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444A - 오므릴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 - Google Patents

오므릴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444A
KR20070084444A KR1020077011562A KR20077011562A KR20070084444A KR 20070084444 A KR20070084444 A KR 20070084444A KR 1020077011562 A KR1020077011562 A KR 1020077011562A KR 20077011562 A KR20077011562 A KR 20077011562A KR 20070084444 A KR20070084444 A KR 2007008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hicle
suspension
wheel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몬 제임스 롱힐
스티븐 존 브릭스
글렌 마이클 제프리
한스 위커스
Original Assignee
깁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깁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깁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2301/00Retractable wheels
    • B60F2301/04Retractable wheels pivo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수륙 양용 차량(2: 도 1)은 수면 활주를 허용하는 오므릴 수 있는 도로용 휠(8)을 구비한다. 각각의 휠 서스펜션은 선체의 수면 수면활주 표면(20)에 갭(80)을 구비한다. 유체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고, 선반의 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버(34)는 휠이 오므려질때 갭(80)을 덮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커버는 차량의 길이방향 축 또는 횡방향 축에 나란하게 힌지된다. 이러한 커버는 서스펜션 아암(40)으로부터 현수되거나 그렇지 않으며 선체(16)에 연결된다. 상기 커버는 갭(90)을 남기게 되고, 이러한 것을 차폐하기 위하여, 제 2 실시예는 "차고형 도어) 이중 커버(92, 94: 도 5)를 구비한다. 제 3 실시예는 기계적 연결부(182, 도 7)를 구비하여, 커버(180)를 휠을 오므릴 때 갭(90)에 가로놓이도록 바이어스 한다 . 상기 커버는 서스펜션이 오므려지는 선체에서 작은 갭을 차폐하며, 물속에서는 휠의 떨림이 아니라 커버의 펄럭거림이나 떨림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수륙 양용 차량

Description

오므릴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Amphibious vehicles with retractable wheels}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에서의 리쎄스를 위한 선체 유선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출원중인 특허 출원 번호 PCT/GB/04/002156 호에서, 수면활주중인 수륙 양용 차량의 선체는 서스펜션을 오므리고(retraction) 전개(protraction)하는 동안에 오므릴 수 있는 바퀴와 그 서스펜션이 이동하게 되는 구간에 리쎄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제조시에 아래로부터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리쎄스는 선체의 수면활주표면(plaining surface)으로 상당히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스펜션의 조립후에 각 리쎄스의 부분을 지나서 플레이트가 고정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비록 볼트로 고정될 수 있지만 일정 위치에 접착된다. 전술한 출원의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전방 휠 리쎄스는 저부에서 활짝 개방된다. 선체의 저부에서의 개방의 결과로서, 상기 차량이 거친 물속을 항해할 때 선체상에서 항력(drag)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전술한 출원에서 도시된 것보다 작고 가벼운 차량에서 문제된다.
수상에서의 항력을 감소시키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은 윌리엄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58,584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에서, 상기 차량의 일측상의 전방 및 후방 휠 웰(42)에 대한 하나의 슬라이딩 커버(18: 도 5 참조)는 이중 작동 유압 실린더(148)에 의해 전후방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러한 장치는 매우 간단하며 우수한 해결책이지만 실재적으로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우선, 모래 또는 실트가 침입하는 것에 기인하여 슬라이드 채널이 손상되거나 망실될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커버는 그 길이의 대부분에서 선체에 나란하게 연장되므로, 선체 또는 커버를 변형시키는 임의의 마모 또는 충돌 손상은 두개지의 부품이 서로 엉기게(jamming) 하기 쉬워서 휠의 전개를 방해하고 물위에 차량이 서있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셋째로, 이러한 대형의 복잡한 슬라이딩 패널을 이동시키는 하나의 액튜에이터의 사용은 적어도 고르지 않은 패널의 운동을 야기하거나, 많게는 완전한 정지, 특히 차량의 사용 연한에 따라 생기는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폐쇄된 경우에도 전후방의 아치 사이에서 선체를 오버랩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커버는 각각의 휠 아치의 적어도 전방에서 선체 아래로 돌출되어, 차량의 수면활주 표면을 따라 물의 매끄러운 유동을 방해하게 된다. 간단히 말해서 새로운 발상이 필요하다.
