 많은 작용기를 가짐)와 관련하여, n 또는 o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몰%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몰%이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소량을 제외하고는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아이소프탈레이트 같은 방향족 이산을 함유하지 않는다.
예시된 단량체의 반복 발생하는 단위로 이루어진 하기 폴리에스터 중합체 E-1 내지 E-14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중합체의 예이다.
E-1 내지 E-3: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2-에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페인다이올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중합체:
E-1: x=49몰%, y=50몰%, z=1몰%
E-2: x=48몰%, y=50몰%, z=2몰%
E-3: x=47몰%, y=50몰%, z=3몰%
E-4 내지 E-6: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글라이세롤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중합체:
E-4: x=49몰%, y=50몰%, z=1몰%
E-5: x=48몰%, y=50몰%, z=2몰%
E-6: x=47몰%, y=50몰%, z=3몰%
E-7 내지 E-8: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중합체:
E-7: x=49몰%, y=50몰%, z=1몰%
E-8: x=48몰%, y=50몰%, z=2몰%
E-9 내지 E-11: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트라이멜리트산 무수물,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및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중합체:
E-9: q=98몰%, o1=2몰%, x=50몰%, y=50몰%
E-10: q=96몰%, o1=4몰%, x=50몰%, y=50몰%
E-11: q=94몰%, o1=6몰%, x=50몰%, y=50몰%
E-12 내지 E-14: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및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중합체:
E-12: q=98몰%, o2=2몰%, x=50몰%, y=50몰%
E-13: q=96몰%, o2=4몰%, x=50몰%, y=50몰%
E-14: q=94몰%, o2=6몰%, x=50몰%, y=50몰%
표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의 결합제로서 사용되는 다양한 폴리에스터를 요약한 것이다.
토너-이미지 수용체 층에 사용하기 위한 분지된 폴리에스터 조성물을 합성하는 하기 예는 본 발명을 대표하며, 다른 분지된 폴리에스터를 유사하게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2-에틸-2-(하이드로시메틸)1,3-프로페인다이올의 시스:트랜스 혼합물과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의 70:30 시스:트랜스 혼합물로부터 폴리에스터 E-3(발명의 상세한 설명부에서 상기 기재된 구조를 가짐)을 유도하였다.
38cm 헤드가 장착되고 질소로 퍼징되는 1구 사이드-암(side-arm) 500mL들이 반응기에 하기 양의 반응물을 넣었다: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86.09g, 0.50몰),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79.1g, 0.25몰),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33.9g, 0.235몰), 2-에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페인다이올(2.0g, 0.015몰), 모노뷰틸틴 옥사이드 수화물(0.5g) 및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 제품인 어가녹스(Irganox; 등록상표) 101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5-다이-3급-뷰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0.1g). 메탄올을 증류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크를 염욕에서 220℃까지 가열하고 질소로 연속적으로 플러쉬시켰다. 2시간 후, 계산된 양의 메탄올을 증류시키고 온도를 30분동안 240℃로 높였다. 트라이옥틸포스페이트(7방울)를 첨가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30분동안 계속 반응시킨 후에, 온도를 275℃로 높였다.
기계적 교반 및 평가를 위하여 플라스크를 재구성하였다. 압력을 15분간에 걸쳐 0.45mmHg로 서서히 감소시켜 과량의 글라이콜을 증류시켰다. 200RPM의 일정한 토크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밀리볼트(mv)를 측정함으로써 반응의 진행을 모니터링하였다. 190mv에 도달하면 반응을 종결시켰다. 플라스크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세정하여 반응 플라스크로부터 염을 제거한 다음, 파쇄시켜 중합체를 제거하였다. 중합체를 액체 질소에서 냉각시키고 크기 1/2인치의 조각으로 파쇄시킨 후 와일리 밀(Wiley Mill)에서 분쇄시켰다. 중합체의 Tg는 54.1℃였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은 77,600이었다.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2-에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페인다이올의 시스:트랜스 혼합물과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의 70:30 시스:트랜스 혼합물로부터 중합체 E-2(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부에 도시된 구조를 가짐)를 유도하였다.
