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45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454A
KR20070088454A KR1020077001263A KR20077001263A KR20070088454A KR 20070088454 A KR20070088454 A KR 20070088454A KR 1020077001263 A KR1020077001263 A KR 1020077001263A KR 20077001263 A KR20077001263 A KR 20077001263A KR 20070088454 A KR20070088454 A KR 2007008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ntroller
car
electronic safety
eleva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234B1 (ko
Inventor
겐이치 오카모토
다츠오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2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여,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의 각각 독립한 CPU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와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사이의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신 시스템은 2중 용장(冗長)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안전 콘트롤러에 의해 통신 에러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금지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표2002-538061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통신 에러의 체크를 전자 안전 콘트롤러만이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자 안전 콘트롤러의 기판이 보수 등을 위해서 떼어내어져 있는 경우,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모두 기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및 사양에 적합하지않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등,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경우에, 전자 안전 콘트롤러에 의한 안전 감시가 없음으로 엘리베이터 칸이 운전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의 ETS 장치에서 설정된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 2 및 제 3 CPU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 1 CPU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 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4)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림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5)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제동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 밀어붙이는 한 쌍의 제동편을 가지고 있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메인 로프(6)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를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권상기(卷上機))(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7)는, 구동 쉬브(8), 구동 쉬브(8)를 회전시키는 모터부(9), 구동 쉬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10), 및 구동 쉬브(8)의 회전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엔코더(11)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부(10)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전 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제동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shoe)가 제동면으로 밀어 붙여져 구동 쉬브(8)의 회전이 제동됨과 동시에, 전자 마그넷을 여자(勵磁)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슈가 제동면으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제동이 해제된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의 하부 등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제어판)(12)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구동 장치(7)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제어부에는, 모터 엔코더(11)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운전 제어부는, 모터 엔코더(11)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구하여, 구동 장치(7)를 제어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구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운전 지령 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이상 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급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회로(릴레이 회로)(30)가 접속되어 있다. 안전 회로(13)가 개로(開路) 상태가 되면, 구동 장치(7)의 모터부(9)로의 통전(通電)이 차단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부(10)의 전자 마그넷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구동 쉬브(8)가 제동된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조속기(調速機)(기계식 조속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4)에는, 조속기 쉬브, 과속도 검출 스위치, 로프 캐치, 및 센서로서의 조속기 엔코더(1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조속기 로프(16)가 감겨 있다. 조속기 로프(16)의 양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5)의 조작 기구에 접속되어 있 다. 조속기 로프(16)의 하단부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쉬브(17)에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면, 조속기 로프(16)가 순환되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쉬브가 회전된다. 조속기(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과속도(過速度)에 이르른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하는 과속도로서는, 정격(定格) 속도보다 높은 제 1 과속도(OS 속도)와, 제 1 과속도보다 높은 제 2 과속도(Trip 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제 1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14)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 상태가 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제 2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14)의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16)가 파지(把持)되고, 조속기 로프(16)의 순환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16)의 순환이 정지되면, 비상 정지 장치(5)가 제동 동작한다.
조속기 엔코더(15)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또, 조속기 엔코더(15)로서는, 2계통의 검출 신호, 즉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듀얼 센스 타입(dual sense type)의 엔코더가 이용되고 있다.
조속기 엔코더(15)로부터의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안전 제어 기판)(21)에 입력된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조속기 엔코더(15) 등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예를 들면 종단(終端) 층 강제 감속 장치(ETS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ETS 장치는, 조속기 엔코더(1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는 독립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 및 위치를 구하고, 종단 층 부근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
또, ETS 장치는, 조속기 엔코더(15)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ETS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가 ETS 감시 과속도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 상태가 된다.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 자체의 이상, 및 조속기 엔코더(15)의 이상을 검출 가능하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 자체 또는 조속기 엔코더(15)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로서의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 신호가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출력된다. 또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 운행 제어부와의 사이는,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 내의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기준 위치 센서(23, 24)가 설치되어 있다. 기준 위치 센서(23, 24)로서는, 상부 및 하부 종단 층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 입력된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서는, 기준 위치 센서(23, 24)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ETS 장치 내에서 구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의 정보를 수정한다.
