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646A - 리셋을 가지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리셋을 가지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646A
KR20070085646A KR1020077012437A KR20077012437A KR20070085646A KR 20070085646 A KR20070085646 A KR 20070085646A KR 1020077012437 A KR1020077012437 A KR 1020077012437A KR 20077012437 A KR20077012437 A KR 20077012437A KR 20070085646 A KR20070085646 A KR 2007008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signal
electrophoretic display
rese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티 존슨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8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4Flat panel display in which a field is applied parallel to the display pla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6Passive matrix structure, i.e. with direct application of both column and row voltages to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ther than LCD or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09G2310/062Waveforms for resetting a plurality of scan lines at a time

Abstract

선택 구동기가 선택 파형을 매트릭스의 각 라인으로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기가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따라 구동 신호(D) 시퀀스를 매트릭스의 열(column)로 인가하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1)가 제공된다. 선택 파형은 매트릭스 라인의 화소에 인가될 선택 신호(S)를 처리하는 리셋 신호(R15Rn)를 포함한다. 리셋 신호(R1)는, 각 구동 신호(D)가 픽셀(2)에 인가되기 전에, 적어도 매트릭스 라인의 서브세트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된다. 대안적으로, (리셋 신호(RN)를 포함하는) 선택 파형은, 다음 라인이 리셋되는 동안, 매트릭스의 각 선택된 라인의 픽셀(2)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D)를 가지고, 매트릭스의 각 라인으로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1)의 이미지 갱신 시간이 감소된다.

Description

리셋을 가지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PASSIVE MATRIX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RESET}
본 발명은,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charged particle)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electrophoretic material), 복수의 화소(picture element), 각 화소와 관련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대전 입자는 상기 전극들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구동 수단은 구동 신호의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각 구동 신호는 상기 신호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는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로 구성되는 전기 영동 매체, 매트릭스 내 배열된 복수의 화소(픽셀), 각 픽셀과 관련한 제 1 및 제 2 전극, 및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인가된 전위차의 값과 지속기간에 따라, 대전 입자로 하여금 전극들 사이에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기 위해 각 픽셀의 전극으로 전위차를 인가하기 위한 전압 구동기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데이터 전극과 선택 전 극을 교차하는 교점과 연관되는 픽셀의 매트릭스를 가지는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이다. 그레이 레벨(grey level) 또는 픽셀의 색상(colorization) 레벨은 특정 레벨의 구동 전압이 픽셀에 교차하여 나타나는 시간에 의존한다. 이것은 또한 픽셀에 인가되는 에너지(= 전압 x 시간)로서 참조된다. 구동 전압의 극성에 따라, 픽셀의 광학 상태는 현재 광학 상태를 두 개의 제한 상황(즉,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변경시키는데, 예를 들어 대전 입자 중 한 타입은 픽셀의 상부 근처 또는 하부 근처에 있다. 중간 광학 상태, 예를 들어 흑백 디스플레이에서 그레이스케일은 전압이 픽셀 양단에 나타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획득된다.
보통, 모든 픽셀은 적절한 전압을 선택 전극으로 공급함으로써 라인별로 선택된다. 데이터는 선택된 라인에 관련한 픽셀로 데이터 전극을 거쳐 동시에 제공된다.
도 1 및 2는 제 1 기판(8), 제 2 대면 기판(9), 및 복수의 화소(2)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2)는 2-차원 구조로 실질적으로 직선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유체 내에 대전 입자(6)를 가지는 전기 영동 매체(5)는 기판(8,9) 사이에 나타난다. 제 1 및 2 전극(3,4)은 전위차를 수용하기 위한 각 화소(2)에 관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배열에서, 제 1 기판(8)은 각 화소(2)에 대해 제 1 전극(3)을 가지고, 제 2 기판(9)는 각 화소(2)에 대해 제 2 전극(4)을 가지나, 대안적으로, 두 전극 모두 동일한 기판에 위치할 수 있고, 기판면에 전계(electrical field)를 생성하기 위해 측면으로 간격을 둘 수 있다. 대전 입자(6)는 전극(3,4) 근처 극 위 치(extreme positions)와 전극(3,4) 사이의 중간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각 화소(2)는 전극(3,4) 사이에 대전 입자(6)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 외관을 가진다.