질소로 퍼징되는 150갤런들이 반응기에 하기 양의 반응물을 넣었다: 시스/트랜스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157.27kg(913.38몰), 4,4'-비스(2-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144.49kg(456.69몰), 2-에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페인다이올 2.45kg(18.27몰), 시스/트랜스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65.12kg(451.58몰),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제품인 어가녹스(등록상표) 1010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5-다이-3급-뷰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335gm 및 뷰틸주석산 82.51gm. 질소 퍼지 하에, 반응기를 275℃로 가열하고 2시간동안 유지시켰다. 추가로 2시간 후에 273℃의 내부 온도에 도달하였다. 이 때, 트랩을 배수시키고 배수량을 기록하였다. 반응기 압력을 10mmHg/분으로 2mmHg까지 감소시켰다. 암력이 30mmHg를 지날 때, 85% 인산 62.3gm,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392.8gm 및 메탄올 168.3gm의 용액을 반응기에 부어넣었다. 2mmHg에서 6시간 30분 후에 빌드업(buildup)이 종결되었다. 중합체를 반응기로부터 트레이 상으로 압출시키고 하룻밤동안 냉각시킨 후, 응고된 폴리에스터를 1/4인치 스크린을 통해 분쇄하였다. 중합체의 Tg는 56.9℃였고, Mw는 129,000이었으며, 분자량 분포(MWD)는 10.7이었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에 유용한 폴리에스터는 바람직하게 약 40 내지 약 100℃의 Tg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에스터는 약 5,000 내지 약 2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들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80,000 내지 250,000이다.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바람직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105,000 내지 130,000이다. 이들 폴리에스터의 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로서 정의되는 분자량 분포(MWD)는 6 내지 15이다. 바람직한 MWD는 8 내지 12이다. 200℃에서 1초-1의 전단 속도에서 이들 수지의 용융 점도는 570 내지 3,500Pa-sec이다. 고트페르트(Gottfert)에서 제공되는 용융 장력 장치인 레오텐스(Rheotens)를 사용하여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용융 강도를 측정하였다. 용융 강도를 특징화시키는데 레오텐스와 유사한 다른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용융 연신 공정동안 수지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성을 정량한다. 2개의 반대로 회전하는 휠 사이에서 다이로부터 압출된 중합체 스트랜드를 연신시킴으로써 수지의 용융 장력 또는 용융 강도를 결정한다. 미리 설정된 가속화에 의해 휠의 회전 빈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중합체 스트랜드가 연신된다. 연신 공정 동안 cN 단위로 측정된 견인력을 중합체 스트랜드가 파단될 때까지 계속 기록한다. 스트랜드가 파단되기 전에 수득된 최대 힘은 특정 온도에서 중합체의 용융 장력 또는 용융 강도로 공지되어 있다. 브래들리(M. B. Bradley) 및 필립스(E. M. Phillips)의 문헌[Society of Plastics engineers ANTEC 1990 conference paper (페이지 718)]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100mm의 공기 간격(다이와 첫번째 닙 사이의 거리)을 유지하면서, 이들 측정에 직경 2mm, 길이 30mm의 모세관 다이를 사용하였다. 200℃에서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용융 강도는 5cN보다 크다. 200℃에서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바람직한 용융 강도는 7cN보다 크다. 분지화제의 양 및 분지화제의 유형을 변화시킴으로써,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용융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분지화제의 바람직한 양은 0.1중량%보다 많다. 분지화제의 바람직한 양은 0.5 내지 3중량%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의 중합체 블렌드 또는 혼합물로 구성된 토너 수용체 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흥미를 끄는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과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의 공중합체(EGM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의 삼원공중합체(EMAGMA); 에틸렌 뷰틸아크릴레이트 및 말레산 무수물의 삼원공중합체(EBAMAH);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이다.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중량 분율은 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이다. 토너 수용체 층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중량 분율은 들러붙지 않고 토너 수용체 층을 기재에 우수하게 접착시키며 토너 수용체 층을 토너에 탁월하게 접착시키기 위해 최적화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에 적합한 다른 중합체 세트는 폴리아마이드(이는 바람직하게 분산 상임)의 중합체 블렌드 또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마이드는 나일론-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6, 나일론-610, MXD6 등의 부류에 속할 수 있다. 폴리아마이드의 부피 분율은 토너 수용체 층을 생성시킬 때 비혼화성 블렌드의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폴리아마이드는 나일론-6이다.
중합체 외에, 토너 수용체 층은 예컨대 산화아연, 황화아연, 이산화지르코늄, 연백, 황산납, 염화납, 알루민산납, 프탈산납, 삼산화안티몬, 백색 비스부트, 산화주석, 백색 망간, 백색 텅스텐 및 이들의 조합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백색 안료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안료는 높은 굴절률(이로 인해 합당한 비용으로 탁월한 광학 특성이 부여됨) 때문에 이산화티탄(TiO2)이다. 폴리올레핀 내에 편리하게 분산되는 임의의 형태로 안료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안료는 예추석 이산화티탄이다. 가장 바람직한 안료는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높은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금홍석 이산화티탄이다. 금홍석 TiO2의 평균 안료 직경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6㎛이다. 0.26㎛보다 큰 안료는 이미지화 요소 용도로 사용하기에 너무 황색이고, 0.1㎛ 미만의 안료는 중합체에 분산될 때 충분히 불투명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코팅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7 내지 약 50중량%의 양으로 백색 안료를 사용해야 한다. TiO2가 7% 미만이면, 이미지화 시스템이 충분히 불투명하지 않고 불량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TiO2가 50%보다 많으면, 중합체 블렌드가 제조될 수 없다.