승강로(1)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7) 및 균형추 완충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27) 및 균형추 완충기(28)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가 승강로(1)의 바닥부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러한 완충기(27, 28)로서는, 예를 들면 유입식 또는 스프링식 버퍼(buffer)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41a, 41b)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4)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43a, 43b) 및 균형추 측 리턴 풀리(44)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6)는, 승강로(1)의 상부에 로프 고정부를 통하여 접속된 제 1 및 제 2 단부(端部)(6a, 6b)를 가지고 있다.
또, 메인 로프(6)는, 제 1 단부(6a) 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41a, 41b),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43a, 43b), 구동 쉬브(8), 균형추 측 리턴 풀리(44)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42)에 감겨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2:1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14)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ETS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과속도의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이 하부 종단 층으로부터 상부 종단 층까지 통상 속도(정격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패턴은, 통상 속도 패턴(V0)이 된다. 조속기(14)에는, 기계적인 위치 조정에 의해 제 1 및 제 2 과속도 패턴(V1, V2)이 설정되어 있다. ETS 장치에는,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이 설정되어 있다.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통상 속도 패턴(V0)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통상 속도 패턴(V0)에 대해서 전(全)승강 행정에서 대략 등간격을 두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은, 중간 층 부근에서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종단 층 부근에서는 승강로(1)의 종단(상단 및 하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연속적이고 또한 매끄럽게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ETS 장치(22)는, 종단 층 부근뿐만이 아니라, 중간 층 부근(통상 속도 패턴(V0)에 있어서의 일정 속도 주행 구간)에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고 있지만, 중간 층 부근에 대해서는 반드시 감시하지 않아도 좋다.
제 1 과속도 패턴(V1)은, ETS 감시 과속도 패턴(VE)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 과속도 패턴(V2)은, 제 1 과속도 패턴(V1)보다 더욱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과속도 패턴(V1, V2)은, 승강로(1) 내의 모든 높이에서 일정하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제 1 CPU(연산 처리부)(31), 기억부(R0M, RAM 및, 하디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제 1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기능은, 제 1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 1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제 1 CPU(31)는,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부(12)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모터부(9)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32)(인버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12)에는, 안전 회로(13)를 개로(開路)하기 위한 제 1 안전 릴레이(3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CPU(31)로부터 제 1 안전 릴레이(33)에 비상 정지 지령이 출력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 된다. 안전 회로(13)가 개로 되면, 모터용 콘택터(34)가 열리고, 모터부(9)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동시에, 브레이크용 콘택터(35)가 열리며, 브레이크부(10)의 전자 마그넷으로의 통전이 차단된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제 2 및 제 3 CPU(연산 처리부)(36, 37), 기억부(R0M, RAM 및 하디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제 2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능은, 제 2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 2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안전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CPU(36, 37)는,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는, 안전 회로(13)를 개로하기 위한 제 2 및 제 3 안전 릴레이(38, 39)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3 CPU(36, 37)와 제 2 및 제 3 안전 릴레이(38, 39)는, 1:1로 대응하고 있다. 제 2 및 제 3 CPU(36, 37)에서부터 제 3 안전 릴레이(38, 39)로 비상 정지 지령(강제 감속 지령)이 출력되면, 안전 회로(13)가 개로된다.
안전 프로그램에는, 같은 내용의 제 1 및 제 2 안전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제 2 CPU(36)는, 제 1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제 3 CPU(37)는, 제 2 안전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제 2 및 제 3 CPU(36, 37)는, 프로세서간 버스(bus) 및, 2포트 RAM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및 제 3 CPU(36, 37)는, 서로의 연산 처리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 2 및 제 3 CPU(36, 37) 자체의 건전성(健全性)을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 2 및 제 3 CPU(36, 37)에 동일 처리를 실행시켜, 처리 결과를 통신 비교하는 것에 의해, CPU(36, 37)의 건전성이 확인된다.
