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970A -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970A
KR20070084970A KR1020060017409A KR20060017409A KR20070084970A KR 20070084970 A KR20070084970 A KR 20070084970A KR 1020060017409 A KR1020060017409 A KR 1020060017409A KR 20060017409 A KR20060017409 A KR 20060017409A KR 20070084970 A KR20070084970 A KR 2007008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vertisement
recognition code
copyrighted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566B1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5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작권 콘텐츠와 저작권 콘텐츠의 노출에 따라 저작권 콘텐츠와 같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를 구비하여, 저작권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의 노출에 따라 저작권 비용과, 광고 비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 콘텐츠 사용자의 정당한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저작권자의 창자의욕을 고취시킴과 동시에 저작권자와 사용자간의 갈등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on-line advertising system for using the literary work contents and on-line advertis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콘텐츠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시스템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패키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데이터 이동 및 수익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에서 저작권 콘텐츠의 등록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에서 광고 콘텐츠의 등록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에서 저작권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에서 저작권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라인 광고 시스템
110 : 통신망
120 : 콘텐츠 관리시스템
130 : 서비스 제공시스템
140 : 광고 대행시스템
150 : 사용자 단말기
200 : 저작권 콘텐츠
300 : 광고 콘텐츠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작권이 부여된 콘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여 저작권 콘텐츠의 정당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무선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그 기반이 되는 통신망의 확대 보급은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를 가져 왔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는 기존의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행되던 각종 작업들을 온라인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제반여건이 갖추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급격히 대중화된 인터넷 서비스는 이동 통신 서비스와 더불어 통신 서비스의 대표적이 예로서 현재에는 실생활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생활의 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저작물이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며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상품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이렇게 디지털화 된 저작물들은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증가된 개인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등에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개시되고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개인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등에 개시되는 대부분의 저작물들은 저작권자의 의도와는 전혀 상관없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개시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에 의해 저작권이 부당하게 침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저작권의 침해는 저작권자의 창작의욕을 떨어뜨리며, 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분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인 제도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저작권 침해가 발견되면 이를 처벌하는 단속위주로 진행되어 가고 있어 저작권자와 서비스제공자(또는 사용자)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저작권자와 서비스 제공자(또는 사용자)간의 저작권 사용 계약을 권장하고 있으나, 저작권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또는 사용자)가 개인 또는 소규모의 업체일 경우에는 저작권 사용 계약 자체가 힘들다. 또한, 저가의 저작물(예를 들어 온라인 기사, 온라인 소설 등의 텍스트 물)의 경우에는 저작료 자체가 미비하여 저작권 사용에 대한 계약이 활성화 되지 않고, 아예 저작권 계약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저작물은 기본적으로 저작권자의 표현을 담는 전달매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발전해 왔다. 과거 저작물들은 현재와 같이 디지털 정보의 환경이 아니 종이나 음반과 같은 아날로그 매체의 유통을 전제로 한 것이였으나 저작물의 디지털화 및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발달로 무분별한 저작권의 사용(저작권의 침해)이 급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작권이 부여된 저작권 콘텐츠와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주로 하여금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료와, 광고료를 지불하도록 한 저 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시스템은, 통신망;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며, 저작권자 정보가 포함되는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 및 상기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리더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 상기 통신망상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연계되는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며, 상기 인식코드리더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인식코드 정보를 중계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망은, 유선/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관리시스템은,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작권 관리부; 상기 광고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리더를 삽입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광고 관리부;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대응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같이 노출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을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콘텐츠감지센서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 노출시 이에 연계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사항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은, 저작권자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와,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가 상호 연계되도록 각 콘텐츠를 변환시키는 변환단계; 변환된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를 통신망 상에 배포하는 배포단계; 상기 통신망 상에 배포된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연계된 상기 광고콘텐츠가 같이 노출되는 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인식코드를 삽입하는 인식코드삽입단계; 및 상기 광고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 리더를 삽입하는 인식코드리더삽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식코드삽입단계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등록하는 저작권 콘텐츠 등록단계; 등록된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연계되어 노출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상태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가 삽입되는 광고 콘텐츠센서삽입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콘텐츠센서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사항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식코드리더삽입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등록하는 광고 콘텐츠 등록단계; 등록된 상기 광고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리더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식코드리더가 삽입될 때 상기 광고콘텐츠의 노출을 카운터하는 광고카운터가 더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 노출단계;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광고콘텐츠노출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의 상기 인식코드리더에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포단계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는 각각 연계되는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배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키지에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정보를 갖는 서비스 제공시스템인식코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 및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노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정보와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비용을 산출하는 저작권 비용산출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노출단계;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리더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노출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인식코드리더에서 상기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감지단계; 상기 인식코드리더에서 감지되는 상기 인식코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작권 콘텐츠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이에 연계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여부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광고 콘텐츠 노출될 때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상태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노출 감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사항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콘텐츠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시스템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패키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100)은, 통신망(110)과, 통신망(110) 상에 접속하여 저작권 콘텐츠(200,도 3 참조) 및 광고 콘텐츠(300, 도 3 참조)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120)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를 사용자 단말기(150)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130)과,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가 마련된다.