수산화알루미늄, 플루오라이드 화합물 또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갖는 알루미나, 플루오라이드 화합물 또는 플루오라이드 이온을 갖는 실리카, 수산화규소, 이산화규소, 산화붕소, 보리아-개질된 실리카(미국 특허 제 4,781,761 호에 기재되어 있음), 포스페이트, 산화아연 또는 ZrO2 같은 무기 화합물로, 또한 다가 알콜, 다가 아민, 금속 비누, 알킬 티타네이트, 폴리실록세인 또는 실레인 같은 유기 처리제로 TiO2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TiO2 처리제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의 중량에 대해 무기 처리제의 경우 0.2 내지 2.0%, 유기 처리제의 경우 0.1 내지 1%이다. 이러한 처리제 수준에서, TiO2는 중합체에 잘 분산되고, 이미지화 지지체의 제조를 방해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 수지 및 TiO2 및 토너 수용체 층용의 임의적인 다른 첨가제를 분산제의 존재하에 서로 혼합할 수 있다. 분산제의 예는 팔미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팔미트산칼슘, 라우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지르코늄 옥틸레이트 또는 스테아르산아연 고급 지방산 같은 고급 지방산의 금속 염, 고급 지방 아마이드 및 고급 지방산이다. 바람직한 분산제는 스테아르산나트륨이고, 가장 바람직한 분산제는 스테아르산아연이다. 이들 분산제는 둘 다 수지 코팅된 층에 탁월한 백색도를 부여한다.
또한, 착색제, 증백제, 대전 방지제, 가소화제, 산화 방지제, 활지제 또는 윤활제 및 광 안정화제(수지 코팅된 지지체에) 뿐만 아니라 살생물제(종이 요소에)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첨가제를 첨가하여 특히 충전제 및/또는 착색제의 분산성, 및 가공 동안 열 및 색상 안정성 및 최종 마무리된 제품의 제조능 및 긴 수명을 개선시킨다. 예를 들어, 토너 수용체 층 코팅은 4,4'-뷰틸리덴-비스(6-3급-뷰틸-메타-크레솔), 다이-라우릴-3,3'-티오프로피온에이트, N-뷰틸화-p-아미노페놀, 2,6-다이-3급-뷰틸-p-크레솔, 2,2-다이-3급-뷰틸-4-메틸-페놀, N,N-다이살리실리덴-1,2-다이아미노프로페인, 테트라(2,4-3급-뷰틸페닐)-4,4'-다이페닐 다이포스포나이트, 옥타데실 3-(3',5'-다이-3급-뷰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온에이트), 상기의 조합 등과 같은 산화방지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팔미트산칼슘, 지르코늄 옥틸레이트, 라우르산나트륨 같은 고급 지방족 산 금속 염, 및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마그네슘 및 벤조산아연 같은 벤조산의 염 등의 열 안정화제;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HALS)[이의 바람직한 예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뷰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4-피페리딘일)-이미노]-1,6-헥세인다이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이미노]}(키마솔브 944 LD/FL)임] 같은 광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은 또한 융합기-오일 흡수성 첨가제를 바람직하게 함유한다. 융합기-오일 흡수성 첨가제는 흡착제 및 흡수제를 포함하고, 임의의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이들은 과량의 융합기-오일을 포획할 수 있는 특수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흡수성 첨가제는 유기 또는 무기일 수 있고 합성일 수 있다. 전형적인 이들 물질은 점토, 활석, 글래스 울(glass wool), 실리카, 피트 모스(peat moss), 합성 섬유(예컨대, 나일론), 플라스틱 흡착성 미소구 등일 수있다. 바람직한 물질은, 토너 수용체 층용 코팅 분산액 중으로 용이하게 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입수될 수 있고 높은 밝기 지수에서 수득될 수 있으며 저렴하기 때문에, 점토 및 활석이다. 융합기-오일 흡수성 첨가제는 토너 수용체 층의 0.1중량%보다 많은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로 존재한다. 또한, 층에 소정량의 무기 첨가제를 사용하여 지지체가 종이인 경우 지지체의 얼룩 수준 및 특히 벨트 융합 후 이미지화된 요소의 광택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가능한 점토는 바람직하게는 88%보다 높은 GE 밝기 지수를 갖고, 나노점토를 비롯한 다양한 개질 및 미개질 점토를 포함한다. 밝기는 457nm의 유효 파장에서 측정된 샘플의 반사된 청색 광의 %이다. GE 밝기는 종이 표면을 45° 각도로 비추는데 본질적으로 평행한 광 빔을 사용하는 지향성 밝기 측정치이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에 적합한 점토 물질은 필로실리케이트, 예를 들어 몬모릴로나이트, 구체적으로 소듐 몬모릴로나이트, 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및/또는 칼슘 몬모릴로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볼콘스코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소코나이트, 소보카이트, 스티븐사이트, 스빈포다이트, 베어미쿨라이트, 마가다이트, 케냐이트, 활석, 운모, 카올리나이트(카올린 또는 중국 점토)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점토는 다른 시약, 통상 유기 이온 또는 분자가 층상 물질 사이에 삽입되거나 층상 물질을 박리시켜 무기 상을 바람직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팽윤될 수 있다. 전술한 점토는 천연 또는 합성, 예컨대 합성 스멕타이트 점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분산된 형태의 점토 입자는 입자의 90% 이상이 2㎛ 이하인 입자 크기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의 점토(사용되는 경우)는 유기 점토일 수 있다. 작용화되지 않은 점토를 적합한 유기화제(intercalant)와 반응시킴으로써 유기 점토를 생성시킨다. 이들 유기화제는 전형적으로 중성 또는 이온성인 유기 화합물이다. 유용한 중성 유기 분자는 아마이드, 에스터, 락탐, 나이트릴, 우레아, 카본에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폰에이트, 설페이트, 설폰에이트, 나이트로 화합물 등과 같은 극성 분자를 포함한다. 중성 유기 유기화제는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중성 유기 분자는 원래의 전하 평형 이온을 완전히 대체하지 않고 수소 결합을 통해 점토의 층 내에 삽입을 야기할 수 있다. 