몇가지 다른 제안이 해상 크래프트 또는 수륙 양용 차량상의 오므릴 수 있는 휠을 차폐하도록 발표되었다. 미국 특허 제2,781,529호(무디)에서, 전개시에 보트가 지상에서 트레일러로서 끌려갈 수 있게 되는 한 쌍의 오므릴 수 있는 휠을 구비 한 보트가 도시된다. 각각의 휠은 횡방향 축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는 서스펜션을 구비하며 저부에서 차단부을 통하여 오므려질 수 있다. 각각의 차단부는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힌지되는 한 쌍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도록 배치된다. 휠을 오므리기 위하여, 상기 서스펜션에 부착된 레버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에 부착된 케이블은 닫혀진 커버를 당기게 된다. 상기 레버와 커버에 대하여 케이블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너무 짧을 경우 커버는 상기 서스펜션상에서 엉기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너무 긴 경우에는 커버가 적절하게 폐쇄하여 주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엉기는 현상(jamm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이 너무 길게되는 경향이 있으며,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되는 것과 같이 연장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차단부는 부정확하게 폐쇄되며, 물속에서 커버가 펄럭거리게 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보트의 속도를 느리게 하며 소음을 발생시킨다.
일본 공개특허 제4,349,009 A (이오우에 노부아키 - 이수주)는 수륙 양용 차량의 오므릴 수 있는 휠에 대한 커버 장치를 설명하고 도시한다. 상기 휠 커버는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힌지운동한다. 다시, 케이블 장치는 일부 공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닫혀진 커버를 당기게 된다. 토션 바아는 상기 커버를 개방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당한 힘이 커버를 닫는데 필요하게 되며, 케이블을 폐쇄하는 커버를 신장시키게 된다. 다시, 불완전한 폐쇄와 이에 따른 펄럭거림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직접적인 커버 폐쇄 장치는 미국 특허 제5,690,046호(그레체크)에 불완 전하게 도시되는데, 거기서, 길이방향으로 힌지된 커버는 횡방향 축에 대하여 회동하는 오므릴 수 있는 휠 서스펜션 부재에 한쌍의 링크에 의해 보여지지 않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무디가 발명한 장치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폐쇄시에 상기 커버가 그 하우징으로 당겨질 때 휠에 대하여 엉기지 않도록 주의깊게 배치되어야 한다. 사익 커버와 서스펜션간의 간접적인 연결은 불완전한 커버 폐쇄를 야기시킨다. 추가적인 문제점으로서, 커버와 휠 간의 연결부가 되는 것에 의한 상대적인 운동은 한정되어 개방시에 커버는 휠 축 아래로 연장되어, 따라서 커버는 지반을 충격하게 되어 변형되거나 심지어 파손되게 된다. 어떻게 연결부가 작동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그레체크의 발명의 문제점은 실용화될 수준으로 축소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속에서 수륙 양용 차량에서의 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본체에 휠 서스펜션의 수단에 의해 각각 장착된 오므릴 수 있는 도로용 휠을 가지는 수륙 양용 차량이 제공되는데, 상기 본체는 수면활주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분이 그 도로용 휠의 오므리는 작업 또는 전개 작업동안에 움직일 수 있는 저부에 각각 서스펜션을 위한 차단부(interruption)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휠 서스펜션의 부분에서 가로받침 지지되는 커버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폐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휠 전개부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가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로용 휠은 커버의 외측 보드가 된다.
상기 서스펜션에 커버를 고정함으로써, 커버는 서스펜션의 회동축에 대하여 회동하며, 상기 휠은 커버상에서 엉기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 및 서스펜션은 차량의 길이방향 축상에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축은 전후방 방향에 놓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도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 1 위치로부터, 차량의 물 표면위로 오게 되는 제 2 위치로 들어올려지는 도로용 휠을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이 제공되며, 상기 도로용 휠은 차량 본체에 휠 서스펜션의 수단에 의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본체는 수면활주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가 도로용 휠을 오므리거나 전개시에 상기 도로용 휠이 차단부 외측에 오게 되는 제 2 위치나 제 2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저부의 차단부를 각각의 서스펜션에 구비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일부에 연결된 커버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휠 전개부상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커버가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상기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분만이 차량의 저부의 차단부를 통하여 오므려지며, 주로 또는 완전히 차량의 외측에 있는 상기 도로용 휠은 차단부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로용 휠의 문제점을 회피하며 커버가 엉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로 주행 모드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부분에 의해 차량의 저부로 최소한 침입되게 된다.