여기서, 저작권 콘텐츠(200)는 저작권 콘텐츠(200)의 저작권을 갖는 저작권자(200')에 의해 제공되며, 광고 콘텐츠(300)는 광고의 권리를 갖는 광고주(300') 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는 저작권자(200')와 광고주(300')에 의해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직접 제공될 수 있지만,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를 중간 관리하는 별도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작권 콘텐츠(200)의 경우는 저작권자(200')에 의해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직접 제공되며, 광고 콘텐츠(300)의 경우에는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의해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제공된다.
상기 통신망(110)은, 상술한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광고 대행시스템(140), 서비스 제공시스템(130) 및 사용자 단말기(150) 등을 각각 연계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50)는 상술한 통신망(11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접속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저장된 저작권 콘텐츠(200)를 디스플레이하며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에 연계되는 광고 콘텐츠(300)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50)는 통신망(110)을 통해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이며, 예를 들어 유선전화,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등 다양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장치를 통해 본 시스 템에 접속하여 저작권 콘텐츠(2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은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를 사용자 단말기(150)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며,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를 사용자 단말기(150)에 런칭하기 위한 홈페이지, 블록그, 카페, 미니홈피 등을 구비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은, 통신망(110) 상에 연결되어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으로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망(11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22), 저작권 관리부(124), 광고 관리부(126), 서비스 관리부(128)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124′, 126′, 128′)의 상호 연계동작 및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2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저작권 관리부(124)는 저작권자(200')에게서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에 저작권 콘텐츠(200)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코드(210)를 삽입한다. 이때 삽입되는 인식코드(210)에는 저작권 콘텐츠(200)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자, 유형, 바코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코드(210)의 정보 저작권자(200')의 정보와 같이 저작권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다.
그리고 광고 관리부(126)는 광고 대행시스템(140)(또는 광고주)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300)에 상술한 저작권 콘텐츠(200)의 인식코드(210)를 감지하는 인 식코드리더(310)를 삽입한다. 한편 인식코드리더(310)는 추가적으로 저작권 콘텐츠(200)에서 감지되는 인식코드(210) 정보와,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정보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26')에 저장한다.
이때 삽입되는 인식코드리더(310)는 저작권 콘텐츠(200)가 노출(또는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연계되어 저작권 콘텐츠(200)와 같이 배너 또는 팝업 형태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 상태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또는/및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관리부(128)는,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를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시스템 인증인식코드(330)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부여되는 시스템 인증인식코드(330)는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서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를 사용함에 따라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와 같이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으로 이동되며,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의 정보는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코드(210)가 삽입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와, 인식코드리더(310)가 삽입되는 광고 콘텐츠(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인증인식코드(330)와 패키지(500) 형태로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또한, 저작권 콘텐츠(200)에는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상태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2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콘텐츠센서(220)는 저작권 콘텐츠(200)의 노출시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 상태를 감지하여 광고 콘텐츠(300)가 노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 부적당한 저작권 콘텐츠(200)의 사용이 발생되었음을 경고하고, 이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300)에는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 횟수를 카운트하여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전송하는 광고카운터(3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카운터(320)는 광고 콘텐츠(300)가 노출될 경우 이를 카운터하여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또는/및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전송한다.
상기 광고 대행시스템(140)은 광고주(300')의 요구에 따라 광고 콘텐츠(300)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제공하는 것으로, 광고주(3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300)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제공한다.
또한, 광고 대행시스템(140)은 광고 콘텐츠(300)에 의한 광고 효과에 따라 저작권자(200')에게는 저작권 콘텐츠(200)의 저작권료를 지불하고,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단말기(150)에 의해 노출되는 광고비용을 지불하고,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는 광고 콘텐츠(300)의 관리비용을 지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그 실시예로 인터넷 상에 노출되는 저작권 텍스트(예를 들어 기사, 소설 등)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저작권 콘텐츠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데이터 이동 및 수익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각 시스템간의 데이터 이동 및 그에 따른 수익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 해당 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200)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예시되는 저작권자(200'),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광고 대행시스템(140),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은 일종의 계약관계에 의해 그 관계 및 기능이 성립된다.