유용한 이온성 화합물은 지방족, 방향족 또는 아릴지방족 아민, 포스핀 및 설파이드의 암모늄(1급, 2급 3급 및 4급), 포스포늄 또는 설포늄 유도체 같은 오늄 부류를 비롯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전형적으로, 오늄 이온은 바람직한 스멕타이트 점토의 금속 양이온과의 이온 교환을 통해 층에 삽입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시판중인 유기 점토, 예를 들어 클로이사이트(Cloisite) 15A, 즉 4급 암모늄 염으로 개질된 천연 몬모릴로나이트는 써던 클레이 프로덕츠 앤드 나노코(Southern Clay Products and Nanocor) 같은 점토 판매처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에 유용한 활석은 0.2㎛보다 큰 중간 크기를 갖는다. 활석의 바람직한 크기 범위는 중간 크기가 0.5㎛보다 크고 3㎛보다 작도록 하는 범위이다. 활석의 크기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좁다. 활석이 토너 수용체 층에 혼입되기 때문에, 활석의 바람직한 밝기는 이들이 88보다 큰 GE 밝기 지수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토너 수용체 층 특징을 명시하는 외에,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면 상에 토너 수용체 층이 압출되는 기재를 제공함을 포함하며,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고, 바람직한 매트릭스 수지가 폴리에틸렌이고, 다른 블렌드 성분이 EMA, EMAGMA, EGMA, EAA 등과 같은 개질된 폴리올레핀 또는 분지된 폴리에스터 같은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아마이드인, 토너 수용체 부재의 제조 방법을 교시한다. 토너 수용체 층의 두께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예컨대 150 내지 350℃의 넓은 압출 온도 범위 및 예컨대 60 내지 460m/분의 넓은 속도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다. 캐스트 압출 및 압출 코팅 같은 압출 공정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체 조성물의 선택은 또한 브렌드 또는 혼합물의 용융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블렌드 또는 혼합물의 총 용융 강도는 토너 수용체 층의 커튼 또는 필름 또는 시트가 압출 공정 동안 안정하기 위하여 또한 네크-인(neck-in) 양을 최소화하면서 라인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요하다. 고트페르트에서 제공되는 레오텐스 같은 용융 장력 장치를 사용하여 중합체의 용융 강도를 전형적으로 측정한다(시험은 앞서 상세하게 기재됨).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0mm의 공기 간격(다이와 첫번째 닙 사이의 거리)을 유지하면서 직경 2mm, 길이 30mm의 모세관 다이를 이들 측정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교시된 전체 토너 수용체 조성물의 바람직한 용융 강도는 200℃에서 2cN 이상일 필요가 있다. 압출 공정은 또한 T 슬롯 다이 및 코트행거 다이 같은 다이에서 수지를 재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합한 용융 점도를 갖는 수지를 선호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체 층에 바람직한 압출 온도는 260 내지 343.3℃이다. 토너 수용체 층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압출 코팅이다. 압출 코팅 방법에서는, 가압 롤 및 큰 냉각 롤에 의해 형성된 닙에서 중합체 용융물을 이동하는 웹(본 발명에서 이는 기재임) 상으로 다이를 통해 밀어넣는다. 이 냉각 롤은 거울 마무리 외관을 갖는 것처럼 고도로 연마될 수 있거나, 또는 무광택 마무리 외관 같은 텍스쳐를 가질 수 있다. 닙에서의 압력 및 냉각 롤의 온도는 텍스쳐의 복제를 결정한다. 뿐만 아니라, 냉각 롤 직경은 그의 냉각능에 관련된 다수의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교시내용 및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아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변형을 모두 개시하고자 하지 않는다. 부 및 백분율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내지 8은 전자 사진 이미지화 요소로서 수지 코팅된 종이의 사용을 논의한다. 모든 샘플은 수지 코팅기를 사용하여 생성시켰다. 248.9 내지 337.8℃의 용융 온도에서 이 기계를 작동시켰다. 미가공 종이 기재로의 접착력 조건, 코팅의 폭 및 수지 열화에 의해 부과되는 제한점에 기초하여 온도를 조정하였다. 사용된 수지는 레오미터 및 용융 유동 지수(MFI)를 사용하여 레오로지-점도에 대해 특징화시켰다. 용융 유동 지수(MFI)는 폴리에틸렌에 대해 ASTM D1238을 사용하여 측정되며, 이를 2.16kg의 하중하에 190℃에서 이루어진 측정치로 고친다. 샘플을 넥스프레스(NexPress) 2100 프린터 상에서 인쇄하고, 76.2마이크론의 폴리이미드 벨트를 사용하는 벨트 융합기로 이루어진 광택기를 사용하여 이들중 일부에 광택을 부여하였다. 이 벨트는 약 165℃로 설정되었다. Dmin(백색) 및 Dmax(흑색 구역)에서 BYK 가드너 글로스미터(Gardner Glossmeter)를 사용하여 벨트 융합된 샘플 상에서 광택을 측정하였다(60°). 토너 접착력, 및 캘리퍼, 기본 중량 및 강성 같은 물리적 특성에 대해 샘플을 시험하였다. 테이프 시험에 의해 토너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시험은 ASTM D3359-02의 변형법이다. 이 시험에서는, 토너 수용체 부재를 작업대의 양쪽에 클램핑한다. 3M 스카치 매직 810 테이프의 한쪽 말단을 토너 수용체 표면의 적어도 4인치에 접착시키는 한편, 테이프의 자유 말단을 가능한한 180° 박리 각도에 근접하게 하여 신속하게 제거한다. 또한, 샘플을 들러붙음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또한, 손가락을 인쇄된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시킴으로써, 생성된 인쇄물의 표면을 융합기 오일 번짐에 대해 평가하였다. 오일 번짐은 그것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표 2는 아래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고 있다. 열 분석 기구, 즉 TA 인스트루먼츠, Icc., 모델 Q-1000 시차 주사 열계량기를 사용하여 토너 수용체의 Tg 및 Tm을 측정하였다. 가열 속도는 10℃/분이었다.