전기 영동 매체는 예를 들어 US5,961,804, US6,120,839 및 US6,130,774로부터 본질적으로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E-ink 사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기 영동 매체(5)는 화이트 유체 내에서 음으로 대전된 블랙 입자(6)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 입자(6)가 제 1 극 위치 즉, 제 1 전극(3) 근처에 있을 때, 예컨대 15 볼트인 전극(3,4)에 인가된 전위차의 결과로서, 화소(2)의 외관은 예를 들어, 화소(2)가 제 2 기판(9)의 측면으로부터 관측되는 경우 화이트이다.
대전 입자(6)가 제 2 극 위치 즉, 제 2 전극(4) 근처에 있을 때, 예컨대 -15 볼트인 전극(3,4)에 인가된 전위차의 결과로서, 화소의 모습은 블랙이다. 대전 입자(6)가 중간 위치 중 하나 즉, 전극(3,4) 사이에 있을 때, 화소(2)는 복수의 중간 모습 예컨대, 라이트 그레이, 미드-그레이 및 다크 그레이 중 하나를 가지는데, 이는 블랙과 화이트 사이의 그레이 레벨이다.
통상적인 수동 매트릭스 어드레싱에서, 구동 신호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 선택 행과 데이터 열을 따라 한번에 한 라인의 픽셀을 스캐닝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로 도입된다. 행 구동기(row driver)(미도시)는 적절한 선택 펄스를 어드레스될 라인의 하부 전극(3)으로 제공하는 동안, 데이터 전압은 열 전극(column electrode)(4)에서 제공되어 픽셀로 제공된다. 픽셀 전압은 선택 전압과 데이터 전압 사이의 차이다.
도 3의 (a)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신호는 상부 전극(4)와 하부 전극(3) 사이에 직교 전계(E)를 생성하고, 픽셀에 인가된 구동 전압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광학 상태에서의 변경, 즉, 이미지 과도(image transition)에 의존하여 양, 음 또는 영일수 있다. 이 경우, 어떠한 이미지 과도도 (즉, 광학 상태에서 어떠한 변화도)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면 영전압이 인가된다.
라인이 더 이상 어드레스 되지 않을 때, 그 라인의 상부 및 하부 전계(4,3) 사이의 전계는, 예를 들어, 구동된 입자 시스템에 고유한 움직임에 대한 임계 전압 또는 그 외 픽셀 내 추가 전극을 이용하여 전계 장벽을 추가함으로써 도입된 임계치 아래 레벨로 전계(E)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입자가 움직이지 않는 레벨로 감소된다. 결론적으로, 입자는 라인이 어드레스될 때만 움직이고, 새로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요구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를 어드레싱하는 것이 완료되는데 비교적 오랜 시간(일반적으로, 픽셀의 응답속도 곱하기 디스플레이에서 행의 수)이 걸린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US2003/0081305 A1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동 매트릭스 구동 구조를 사용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를 기술하는데, 이에 의해 새로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요구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갱신되어 어드레스되는 행의 픽셀을 가지고 한번에 한 행씩 갱신되는 반면 나머지 행들은 변하지 않고 남아 있다. 새로운 이미지의 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그 이미지 내의 이미지 보존량을 제한하기 위해, 리셋을 구동 구조에 도입하는 것이 유리하며, US 2003/0081305의 배열에서, 이미지 갱신 동안, 각 행의 모든 픽셀은, 대전 입자가 디스플레이의 극 광학 상태(즉, 단색 디스플레이에서 블랙 또는 화이 트)의 하나에 또는 근처에 있는 한 상태로 리셋되며, 이에 후속해서, 어드레싱된 라인의 픽셀들은 이후 원하는 광학 상태로 구동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구동 구조의 리셋 부분은 구동 부분보다 상당히 더 오래 지속된다. 결과적으로, (리셋 부분을 포함하는) 구동신호가 순차적으로, 한 번에 한 라인씩 디스플레이로 인가되는 전술된 종래 기술의 배열에서, 신호의 구동 부분이 인가되기 전에 각 라인이 리셋되는 동안 상당한 지연이 도입되고, 그 결과는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긴 이미지 갱신 시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줄어든 이미지 갱신 시간을 가지나 리셋 기능이 여전히 유지되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및 동일한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부합하여,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의 세트, 각 화소와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대전 입자는 상기 전극들 사이에 복수의 위치 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각의 광학 상태에 대응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구동 신호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각 구동 신호는 상기 입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a) 각 리셋 신호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상기 화소 세트의 각각으로 리셋 신호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및
b) 리셋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화소 세트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그 화소로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리셋 신호가 행 전극의 서브세트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되기 때문에, 이미지 갱신 시간은 종래의 기술에 대비하여 줄어든다.