또한,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의해 공급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대행시스템(140)에서 제공되는 광고콘텐츠(300)는 반드시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같이 개시되며, 사용자 단말기(150)에 동시에 노출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저작권자(200')가 제공하는 저작권 콘텐츠(200)에는 인식코드(210)를 삽입하고, 광고주(300')가 제공하는 광고 콘텐츠(300)에는 저 작권 콘텐츠(200)에 삽입된 인식코드(210)를 감지하는 인식코드리더(310)를 삽입한다(단계 S100).
이에 인식코드(210)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200)와, 인식코드리더(310)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300)는 통신망(110) 상에 각각 또는 패키지(500) 상태로 배포되어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제공된다(단계 S200).
이후,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제공된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요청에 따라 저작권 콘텐츠(200)가 사용자 단말기(150)에서 노출되고,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에 연계되는 광고 콘텐츠(300)가 자동으로 노출된다(단계 S300).
이에 저작권 콘텐츠(200)와 같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300)의 광고주(300')가 저작권 콘텐츠(200)의 저작권자(200') 및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저작권 콘텐츠(200)의 사용료를 지불한다(단계 S400).
여기서 저작권 콘텐츠(200)의 인식코드(210) 삽입과정을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식코드(21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저작권자(200')가 저작권 콘텐츠(200)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등록한다(단계 S112). 이에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의 저작권 관리부(124)는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에 인식코드(210)를 삽입한다(단계 S114).
여기서, 인식코드(210)의 삽입을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저작권 콘텐츠(200) 제공자인 저작권자(200') 에게 인식코드(210)를 제공하고 저작권자(200')가 직접 저작권 콘텐츠(200)에 인식코드(210)를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작권 관리부(124)는 인식코드(210)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200)의 정보(예를 들어 저작권자 등)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한다(단계 S116). 이후,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은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200)를 통신망(110) 상에 배포한다(단계 S118).
한편, 저작권 관리부(124)는 저작권 콘텐츠(200)에 인식코드(210)를 삽입할 때 광고 콘텐츠(300)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22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콘텐츠감지센서(220)는 사용자 단말기(150)의 요청에 의해 저작권 콘텐츠(200)가 노출될 때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 상태를 감지하여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또는/및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작권 콘텐츠(200)의 인식코드(210) 삽입과정을 신문사(저작권자)의 기사(저작권 콘텐츠)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예시들도 신문사와 기사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저작권자(200')인 신문사(또는 기자)가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저작권 콘텐츠(200)인 기사를 제공한다. 이에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은 기사를 제공하는 신문사에게 저작권자(200')임을 나타내는 아이디를 부여한다. 이후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은 제공된 기사에 인식코드(210)를 삽입한다.
이때 저작권 콘텐츠(200)인 기사에 삽입되는 인식코드(210)의 일예로는 [예시 1]을 참고할 수 있다.
[예시 1]
Figure 112006013078773-PAT00001
여기서, 인식코드(210)는 저작권자(200'), 저작권 콘텐츠(200)의 종류 등의 저작권 콘텐츠(200)를 구별/인식 가능한 고유의 특징을 갖으며, 이러한 인식코드(210)는 스크립트 형태로 기사에 삽입된다.
한편, 여기서 저작권 콘텐츠(200)인 기사에 삽입되는 인식코드(210)는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상술한 [예시 1]과 같은 인식코드(210)를 저작권자(200')인 신문사에게 제공하여 저작권자(200')가 직접 인식코드(210)를 저작권 콘텐츠(200)에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작권 콘텐츠 이용을 위한 출력 스크립트'는 저작권 콘텐츠(200)인 기사를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이 기사를 이용/제공할 때 저작권 콘텐츠(200)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내용을 출력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 콘텐츠(300)의 인식코드리더(310) 삽입과정을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식코드리더(31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광고주(300')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300)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등록한다(단계 S122). 이에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의 광고 관리부(126)는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300)에 인식코드리더(310)를 삽입한다(단계 S124).