실시예 1(대조용)은 종래 기술을 대표하며, 여기에서는 비교 목적으로 제공된다. 이는 대부분 표백된 경질 목재 크라프트(Kraft) 섬유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표준 포드리니어 제지기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가공 사진 용지 기재를 포함한다. 섬유는 주로 표백된 포플러나무 및 단풍나무/너도밤나무와 더욱 소량의 자작나무 및 연질 목재로 이루어진다. 건조 중량 기준으로 사용되는 산 사이징 화학적 첨가제는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사이즈, 폴리아미노아마이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하였다. 하이드로에틸화 전분 및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표면 사이징도 또한 이용하였다. LDPE(다우 LDPE 50041, 4.15 MFI 수지) 87중량%, TiO2 11.4중량% 및 나머지 첨가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표면쪽 수지 복합체를 사용하여 이 미가공 기재의 양면 상에 압출 코팅하였다. 양면 상의 수지 커버율은 21.97gm/m2이었다. 이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몇몇을 또한 광택기를 통해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의 Tg 는 -30℃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실시예 2( LDPE 와 EMA 의 블렌드 )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엑손 모빌(Exxon Mobil) TC130,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 21.5%] 14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리디안(Voridian) 811A, 20 MFI 수지] 73.7중량%, TiO2 및 착색제 11.4중량%, 산화방지제 및 광학 증백제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이들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또한 광택기를 통해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토너 수용체 수지 블렌드의 Tg는 -30℃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블렌드는 2개의 Tm, 즉 49.8℃에서 하나, 103.87℃에서 또 하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3( LDPE 와 EMAGMA 의 블렌드 )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아토피나 로타더(Atofina Lotader) AX8900, 6 MFI 수지,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 24% 및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 함량 8%] 14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리디안 811A, 20 MFI 수지) 73.7중량%, TiO2 및 착색제 11.4중량%, 산화방지제 및 광학 증백제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이들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광택기를 통해서도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의 토너 수용체 수지 블렌드 의 Tg는 -30℃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토너 수용체 수지 블렌드는 2개의 Tm, 즉 50.67℃에서 하나, 104.23℃에서 또 하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LDPE 와 분지된 폴리에스터의 블렌드 )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분지된 폴리에스터(분지화제 2%를 사용하여 제조됨, Mw=124,000) 15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리디안 D4002P) 85중량%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분지화제 2%를 사용하여 분지된 폴리에스터를 제조하였다. 이들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광택기를 통해서도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토너 수용체 블렌드의 Tg를 측정하였으며, 폴리에틸렌은 -30℃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고, 분지된 폴리에스터는 51.63℃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5( LDPE 와 나일론-6의 블렌드 )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나일론-6[바스프 울트라미드(BASF Ultramid) B3] 15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리디안 D4042P, 10 MFI 수지) 85중량%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이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광택기를 통해서도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토너 수용체 블렌드의 Tg를 측정하였으며, 폴리에틸렌은 -30℃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고, 나일론은 49.44℃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6( EMA )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엑손 모빌 TC130,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 21.5%) 82.6중량%와 TiO2 및 착색제 11.4중량%, 산화방지제 및 광학 증백제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이들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광택기를 통해서도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제조된 토너 수용체 층의 Tg는 -30℃ 미만인 것으로 밝혀졌다. 