상기 차량의 저부로 오므려지게 되는 서스펜션의 부품은 차량의 횡방향에서 적어도 대부분 연장되는 저부 서스펜션 부재이다. 이것은 차단부의 길이방향 치수를 제한하며 따라서 커버가 펄럭거리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상기 차단부의 커버의 크기와 길이의 제한으로 인하여 상기 서스펜션과 커버간의 간접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커버 또는 커버들은 도로용 휠이 오므려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축 또는 서로 다른 축들에 대하여 차량 본체로 힌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저부 서스펜션 부재에 연결되어, 휠을 전개시에, 상기 저부 사스펜션 부재는 그것으로써 커버를 아래로 운반한다. 상기 서스펜션 부재와 커버 사이에서 가로받침 지지되는 연결부는 약간 신장될 수 있지만 그러한 신장성은 강한 스프링에 대한 정도이며, 휠을 오므릴 때에,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선체의 차단부로 오므려지게 되며, 이때 상기 커버는 선체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펄럭거림 현상은 감소된다.
상기 커버는 중공의 본체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는 수면 위에서 차량에 부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상기 커버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부착된 부력 포말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표면을 가로질러 연속되는 종통재(strake)와 같은 선체 수면활주 표면에 매칭되도록된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배수구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에 의해 수집된 전개된 물은 배수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성형된 커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차량의 측방향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휠이 오므려진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의 평면 II-II 선을 따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휠이 전개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의 평면 II-II 을 따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휠이 오므려진 상태에서의 도 1의 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5는 휠이 오므려진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의 평면 II-II 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휠이 오므려진 상태에서의 도 5의 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7은 휠이 오므려진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의 평면 II-II 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수륙 양용 차량(2)은 선박용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펌프 제트를 구동하는 원동기(4)를 구비한다. 도로상에서의 이동은 휠(8)에 의해 행해지며, 상기 휠은 도로용 트랜스미션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휠은 휠 아치(12)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차량 본체는 상부 본체(14) 및 선체(16)를 구비하며, 이들은 분할선(18)에서 분리되어 형성되며 결합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섀시부도 제공된다. 이러한 섀시부가 본체작업부에 연결되면, 본체의 전체적 구조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상기 선체는 수면활주 표면(20)을 구비한다. 운전자 시트(22)에는 운전자의 시트의 후방에 하나 이상의 탑승객 시트(24)가 제공된다. 이러한 시트의 축은 차량의 길이방향 축상에 놓이거나 이에 나란하게 된다. 상기 원동기의 축은 차량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또는 길이방향 축에 나란하게 놓인다. 운전자는 이경우 핸들바아(26)에 배치되게 된다. 윈드스크린(28)은 날씨나 스프레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2 및 도 3은 허브(54)상에 장착된 한 쌍의 후방 휠(8)을 도시한다. 상기 원동기(4)로부터 구동되는, 레이샤프트(60: layshaft) 및 중간 샤프트(62)에 의해 상기 허브가 구동된다. 상기 중간 샤프트는 각각의 튜브의 향상으로 된 저부 서스펜션 부재(40) 내에서 지지된다. 튜브와 유사한 형상의 부재(40)는 베어링(42)상의 그 내측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부재(40)의 외측 단부는 허브(54)를 운반하는 직립한 부재(52)에 연결된다. 상측 서스펜션 부재(56)는 차량 섀시(30)와 직립한 부재(52) 사이에서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이 오므려진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휠이 아래로 전개된 위치로 저부 서스펜션 부재(40)가 이동할 수 있는 저부에 차단부를 형성하는 캡(80)이 있는 수면활주 저부(20)를 구비한다.
커버(34)는 저부 서스펜션 부재(40)에 고정되며, 커버는 내측 및 외측 브라켓(36, 38)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커버는 베어링(42)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갭(80)은 본체 에지들(84, 86, 88)에 의해 형성된다. 폐쇄시에 상기 커버(34)는 갭(80)을 실질적으로 채우게 되며, 베어링(42)의 중심으로부터 커버의 외측면에 일정한 거리를 필요로 하는 작은 간격의 갭(90)을 남기게 된다. 일방 배수부(35)는 커버에 제공된다. 상기 갭(90)은 가요성의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6, 38)은 상기 커버들 중 하나와 저부 사이에서 찌꺼기 또는 잡동사니들이 걸리게 하도록 강한 스프링에 대하여 약간 신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펄럭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강하여야 한다.