상기 구동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수동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수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셋 신호는 화소의 모든 세트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되는데, 즉, 매트릭스 또는 어래이에 화소가 배열되는 경우, 리셋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소의 각 행 또는 열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부합하여,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 세트, 각 화소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대전 입자는 상기 전극 사이의 복수의 위치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각의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각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신호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구동 수단과, 선택 신호를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될 화소 세트로 인가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선택 수단은 각 선택 신호가 화소에 인가되기 전에 리셋 신호를 하나 이상의 상기 화소 세트로 인가하도록 배열되며, 각 리셋 신호는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의 하나를 차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 및 리셋 기능이 별도로 제공되고 인가되므로, 화소의 일부 세트(즉, 위에 예시된 예에서 라인)가 데이터가 구동되는 동안, 나머지는 리셋되고, 이에 의해 종래의 기술에 비해 이미지 갱신 시간이 다시 한 번 감소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화소의 (적어도) 서브세트의 모든 세트(또는 라인)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리셋될 수 있는데, 이에 후속해서 화소의 리셋 세트가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셋 신호 및 선택 신호는, 리셋 신호가 시퀀스 내의 화소의 다른 세트에 인가되는 동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화소의 각 세트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가지고, 화소의 각 세트에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구동 신호는, 픽셀의 하나 이상의 다른 세트가 리셋되는 동안, 화소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 세트, 각 화소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전 입자는 상기 전극 사이의 복수의 위치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각의 광학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으로 확장되는데, 상기 방법은 구동 신호의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 구동신호는 상기 입자가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각 리셋 신호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상기 화소 세트의 각각으로 리셋 신호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및
b) 리셋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화소 세트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그 화소로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위에서 한정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더 확장되는데, 각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구동 수단은,
a) 각 리셋 신호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상기 화소 세트의 각각으로 리셋 신호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및
b) 리셋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화소 세트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그 화소로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 세트, 각 화소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전 입자는 상기 전극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 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각의 광학 상태에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 각 구동 신호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 파형을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될 화소 세트로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으로 확장되며, 여기서 상기 선택 파형은, 각각의 선택 신호를 화소 세트로 인가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상기 화소 세트로 인가될 리셋 신호를 더 포함하고, 각 리셋 신호는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 상기 구동 수단은, 각 구동 신호는 상기 입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기(data driver)와,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선택 파형을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될 화소 세트로 인가하기 위한 선택 구동기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더 확장되며, 여기서 상기 선택 파형은 각 선택 신호를 화소 세트로 인가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상기 화소 세트로 인가될 리셋 신호를 더 포함하며, 각 리셋 신호는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상 둘 다의 측면에서, 리셋 신호는 각 화소에 대해 취득 가능한 최고 전압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리셋 전압은 구동(또는 데이터) 신호와 선택 신호 사이의 전압차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결과로서, 리셋 기능이 가장 빠른 가능한 시간 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각 화소와 결합된 제 3 전극을 포함하는데, 제 3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선택되지 않은 화소에서 입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리셋 신호는 상기 입자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소에 대해, 동일한 극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데, 그 결과 선택 전압이 전체 디스플레이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각 리셋 신호는 극 광학 상태 사이에서 각각의 화소를 연속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복수의 반대 극성의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및 선택 신호는, 두 개의 극 광학 상태에 대한 리셋이 최대 화소 전압에서 실행되는 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최대값 및 최소값 사이에 바람직하게 교번한다. 상기 리셋 신호의 마지막 펄스는, 구동 신호의 인가 이전에, 입자가 잘 오버-리셋되는(및 따라서 잘-한정된 극 상태에 있게 되는) 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리셋 신호의 이전 펄스보다 더 큰 전압을 가지고/가지거나 더 길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디스플레이로의 구동 신호의 인가는 각각의 입자가 잘-한정된 방법으로 리셋되는 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리셋 신호의 마지막 펄스의 인가 기간 동안 중지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리셋 전압의 크기 및/또는 지속기간은, 그러한 오버-리셋이 이미지 보존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므로, 상기 입자 모두를 상기 극 광학 상태로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대 전압보다 바람직하게는 더 크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여기에 참조된 실시예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이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제 예시의 방법으로만,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횡단면 개략도.
