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433A - Lifter - Google Patents

Lif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433A
KR20070082433A KR1020060015287A KR20060015287A KR20070082433A KR 20070082433 A KR20070082433 A KR 20070082433A KR 1020060015287 A KR1020060015287 A KR 1020060015287A KR 20060015287 A KR20060015287 A KR 20060015287A KR 20070082433 A KR20070082433 A KR 2007008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sette
conveying
lif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69692B1 (en
Inventor
박보현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주)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미 filed Critical (주)코미
Priority to KR102006001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692B1/en
Publication of KR2007008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A lifter is provided to reduce the time for transferring a cassette by performing simultaneously cassette loading/unloading processes and up/down motions. A lifter includes a frame(110) prolonged between layers, a supply unit(140) for supplying a transfer object body at one end portion of the frame, an exhaust unit(160) for exhausting the transfer object body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rame, a support unit(150) for loading arbitrarily the transfer object body between the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and a lifting unit. The lifting unit is used for moving to an fro between the supply unit, the support unit, and the exhaust unit. The lifting unit is capable of transferring the transfer object body upward. The supply unit, the support unit and the exhaust unit are simultaneously operated.

Description

층간 리프트{lifter}Interlayer Lift {lif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laye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drive of the interlaye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승강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interlaye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투입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put of the interlaye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지지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interlaye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배출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of the interlaye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7a to 8b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 flat panel display panel

20 : 카세트20: cassette

100 : 층간 리프트100: interlayer lift

110 : 프레임110: frame

120 : 승강구동부120: elevating drive unit

130 : 승강부130: lifting unit

140 : 투입부140: input unit

150 : 지지부150: support

160 : 배출부160: discharge part

본 발명은 층간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공정 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층간 이동시키기 위한 층간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lif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ayer lift for interlayer moving a flat panel display panel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가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여러 장비에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In recent year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an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have been developed. Various flat panel display panels have been studied, and some are already used as display devices in various devices.

그 중에,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Among them, flat panel display panel is the most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CRT (Cathode Ray Tube) for mobile image display because of its high image quality, light weight, thinness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nd the lik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broadcast signal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수많은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LCD일예로 하여 그 제조 공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기판 제조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의 세 가지 공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Such a flat panel display panel is manufactured through a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which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processes, for example, a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a cell manufacturing process, and a module process.

여기서, 기판 제조공정은 기판을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셀 제조 공정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합치하여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 표시장치의 셀을 제조하는 공정이며, 모듈 공정은 액정표시장치 패널과 신호처리 회로부를 연결시켜 모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Here, the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using the substrate, the cell manufacturing process is a liquid crystal display by match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The cell of the device is manufactured, and the module process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dule by connec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part.

한편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은 통상 하나의 공장 안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공장은 각기 다른 층에서 각각 다른 공정이 진행되며, 공정이 진행 중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각 공정이 진행되는 층으로 층간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such a flat pane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process is usually performed in a single factory, and these factories have different processes in different floors, and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in process is a layer in which each process proceeds as the process proceeds. It is moved between floors.

이에 공정이 진행 중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층간 이동시키기 위하여 무한괘도 형태의 컨베이어를 응용한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는 이송되는 다수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move the flat panel of the flat panel display in progress, a vertical conveyor hoisting device using a conveyor having an infinite trajectory type was used. Such vertical conveyor hoisting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 advantage of continuously supplying a plurality of flat panel display panels to be transport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층간 이동시 이동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투입, 적재, 배출의 과정이 항상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However, in the vertical conveyor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rocess of loading, stacking, and discharging must always be sequentially performed based on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that is moved during the interlayer movement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더욱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층간 이송의 고속화를 위하여 적재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 속도를 고속으로 할 경우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의 투입 및 배출 속도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속도에 연계되어 고속 진행된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fer speed of the stacked flat panel display panel is increased in order to speed up the interlayer transfer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the feeding and discharging speed of the vertical conveyor hoisting device is also linked to the feeding speed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이에 이미 적재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이에 연계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입 및 배출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 이외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입 및 배출하는 별도의 컨베이어장치와 연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not a problem to improve the feed rate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already loaded, but to improve the feeding and discharging speed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connected thereto is a separate conveyor for inputting and discharging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other than the vertical conveyor lif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with considerable difficulty because it must be linked with the device.

또한,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의 경우 투입, 적재, 배출의 과정이 하나의 무한괘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입, 적재, 배출 과정중 하나의 과정에 기술적 문제가 생길 경우 전제적인 투입, 적재, 배출 과정이 연계되어 정지되므로 그 자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vertical conveyor hoisting device, the process of loading, loading and discharging is done in one infinite trajectory, so if technical problem occurs in one of the process of loading, loading and discharg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utomatic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it is stopp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공급됨에 따라 공급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연속 간혈식으로 수직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속이송과,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층간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vertically transfer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discontinuous interstitial blood transfer speed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rlayer lift for improvem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는, 층간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고, 이송체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고, 이송된 상기 이송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가 임시 적재되는 지지부;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 상기 배출부 사이를 왕복 이송하며 각각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체를 이송시키는 승강장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부에 의한 상기 이송체 투입과, 상기 승강장치부에 의한 상기 이송체의 이송 및 상기 배출부에 의한 상기 이송체 배출 동작이 동시에 수행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extending interlayer; An input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and into which a conveying body is inserted; A discharge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and discharging the conveyed body; A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input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temporarily transporting the conveying member; And a lifter unit for reciprocating between the input unit, the suppor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transfer the transfer body located at each of the input unit, the feed unit input by the input unit, and the transfer unit by the elevator unit. The conveyance of the sieve and the conveying body discharging operation by the discharging uni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 투입부는, 이송되는 이송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이송체를 상기 승강장치부에 의해 이송되기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의 선단에 마련되어 이송체의 진입을 제하는 진입제한장치; 이송롤러의 후단에 마련되어 이송체를 정지시키는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eeder, the pickup roller for picking up the conveying body;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conveying body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to a position for conveying by the elevating device unit; An entry limiting device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nveying roller to restrict the entry of the conveying body;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eed roller to stop the conveying body.

