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135A - 의료용 부목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135A
KR20070090135A KR1020070082638A KR20070082638A KR20070090135A KR 20070090135 A KR20070090135 A KR 20070090135A KR 1020070082638 A KR1020070082638 A KR 1020070082638A KR 20070082638 A KR20070082638 A KR 20070082638A KR 20070090135 A KR20070090135 A KR 2007009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plint
water
cover
endothel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순
문영훈
Original Assignee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0135A/ko
Publication of KR2007009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에 노출되고 다수의 통수공이 마련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서 상기 외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중간피, 상기 중간피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내피, 및 상기 중간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습기경화형 수지가 함침된 심재를 포함하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술이 가능하며, 과도한 수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부목, 통수공, 외피, 중간피, 내피, 습기경화형 수지, 심재

Description

의료용 부목{SPLINT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사고에 의해 골절 또는 염좌 등의 상해를 입은 경우에, 환부를 안전하게 지지, 고정하는데 사용하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술이 가능하며, 과도한 수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용 부목(splint)은 팔다리의 뼈가 골절되거나 또는 금이 가거나 인대의 시장 또는 파열시에 응급수단으로서 환부를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부목으로써 종래부터 널리 사용된 석고붕대는 성형하기가 쉽고, 경화 후 기계적 강도가 높아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무겁고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되어 환부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없으며, 또는 통기성이 없어서 장시간 착용시 땀에 의해 피부병이 발생하거나 가려움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에는 폴리에스터 편직물, 유리섬유 편직물, 부직포 등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Moisture Curing Polyurethane) 수지 등의 강화제를 함침시켜 가볍고, 통기성과 성형성을 개선한 부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의 부목을 간단히 살펴보면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도포된 경화성 심재와, 시술자 및 환자의 피부에 폴리우레탄 수지가 묻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피(내피,외피)로 구성되어 보호피(내피,외피) 사이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도포된 경화성 심재를 초음파 융착 재봉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삽입시켜 놓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된 종래의 부목을 사용할 시에는 먼저 기밀 포장된 진공포장을 개봉하여 보호피(내피, 외피)에 싸인 부목 전체를 물속에 담가 내부의 경화성 심재에 물이 충분하게 침투되게 한 다음 물기를 짜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낸 후, 환부의 형상에 따라 밀착시키고 고탄력 붕대로써 부목이 맞닿인 환부 전체를 감아 고정시켜주면, 3~4분 후에 경화성 심재가 견고하게 경화되어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부목시술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부목들은 그 기능상 부직포 등으로 된 보호피는 피부나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이 되므로 가급적이면 수분의 침투가 되지 않아야 하는 특성이 요구되고, 동시에 내부의 경화성 심재는 수분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신속히 경화되어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상기 부목은 내부의 경화성 심재에 물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하여 부목 전체를 물에 담가 보호피를 통과한 물이 경화성 심재에 침투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호피에 과도한 물이 함침되어 짜내고 수건으로 닦아도 보호피 내에 함침된 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어 시술 후 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막을 수 없고 이에 따른 2차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결국, 경화성 심재는 물이 빨리 스며들어야 하고, 부직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피는 물이 묻지 않는 특성을 가진 부목이 절실히 요구되며,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340541호(2004.1.26 등록)에서 경화성 심재와 보호피가 분리되어, 경화성 심재만 물에 담가 보호피와 결합시키는 경화성 심재 분리형 정형외과용 부목에 관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은 상기 부목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호피(2)의 일측 가장자리만이 융착 또는 재봉되고, 나머지 일측은 개방된 상태에서 경화성 심재(3)를 삽입 결합 후, 점착테이프(4)를 사용하여 개방측을 접합하는 정형외과용 부목(1)을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고안의 경우 물을 함침시킨 경화성 심재(3)를 보호피(2) 내부에 넣고 점착테이프(4)를 이용하여 개방된 보호피(2)의 일측을 타측면에 점착할 때, 점착테이프(4)의 점착성능이 우수하다 하더라도 타측면의 부직포가 훼손되면서 점착된 면이 다시 일측면과 분리되는 경우가 있고, 이에 따라 경화성 심재(3)가 보호피(2)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시술에 방해가 되거나, 경화성 심재(3)를 다시 보호피(2)와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에 노출되고 다수의 통수공이 마련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서 상기 외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중간피, 상기 중간피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내피, 및 상기 중간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습기경화형 수지가 함침된 심재를 포함하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쾌적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시술이 가능하며, 과도한 수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용 부목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부에 노출되고 다수의 통수공이 마련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서 상기 외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중간피, 상기 중간피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내피, 및 상기 중간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습기경화형 수지가 함침된 심재를 포함한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피의 외측에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고, 피부와 맞닿는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보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착수단은 아크릴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간피에는 계면활성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피와 내피는 발수성 성질을 가진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외피와 내피는 발수성 성질을 가진 부직포로 구성되고, 중간피는 흡습성이 강한 부직포로 구성됨으로써, 시술시 부목을 물에 투입하면 수분이 다수의 통수공을 통하여 신속히 침투되어, 흡습성이 강한 중간피는 수분을 머금고 외피와 내피는 발수를 하여, 경화성 심재는 경화가 촉진되고, 외피와 내피는 수분침투가 최소화되어, 쾌적한 상태로 시술이 가능하고 과도한 수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외피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수공에 의해 통기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보호피를 사용하여 환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촉감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와 내피(30)에 의해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의 내부공간은 중간피(40)에 의해 분할되며, 중간피(40)와 내피(30)로 이루어지는 공간(35)에 습기경화형 수지가 함침된 심재(50)가 삽입되고, 내피(30)의 외측에는 완충 보호피(60)가 접착수단(70)에 의해 접착된다.
여기서, 외피(20)와 내피(30)는 동일 재질의 것으로서, 발수성 성질을 가진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터(PE:Polyester) 등 기타 다른 부직포를 사용할 시에는 발수제 처리를 하여 발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피(20)에는 다수의 통수공(21)이 형성되는데, 이 통수공(21)을 통하여 후술하는 심재(50)에 수분이 함침되고, 부목(10) 시술 후에는 통기성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통수공(21)을 통해 심재(50)에 함침된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시술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심재(50)의 경화를 촉진시킬 수분을 머금고 있도록 하기 위해, 외피(20)의 하측에는 흡습성이 좋은 중간피(40)가 개재된다.
또한, 이 중간피(40)의 하측에는 다시 내피(30)가 개재되며 외피(20), 중간 피(40) 및 내피(30)의 가장자리가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여기서, 중간피(40)로는 일반적으로 흡습성이 좋은 폴리에스터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27g/m2 규격의 폴리에스터 부직포에 계면활성제(흡습제)를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중간피(40)의 흡습성이 좋아져서, 통수공(21)을 통해 침투된 수분이 빠르게 흡수되고, 이렇게 중간피(40)에 흡수된 수분은 심재(50)의 경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중간피(40)와 내피(30) 사이에 게재되는 심재(50)는 폴리에스터 편직물이나,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일 예로서, 650g/m2) 등이 사용가능하고,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일반적인 경화제를 함침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30)는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데, 접촉부위가 편안하고 쾌적하게 하기 위해, 450g/m2 의 두껍고 발수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피(30)의 외측에 완충 보호피(60)를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내피(30)는 150g/m2 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고, 완충 보호피(60)로는 450g/m2 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여 내피(30)에 접착수단(70)에 의해 접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완충 보호피(60)를 내피(30)에 접착시키는 접착수단(70)으로는 아크릴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제 처리된 곳에는 이형지(미도시)를 붙여둔 후, 부목 시술시에 이형지를 제거하고 내피(30)에 완충 보호피(60)를 접착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한 의료용 부목(10)은 일반적으로 진공포장되어 유통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10)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포장(미도시)을 개봉하여 부목(10)을 물에 담그게 되면, 외피(20)의 통수공(21)을 통해 물이 침투되면서, 흡습성이 좋은 중간피(40)가 수분을 머금게 되고, 이 수분에 의해 심재(50)의 경화가 촉진된다.
이때, 외피(20)와 내피(30)는 발수성 성질을 가진 부직포로 구성되므로 수분침투가 최소화되고, 심재(50)의 경화에 필요한 수분만 중간피(40)에 존재하게 됨으로써, 쾌적한 상태로 시술이 가능하고, 과도한 수분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촉감이 좋고 쿠션감이 있는 완충 보호피(60)를 내피(30)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접착제 처리된 부분의 이면지를 제거하고 내피(30)에 접착시키게 되며, 이로써 완충 보호피(60)가 피부에 접촉되고, 환자의 피부와 상처부위에는 전혀 물기가 없도록 하여, 내피(30)가 피부에 접촉되는 경우보다 더욱 더 쾌적한 상태에서 시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술되는 의료용 부목(10)은, 통수공(21)에 의해 공기의 통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고탄력 붕대(미도시)를 감아 고정시킴으로써 의료용 부목(10)의 시술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의료용 부목 20 : 외피
21 : 통수공 30 : 내피
40 : 중간피 50 : 심재
60 : 내피 70 : 접착수단

