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471A - 고액분리기 - Google Patents

고액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471A
KR20070082471A KR1020060039234A KR20060039234A KR20070082471A KR 20070082471 A KR20070082471 A KR 20070082471A KR 1020060039234 A KR1020060039234 A KR 1020060039234A KR 20060039234 A KR20060039234 A KR 20060039234A KR 20070082471 A KR20070082471 A KR 20070082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vibrating body
vibrating
vibrating scree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225B1 (ko
Inventor
박진채
Original Assignee
박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채 filed Critical 박진채
Publication of KR2007008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 B01D33/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with vibrating filter elements
    • B01D33/034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with vibrating filter elements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33/5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0Vibrat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 개방구조로 세척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진동체의 자체 세정능력과 분의 수분제거를 위한 압착기능을 부가하는 한편 분(糞)과 뇨(尿)의 배출경로를 단순화하여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한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진동스크린상의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고액분리기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틀과 틀을 지지하는 다리부로 제작된 고정대와, 고정대 틀 상부에 방진부재를 매개로 안착 설치된 진동체와, 진동체 하부에 위치되어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발생한 진동을 진동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진동체에 하부에 설치된 진동전달부 일측에 장착된 진동기와, 진동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진동체가 진동할 시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고, 그 면상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진동스크린부와, 진동스크린부 하부에 밀착되되 진동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진동되고, 배수공을 통해 낙하한 뇨가 일시 머무르면서 뇨의 떨림에 의해 진동스크린부 하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진공부와, 진공부의 끝단에 뇨를 취합하여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뇨를 배출할 수 있도록 뇨 취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스크린부를 통해 배출된 분이 그 사이를 통과시 가압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고정대 전방 하단에 장착된 롤러부와, 롤러부 하단에 위치되어 낙하한 분과 탈수된 뇨를 분리할 수 있도록 거름망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호 퍼와, 호퍼의 거름망을 통해 낙하한 뇨를 배수관을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호퍼와 배수관 사이에 연통하여 설치된 배수연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뇨, 진동, 진공, 세정, 세척, 진동스크린, 콤팩트, 압착 롤러부, 탈수

Description

고액분리기{SOLID-LIQUID SEPARATOR}
도 1은 종래 고액분리기의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진동스크린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타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개시된 고액분리기의 롤러부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대 11: 틀
12: 다리부 15: 방진부재
20: 진동스크린부 20a: 스크린 망
20b: 망 지지체 21: 배수공
30: 진공부 31: 뇨 취합부
35: 배수관 40: 진동체
41: 분배출구 42: 삽입구
43: 슬라이드 홈 44: 패킹
45: 진동전달부 50: 세척부
60: 진동기 70: 덮개부
71: 삽입홈 80: 롤러부
81a, 81b: 롤러 82: 거름망
83: 호퍼 84: 배수연결관
90: 모터
본 발명은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 개방구조로 세척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진동체의 자체 세정능력과 분의 수분제거를 위한 압착기능을 부가하는 한편 분(糞)과 뇨(尿)의 배출경로를 단순화하여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한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에는 다량의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처리하기 위한 고액분리기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고액분리기는 탈수식, 압착식, 건조식, 진동스크린 방식 등이 있으며, 이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5853호에 진동스크린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진동스크린 방식의 고액분리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각형 형상의 진동체(1)와, 진동체(1)의 상부에 형성된 진동전달부(15)와, 진동전달부(15)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진동기(5)와, 진동체(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진동체(1)의 양 측면의 중간부 일측에 방진고무(6)가 구비된 진동체고정대(6)에 진동체(1)가 고정되는 뇨 및 오수수집조(16)와, 뇨 및 오수수집조(16)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뇨배출관(9')과, 뇨 및 오수수집조(16)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2차뇨수집조(16)의 상부 중앙에 고정된 진동체(1)의 상부 일측에 내부로 관통되어 분뇨를 공급하는 분뇨공급관(8)과, 분뇨공급관(8)의 일측에 