상기 이송롤러의 선단과 후단에는 이송되는 이송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한쌍의 투입감지센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input detection sensors are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eed roll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승강장치부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체를 지지하는 배출유닛;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unit, the discharge unit for supporting the conveying body conveyed by the lifting device unit; It is preferable that a conveying conveyor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ing unit to discharge the conveying body to the outside.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한쌍의 브래킷; 상기 각 브래킷의 상부에 상기 이송체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을 이동시키는 작동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ortion, a pair of brackets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rame; A support panel slide-moved in a direction of supporting the conveying member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brackets;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ctuator for moving the support panel.

상기 승강장치부는,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 상기 배출부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의 이송체를 지지하는 승강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를 수직 왕복 이송시키는 승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unit may include an elevating unit configure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s positioned in the input unit, the suppor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ift drive uni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to vertically reciprocate the lift unit.

상기 승강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감속기;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타이밍밸트 및 타이밍밸트풀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drive unit, the lifting motor for generating power; A reducer for converting rotational force of the lifting moto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iming belt and a timing belt pulley for transmitting the reduced rotational force to the lifting unit.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몸체;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에 연동되어 회동되며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이송체를 지지하는 회동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rive unit, the lifting body coupled to the slide movable of the frame; An actuato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body to generate power; A rotary cam for converting a rotary motion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actuat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otational link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cam and supports the feeder supported by the input unit and the support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각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each component of the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은 설명함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100)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 또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된 카세트(20)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된 카세트(2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일예로 하여 설명하며 이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된 카세트(20)를 통칭하여 '카세트'라 한다. 또한, 카세트(20)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에이징 공정을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er the cassette 20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or the interlayer lift 100 or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The cassette 20 seat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Hereinafter, the cassette 20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s seated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assette'. In addition, the cassette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 supply (not shown) for the aging process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100)는, 층과 층 사이에 연장되며 카세트(20)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카세트(20)가 투입되는 투입부(140)와, 프레임(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승강구동부(120)와,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되어 카세트(20)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130)와, 승강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를 지지하여 임시 적재하는 지지부(150)와, 승강부(130)에 의해 이송된 카세트(20)를 배출하는 배출부(16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terlayer lif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0 extending between the layers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cassette 20 is moved. And the cassette 20 is inserted into the input unit 140, the lift driver 1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0, and the lift driver 120 is reciprocally conve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lift the cassette 20. The lifting unit 130 for moving, the support unit 150 for temporarily loading and supporting the cassette 20 transported by the lifting unit 130, and the cassette 20 transferred by the lifting unit 130 are discharged. The discharge unit 160 is provided.

여기서, 상술한 투입부(140) 및 배출부(160)와 각 지지부(150)들은 각 구성부(140, 150, 160)의 상면(카세트(20)의 하면을 지지하는 면)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후술할 승강부(130)의 각 회동링크(134)들도 각 구성부(140, 150, 160)의 상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140 and discharge unit 160 and each support unit 150 are based on the upper surface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ssette 20) of each component 140, 150, 160,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the same interval, each rotating link 134 of the lif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formed to be spac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terval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each component (140, 150, 160). .

상기 프레임(110)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조되는 공장의 하층과 상층의 사이에 마련되어 카세트(20)를 하층에서 상층(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송시키는 각 구성부(120, 130, 140, 150, 1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카세트(20)가 이송되기 위한 이송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카세트(20)가 투입되는 투입부(140)가 마련되고, 내부 상측에는 이송된 카세트(20)가 배출되는 배출부(160)가 형성된다.The frame 11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of the factory where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s manufactured,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120, 130,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 20 from the lower layer to the upper layer (or upper layer to lower layer). It is for supporting the 140, 150, 160, the inside is formed with a transport space for the cassette 20 is transferred,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cassette 20, the inner upper side The discharge unit 160 through which the transferred cassette 20 is discharged is formed.

여기서 프레임(110)의 이송공간 내측에는 투입되는 카세트(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130)가 마련되고,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승강부(130)를 수직 왕복 이송시키는 승강구동부(120)가 마련된다. Here, the elevating unit 130 for elevating the cassette 20 to be introduced is provided inside the transport space of the frame 110, and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0 for vertically reciprocating the elevating unit 130 above the frame 110. ) Is provided.