도 3은 상부와 하부 전극 사이에 직교하는 전계를 생성하기 위한 전형적인 수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의 (a)는 도 3의 A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표적인 구동 및 선택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대 한 대표적인 구동 및 선택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표적인 구동 및 선택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표적인 구동 및 선택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표적인 구동 및 선택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표적인 구동 및 선택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체 이미지 갱신 시간을 줄이기 위한 한 방법은 새로운 이미지를 기록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의 완전한 리셋을 도입하는 것이다. 그러한 리셋은, 도면의 도 4를 참조하여, 수동 매트릭스의 전체 선택 라인을 동시에 활성화하고, 동일한 리셋 전압(R1)을 모든 데이터 라인으로 인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단계 동안, 데이터 구동기는 리셋하는 동안 픽셀 전압을 최대화하기 위해 (데이터에 무관한) 전압 (RD)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매트릭스의 모든 행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리셋된다.
디스플레이에서 모든 픽셀이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로 리셋된다고 가정한다면, 리셋은 한정된 패턴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리셋 패턴의 예는 전체가 화이트 이거나 전체가 블랙인 스크린이지만, 또한 흑백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설정된 교번하는 데이터 라인을 가지는 패턴이다(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인 시청거리에서 볼 때 미드-그레이 컬러로 나타날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셋 전압은 리셋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에서 각 픽셀의 광학 상태에 무관하게, 각 픽셀을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로 구동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예를 들어, 리셋 전압은 (단색 디스플레이에서) 소위 전체 화이트 상태에서 전체 블랙인 리셋 상태로 (적어도) 픽셀을 구동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셋 전압(R1)은 데이터 전압(D)과 선택 전압(S) 사이의 차로서 이 경우 주어지는 픽셀에 대해 취득가능한, 가능한 최고 전압에서 설정된다. 이것은 리셋이 가능한 빨리 수행됨을 확실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선택 전압은 리셋 구동 극성 둘 다에 대해 동시에 최적화될 수 없으므로) 두 개의 극 광학 상태로 교번하는 라인을 동시에 리셋하는 것은 감소된 리셋 전압을 초래하므로, 전체 매트릭스를 전체 화이트 또는 전체 블랙 스크린 중 하나로 리셋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리셋은 모든 선택 전극을 비-선택 전압으로 설정하고, 리셋 신호를 입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임계 전압을 초과하는 데이터 전극으로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셋 신호는 크기면에서 일반 데이터 신호를 초과한다.
또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면의 도 5를 참조하여, 리셋은 예컨대 블랙(리셋 1)-화이트(리셋 2)-블랙-화이트인, 극 광학 상태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전체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리셋 신호의 시리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D) 및 선택(S) 전압 둘 다, 블랙으로의 리셋과 화이트로의 리셋이 최대 픽셀 전압에서 수행되는 점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데이터 전압과 선택 전압의 최댓값과 최솟값 사이에서 변동할 것이다.
도면의 도 4와 도 5를 각각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 둘 다에서, 리셋이 완료된 후 다음 이미지가 도입되고, 더 짧은 구동 펄스(D)만을 사용한다. 이것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구조에 비해 더 빠른 이미지 개선을 초래할 것이다.
도면의 도 4와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유니버셜 리셋(universal reset)에 관한 한 가지 이슈는 이전 이미지가 즉시 완전히 지워지고, 새로운 이미지만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구성된다는(즉, 한 번에 한 라인) 점이다. 이것은, 상당한 시간 주기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신호가 어떠한 정보도 나타내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적어도 일부 환경에서는, 예를 들어 광고가 타임 슬롯마다 과금되는 경우 이는 심각하게 불리한 점이다.
수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에 대해 전체 이미지 갱신 시간을 더 감소시키는 동안 디스플레이가 정보를 계속 나타냄을 확실하게 하는 한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스캐닝 리셋(scanning reset)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전 이미지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리셋과 구동 펄스를 스크롤링(scrolling)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로 부드럽게 변하게 될 수 있다.