또,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는, CPU(36, 37) 자체의 이상 이외의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이상도 연산 처리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제 2 및 제 3 CPU(36, 37)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2 및 제 3 CPU(36, 37)는, 제 2 컴퓨터 내의 정주기(定周期) 타이머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연산 주기(예를 들면 50msec)로, R0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일주기 내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안전 프로그램과, 전자 안전 콘트롤러(21) 자체나 각종 센서의 고장·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고장·이상 체크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고장·이상 체크 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만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고장·이상 체크 프로그램에서는, 예를 들면 크랙(crack) 이상의 검출, RAM의 스택(stack) 영역의 이상 검출, 연산 처리 순서의 이상 검출, 릴레이 접점의 이상 검출 및 전원 전압의 이상 검출 등을 차례차례 실행한다.
도 5는 도 3의 제 1 CPU(31)에 의한 연산 처리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 CPU(31)는, 제 1 컴퓨터 내의 정주기 타이머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는 소정의 연산 주기로, R0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연산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일주기 내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체크프로그램이 포함된다. 통신 체크프로그램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만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소정의 주기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 대한 통신 상태 체크용의 통신을 실시한다. 그리고,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 응답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통신 에러 검출시),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주행중이면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전하게 정지시켜(가장 가까운 층 정지 지령),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중이면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不可)로 한다.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한 경우, 수동 운전 및 저속 자동 운전의 적어도 어느 한쪽만을 허가하여도 좋다.
또, 통신 에러가 검출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관 리실 등에 대하여 이상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통신 에러가 검출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에게 이상을 발보(發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부(12)가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어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므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객을 태워 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한 경우에서도, 수동 운전 및 저속 자동 운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가하도록 했으므로, 보수에 의한 기판 교환시 등에 엘리베이터 칸(3)이 완전하게 움직일 수 없게 되지 않는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부(12)로부터의 통신 상태 확인 신호는 반복하여 출력되지만,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의 응답이 1번이라도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 통신 에러라고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통신 에러의 오류 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부터의 응답이, 미리 설정된 회수만 연속하여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 통신 에러라고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로 구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등의 정보를 통신 상 태 확인 신호에 포함시켜도 좋고, 이 경우,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에서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21)로 구한 정보와 엘리베이터 제어부(12)로 구한 정보를 비교하여, 정합(整合)이 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응답하지 않도록(통상 운전을 허가하지 않는다)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잘못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설치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운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엘리베이터 제어부(12) 및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엘리베이터 칸 정지마다 브레이크 작동 후의 센서 정보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움직임을 감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브레이크 작동 후에 엘리베이터 칸(3)이 적정하게 정지 유지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부(10)에 의해 필요한 감속 토르크가 확보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속 토르크의 확인 동작의 타이밍은, 엘리베이터 칸 정지마다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층에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했을 때, 미리 설정된 회수만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했을 때,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1일, 1시간 또는 10분) 안에서 최초로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했을 때 등에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한,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의 기판이 떼어내지는 것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작되는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부(12)는, 검출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전자 안전 콘트롤러(21)가 실질적으로 없게 되어 있지 않은지 어떤지를 확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부(12)와 전자 안전 콘트롤러(21)와의 사이의 통신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 통신으로 행하여도,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으로 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
    엘리베이터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를 안전한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안전 콘트롤러
    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되고,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不可)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수동 운전은 허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저속 자동 운전은 허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중에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관리자에게 이상을 발보(發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에 출력하여,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로부터의 응답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지 안오는지에 의해 통신 상태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엘리 베이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안전 콘트롤러로부터의 응답이, 미리 설정된 회수만 연속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에, 통신 상태가 이상이 있다라고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01263A 2007-01-18 2005-03-31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9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263A KR100891234B1 (ko) 2007-01-18 2005-03-31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263A KR100891234B1 (ko) 2007-01-18 2005-03-31 엘리베이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185A Division KR20080110689A (ko) 2008-12-10 2005-03-31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454A true KR20070088454A (ko) 2007-08-29
KR100891234B1 KR100891234B1 (ko) 2009-04-01

Family

ID=3861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263A KR100891234B1 (ko) 2007-01-18 2005-03-3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2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234B1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91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74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289832B1 (e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4080722B (zh) 用于减小升降机轿厢的速度的系统和方法
WO2010100802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WO2008020111A1 (en) Elavator system
CN109789993B (zh) 带有具有例如乘客自主撤离的选择的两个单元的电梯安全监督实体
JPWO2015079976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110042236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21220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449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082059A (ja) 電子安全エレベータ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19230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KR20120014003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801106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