그리고 프레임(110)의 상·하부에 형성된 배출부(160)와 투입부(140) 사이에는 지지부(150)가 설치되는 복수의 장착바(112)가 마련된다. 여기서 장착바(112)는 프레임(110)의 대향되는 면에 대향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층간 리프트(100)가 설치되는 층의 높이, 카세트(20)의 크기 등에 의해 그 개수와 길이가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112 on which the support part 150 is installed are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part 160 and the input part 14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rame 110. Here, the mounting bars 112 are provided in pairs opposed to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rame 110, and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mounting bars 112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floor on which the interlayer lift 100 is installed, the size of the cassette 20,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또한, 투입부(140)의 일측에는 투입부(140)로 카세트(20)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컨베이어(미도시)가 마련되고, 배출부(160)의 일측에는 이송된 카세트(20)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컨베이어(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ly conveyor (not shown) for supplying the cassette 20 to the input unit 1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put unit 140, and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160 discharges the transferred cassette 20. A discharge conveyo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the purpose.

상기 승강구동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후술할 승강부(130)를 상하 왕복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122)와, 승강모터(122)의 회전력을 승강부(130)로 전달하여 승강부(130)를 왕복 이송시키는 타이밍밸트(124a) 및 타이밍밸트풀리(124b)가 마련된다. The lifting and driving unit 1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ure 2 for lifting up and down the lif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lifting motor 122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lifting A timing belt 124a and a timing belt pulley 124b are provided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22 to the lifting unit 130 to reciprocally transfer the lifting unit 130.

또한, 상기 승강모터(122)에는 승강모터(12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켜 그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126)와,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다수의 기어박스(128)가 마련된다. 이러한, 승강구동부(120)는 후술할 승강부(130)의 설치위치 에 따라 감속기(126) 또는 복수의 기어박스(128)에서 동력을 분기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motor 122 is provided with a reducer 126 for reduc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lifting motor 122 to increase its torque, and a plurality of gear boxes 128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force. Such, the elevating driver 120 may branch power from the reducer 126 or the plurality of gear boxes 128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va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강구동부(120)는 승강모터(12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승강부(130)를 수직 왕복 이송시키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승강부(130)를 수직 왕복 이송시킬 수 있는 유압/공압 실린더, 볼스크루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drive unit 120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vertically reciprocating the elevating unit 130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vating motor 122, the elevating unit 130 can be reciprocated vertically Hydraulic / pneumatic cylinders, ball screws, or the like.

상기 승강부(130)는, 프레임(110)의 형성된 이송공간의 내부에 마련되며, 투입부(140)로 투입된 카세트(20)를 비연속 간혈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20)의 타이밍밸트(124a)에 결합되는 승강몸체(131)와, 승강몸체(131)의 상부에 마련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캠(133)과, 회전캠(13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37)와, 회전캠(133)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어 카세트(20)의 하부를 지지하는 회동링크(134)를 구비한다.The lifting unit 130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space formed of the frame 110, and for lifting the cassette 20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discontinuously and intermittently, as shown in FIG. Similarly, the elevating body 131 coupled to the timing belt 124a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0, the rotary cam 133 provided on the elevating body 131 to convert the rotary motion into a linear motion, and the rotary cam ( A motor 137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133, and a rotating link 134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cam 133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20).

이러한 승강부(13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복수개로 마련된다. 즉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카세트(20)의 외주면 하부를 지지하여 카세트(2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카세트(2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개수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태의 카세트(20) 각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4개의 승강부(130)가 마련된다. 하지만 여기서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lifting unit 13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110). That is, by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sette 20 which is moved inside the frame 110, the cassette 20 is transported to provide the number of the cassettes 20 that can safely support the cassette 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lifting portions 130 are provided to support each corner of the cassette 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number is not limited here.

여기서, 승강몸체(131)는 프레임(110)의 이송공간 내측면에 위치하며, 그 일측면이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이송레일(11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승강몸체(131)는 승강구동부(120)의 타이밍밸트(124a)에 결합되어 타이밍밸트(124a)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이동되 는 거리는 지지부(15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하거나 지지부(150)의 간격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fting body 131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ort space of the frame 110, one side of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transport rail 114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10. The lifting body 131 is coupled to the timing belt 124a of the lifting driving unit 120 and slides upward an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iming belt 124a. At this time, the distance to be moved is preferably maintain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terval of the support 150 or formed somewhat larger than the interval of the support 150.

그리고 회전캠(133)에는 회전캠(133)에 의해 회전에서 직선 왕복방향으로 변화되는 운동력을 회동링크(134)로 전달하는 연동바(138)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rotary cam 133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bar 138 for transmitting the kinetic force that is changed in the linear reciprocating direction from the rotation by the rotary cam 133 to the rotary link 134.

한편, 회동링크(134)는 승강몸체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부(132)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연동바(138)에 연결되는 회동단(135)과 회동단(135)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어 카세트(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단(136)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한쌍의 돌출부(132)와 이에 결합되는 회동링크(134)는 투입부(140), 지지부(150), 배출부(160)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link 134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air of protrusions 13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lifting body, and rotates with the rotation end 135 connected to the linkage bar 138 around the rotation shaft. It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end 135 is provided as a support end 136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20). The pair of protrusions 132 and the rotation link 134 coupled thereto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input part 140, the support part 150, and the discharge part 16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동바(138)에 의한 회동링크(134)의 회동력 제공을 위하여 모터(137)와 회전캠(133)의 조합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연동바(138)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공압실린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motor 137 and the rotary cam 133 is provided to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link 134 by the interlocking bar 138. However, it may be made of a hydraulic / pneumatic cylinder, a solenoid and the like that can reciprocate the interlocking bar 138.