토너 수용체 부재는 2개의 Tm, 즉 46.22℃에서 하나, 76.64℃에서 다른 하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7( LDPE 와 EMA 및 활석의 블렌드 )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엑손 모빌 TC130,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 21.5%) 14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리디안 811A, 20 MFI 수지) 68.7중량%, 활석[이미 파비(Imi Fabi) HTP1C] 5중량%, TiO2와 나머지 착색제 11.4중량%, 산화방지제 및 광학 증백제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이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광택기를 통해서도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8( LDPE 와 EMAGMA 의 블렌드 )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 및 캘리퍼의 종이 기재를 포함하며, 이어 압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종이 기재의 양면에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을 압출 코팅시킨다. 토너 수용체 부재의 대조용 샘플과 거의 동일한 캘리퍼를 제공하기 위하여 총 수지 코팅 커버율을 21.97gm/m2으로 유지시켰다. 토너 이미지 수용체 층 조성물은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아토피나 로타더 AX8900, 6 MFI 수지,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 24% 및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터 함량 8%) 14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보리디안 811A, 20 MFI 수지) 68.7중량%, 활석(이미 파비 HTP1C) 5중량%, TiO2 및 나머지 착색제 11.4중량%, 산화방지제 및 광학 증백제의 블렌드로 구성되었다. 이들 토너 수용체 부재를 들러붙음에 대해 평가한 다음, 넥스프레스 2100 기계를 통해 통과시켰다. 토너 수용체 부재중 일부는 광택기를 통해서도 통과시켰다. 생성된 이미지를 토너 접착력 및 표면상의 오일 번짐의 존재에 대해 평가하였다.
표 2는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샘플의 성능을 요약한다.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따라 토너를 토너 수용체 층에 접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실시예 1을 실시예 2 내지 8과 비교할 때 강조된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 2 내지 6을 실시예 7 및 8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토너 수용체 층 내로 활석을 혼입함으로써 오일을 흡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토너 수용체 표면에 오일 번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를 실시예 6과 비교하면, 들러붙음을 방지하고 롤 형태 또는 커트 시트 형태에서 생길 수 있는 점착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토너 수용체 층의 조성을 조정할 필요가 있음이 드러난다.
표 3은 본 발명에 기재된 토너 수용체 층 배합물을 벨트 융합시킨 후에 수득될 수 있는 토너 수용체 광택 값중 일부를 드러낸다. 보는 바와 같이, 60° 광택은 이미지화되지 않은(Dmin) 영역 및 이미지화된(Dmax) 영역에서 60보다 더 높다.
Claims (32)
-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 및 에스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과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을 위에 갖는 기재(base)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체 층의 측정된 Tg가 5℃ 미만의 Tg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실리케이트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실리케이트 물질이 상기 수용체 층의 3 내지 10중량%를 구성하는 수용체 시트.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실리케이트 물질이 3마이크론 미만의 중간 입자 크기를 갖는 활석을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에스터 함유 중합체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에스터가 분지된 폴리에스터인 폴리에스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에스터 함유 중합체가 아크릴을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에스터 함유 중합체가 폴리에틸렌과 아크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재가 종이를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상기 기재에 직접 도포되는 수용체 시트.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체 층의 Tg가 -100 내지 +5℃인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체 층의 Tg가 -10 내지 -100℃인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불투명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6 내지 25㎛의 두께를 갖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상기 폴리올레핀의 부피 분율과 상기 폴리아마이드 함유 중합체의 부피 분율의 비 미만인 상기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마이드 함유 중합체의 점도 비를 갖는 수용체 시트.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상기 폴리올레핀의 부피 분율과 상기 폴리에스터 함유 중합체의 부피 분율의 비 미만인 상기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터 함유 중합체의 점도 비를 갖는 수용체 시트.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만질 때 들러붙지 않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에스터 함유 중합체가 상기 토너 수용체 층의 총 중량의 5 내지 30중량%를 구성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가 상기 토너 수용체 층의 총 중량의 5 내지 30중량%를 구성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이 폴리올레핀 및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체 시트.