간극 갭(90)을 완전히 충진하기 위하여, 두번째 제안 사항은 선체 표면에서 각각의 차단부에 대한 한 쌍의 커버(92, 94)를 구비하여, 이들은 수면활주 표면(20)의 타측면상의 100 및 102 에서 그리고 일측면상의 96 및 98에서 힌지된다. 이러한 것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다. 도어(92)는 비록 상기 서스펜션이 오므려지더라도 개방된 위치로 여기서 구조적으로 도시되며, 도면의 우측면에서 대응하는 도어의 외형은 파선으로 도시된다.
각 쌍의 각각의 커버(92, 94)는 각각의 갭(80)의 절반을 채우도록 차량의 횡방향 축에 대하여 힌지된다. 상기 커버는 커버가 개방시에 선체 표면(20) 아래에서 하측방향의 돌출을 감소시키도록 "차고형 도어(barn door)"에서 각 쌍으로 분기된다. 상기 커버는 충격하는 바위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가요성 있도록 제조된다. 그들은 내부식성 코팅의 스크래치와 같은 충격 손상으로부터 휠 서스펜션을 보호한다. 이러한 커버를 개방하는 가장 간단하며 가장 확실한 수단은, 휠이 오므려질 때, 스프링(110, 112: 도 5)에 의해 그것들이 닫혀진 상태로 되고 휠의 전개시에는 서스펜션에 의해 밀려서 개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휠 서스펜션에 대한 기계적인 연결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병진 운동을 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어서, 그것들은 배치되는 동안에 또는 배치되기 전에 차량을 가로질러 이동하게 된다.
서스펜션 부재에 부착된 선체 갭 커버의 운동은 오므려질 수 있는 서스펜션의 운동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폭이 좁은 선체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V자 형태의 각으로 결합되면, 휠은 물 위에서 코너를 돌 때 수위선(water line) 위로 그것들을 유지하도록 도로 위치로 큰 각으로 기울어질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커버는, 휠이 오므려진 때에, 저부 서스펜션 부재 및 커버가 선체와 같은 높이로 되는 것과 동일한 각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휠이 전개된 경우에는 지면을 충격하게 되며,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같이, 도로 주행 모드에 적합한 지면을 치우게 되는 커버는 휠이 오므려질 때 선체 라인 위로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기계적인 모순 사항은, 커버와 서스펜션 부재들간의 고정된 기계적 링크를 파손시킴으로써 방지된다. 도 7은 휠이 오므려진 상태의 이러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상의 우측(차량의 좌측면)의 커버(180)는, 휠이 오므려지듯이 오므려진것으로 도시되지만, 도면상의 좌측(차량의 우측)상의 커버(180)는 연결부(182)를 보여주도록 전개된 위치로 구조가 도시된다.
상기 서스펜션이 오므려질 때, 커버(180)는 저부 서스펜션 부재상에 장착된 정지부(194)에 의해 수면활주 표면(20) 아래로 밀려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커버(180)는 연결부(182)에 의해 균형이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서스펜션이 오므려질 때, 핀(194)이 오므려지며, 상기 커버(180)는 매듭 지어진 상측 표면(20)이 되는 인장 스프링(192)에 의해 표면(20)을 향하여 위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기 휠을 완전히 오므릴 필요가 있는 경우 선체 내부로 당겨지지만, 상기 커버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선체에 주조되는 탭(104)에 의해 선체에 대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탭(104)은 상기 커버로 주조된다. 연결부(182)는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을 위하여 부서지게 된다.
전술한 서스펜션의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필요하다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커버는 구동되지 않는 조정 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저부 서스펜션 부재가 관현상이라기 보다는 단단하거나 차골뼈(wishbone) 형상일 수 있다.