상기 투입부(140)는, 공급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가 프레임(110)의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공급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42)와, 픽업되는 카세트(20)를 승강위치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롤러(144)가 마련된다.The input unit 140 is to feed the cassette 20, which is conveyed by a supply conveyor (not shown) into the frame 11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 And a pickup roller 142 for picking up the cassette 20 transported by a supply conveyor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144 for transporting the cassette 20 to the lifted position.

여기서, 이송롤러(144)의 선단과 말단에는 투입되는 카세트(20)의 투입상태를 감지하는 한쌍의 투입감지센서(146)가 더 마련된다. 또한, 이송롤러(144)의 선단에는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카세트(20)의 진입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진입 제한장치(미도시)와, 진입제한장치를 통과한 카세트(20)가 이송롤러(144)에 의해 투입부로 진입된 후 진입되는 카세트의 관성을 완충하여 카세트를 정지시키는 완충장치(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feed roller 144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ir of input detection sensor 146 for detecting the input state of the cassette 20 is introduced. In addition, at the tip of the feed roller 144, an entry limiting device (not shown)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entry of the cassette 20 supplied from the supply conveyor, and the cassette 20 passing through the entry limiting device are transport rollers 144. A buffer devic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stop the cassette by buffering the inertia of the cassette which is entered after entering the input unit.

이러한 진입제한장치 및 완충장치는 모두 카세트(2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카세트(20)에 안착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유닛을 구비하는 스토퍼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Both the entry restrictor and the shock absorber are for limi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cassette 20 and may be provided as a stopper cylinder having a shock absorbing unit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seated on the cassette 20.

그리고, 투입부(140)로 투입되는 카세트(20)는 픽업롤러(142)에 의해 이송되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승강위치로 이송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송롤러(144)에 별도의 동력원(예를 들어 모터 등, 미도시)을 구비하여 카세트(20)의 이송을 보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ssette 20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may be transferred to a lifting position using an inertial force transferred by the pickup roller 142. However, the feed roller 144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 source (for example, a motor, etc.) to assist the transfer of the cassette 20.

상기 지지부(150)는, 프레임(110)에 구비된 장착바(112)에 마련되어 승강부(130)에 의해 승강되는 카세트(20)를 임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대향되는 면에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장착바(112)에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The support part 150 is provided on the mounting bar 112 provided in the frame 110 to temporarily load the cassette 20 lifted by the lifting unit 130,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in a form symmetrical to the pair of mounting bars 112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110, respectively.

이러한 지지부(150)는 장착바(112)에 결합되는 브래킷(152)과 브래킷(152)의 상부에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154)과, 브래킷(152)에 대하여 지지패널(154)을 이동시키는 작동체(156)가 마련된다.The support 150 is a bracket 152 coupled to the mounting bar 112 and the support panel 154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52, the bracket 152 An actuator 156 is provided for moving the support panel 154 relative to the support panel 154.

여기서 지지패널(154)은 프레임(110)의 이송공간에 내주면에 대하여 상술한 회동링크(13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작동체(156)는 지지패널(154)을 슬라이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 ·공압실린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upport panel 154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which the above-described rotation link 134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10. In addition, the actuator 156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 pneumatic cylinder, a solenoid or the like capable of sliding the support panel 154 to reciprocate.

이러한 한쌍의 지지패널(154)은 승강부(130)가 승강될 때는 승강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가 통과하도록 그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승강부(130)가 하강될 때는 카세트(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pair of support panels 154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p so that the cassette 20 conveyed by the lifting unit 130 passes when the lifting unit 130 is elevated, the lifting unit 130 is lowered The gap is narrowed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assette 20.

상기 배출부(160)는, 승강부(130)에 의해 프레임(110)의 최 상측으로 이송된 카세트(20)를 층간 리프트(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를 지지하고, 지지된 카세트(20)를 배출하는 롤러유닛(161)과, 롤러유닛(161)을 카세트(20)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유닛(162)이 마련된다.The discharge unit 160 is for discharging the cassette 20 transferred to the uppermost side of the frame 110 by the lifting unit 130 to the outside of the interlayer lift 100, as shown in FIG. 6. The roller unit 161 which supports the cassette 20 conveyed by the elevating part 130, discharges the supported cassette 20, and the discharge unit which conveys the roller unit 161 to the lower part of the cassette 20. 162 is provided.

여기서, 배출유닛은, 프레임(110)에 최상측에 마련되는 한쌍의 장착바(112)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배출브래킷(163)과 배출브래킷(163)의 상부에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패널(164)과, 배출브래킷(163)에 대하여 배출패널(164)을 이동시키는 배출작동체(165)가 마련된다.Here, the discharge unit, the inner side of the frame 110 on the discharge bracket 163 and the discharge bracket 163 provided in a shape symmetrical to the pair of mounting bars 112 provid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frame 110. A discharge panel 164 is slid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panel, and a discharge actuator 165 for moving the discharge panel 164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bracket 163 is provided.