또한, 광고 콘텐츠(300)에는 인식코드리더(310)가 삽입됨과 동시에 광고 콘텐츠(300)를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의 인식코드(미도시)와, 광고 대행시스템(120)의 인식코드(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관리부(126)는 인식코드리더(310)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300)의 정보(예를 들어 광고주, 광고 콘텐츠의 유형 등)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26')에 저장한다(단계 S126). 이후,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은 인식코드리더(310)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300)를 통신망(110) 상에 배포한다(단계 S128).
한편, 광고 관리부(126)는 광고 콘텐츠(300)에 인식코드리더(310)를 삽입할 때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을 카운터하는 광고카운터(32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카운터(320)는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상태를 콘텐츠 관리시스템 또는/및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고 콘텐츠(300)의 인식코드리더(310)는 [예시 2]와 같이 스크립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시 2]
Figure 112006013078773-PAT00002
이러한, 인식코드리더(310)는 인식코드(210)와 같이 광고 콘텐츠(300)에 스크립트 형태로 삽입되며, 인식코드리더(310) 이외에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의 인식코드, 광고 대행시스템(140)의 인식코드 등이 같이 삽입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이를 수행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인식코드리더(310)를 광고주(300') 또는 광고 대행시스템(120)에 배포하고 광고주(300') 또는 광고 대행시스템(140)에서 인식코드리더(310)를 직접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가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개시되는 과정을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은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를 사용하기 위해서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 등록한다(단계 S212).
이에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의 서비스 관리부(128)에서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대응되는 인식코드(미도시)를 부여하고,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8')에 저장한다(단계 S214).
이에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은 인식코드(210)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200)와, 인식코드리더(310)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300)의 사용자격을 획득하며,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를 통신망 상에 개시한다(단계 S216).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서의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의 개시조건은 콘텐츠 관리시스템(120)과, 광고 대행시스템(140)과의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며, 항상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가 같이 노출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렇게 통신망(110) 상에 개시되는 저작권 콘텐츠(200)는 사용자 단말기(150)에 의해 노출된다. 이를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50)가 통신망(110)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 개시된 특정 저작권 콘텐츠(200)가 선택되면, 선택되는 저작권 콘텐츠(200)는 사용자 단말기(150)에 노출된다(단계 S312).
이에 사용자 단말기(150)에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에 연계되는 광고 콘텐츠(300)가 저작권 콘텐츠(200)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50)에 노출된다(단계 S314).
이에 광고 콘텐츠(300)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코드리더(310)에서 저작권 콘텐츠(200)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코드(210)를 감지한다(단계 S316). 이후 인식코드리더(310)는 감지되는 저작권 콘텐츠(200)의 인식코드 정보를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단계 S318).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50)에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는 [예시 3]과 같은 스크립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시 3]
Figure 112006013078773-PAT00003
한편 상술한 저작권 콘텐츠(200) 및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과정에서 저작권 콘텐츠(200)에 삽입된 광고 콘텐츠센서(220)가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을 감지하여 그 감지 상태에 따라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정보가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또는/및 광고 대행시스템(1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은 콘텐츠 관리시스템(120)에서 제공된 저작권 콘텐츠(200)와 광고 콘텐츠(300)가 동시에 노출되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관리시스템(120)과 광고 대행시스템(140)으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300)의 노출 정보에 따라 광고 콘텐츠(300)를 제공하는 광고주(300')가 저작 권자(200'), 콘텐츠 관리시스템(120), 서비스 제공시스템(130)에게 저작권 이용료 및 광고 콘텐츠(300) 관리 비용을 지불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의 배포 및 노출이 다른 시스템에 의하여 실시되더라도 저작권 콘텐츠 및 이에 연계되는 광고 콘텐츠를 구비한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저작권 콘텐츠 사용자가 저작권 콘텐츠를 사용함에 따라 그에 대응 대응되는 광고를 노출 시키고, 노출되는 광고의 광고주가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료를 결재하도록 함으로써, 정당한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가의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시에도 정당한 저작권료의 지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자의 창작의욕을 고취시킴과 동시에 저작권자와 사용자간의 갈등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저작권자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권 콘텐츠와,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가 상호 연계되도록 각 콘텐츠를 변환시키는 변환단계;
    변환된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를 통신망 상에 배포하는 배포단계;
    상기 통신망 상에 배포된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연계된 상기 광고콘텐츠가 같이 노출되는 노출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인식코드를 삽입하는 인식코드삽입단계; 및
    상기 광고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삽입된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 리더를 삽입하는 인식코드리더삽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삽입단계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를 등록하는 저작권 콘텐츠 등록단계;
    등록된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연계되어 노출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상태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가 삽입되는 광고 콘텐츠센서삽입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센서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사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리더삽입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등록하는 광고 콘텐츠 등록단계;