Claims (16)

  1. 휠 서스펜션에 의해 수면활주되는 저부를 구비하는 차량 본체에 각각 장착되는 오므려질 수 있는 도로용 휠을 가지는 수륙 양용 차량으로서, 상기 저부는 상기 도로용 휠이 오므려지거나 전개되는 동안에 상기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할 수 있는 저부에 차단부를 각각의 서스펜션에 대하여 구비하는 수륙 양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휠 서스펜션의 일부에서 가로받침 지지되는 커버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휠의 전개부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로용 휠은 상기 커버의 외측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륙 양용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서스펜션에 고정되어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나란한 축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부 및 저부 서스펜션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축에 나란한 축에 대하여 상기 서스펜션을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저부 서스펜션 부재에서 가로받침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5. 도로에서 사용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차량의 수위선 위에 오게되는 제 2 위치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도로용 휠을 가지는 수륙 양용 차량으로서, 상기 도로용 휠은 차량 본체에 휠 서스펜션에 의해 각각 장착되며, 상기 본체는 수면활주하는 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각각의 서스펜션에 대하여 저부에 차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로용 휠이 차단부의 외측에 오게 되는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도로용 휠을 오므리거나 전개하는 동안에 상기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일부에 연결된 커버에 의해 실질적으로 차폐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휠 전개부상에서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저부로 오므려지게 되는 상기 서스펜션의 일부는 상기 차량의 횡방향으로 적어도 대부분 연장되는 저부 서스펜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본체에 대한 커버의 고정부는 힌지부 또는 힌지부들에 의해 힌지되며, 힌지부의 축은 상기 차량 횡방향 축에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8.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9. 제 5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신장될 수 있는 튀어오른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서스펜션이 오므려질 때 상기 선체에 대하여 접하는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는 탭에 의해 선체 내에서 통과하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차단부 주위의 상기 저부의 오버랩부에 의해 또는 상기 차단부 주위의 상기 커버의 오버랩부에 의해 상기 차단부를 통하여 상기 선체로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부는 복수개의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 보드 단부에서의 커버와 상기 차량의 저부 사이에 가요성의 재료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이를 관통하는 배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부력이 있는 본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중공의 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차량.
  16. 도 1 내지 도 7 중 하나 이상에 도시되고 본원에서 설명된 수륙 양용 차량.
KR1020077011562A 2004-10-22 2005-10-19 오므릴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 KR20070084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23470A GB2419326A (en) 2004-10-22 2004-10-22 Amphibious vehicles with retractable wheels
GB0423470.4 2004-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444A true KR20070084444A (ko) 2007-08-24

Family

ID=3348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562A KR20070084444A (ko) 2004-10-22 2005-10-19 오므릴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22864B2 (ko)
EP (1) EP1809493B1 (ko)
JP (1) JP4712808B2 (ko)
KR (1) KR20070084444A (ko)
CN (1) CN101065254B (ko)
AT (1) ATE457000T1 (ko)
AU (1) AU2005297042A1 (ko)
DE (1) DE602005019248D1 (ko)
GB (1) GB2419326A (ko)
WO (1) WO200604304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074A1 (ja) * 2012-11-30 2014-06-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
KR20150003376A (ko) * 2012-04-25 2015-01-08 이귀아나 얏츠 수륙양용차량
WO2022170242A1 (en) * 2021-02-08 2022-08-11 Xtravel Suspension, Llc Floating skid plat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953B2 (en) * 2006-08-15 2010-09-14 Ride The Ducks International, Llc Steering knuckle boot
US8221174B2 (en) * 2007-09-03 2012-07-17 March J David Amphibious vehicle
JP5132302B2 (ja) * 2007-12-21 2013-01-30 ユニバーサル特機株式会社 水陸両用車の懸架装置及び底部構造
FR2932119B1 (fr) * 2008-06-10 2010-06-18 Brugidou Antoine Vehicule amphibie.