또한 배출패널(164)은 프레임(110)의 이송공간에 내주면에 대하여 상술한 회동링크(134)가 이송될 수 있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배출작동체(165)는 배출패널(164)을 슬라이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유압·공압실린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anel 164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 link 134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 the transport space of the frame 110. In addition, the discharge actuator 165 may be made of a hydraulic / pneumatic cylinder, a solenoid and the like that can slide the discharge panel 164 reciprocating.

이러한 한쌍의 배출패널(164)은 승강부(130)가 승강될 때는 승강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가 통과하도록 그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승강부(130)가 하강될 때는 카세트(2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pair of discharge panels 164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p so that the cassette 20 conveyed by the lifting unit 130 when the lifting unit 130 is elevated, the lifting unit 130 is lowered The gap is narrowed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assette 20.

그리고 롤러유닛(161)은, 각 배출패널(164)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어 지지되는 카세트(20)를 층간 리프트(100)의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67)와 이송컨베이어(167)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20)가 배출컨베이어 측으로 이송될 때까지 카세트(20)의 하면을 지지하는 배출롤러(168)가 마련된다. And the roller unit 161 is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167 and the conveying conveyor 167 which conveys the cassette 20 which is respectively provided and supported by the upper part of each discharge panel 164 to the outer side of the interlayer lift 100. The discharge roller 168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ssette 20 is provided until the cassette 20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conveyor side.

여기서, 이송컨베이어(167)의 선단과 말단에는 배출되는 카세트(20)의 배출상태를 감지하는 한쌍의 배출감지센서(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카세트(20)는 이송컨베이어(167)에 의해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배출컨베이어로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배출롤러(168)에 별도의 동력원(예를 들어 모터 등, 미도시)을 구비하여 카세트(20)의 배출을 보조할 수도 있다. Here, a pair of discharge detection sensors (not shown) for detect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cassette 20 to be discharged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167. In addition, the discharged cassette 20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conveyor by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by the transfer conveyor 167. However, the discharge roller 168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 source (for example, a motor, etc.) to assist the discharge of the cassette 2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Each element mention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7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 7a는 층간 리프트로 공급된 카세트가 승강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b는 층간 리프트로 공급된 카세트가 승강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a는 층간 리프트로 공급된 카세트가 하강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b는 층간 리프트로 공급된 카세트가 하강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7a to 8b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7A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cassette supplied to the interlayer lift is lifted, FIG. 7B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cassette supplied to the interlayer lift is lifted, and FIG. 8A shows the cassette supplied to the interlayer lift is lowered 8B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cassette supplied to the interlayer lift is lowered.

먼저 층간 리프트(100)의 투입부(140) 측으로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평판 디 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된 카세트(20)가 진입되면, 투입부(140)에 마련된 픽업롤러(142)에 의해 카세트(20)가 투입부(140)의 이송롤러(144) 측으로 이송된다. 이에 투입부(140)로 이송되는 카세트(20)는 이송롤러(144)의 선단에 마련된 투입감지센서(146)와, 이송롤러(144) 후단에 마련된 투입감지센서(146)에 의해 감지된다.First, when the cassette 20 o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10 is seated by the supply conveyor enters into the input unit 140 of the interlayer lift 100, the cassette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42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20 is fed to the feed roller 144 side of the injection unit 140. The cassette 20 conveyed to the input unit 140 is detected by the input detection sensor 146 provided at the tip of the feed roller 144, and the input detection sensor 146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eed roller 144.

이에 투입감지센서(146)에 의해 카세트(20)가 정확한 승강위치로 이송된 것이 감지되면 카세트(20)의 투입이 완료되고, 승강구동부(120)와 승강부(130)에 의한 카세트(20)의 이송작업이 시작된다.When the cassette 20 is sensed to be transferred to the correct lift position by the input detection sensor 146, the input of the cassette 20 is completed, and the cassette 20 is moved by the lift driver 120 and the lift unit 130. Transfer operation starts.

이때, 투입부(140)로 투입되는 카세트(20)는 진입제한장치(미도시)에 의해 그 진입이 선택적으로 제한된다. 즉 투입부(140)에 이미 카세트(20)가 투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카세트(20)의 진입경로를 차단하여 카세트(20)의 진입을 제한한다. 또한, 이미 투입부(140)로 진입된 카세트(20)는 이송롤러(144)의 후단에 위치한 완충장치(미도시)에 의해 그 이동 관성이 완충되어 이송롤러(144)에 정진된다.At this time, the cassette 20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is selectively limited to the entry by the entry limiting device (not shown). That is, when the cassette 20 is already inserted into the input unit 140, the entry path of the cassette 20 is blocked to restrict the entry of the cassette 20. In addition, the cassette 20 which has already entered the feeder 140 is buffered by an inertia (not shown)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feed roller 144, and the moving inertia is buffered and devoted to the feed roller 144.