설치된 분뇨공급밸브(12)와, 진동체(1)의 하부에 형성된 상향식 진동스크린(2)과, 상향식 진동스크린(2)의 하부에 형성된 1차뇨수집구(4)와, 진동스크린(2)의 전방 끝 단부에 형성되어 탈수된 분을 회수하는 분배출구(10)와, 1차뇨수집구(4)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탈수된 물을 2차뇨수집조(11)로 이송시키는 두 개의 하부이송관(4-1)과, 2차뇨수집조(1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집된 뇨를 배출시키는 뇨배출관(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향식 진동스크린(2)은 끝단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진동체(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직사각형틀의 PE진동스크린지지판(3)과, PE진동스크린지지판(3)의 상부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PE, PP, 테프론으로 구성된 합성수지로 구성된 망이거나 스테인리스의 재질인 망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된 진동스크린(2)과 진동스크린지지판(3) 하부 중간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의 고정지지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진동체(1)의 상측에 진동기(5)를 설치하기 위한 진동전달부(15)가 장착되는바, 이에 따라 진동체(1)의 개방 면이 밀폐되어 작업완료 후 또는 정비시 세척이 곤란하고, 진동스크린(2) 교체시 협소공간으로 인하여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 분의 수분제거율이 낮을 경우 분 자체가 덩어리진 채 얼어붙어 처리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진동체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세척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진동체 자체 세정능력에 의해 진동스크린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착에 의해 재차 분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동절기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분(糞)과 뇨(尿)의 배출경로를 단순화하여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고액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진동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진동스크린상의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고액분리기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틀과 틀을 지지하는 다리부로 제작된 고정대와, 고정대 틀 상부에 방진부재를 매개로 안착 설치된 진동체와, 진동체 하부에 위치되어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발생한 진동을 진동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진동체 하부의 진동전달부 일측에 장착된 진동기와, 진동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진동체가 진동할 시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고, 그 면상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진동스크린부와, 진동스크린부 하부에 밀착되되 진 동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진동되고, 배수공을 통해 낙하한 뇨가 일시 머무르면서 뇨의 떨림에 의해 진동스크린부 하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진공부와, 진공부의 끝단에 뇨를 취합하여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뇨를 배출할 수 있도록 뇨 취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진동체는 진동스크린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진동스크린부의 안내 및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진동스크린부 장착 후 삽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체는 그 상측에 진동스크린부의 상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갖는 세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덮개부는 그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진동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진동체 상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내측면에 내재된 진동스크린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스크린부를 통해 배출된 분이 그 사이를 통과시 가압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 전방 하단에 장착된 롤러부와, 롤러부 하단에 위치되어 낙하한 분과 탈수된 뇨를 분리할 수 있도록 거름망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호퍼와, 호퍼의 거름망을 통해 낙하한 뇨를 배수관을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호퍼와 배수관 사이에 연통하여 설치된 배수연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롤러부는 그 사이로 분이 통과시 회전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고, 분의 투입량에 따라 롤러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롤러 간 탄지결합되며, 롤러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진동스크린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타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개시된 고액분리기의 압착부 상세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는 크게 고정대(10)와, 그 내측에 진동스크린부(20) 및 진공부(30)가 장착되고 고정대(10) 상부에 방진부재(15)를 매개로 안착된 진동체(40)와, 진동체(4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진동체(40) 상부에 마련된 세척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고정대(10)는 사각형상의 틀(11)과 다리부(12)로 제작되어 그 내측에 진동체(4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진동체(40)는 진동기(60)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분뇨(糞尿)를 분(糞)과 뇨(尿)로 분리하기 위한 진동스크린부(20)가 그 내측에 설치되고, 고정대 틀(11) 상부에 방진부재(15;일례로 방진고무, 방진 스프링)를 매개로 안착 된다.