GB2461081B (en) * 2008-06-19 2011-12-28 Gibbs Tech Ltd A three-wheeled amphibian with retractable wheels
EP2718127A2 (en) 2011-06-13 2014-04-16 Gibbs Technologies Limited Amphibian hull
FR2978084B1 (fr) * 2011-07-22 2014-08-22 Guirec Daniel Vehicule amphibie
US20140378235A1 (en) * 2012-02-07 2014-12-25 Gibbs Technologies Limited Articulated Halfshaft for an Amphibian
USD760623S1 (en) 2012-10-13 2016-07-05 Gibbs Technologies Limited Amphibious vehicle
CN104044499B (zh) * 2014-06-21 2016-04-27 江阴荣兴科技发展有限公司 水陆两栖应急系统
GB2551683B (en) 2015-05-07 2019-01-30 Gibbs Tech Ltd A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an amphibian
US10472053B2 (en) * 2016-05-13 2019-11-12 Luis Sierra Retractable wheel assembly
JP6842910B2 (ja) 2016-12-20 2021-03-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
KR101906950B1 (ko) * 2016-12-26 2018-12-05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0686903B (zh) * 2019-08-29 2021-09-14 武汉理工大学 一种无人驾驶系统测试平台假车的车轮主动缩回系统
CN111559211B (zh) * 2020-06-18 2021-07-02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两栖轮式车辆水上减阻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3675A (en) * 1919-09-24 1925-01-20 Ellingwood H Towle Folding landing gear
US2781529A (en) * 1955-04-01 1957-02-19 Texas Longhorn Boat Mfg Co Inc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boats
US3280785A (en) * 1965-03-01 1966-10-25 George H Mycroft Amphibious structure
US3421472A (en) * 1967-04-10 1969-01-14 Frank Fasano Amphibious vehicle
US3903831A (en) * 1973-05-14 1975-09-09 Waterland Corp Amphibious vehicle
DE2904151A1 (de) * 1979-02-03 1980-08-14 Wilhelm Westphalen Schwimmfaehiger personenkraftwagen als reise- und wassersport-mobil
US4958584A (en) * 1987-12-02 1990-09-25 Mpv, Inc. Amphibious vehicle having an efficient water-borne operational mode
JPH04349009A (ja) * 1991-01-31 1992-12-03 Isuzu Motors Ltd 水陸両用車両
NZ250979A (en) * 1994-02-25 1996-03-26 Terence James Roycroft Amphibious vehicle axle driven wheel retracting mechanism
US5690046A (en) * 1995-11-21 1997-11-25 Grzech, Jr.; Albert S. Amphibious vehicles
FR2782696B1 (fr) * 1998-08-25 2000-10-06 Salvador Pavon Embarcation transportable sur route par attelage derriere un vehicule
GB0007625D0 (en) * 2000-03-30 2000-05-17 Gibbs Tech Ltd Improved suspension strut
GB0029298D0 (en) * 2000-12-01 2001-01-17 Gibbs Int Tech Ltd Suspension arrangement
US6540569B1 (en) 2001-09-24 2003-04-01 Shao-Wei Gong Integrated utility personal vehicle
GB0301399D0 (en) * 2003-01-22 2003-02-19 Swift Jonathan R High water speed amphibious vehicle
GB0311439D0 (en) * 2003-05-19 2003-06-25 Gibbs Tech Ltd Amphibious vehicle
GB2401832B (en) * 2003-05-19 2006-02-01 Gibbs Tech Ltd A hull for an amphibious vehicle
JP2004349009A (ja) 2003-05-20 2004-12-09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製造装置、およ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画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376A (ko) * 2012-04-25 2015-01-08 이귀아나 얏츠 수륙양용차량
WO2014084074A1 (ja) * 2012-11-30 2014-06-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
WO2022170242A1 (en) * 2021-02-08 2022-08-11 Xtravel Suspension, Llc Floating skid plat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65254A (zh) 2007-10-31
GB0423470D0 (en) 2004-11-24
JP4712808B2 (ja) 2011-06-29
CN101065254B (zh) 2012-05-30
EP1809493A1 (en) 2007-07-25
US7322864B2 (en) 2008-01-29
DE602005019248D1 (de) 2010-03-25
JP2008516847A (ja) 2008-05-22
WO2006043043A1 (en) 2006-04-27
AU2005297042A1 (en) 2006-04-27
US20060189224A1 (en) 2006-08-24
ATE457000T1 (de) 2010-02-15
GB2419326A (en) 2006-04-26
EP1809493B1 (en)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4444A (ko) 오므릴 수 있는 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차량
US11485182B2 (en) Amphibians
US10864952B2 (en) Drag reducing device
US10717479B2 (en) Break-away drag reducing device
RU2555253C2 (ru) Амфибия
US20110189907A1 (en) Amphibian
US7717761B2 (en) Hull for an amphibious vehicle
KR20110025210A (ko) 수륙 양용 차량
WO2005084969A2 (en) Amphibious vehicle
RU200897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скользя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KR102042092B1 (ko) 보트용 트레일러
KR102063152B1 (ko) 수륙 양용 차량의 슬라이딩식 플랩
WO2021240446A1 (en) Amphibious watercraft
GB2066744A (en) Boats Adapted to Run on Land
FR2946314A1 (fr) Chaland de transport de materiel rou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