그러한 스캐닝 리셋은 리셋 구동파형(리셋 + 구동 부분)을 디스플레이의 선택 라인으로 순차적으로, 한 번에 한 라인씩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앞서 참조된 US2003/008130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준 수동 매트릭스 어드레싱으로 이루 어진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구동 구조의 결과로서,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구동 신호가 도입되기 전에 각 라인이 리셋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는데, 이는 결국 상대적으로 매우 느린 이미지 갱신 과정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셋을 수동 매트릭스의 선택 라인의 서브세트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하는 것이 제시된다. 이 방법으로, 종래 기술의 배열에 비해 이미지 갱신 시간을 상당히 감소하는 반면, 요구되는 스캐닝 리셋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면의 도 6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갱신의 스캐닝 리셋과 데이터 구동 부분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 경우 이미지 갱신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리셋 전압(RN, RN+1, RN+2,...,RM)은 모든 픽셀이 극 광학 상태 중 하나에 도달할 때까지 선택 라인의 서브세트(M)로 인가된다. 이 과정 동안, 데이터 구동기는 ,리셋 동안 픽셀 전압을 최대화하기 위해, 이전과 같이, (데이터에 무관한) 전압(RD)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들 선택 라인(RN, RN+1, RN+2,...,RM)은 동시에 리셋된다.
●새로운 이미지는 이들 라인을 한번에 하나씩 선택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동 전압(D)을 인가함으로써, 선택라인의 동일한 서브세트로 기록된다.
이미지 갱신 시간은 동시에 리셋되는 라인의 수에 의존하는 양만큼, 종래의 기술에 비해 이제 감소된다.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캐닝 리셋과 이미지 갱신의 데이터 구동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이 제시되는데, 즉, 하나 이상의 라인은 다른 라인들이 데이터 구동되는 것에 대비하여 리셋되는 동안 위 부분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어드레싱은 한번에 한 라인씩 또는 시간 내 동일한 지점에서 리셋되는 선택 라인의 서브셋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 이미지 갱신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데이터 구동기는, 이미지 갱신 주기에 걸쳐 동작하여, 데이터 신호를 계속해서 데이터 라인으로 인가한다.
2. 도면의 도 7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라인 선택은 이제 선택 부분(S)이 따라오는 리셋 부분(RN, RN+1, RN+2,...,Rn)으로 구성된다.
3. 리셋 전압(RN, RN+1, RN+2,...,Rn)은 (알려지지 않은) 데이터 신호(D)와 조합하여, 픽셀 전압이 동일한 극성으로 및 픽셀 임계 전압을 초과하는 레벨에서 남아 있도록 높게 선택된다.
4. 리셋은 모든 전압이 극 광학 상태 중 하나에 도달할 때까지, 선택 라인(N,N+1,N+2,...,M)(의 서브세트 M)에 인가된다.
5. 라인에 있는 모든 픽셀이 리셋된다는 점을 보증하기 위해, 이미지 리셋 시간이 이상적으로 선택되어, 가장 낮은 가능한 전압을 가지는 (즉, 리셋 전압에 가장 가까운 데이터 전압을 가지고) 모든 픽셀이 리셋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든 다른 픽셀은 극 위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어려운 리셋을 수 신할 것이다. 이것은 오버-리셋 상황을 나타내지만, 극 위치에 일단 도달하면 입자들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것이므로, 손실은 아니다. 사실 특정량의 오버-리셋이 이미지 보존을 감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 알려져서, 리셋 주기가 위에 한정 된 것을 더 넘도록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6. 리셋 완료 후에, 더 낮은 선택 전압(S)이 선택 라인으로 인가되고, 새로운 이미지가 선택 기간 동안 구동 전압(D)(데이터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선택된 라인으로 기록된다. 디스플레이의 다음 라인이 리셋될 때 이 데이터 펄스들이 나타날 것임을 주목하라.
7. 선택 후, 선택 신호(S)는 비-선택 레벨로 되돌아간다.
이 실시예 내에서, 도면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 부분(RN)으로 확장함으로써, 반복되는 리셋을 블랙-화이트-블랙-화이트 등으로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이미지 내에서 이미지 보존량을 감소하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면의 도 9를 참조하여, 리셋 부분(RN)의 마지막 펄스(RX)는 이전 부분보다 (즉, 더 길고/길거나 더 높은 전압을 가지고) 더 강해진다. 이것은 데이터 구동 펄스(D)가 인가되기 전에 입자가 잘 오버-리셋된다는 점(그리고 따라서 잘-한정된 극 상태에 있다는 점)을 확실하게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신호는 마지막 리셋 펄스(RX)의 인가 기간 동안 중지될 수 있다. 이것은 입자가 잘 한정된 방법으로 리셋된다는 점을 확실하게 한 다. 따라서, 마지막 리셋 펄스(RX)(와 관련 구동)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라 처리된다.