진동스크린부(20)는 다수의 배수공(21)이 천공되고 그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제작된 스크린 망(20a)과, 망 지지체(20b)로 이루어지고, 분 배출구(41)를 향하 여 상방향으로 경사진 채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진공부(30)는 진동스크린부(20) 하부에 밀착되되 진동체(40)에 일체로 설치되어 진동되고, 배수공(21)을 통해 낙하한 뇨가 일시 머무르면서 뇨의 떨림 현상에 의해 진동스크린부(20) 하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진공부(30)는 뇨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소정각 경사지며, 그 끝단에 뇨를 취합하여 배수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뇨 취합부(31)가 마련된다.
진동기(60)는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체(40) 하부에 위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진동체(40) 하부에 진동전달부(45)를 설치하고, 이 진동전달부(45)의 일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세척부(50)는 진동체(40) 상측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진동체(4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진동체(40)가 고정대(10) 상에 방진부재(15)를 매개로 안착됨으로써, 진동기(60)로부터 발생한 진동을 소정부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소음발생 및 지반의 균열을 일정부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표면이 매끄럽고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스크린 망(20a)이 설치됨으로써, 진동 전달시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가축의 털이 스크린 망(20a)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원활한 분리 배출작업이 가능하게 된다(진동스크린부(20)를 이용한 분뇨의 분과 뇨의 배출과정은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진공부(30)가 진동스크린부(20) 하부에 밀착되고 진동체(40)에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진동체(40)와 연동하여 진동하게 되고, 그 결과 배수공(21)을 통해 낙하한 뇨가 일시 머무르면서 뇨의 떨림 현상에 의해 진동스크린부(20) 하면을 세정하게 된다. 따라서 가축의 털 등에 의해 배수공(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진공부(30)의 작용효과로 인하여 분의 탈수율을 높여 배출되는 분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분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진공부(30)는 뇨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소정각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바, 그 끝단에 뇨를 취합하여 배수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뇨 취합부(31)가 마련됨으로써, 뇨의 배출경로의 단순화로 인한 장치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진동기(60)가 진동체(40) 하부에 장착 설치됨으로써 빗물 등의 유입에 따른 전기적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진동체(40) 상방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빗물에 의한 진동체(40)의 자동 세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스크린부(20) 등을 교체하기 위한 유지보수 작업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기(60)가 진동체(40) 하부에 설치된 관계로, 진동체(40) 상방이 개방되어 세척부(50)를 설치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작업완료 후 또는 정비시 필뇨에 따라 진동체(40)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스크린부(20)의 장착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체(40)는 진동스크린부(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측면에 삽입구(42)가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진동스크린부(20)의 안내 및 파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43)이 형성되며, 진동스크린부(20) 장착 후 삽입구(42)를 밀폐할 수 있도록 덮개부(7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진동스크린부(20)는 망 지지체(20b)에 스크린 망(20a)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 일체의 형태로 제작되며, 슬라이드 홈(43)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상에 고무재질의 패킹(44)이 끼워진다.
덮개부(70)는 그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진동체(4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진동체(40) 상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덮개부(70)는 그 내측 면에 진동스크린부(20)를 파지하기 위한 삽입홈(72)이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진동스크린부(20) 교체시 덮개부(70)를 열고 기존 진동스크린부를 제거한 후 새로운 진동스크린부를 슬라이드 홈(43)을 따라 진동체(40) 내부로 삽입시키고, 덮개부(70)를 닫게 되면 덮개부(70)의 내측 면 삽입홈(71)에 의해 최종적으로 진동스크린부(20)가 파지됨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히 장착되게 된다.