- 기재를 제공하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 및 에스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과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용매-비함유 중합체 혼합물을 가열 및 가압하에 상기 기재와 접촉시키며, 내재하는(resident) 기재를 냉각시켜 수용체 시트를 회수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체 층의 측정된 Tg가 5℃ 미만의 Tg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수용체의 제조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중합체 혼합물을 상기 기재와 접촉시키기 전에 260 내지 343.3℃로 가열하는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혼합물이 200℃에서 2cN 이상의 용융 강도를 갖는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기재가 종이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혼합물을, 결합 층을 사용하지 않고서, 상기 종이와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이 폴리올레핀 및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아마이드 함유 중합체 및 에스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과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을 위에 갖는 기재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수용체 시트를 포함하며, 이 때상기 하나 이상의 수용체 층의 측정된 Tg가 5℃ 미만의 Tg를 포함하고,상기 하나 이상의 토너 수용체 층이 안료 및 비스페놀 A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토너로부터 형성된 이미지를 그 위에 갖는,이미지화된 요소(imaged element).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요소가 상기 요소의 벨트 융합 또는 캘린더링 후 이미지화되지 않은 구역에서 60보다 큰 60° 광택을 갖는 이미지화된 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999,254 US7264867B2 (en) | 2004-11-30 | 2004-11-30 | Extruded toner receiver layer for electrophotography |
US10/999,254 | 2004-11-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0167A true KR20070090167A (ko) | 2007-09-05 |
Family
ID=3592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2106A KR20070090167A (ko) | 2004-11-30 | 2005-11-17 | 전자 사진용의 압출된 토너 수용체 층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7264867B2 (ko) |
EP (1) | EP1817637A1 (ko) |
JP (1) | JP5086095B2 (ko) |
KR (1) | KR20070090167A (ko) |
WO (1) | WO20060602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64867B2 (en) * | 2004-11-30 | 2007-09-04 | Eastman Kodak Company | Extruded toner receiver layer for electrophotography |
US7632562B2 (en) * | 2005-08-04 | 2009-12-15 | Eastman Kodak Company | Universal print media |
US7838106B2 (en) * | 2007-12-19 | 2010-11-23 | Eastman Kodak Company | Foamed image receiver |
GB2458262B (en) | 2008-02-29 | 2012-11-07 | Illinois Tool Works | Improvements in thermal transfer printing |
EP2110715B1 (en) * | 2008-04-15 | 2012-06-06 | Ten Cate Enbi International B.V. |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eloping roller as well a method for providing such a developing roller |
WO2010071632A1 (en) * | 2008-12-15 | 2010-06-2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n imageable article |
US8474115B2 (en) | 2009-08-28 | 2013-07-02 |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low tangle texturized roving |
US8435925B2 (en) | 2010-06-25 | 2013-05-07 | Eastman Kodak Company | Thermal receiver elements and imaging assemblies |
US9857706B2 (en) | 2011-01-31 | 2018-01-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edia |
EP2578412B1 (en) | 2011-10-07 | 2014-06-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intable film |
EP2922701B1 (en) | 2012-11-20 | 2022-08-31 | HP Indigo B.V. | Methods of printing on a plastic substrate and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s |
WO2015020613A1 (en) * | 2013-08-07 | 2015-02-12 |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 Polymer composites with uv shielding strength |
CN107850865B (zh) | 2015-10-09 | 2021-01-19 | 惠普印迪戈股份公司 | 电子照相组合物 |
JP5941233B1 (ja) * | 2016-01-28 | 2016-06-29 | 五條製紙株式会社 | 電子写真用基材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4859A (en) * | 1982-02-05 | 1984-10-02 | Jujo Paper Co., Ltd. | Thermal dye-transfer type recording sheet |
US4968578A (en) | 1988-08-09 | 1990-11-06 | Eastman Kodak Company | Method of non-electrostatically transferring toner |
US4958173A (en) | 1989-07-06 | 1990-09-18 |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 Toner receptive coating |
US5104731A (en) | 1990-08-24 | 1992-04-14 | Arkwright Incorporated | Dry toner imaging films possessing an anti-static matrix layer |
US5142327A (en) * | 1991-04-09 | 1992-08-25 | Infographix, Inc. | Electrophotographic copying process using two image areas |
JP3653136B2 (ja) | 1996-04-09 | 2005-05-25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電子写真フルカラー用転写用紙 |
US5846637A (en) | 1997-05-07 | 1998-12-08 | Xerox Corporation | Coated xerographic photographic paper |
JP2000003060A (ja) | 1998-06-12 | 2000-01-07 | Fuji Photo Film Co Ltd | 電子写真用記録シート |
EP1171310B1 (en) | 1999-04-01 | 2005-06-08 | Foto-Wear, Inc. | Polymeric composition and printer/copier transfer sheet containing the composition |
JP4436000B2 (ja) * | 2000-02-29 | 2010-03-24 | 王子製紙株式会社 | 電子写真用転写用紙 |
JP2001281901A (ja) * | 2000-03-30 | 2001-10-10 | Minolta Co Ltd | 電子写真用被記録材 |
JP4588935B2 (ja) * | 2000-07-12 | 2010-12-01 |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 電子写真記録用紙 |