전술된 실시예는 동일 평면 스위칭 모드(입자가 매질 내 확산되는 것과 측면 전극에 고정되는 것 사이에서 스위칭 됨),또는 수직 스위칭 모드(전술된 바와 입자가 같이 상부와 하부 전극 사이에서 스위칭 됨)로 구동되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더욱이, 전술된 본 실시예들은, 세그먼트가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되는(즉, 모든 세그먼트가 각각 다 구동되지는 않고, 일부 세그먼트가 동일한 데이터 구동기로부터 시간 순차적인 방법으로 구동되지만, 선택 전극에 의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와 같은 수동으로 구동된 비-매트릭스 디스플레이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상기 설명이 픽셀당 단지 2개의 전극을 가지는 픽셀 구조에 초점을 두지만, 본 발명은 추가적인 전극이 입자의 움직임을 개선시키거나 억제시키기 위해 픽셀로 도입되는 픽셀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일 예로써, 동일-평면 구성에서, 추가적인 (공통) 전극이 리셋 후에 입자가 저장되는 숨은(저장) 전극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장 전극에서의 입자는 선택 전극에 의해 데이터 전극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데, 이는 픽셀의 선택 라인을 제외한 모든 라인에서 저장 전극으로부터 데이터 전극까지 입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정전 장벽(electrostatic barrier)로서의 기능을 한다.
전술된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한다기보다는 설명하는 것이고, 당업자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이 주목되어야 한다. 청구항에서, 괄호 안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및 "포함하다" 등과 같은 단어는 전체적으로 임의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나열된 것들 외 다른 단계나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요소의 단수 참조는 그러한 요소의 복수 참조를 배제하지 않고, 그 역도 성립한다. 본 발명은 몇 개의 별개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수단을 열거하는 디바이스 청구항에서, 여러 가지 이들 수단은 하나의 하드웨어 항목에 의해 구현된다. 특정 장치가 서로 다른 종속 청구항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장치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점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charged particle)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electrophoretic material), 복수의 화소(picture element), 각 화소와 관련한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대전 입자는 상기 전극들 사이에서 복수의 위치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구동 수단은 구동 신호의 시퀀스를 상기 전극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각 구동 신호는 상기 신호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21)

  1. 유체(5) 내에 대전 입자(16)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2) 세트, 각 화소(2)와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3,4)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로서, 대전 입자(6)는 제 1 및 제 2 전극들(3,4) 사이에 복수의 위치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구동 신호(D) 시퀀스를 상기 전극(3,4)으로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각 구동 신호(D)는 대전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a) 각 리셋 신호(R1)가 상기 입자로 하여금(6)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리셋 신호(R1)를 복수의 화소(2) 세트 각각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하고,
    (b) 리셋 신호(R1)이 인가되는 상기 화소 세트의 하나 이상의 화소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화소에 구동 신호(D)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수동적으로 구동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수동 매트릭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R1)는 모든 화소(2) 세트로 동시에 인가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유체(5) 내에 대전 입자(6)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2) 세트, 각 화소(2)와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3,4)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로서, 대전 입자(6)는 제 1 및 제 2 전극들(3,4) 사이에 복수의 위치 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각 구동 신호(D)가 대전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D) 시퀀스를 상기 전극(3,4)에 제공하도록 배열된 구동 수단과, 선택 신호(S)를 상기 구동 신호(D)가 인가되는 화소(2) 세트로 인가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선택 수단은 각 선택 신호(S)를 화소로 인가하기 전에 리셋 신호(Rn)를 하나 이상의 상기 화소(2) 세트로 인가하도록 추가로 배열되고, 각 리셋 신호(Rn)는 상기 입자(6)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 바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화소(2)의 서브세트(M)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리셋되는데, 이에 후속해서 화소(2)의 리셋 세트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Rn)와 선택 신호(S)는 각 화소(2) 세트에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구동 신호는, 리셋 신호(Rn)가 시퀀스에서 화소의 다른 세트가 인가되는 동안, 선택 신호(S)가 인가되는 각각의 화소(2) 세트로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R1,Rn)는 각 화소(2) 양단에서 획득 가능한 최고 전압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리셋 전압은 구동 신호(D)와 선택 신호(S) 사이의 전압차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각 리셋 신호(R1,Rn)는 상기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1)의 모든 화소(2)에 대해 동일한 극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R1,Rn)는, 극 광학 상태 사이에 각 화소(2)를 연속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교대로 반대 극성인 복수의 펄스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각 리셋 신호(R1,Rn)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선택 신호(D,S)는 최댓값과 최솟값 사이에서 교번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1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R1,Rn)의 마지막 펄스(Rx)는 리셋 신호(R1,Rn)의 이전 펄스보다 더 길고/길거나 더 큰 전압을 가지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로의 구동 신호(D)의 인가는 