Claims (5)

  1. 외부에 노출되고 다수의 통수공이 마련되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서 상기 외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중간피;
    상기 중간피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피에 양측이 접합되는 내피; 및
    상기 중간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습기경화형 수지가 함침된 심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외측에,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고 피부와 맞닿는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 보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아크릴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피에는 계면활성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내피는 발수성 성질을 가진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KR1020070082638A 2007-08-17 2007-08-17 의료용 부목 KR20070090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38A KR20070090135A (ko) 2007-08-17 2007-08-17 의료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38A KR20070090135A (ko) 2007-08-17 2007-08-17 의료용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135A true KR20070090135A (ko) 2007-09-05

Family

ID=3868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638A KR20070090135A (ko) 2007-08-17 2007-08-17 의료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01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859B1 (ko) 의료용 부목
JP2008545490A (ja) 不織副木及びギブス製品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JP2005523769A (ja)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JP2005523768A (ja)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KR101444154B1 (ko)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20060107481A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KR20160064624A (ko) 의료용 부목
KR102219436B1 (ko) 튜브 고정 패드
KR101332577B1 (ko)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20070090135A (ko) 의료용 부목
KR20090079138A (ko) 정형외과용 부목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KR200326640Y1 (ko) 정형외과용 부목
US20040147859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CN211067285U (zh) 一种用于肋骨断裂的肋骨固定板
KR200340541Y1 (ko) 경화성 심재 분리형 정형외과용 부목
KR20080029024A (ko) 관통구가 형성된 의료용 부목
JP2012506755A (ja) 医療用キャスト及び皮膚保護帯
KR20160134336A (ko) 부목
KR101052918B1 (ko) 캐스팅 테이프
KR200326641Y1 (ko) 의료용 부목
KR200264030Y1 (ko) 의료용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