먼저, 승강구동부(120)와 승강부(130)의 이송작업을 설명한다. 승강부(130)의 모터(137)가 회전되어 회전캠(133)을 회전시키고, 회전캠(133)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캠(133)에 연동되는 연동바(138)가 수직 이동된다. 이에 연동바(138)에 의해 회동되도록 마련된 다수의 회동링크(134)가 회전되어 회동링크(134)의 지지단(136, 도 3참조)이 카세트(20)를 지지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된다.First,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e unit 120 and the lift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The motor 137 of the lifting unit 130 is rotated to rotate the rotary cam 133, and as the rotary cam 133 is rotated, the linkage bar 138 linked to the rotary cam 133 is vertically mov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rotating links 134 provided to be rotated by the interlocking bar 138 is rotated so that the supporting end 136 (see FIG. 3) of the rotating link 134 does not support the cassette 20.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구동부(120)의 승강모터(12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승강모터(122)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감속기(126), 기어박스(128) 등을 통해 타이밍밸트풀리(124b)로 전달되고, 타이밍밸트(124a)에 연결된 승강부(13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In this state, the elevating motor 122 of the elevating driver 12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elevating motor 122 is transferred to the timing belt pulley 124b through the reducer 126, the gear box 128, and the like. The lifting unit 130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124a is moved downward.

한편, 승강부(130)가 이동됨에 따라 승강부(130)에 마련된 각 회동링크(134) 중 최하단에 마련된 회동링크(134)가 투입부(140)로 투입된 카세트(2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승강부(130)의 모터(137)가 회전캠(133)을 회전시켜 연동바(138)를 수직 이동시키고 회전캠(133)의 위치가 초기위치에 대하여 180ㅀ회전하면 연동바(138)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링크(134)가 카세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로 회동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lifting unit 130 is moved, the rotating link 134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each of the rotating links 134 provided in the lifting unit 130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sette 20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 Accordingly, the motor 137 of the lifting unit 130 rotates the rotary cam 133 to vertically move the interlocking bar 138, and the interlocking bar 138 when the position of the rotary cam 133 rotates 180 °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Rotating link 134 is rotated to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cassette (20).

이와 같이 승강부(130)의 회동링크(134)가 카세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로 회동되면,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20)의 승강모터(1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타이밍밸트(124a)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이밍밸트(124a)에 연결된 승강부(130)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rotation link 134 of the lifting unit 130 is rotated to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cassette 20, the lifting motor 122 of the lifting driving unit 120 is reversed as shown in FIGS. 7A to 7B. Rotate to rotate the timing belt 124a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the lifting unit 130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124a in the upward direction.

이에 승강부(13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카세트(20)를 지지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회동링크(134)들이 카세트(2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에 카세트(20)는 다수의 회동링크(134)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부(130)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이송된다.As the lifting unit 130 is moved upward, the rotating links 134 that maintain the pivoted state in the direction for supporting the cassette 20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20. The cassette 2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tating link 134 is transported in the upper direction, such as the lifting unit 130.

한편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승강부(130)는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투입부(140), 지지부(150), 배출부(160)의 간격과 같은 이동유격을 같거나 다소 큰 이동유격을 갖도록 되어 있다.Meanwhile, the elevating unit 130 transported by the elevating driving unit 120 has a moving clearance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a moving clearance such as an interval between the input unit 140, the support unit 150, and the discharge unit 160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It is supposed to have

따라서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승강부(130)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투입부(140), 지지부(150), 배출부(160)의 간격만큼 이동되면 승강구동부 (120)의 승강모터(122)는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강부(130)를 다시 하강시킨다. Therefore, when the lifting unit 130 moved by the lifting unit 120 is moved by the interval of the input unit 140, the support unit 150, and the discharge unit 160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the lifting motor of the lifting unit 120 is moved. 122 is rotated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to lower the lifting unit 130 again.

이때, 승강부(130)에 의해 이동되는 카세트(20)의 위치는 투입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1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동된 카세트(20)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150)의 작동체(156)가 작동되어 각 지지패널(154)이 카세트(20)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assette 20 moved by the lifting unit 13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50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140, the support portion 150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ed cassette 20 Actuator 156 is operated to move each support panel 154 in the direction of supporting the cassette (20).

이에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되는 승강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카세트(20)가 한쌍의 지지패널(154)에 의해 지지되면서 승강부(130)의 회동링크(134)의 지지 상태에서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승강부(130)의 모터(137)가 다시 회전되면서 회동링크(134)가 카세트(20)를 지지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8A to 8B, the cassette 20, which is maintained by the lifting unit 130 that is lowered,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panels 154 while the pivot link of the lifting unit 130 is supported. 134 is released in the supported state. At the same time, as the motor 137 of the lifting unit 130 is rotated again, the rotation link 134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ssette 20 is not suppor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130)의 하강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투입부(140)에는 또 다른 카세트(20)가 투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하강되는 승강부(130)에 의해 승강될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140)로 투입된 카세트(20)의 승강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투입부(140)로 투입된 카세트(20)가 승강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unit 130 is in progress, the input unit 140 maintains a state in which another cassette 20 is inserted and maintains a state of elevating by the elevating unit 130 which is lowered. do.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assette 20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is repeatedly performed, the cassette 20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is elevated.

하지만 승강부(130)가 다시 반복적으로 승강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투입부(140)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부(150)에 먼저 투입된 카세트(20)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투입부(140)에 위치한 카세트(20)를 이송시키는 회동링크(134)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회동링크(134)에 의해 지지부(150)에 지지된 카세트(20)가 지지되어 승강된다. However, when the elevating unit 130 repeatedly performs the elevating operation, the cassette 20, which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support unit 150 positioned above the input unit 140, is supported. Therefore, the cassette 20 supported by the support 150 is supported and lifted by another pivoting link 134 positioned above the pivoting link 134 for transporting the cassette 20 positioned in the inlet 140.