다음,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타 실시 예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과 뇨를 분리하기 위한 전술한 기술적 구성 외에 동절기 분에 포함된 수분을 더욱 제거함으로써 분이 덩어리진 채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더 개시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스크린부(20)를 통해 배출된 분이 그 사이 를 통과시 가압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고정대(10) 전방 하단에 장착된 롤러부(80)와, 롤러부(80) 하단에 위치되어 낙하한 분과 탈수된 뇨를 분리할 수 있도록 거름망(82)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호퍼(83)와, 호퍼(83)의 거름망(82)을 통해 낙하한 뇨를 배수관(84)을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호퍼(83)와 배수관(35) 사이에 연통하여 설치된 배수연결관(84)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진동스크린부(20)를 통해 배출되는 분은 롤러부(80)로 낙하하고,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롤러(81a,81b)에 의해 분으로부터 뇨가 탈수된다. 이때, 롤러부(80)를 통과한 분과 뇨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거름망(82)에 떨어지게 되는데, 분은 거름망(82)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 떨어지고 뇨는 거름망(82)을 통과하여 호퍼(83)로 유입된다.
그리고 호퍼(83)로 유입된 뇨는 배수연결관(84) 및 배수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과다한 수분함유로 인하여 동절기 분이 덩어리진 채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구동부를 포함한 롤러부의 실시 예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81a,81b)는 구동부(90~97b)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즉, 구동부는 고정대 하단에 설치된 모터(90)와,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96a,96b) 및 각 롤러 기어(93a,93b)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어부(96a,96b)는 모터(90) 회전축 기어(91)와 체인(미도시)에 의해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기어(94)와, 롤러 회전축 기어(93a,93b)와 체인(미도시)에 의해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종동기어(96a,96b)가 구비된다.
그리고 롤러부의 각 롤러(81a,81b)는 일측이 힌지결합된 설치대(92a,92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롤러부로 유입되는 분뇨의 량에 따라 롤러(81a,81b) 간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설치대(92a,92b) 간에 스프링(95)이 결속된다. 미설명부호 98은 설치대의 지지편이다.
이에 따라, 롤러부(80)는 롤러(81a,81b)로 사이로 분이 통과시 모터(9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가압하고, 스프링(95)에 의해 탄지된 상태이므로 분의 투입량에 따라 롤러(81a,81b) 간격이 자동 조절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구동부는 각 롤러(81a,81b)가 장착된 설치대(92a,92b)를 스프링(95)으로 탄지한 채, 각 롤러(81a,81b)의 회전축에 모터를 직결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기가 진동체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진동체 상방이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에 의한 진동체 내부의 자동 세척이 가능하고, 진동체 상방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진동스크린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을 신속히 마무리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진동스크린부를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진동스크린부를 진동체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신속한 교체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부에 일시 머무르는 뇨의 떨림 현상에 의해 진동스크린부의 하면을 세정함으로써, 배수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분으로부터 뇨가 충분히 탈수되도록 하여 회수되는 분의 부피를 상당량 줄일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진동체는 그 상측에 진동스크린부의 상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갖는 세척부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완료 후 또는 정비시 진동체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동절기 분에 포함된 수분을 더욱 탈수하여, 분이 덩어리진 채 얼어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의 이송 및 청소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진동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진동스크린상의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고액분리기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틀과 상기 틀을 지지하는 다리부로 제작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틀 상부에 방진부재를 매개로 안착 설치된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 하부에 위치되어 빗물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발생한 진동을 상기 진동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체에 하부에 설치된 진동전달부 일측에 장착된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체가 진동할 시 분뇨를 분과 뇨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고, 그 면상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진동스크린부와,