리셋 신호(Rn)의 마지막 펄스(Rx)의 인가 기간 동안 중지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리셋 신호(R1,Rn)의 전압은 상기 극 광학 상태의 모든 대전 입자(6)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대 전압보다 더 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각 화소(2)에 결합된 제 3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극은 비-선택된 화소(2)에서 입자(6)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유체(5) 내에 대전 입자(6)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화소(2) 세트, 각 화소와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3,4)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대전 입자(6)는 제 1 및 제 2 전극들(3,4) 사이에 복수의 위치 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방법은 구동 신호(D) 시퀀스를 제 1 및 제 2 전극(3,4)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구동 신호(D)가 대전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a) 각 리셋 신호(R1)가 대전 입자(6)로 하여금 상기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리셋 신호(R1)를 복수의 화소(2) 세트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하고,
    (b) 리셋 신호(R1)이 인가되는 복수의 화소(2) 세트의 하나 이상의 화소(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화소에 구동 신호(D)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1)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
  19. 제 1항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 여기서 구동수단은 구동 신호(D) 시퀀스를 상기 전극(3,4)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각 구동 신호(D)는 상기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고, 구동수단은,
    (a) 각 리셋 신호(R1)가 상기 입자(6)로 하여금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리셋 신호(R1)를 상기 복수의 화소(2) 세트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인가하고,
    (b) 리셋 신호(R1)이 인가되는 상기 화소(2) 세트의 하나 이상의 화소(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화소에 구동 신호(D)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
  20. 유체(5) 내에 대전 입자(6)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물질, 복수의 회소(2) 세트, 각 화소(2)와 결합된 제 1 및 제 2 전극(3,4)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대전 입자(6)는 상기 전극들(3,4) 사이에 복수의 위치 중 하나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를 포함하는 각 광학 상태에 대응하고,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방법은 구동 신호(D) 시퀀스를 제 1 및 제 2 전극(3,4)으로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 구동 신호(D)는 대전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 시퀀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선택 신호(S)를 포함하는 선택 파형을 구동 신호(D)가 인가될 화소(2) 세트로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택 파형은 각 선택 신호(S)를 화소로 인가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화소(2) 세트로 인가될 리셋 신호(Rn)를 더 포함하고, 각 리셋 신호(Rn)는 대전 입자(6)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도록 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방법.
  21. 제 5항에 따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 구동 수단은, 각 구동 신호(D)가 대전 입자(6)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광학 상태를 차지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D)의 시퀀스를 제 1 및 제 2 전극(3,4)으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기와, 선택 신호(S)를 포함하는 선택 파형을 구동 신호(D)가 인가될 화소(2) 세트로 인가하기 위한 선택 구동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선택 파형은 각각의 선택 신호(S)가 화소로 인가되기 이전에 하나 이상의 화소(2) 세트로 인가될 리셋 신호(Rn)를 더 포함하고, 각 리셋 신호(Rn)는 대전 입자(2)가 제 1 및 제 2 극 광학 상태 중 하나를 차지하게 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
KR1020077012437A 2004-12-06 2005-11-29 리셋을 가지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KR20070085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6316.5 2004-12-06
EP04106316 2004-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646A true KR20070085646A (ko) 2007-08-27

Family

ID=3598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437A KR20070085646A (ko) 2004-12-06 2005-11-29 리셋을 가지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65120A1 (ko)
EP (1) EP1825456A1 (ko)
JP (1) JP2008523420A (ko)
KR (1) KR20070085646A (ko)
CN (1) CN101073107A (ko)
TW (1) TW200636660A (ko)
WO (1) WO20060617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880B1 (ko) * 2012-12-24 201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 구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22900D0 (en) 2006-11-16 2006-12-27 Liquavista Bv Display of electro-optic displays
JP5654235B2 (ja) * 2006-11-30 2015-01-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粒子の移動を使用した表示デバイス
JP5078387B2 (ja) * 2007-02-23 2012-11-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情報表示用パネルの駆動方法
KR101458912B1 (ko) * 2007-09-05 2014-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9311859B2 (en) * 2009-11-30 2016-04-12 Ignis Innovation Inc. Resetting cycle for aging compensation in AMOLED displays
TWI410731B (zh) * 2010-07-30 2013-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雙穩態顯示裝置及驅動方法
US20120105478A1 (en) * 2010-10-28 2012-05-03 Monotype Imaging Inc. Presenting Content on Electronic Paper Displays
CN102456323A (zh) * 2010-10-29 2012-05-16 矽统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纸显示装置与其驱动方法