    등록된 상기 광고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리더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코드리더가 삽입될 때 상기 광고콘텐츠의 노출을 카운터하는 광고카운터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 노출단계;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광고콘텐츠노출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의 상기 인식코드리더에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단계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는 각각 연계되는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에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정보를 갖는 서비스 제공시스템인식코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 및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노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정보를 갱신하는 정보갱신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정보와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사용비용을 산출하는 저작권 비용산출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3.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되는 저작권 콘텐츠노출단계;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리더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노출단계;
    상기 광고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상기 인식코드리더에서 상기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감지단계;
    상기 인식코드리더에서 감지되는 상기 인식코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이에 연계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여부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광고 콘텐츠 노출될 때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상태를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노출 감지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사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16. 통신망;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며, 저작권자 정보가 포함되는 인식코드가 삽입된 저작권 콘텐츠 및 상기 인식코드를 감지하는 인식코드리더가 삽입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
    상기 통신망상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연계되는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며, 상기 인식코드리더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인식코드 정보를 중계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유선/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시스템은,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작권 관리부;
    상기 광고 콘텐츠에 상기 인식코드리더를 삽입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광고 관리부;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대응 인식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콘텐츠에 상기 저작권 콘텐츠가 노출됨에 따라 같이 노출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을 감지하는 광고 콘텐츠센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감지센서는,
    상기 저작권 콘텐츠 노출시 이에 연계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노출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저작권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사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KR1020060017409A 2006-02-22 2006-02-22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83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409A KR100835566B1 (ko) 2006-02-22 2006-02-22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409A KR100835566B1 (ko) 2006-02-22 2006-02-22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970A true KR20070084970A (ko) 2007-08-27
KR100835566B1 KR100835566B1 (ko) 2008-06-05

Family

ID=3861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409A KR100835566B1 (ko) 2006-02-22 2006-02-22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097B1 (ko) * 2008-06-11 2010-09-07 한국철도공사 전단지 배포기, 이를 이용하는 전단지 배포 관리 시스템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763B1 (ko) * 2000-02-01 2006-06-09 주식회사 위즈맥스 광고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방법
KR20000050066A (ko) * 2000-05-15 2000-08-05 김승기 저작물 페이지 이동 버튼을 이용한 인터넷광고방법
KR100358531B1 (ko) * 2000-06-09 2002-10-25 (주) 이모션 멀티미디어 파일에 확장 컨텐츠를 삽입·재생하는 방법
JP2004235846A (ja) 2003-01-29 2004-08-19 Hitachi Ltd 電子透かしを利用したcm配信システム
KR20050035305A (ko) * 2003-10-10 2005-04-18 (주)토탈비젼 광고표시장치가 구비된 무선랜 기지국을 이용한 무선랜서비스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097B1 (ko) * 2008-06-11 2010-09-07 한국철도공사 전단지 배포기, 이를 이용하는 전단지 배포 관리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566B1 (ko)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1735A1 (en) Affiliate selling system
CN102509231A (zh) 一种通过嵌入拍买软件客户端的移动终端实现推荐提成即时交易的信息处理系统及其方法
JP2015079371A (ja) キャンペーン応募システム、キャンペーン応募方法、キャンペーン管理サーバ、キャンペーン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34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providing user purchase information
WO2019039924A1 (ko) 홍보용 샘플제품의 수령시스템 및 방법
JP2008243072A (ja) 個人情報利用方法、個人情報利用システム、個人情報利用プログラム
CN106790625A (zh) 一种网络dm广告方法
JP200720001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顧客検出装置、情報管理装置、代金授受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861010B2 (ja) 販売促進システム
KR101003766B1 (ko) 전자쿠폰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16054007A (ja) クーポン発行装置、クーポン発行システム、クーポン発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34436A (ja) 販売促進システム、販売促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75622B2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835566B1 (ko) 저작권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202433966U (zh) 一种通过嵌入拍买软件客户端的移动终端实现推荐提成即时交易的信息处理系统
JP5793322B2 (ja) 電子クーポン利用システム
JP2002312659A (ja) シリアルナンバー利用のポイントサーバーシステム
JP2007065841A (ja) コミックコンテンツ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50061964A (ko)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KR10178909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모바일 거래권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9037394A (ja) 保険契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
JP5779627B2 (ja) 不正検出システム及び不正検出方法
KR102576269B1 (ko)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5633648B2 (ja) 販促物自動支給機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