    상기 진동스크린부 하부에 밀착되되 상기 진동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진동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해 낙하한 뇨가 일시 머무르면서 뇨의 떨림에 의해 상기 진동스크린부 하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된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의 끝단에 뇨를 취합하여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상기 뇨를 배출할 수 있도록 뇨 취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진동스크린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진동스크린부의 안내 및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진동스크린부 장착 후 상기 삽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덮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그 상측에 상기 진동스크린부의 상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갖는 세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그 일측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진동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진동체 상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내측면에 내재된 진동스크린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부를 통해 배출된 분이 그 사이를 통과시 가압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 전방 하단에 장착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 하단에 위치되어 낙하한 분과 탈수된 뇨를 분리할 수 있도록 거름망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거름망을 통해 낙하한 뇨를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할 수 있도 록 상기 호퍼와 상기 배수관 사이에 연통하여 설치된 배수연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그 사이로 분이 통과시 회전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분의 투입량에 따라 상기 롤러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롤러 간 탄지결합되며, 상기 롤러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KR1020060039234A 2006-02-15 2006-05-01 고액분리기 KR100780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423 2006-02-15
KR20060014423 2006-02-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674U Division KR200436635Y1 (ko) 2006-02-15 2006-11-15 고액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471A true KR20070082471A (ko) 2007-08-21
KR100780225B1 KR100780225B1 (ko) 2007-11-28

Family

ID=3861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234A KR100780225B1 (ko) 2006-02-15 2006-05-01 고액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2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54Y1 (ko) * 2013-04-15 2015-04-10 대한민국 거저리 배설물 분리장치
CN109876506A (zh) * 2019-04-12 2019-06-14 山东省泰安市农业机械科学研究所 一种牛粪木质素筛选分离装置
CN114853226A (zh) * 2022-07-05 2022-08-05 山东沃华远达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太阳能运作的污水处理设备
CN116675403A (zh) * 2023-07-19 2023-09-01 中润农牧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环保型生猪养殖废液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167B1 (ko) * 2016-01-18 2017-08-25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전기제염장치 거치대
KR101654629B1 (ko) * 2016-05-11 2016-09-22 티이티 주식회사 홍합의 수염 제거장치
KR102253963B1 (ko) * 2019-09-05 2021-05-20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탈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281B1 (ko) * 1996-09-19 1999-04-15 한일석 축산폐수의 찌꺼기 걸름장치
KR19990084535A (ko) * 1998-05-08 1999-12-06 노장영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KR100493762B1 (ko) * 2002-09-13 2005-06-07 김경원 곡물세척기
KR100543419B1 (ko) 2005-05-06 2006-01-20 구흥회 축산분뇨용 고액분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54Y1 (ko) * 2013-04-15 2015-04-10 대한민국 거저리 배설물 분리장치
CN109876506A (zh) * 2019-04-12 2019-06-14 山东省泰安市农业机械科学研究所 一种牛粪木质素筛选分离装置
CN114853226A (zh) * 2022-07-05 2022-08-05 山东沃华远达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太阳能运作的污水处理设备
CN114853226B (zh) * 2022-07-05 2022-09-09 山东沃华远达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太阳能运作的污水处理设备
CN116675403A (zh) * 2023-07-19 2023-09-01 中润农牧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环保型生猪养殖废液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225B1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225B1 (ko) 고액분리기
US8302780B1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KR101520680B1 (ko) 식기 세척기
CA2865310C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CN206196941U (zh) 蔬菜清洗装置
KR100543419B1 (ko) 축산분뇨용 고액분리장치
KR200436635Y1 (ko) 고액분리기
KR2016012929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18948B1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CN215305591U (zh) 清洁基站及清洁装置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CN109499170B (zh) 一种工业废水渣液分离设备
KR100916338B1 (ko) 폐기슬러지탈수장치
KR20045222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2209061A (zh) 一种中药颗粒生产用残渣清理装置
CN218128450U (zh) 一种可自动回收残渣分离油水的洗洁机
KR200367385Y1 (ko) 스크린 드럼을 구비한 협잡물 제거장치
KR100493762B1 (ko) 곡물세척기
CN220386009U (zh) 一种污水处理用排泥装置
CN204193630U (zh) 新型滚筒式格栅机
CN210362596U (zh) 一种方便清洗的高排水螺旋压榨机
CN219083624U (zh) 一种汽车内饰阻燃材料电磁震动脱水装置
CN214522161U (zh) 螺旋压榨机
CN114618220B (zh) 一种污泥过滤自动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