CN1250391C (zh) * | 2000-08-25 | 2006-04-12 | 国际纸业公司 | 包括聚烯烃/聚酰胺共混物层的多层纸板包装结构 |
JP2002091046A (ja) | 2000-09-20 | 2002-03-27 | Fuji Xerox Co Ltd |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
JP2003005418A (ja) | 2001-06-22 | 2003-01-08 | Fuji Photo Film Co Ltd | 電子写真用受像紙 |
JP2003005419A (ja) | 2001-06-22 | 2003-01-08 | Fuji Photo Film Co Ltd | 電子写真用受像紙 |
US20030141487A1 (en) * | 2001-12-26 | 2003-07-31 | Eastman Kodak Company | Composition containing electronically conductive polymer particles |
EP1336901A1 (en) | 2002-02-15 | 2003-08-20 | Fuji Photo Film Co., Ltd. | Image receiving sheet for fixing belt type electrophotography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JP4136681B2 (ja) * | 2002-02-15 | 2008-08-2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形成方法 |
JP2003270835A (ja) | 2002-03-18 | 2003-09-25 | Fuji Photo Film Co Ltd | 電子写真用受像シート |
JP3980494B2 (ja) * | 2002-04-18 | 2007-09-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電子写真用受像シート及び画像形成方法 |
JP2003330220A (ja) * | 2002-05-16 | 2003-11-19 | Fuji Xerox Co Ltd |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
US20030235683A1 (en) | 2002-06-12 | 2003-12-25 | Fuji Photo Film Co., Ltd. | Electrophotographic image-receiving sheet,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cess for image formation using the same |
JP2004017569A (ja) * | 2002-06-19 | 2004-01-22 | Fuji Xerox Co Ltd |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
US20040058176A1 (en) * | 2002-09-18 | 2004-03-25 | Fuji Photo Film Co., Ltd. | Electrophotographic image-receiving sheet and process for image formation using the same |
US7125611B2 (en) * | 2003-02-26 | 2006-10-24 | Eastman Kodak Company | Polyester compositions useful for image-receiving layers |
US20040248028A1 (en) * | 2003-05-02 | 2004-12-09 | Shigehisa Tamagawa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proces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receiving material |
US20060115630A1 (en) | 2004-11-30 | 2006-06-01 | Eastman Kodak Company | Image element with electrostatic transport capability |
US7211363B2 (en) | 2004-11-30 | 2007-05-01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photographic prints with glossy and writable sides |
US7264867B2 (en) * | 2004-11-30 | 2007-09-04 | Eastman Kodak Company | Extruded toner receiver layer for electrophotography |
US7147909B2 (en) | 2004-11-30 | 2006-12-12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photographic media with carboxylic acid polymer |
US7754315B2 (en) | 2004-11-30 | 2010-07-13 | Eastman Kodak Company | Marking enhancement layer for toner receiver element |
US7867603B2 (en) | 2004-11-30 | 2011-01-11 | Eastman Kodak Company | Coextruded toner receiver layer for electrophotography |
US7687136B2 (en) | 2004-11-30 | 2010-03-30 | Eastman Kodak Company | Fuser-oil sorbent electrophotographic toner receiver layer |
-
2004
- 2004-11-30 US US10/999,254 patent/US7264867B2/en active Active
-
2005
- 2005-11-17 WO PCT/US2005/042142 patent/WO200606021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11-17 EP EP05846988A patent/EP1817637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5-11-17 JP JP2007544384A patent/JP508609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1-17 KR KR1020077012106A patent/KR200700901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
- 2007-05-14 US US11/748,069 patent/US767844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115627A1 (en) | 2006-06-01 |
JP5086095B2 (ja) | 2012-11-28 |
US20070212527A1 (en) | 2007-09-13 |
JP2008522242A (ja) | 2008-06-26 |
EP1817637A1 (en) | 2007-08-15 |
WO2006060217A1 (en) | 2006-06-08 |
US7678445B2 (en) | 2010-03-16 |
US7264867B2 (en) | 2007-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78445B2 (en) | Extruded toner receiver layer for electrophotography | |
US7632562B2 (en) | Universal print media | |
US8288008B2 (en) | Image recording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method | |
JP5053858B2 (ja) | カルボン酸ポリマーを有する電子写真媒体 | |
US7867603B2 (en) | Coextruded toner receiver layer for electrophotography | |
US7754315B2 (en) | Marking enhancement layer for toner receiver element | |
EP1365284A1 (en) | Imaging element with improved surface and stiffness | |
JP4436000B2 (ja) | 電子写真用転写用紙 | |
US7211363B2 (en) | Electrophotographic prints with glossy and writable sides | |
US7687136B2 (en) | Fuser-oil sorbent electrophotographic toner receiver layer | |
JP5091588B2 (ja) | 電子写真用受像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 |
JPH11160905A (ja) |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 |
JPH0695420A (ja) | ラベル用積層体 | |
JPH04240889A (ja) | ラベル用積層体 | |
JP2007225681A (ja) |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 |
JP2000356862A (ja) | 電子写真用記録材 | |
JP2007041303A (ja) |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 |
JP2003322990A (ja) | 電子写真用受像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