또한, 이때 지지부(150)에 지지되던 카세트(20)가 상측으로 이송되면, 지지부(150)의 작동체(156)가 작동하여 각 지지패널(154)이 카세트(20)를 지지하지 않는 방향 즉, 지지부(150) 사이로 카세트(20)가 통과하도록 이동되어 위치한다.In addition, when the cassette 20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50 is transferred upward, the actuator 156 of the support part 150 is operated so that each support panel 154 does not support the cassette 20. The cassette 20 is mov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arts 150.

따라서 추가로 투입되는 카세트(20)가 승강되면서 투입부(140)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부(150)를 통과하면서 지지부(150)에 의해 다시 지지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ile the cassette 20 to be additionally added is lifted and passed through the support part 150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put part 140, it becomes a state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50 agai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100)의 승강구동부(120)와 승강부(130)는 상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투입부(140)로 투입된 카세트(20)를 투입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150)로 이송시키고, 지지부(150)로 이송된 카세트(20)를 배출부로 이송시킨다. Accordingly, the elevating driver 120 and the elevating unit 130 of the interlayer lif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ly insert the cassette 20 inserted into the inlet unit 140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ransfer to the support 150 is located in the, and the cassette 20 transferred to the support 150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unit.

여기서, 지지부(150)의 개수는 층간의 높이, 이송되는 물체의 높이 등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각 지지부(150)들은 동일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 하나의 지지부(150) 동작만을 설명한다. Here, the number of the support 15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height between the layers,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However, each support 150 will be described only the operation of one support 150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이에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되던 카세트(20)가 배출부(160)의 상측에 위치하면 배출부(160)의 배출작동체(165)가 작동되어 배출패널(164)을 카세트(20)의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배출패널(164)의 상부에 마련된 롤러유닛(161)이 카세트(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에 승강구동부(120)가 다시 정회전되어 승강부(13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고 회동링크(134)에 의해 지지되던 카세트(20)는 배출부(160)에 의해 지지된다. When the cassette 20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50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unit 160, the discharge actuator 165 of the discharge unit 160 is operated to move the discharge panel 164 of the cassette 20. Move downward The roller unit 16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anel 164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20. Accordingly, the lift driving unit 120 is rotated forward again, and the lifting unit 130 is moved downward and the cassette 20 supported by the rotation link 134 is supported by the discharge unit 160.

이러한 과정 중에서 승강부(130)의 각 회동링크(134)들은 투입부(140)로 투입되는 카세트(20)와,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되는 카세트(20)들을 비연속 간혈적으로 승강시키게 된다.In this process, each of the pivoting links 134 of the elevating unit 130 allows the cassette 20 to be inserted into the input unit 140 and the cassette 20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50 to be lifted discontinuously. do.

한편, 배출부(160)에 의해 지지되는 카세트(20)는 배출부(160)의 롤러유닛(161)에 의해 배출부(160)의 외측으로 이송되며, 카세트(20)의 이송이 완료되면, 배출부(160)의 배출패널(164)은 카세트(20)를 지지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추후 승강되는 카세트(20)를 기다린다. On the other hand, the cassette 20 supported by the discharge unit 160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unit 160 by the roller unit 161 of the discharge unit 160, when the transfer of the cassette 20 is completed, The discharge panel 164 of the discharge unit 160 is moved in a direction not supporting the cassette 20, and waits for the cassette 20 to be elevated later.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공급되는 카세트(20)를 투입부(140), 지지부(150) 및 배출부(160)로 이송시켜 간혈적으로 층간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terlayer lif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ly transfers the cassette 20 suppli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o the input unit 140, the support unit 150, and the discharge unit 160. Interlayer transfer can be performed.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카세트(20)가 에러, 시간차 등에 이유에 의해 투입부(140)로 투입되지 않더라도 나머지 카세트(20)들의 승강동작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cassette 20 supplied by the supply conveyor is not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40 due to an error, time difference, or the lik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maining cassettes 2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stopping.

또한, 카세트(20)의 투입동작, 카세트(20)의 승강동작 및 카세트(20)의 배출동작이 승강부(130)에 의해 카세트(20)가 승강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 카세트(20)의 층간 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sette 2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assette 20 and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cassette 20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lifting the cassette 20 by the lifting unit 130, the cassette 20 It can shorten the transfer time between layer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invention.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리프트에 따르면, 투입부로의 카세트 투입과, 승강부에 의한 카세트의 이송과, 배출부에 의한 카세트의 배출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비연속 간혈식으로 카세트를 층간 이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ter-laye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cassette into the input unit, the transfer of the cassette by the lifting unit, and the discharge of the cassette by the discharge uni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cassette in a continuous blood flow type Can be moved between layers.

따라서 공급되는 카세트의 에러, 시간차 등에 이유에 의해 카세트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승강동작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승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supply of the cassette is stopped due to an error, a time difference, or the like of the cassette to be supplied,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stopping the lifting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lifting efficiency.

또한, 카세트의 투입동작, 카세트의 승강동작 및 카세트의 배출동작이 승강부에 의해 카세트가 승강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 카세트의 층간 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ssette feeding operation, the cassette lifting operation and the cassette discharge opera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the lifting unit, thereby reducing the interlayer transfer time of the cassette.