JP2014508964A (ja) * 2011-02-08 2014-04-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自動波形連結
US8884997B2 (en) * 2011-05-23 2014-11-11 Barnesandnoble.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low-flash veil on an electronic paper display
CN102221973B (zh) * 2011-06-28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书阅读器及其翻页控制方法
KR101913428B1 (ko) 2012-02-23 2019-01-14 리쿠아비스타 비.브이.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235196B2 (ja) * 2012-05-31 2017-11-22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表示媒体の駆動装置、駆動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TWI490619B (zh) * 2013-02-25 2015-07-01 Sipix Technology Inc 電泳顯示器
JP6205985B2 (ja) * 2013-08-23 2017-10-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FR3069379B1 (fr) * 2017-07-21 2019-08-23 Aledia Dispositif optoelectronique
CN107516483B (zh) * 2017-09-28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器件故障的电学检测方法、装置和显示模组
KR20230078791A (ko) * 2020-11-02 2023-06-02 이 잉크 코포레이션 컬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이전 상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구동 시퀀스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882A (en) * 1991-11-25 1992-12-29 Copytele, Inc. Electrode structure f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US6120839A (en) * 1995-07-20 2000-09-19 E Ink Corporation Electro-osmotic displays and materials for making the same
EP0823110A1 (en) * 1996-02-22 1998-0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5961804A (en) * 1997-03-18 1999-10-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encapsulated electrophoretic display
JP2002513169A (ja) * 1998-04-27 2002-05-08 イー−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シャッターモードのマイクロカプセル化された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
JP4074714B2 (ja) * 1998-09-25 2008-04-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レイ型光変調素子及び平面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TW573204B (en) * 2001-09-12 2004-01-21 Sipix Imaging Inc An improved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gating electrodes
TWI229763B (en) * 2001-10-29 2005-03-21 Sipix Imaging Inc An improved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holding electrodes
KR20050004203A (ko) * 2002-05-24 2005-01-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이동 디스플레이 및 전기이동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US20040246562A1 (en) * 2003-05-16 2004-12-09 Sipix Imaging, Inc. Passive matrix electrophoretic display driving sche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880B1 (ko) * 2012-12-24 201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 구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3107A (zh) 2007-11-14
WO2006061730A1 (en) 2006-06-15
JP2008523420A (ja) 2008-07-03
TW200636660A (en) 2006-10-16
US20080165120A1 (en) 2008-07-10
EP1825456A1 (en)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5646A (ko) 리셋을 가지는 수동 매트릭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US7786974B2 (en) Driving a bi-stable matrix display device
US7872633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a method of shak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from an extreme position
US7800580B2 (en) Transition between grayscale and monochrome addressing of an electrophoretic display
US6507327B1 (en) Continuous illumination plasma display panel
WO2003100515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EP1647003A1 (en) Driving scheme for a bi-stable display with improved greyscale accuracy
KR20070006727A (ko)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WO200508366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JP2007523375A (ja) 表示ユニット
WO2005024769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activation with blanking frames
KR20060105755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에지 영상 잔상을감소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JP2007530984A (ja) 消費電力が低減された電気泳動表示パネル
US20060050050A1 (en) Driving a bi-stable matrix display device
EP1709619A1 (en) An electrophoretic display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KR20090085079A (ko) 전기영동 셀을 위한 구동 방법, 및 전기영동 디바이스
JP5406526B2 (ja) 面内スイッチング表示装置
US2007007002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improved image quality using rest pulses and hardware driving
EP1671309A1 (en) Driving scheme for monochrome mode and transition method for monochrome-to-greyscale mode in bi-stable displays
KR100708683B1 (ko) 평판 표시장치
US20060209009A1 (en)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6020294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KR20060054298A (ko)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US774631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90091522A1 (en) Driving an in-plane passive matrix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