Claims (8)

층간 연장되는 프레임;An interlayer extending frame;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고, 이송체가 투입되는 투입부;An input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ame and into which a conveying body is inserted;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고, 이송된 상기 이송체가 배출되는 배출부;A discharge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and discharging the conveyed body;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가 임시 적재되는 지지부;A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input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temporarily transporting the conveying member;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 상기 배출부 사이를 왕복 이송하며 각각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체를 그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승강장치부;를 구비하며,And an elevating device unit for reciprocating between the input unit, the suppor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transferring the conveying bodies located thereon, respectively. 상기 투입부에 의한 상기 이송체 투입과, 상기 승강장치부에 의한 상기 이송체의 이송 및 상기 배출부에 의한 상기 이송체 배출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The interlayer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ing of the conveying body by the feeding unit, the conveying of the conveying body by the lifting device unit and the discharging of the conveying body by the discharge uni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이송되는 이송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이송체를 상기 승강장치부에 의해 이송되기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의 선단에 마련되어 이송체의 진입을 제하는 진입제한장치; 이송롤러의 후단에 마련되어 이송체를 정지시키는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리프트.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Pick-up roller for picking up the conveying body;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the conveying body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to a position for conveying by the elevating device unit; An entry limiting device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nveying roller to restrict the entry of the conveying body; And a buff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eed roller to stop the feed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선단과 후단에는 이송되는 이송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한쌍의 투입감지센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3. The interlayer lift of claim 2, wherein a pair of input detection sensors are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eed roll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승강장치부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체를 지지하는 배출유닛;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the discharge unit for supporting the conveying body conveyed by the lifting device unit; An interlayer lif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veying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conveying body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한쌍의 브래킷; 상기 각 브래킷의 상부에 상기 이송체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을 이동시키는 작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comprises: a pair of brackets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rame; A support panel slide-moved in a direction of supporting the conveying member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brackets;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support pa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부는,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 상기 배출부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의 이송체를 지지하는 승강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를 수직 왕복 이송시키는 승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unit comprises: an elevating unit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onveying bodies positioned in the input unit, the suppor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an elevating driv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to vertically reciprocate the elevating pa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감속기;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승강부로 전달하는 타이밍밸트 및 타이밍밸트풀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According to claim 6, The lifting drive unit, Lifting motor for generating power; A reducer for converting rotational force of the lifting motor; An interlayer lift further comprising a timing belt and a timing belt pulley for transmitting the reduced rotational force to the lifting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몸체;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에 연동되어 회동되며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이송체를 지지하는 회동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리프트.According to claim 6, The lif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rive, the lifting body coupled to the slide movable of the frame; An actuato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body to generate power; A rotary cam for converting a rotary motion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actuator; And an rotation link pivotally linked to the rotary cam and supporting the feeder supported by the input part and the support part.
KR1020060015287A 2006-02-16 2006-02-16 lifter KR100769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87A KR100769692B1 (en) 2006-02-16 2006-02-16 l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87A KR100769692B1 (en) 2006-02-16 2006-02-16 li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433A true KR20070082433A (en) 2007-08-21
KR100769692B1 KR100769692B1 (en) 2007-10-24

Family

ID=3861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87A KR100769692B1 (en) 2006-02-16 2006-02-16 lif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6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086B1 (en) * 2018-05-15 2020-07-09 조민서 An Intelligent Vehicle Transfer Robot that carries and carries out parking and departure
KR102221463B1 (en) * 2018-06-27 2021-03-02 조민서 An Intelligent Vehicle Transfer Robot that carries and carries out parking and departure
KR102170663B1 (en) 2020-04-09 2020-10-27 (주)썬패치테크노 Floor lif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0726A (en) 1990-10-15 1991-09-24 Flagg Rodger H Vertical lift conveyor
JP2524927B2 (en) * 1991-12-03 1996-08-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nveyor retention prevention device
JPH05270650A (en) * 1992-03-25 1993-10-19 Hirata Kiko Kk Vertical conveyor lift device
KR20010097531A (en) * 2000-04-24 2001-11-08 한재준 The custody construction for goods in circulation to length and breadth
KR20050027977A (en) * 2004-12-21 2005-03-21 이동헌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692B1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620B1 (en) System for carrying flat panel display and the c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JP4502127B2 (en) Cassette storage and processing plate processing equipment
JP4690414B2 (en) Work loading / unloading system and transfer device
WO2019029078A1 (en) Inspection apparatus for display panel and testing method for display panel
US785757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06411B2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CN1847117B (en) Laminated board substrate transfer arrangement
KR100769692B1 (en) lifter
KR2009007957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10103110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mini display panels
KR100959678B1 (en)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machine
WO2006137407A1 (en) Work receiving device and work receiving method
KR101824571B1 (en) Apparatus for substrate transfer
KR100965512B1 (en)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machine
KR20110062538A (en) Apparatus for transfer inter-layer used in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27596B1 (en) Substrate conveyor
KR101000494B1 (en) Transferring apparatus
CN111747116A (en) Panel conveying device and panel conveying system
CN101882565B (en) Online processing equipment
KR101099531B1 (en) Module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having the same
CN111747117A (en) Panel carrying system
CN214477369U (en) Wafer loader and photoetching machine
KR101447999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CN114574815B (en) Film forming apparatus
KR201100375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