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040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040A
KR20070082040A KR1020070015054A KR20070015054A KR20070082040A KR 20070082040 A KR20070082040 A KR 20070082040A KR 1020070015054 A KR1020070015054 A KR 1020070015054A KR 20070015054 A KR20070015054 A KR 20070015054A KR 20070082040 A KR20070082040 A KR 2007008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i
packet
memory
pi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476B1 (ko
Inventor
이재홍
황석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8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0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 G10K9/04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by compressed gases, e.g. compressed a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3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B-H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프로그램 특정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PSI/SI)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망을 통해 수신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Service Information : PSI/SI)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를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PSI/SI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는 과정을 포함한다.
DVB-H, 디지털 방송, PSI/SI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ERVICE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DVB-H 수신기에서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PID 검출기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기 DVB-H 수신기에서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PID 검출기의 내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는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는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DVB-H 수신기에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DVB-H 수신기에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B-H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프로그램 특정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서비스는 단말을 가진 모든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는 음성만을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과 같은 오디오 방송 서비스와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비전과 같은 비디오 위주의 방송 서비스 및 음성, 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포괄하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들은 아날로그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디지털 방송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는 기존의 송신탑을 바탕으로 제공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유선으로 고화질 및 고속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및 유선과 인공 위성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하나로 상용 서비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방식 중 하나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의 서비스이다. 이러한 DMB 방식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을 모체로 하여, 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DAB의 기술 표준인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gect-147)에 근간을 두고 있다.
반면, DAB 기술의 근원지인 유럽에서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DVB-H'라는 이름으로 휴대 방송을 위한 별도의 기술 규격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DVB-H(Handheld)는 유럽의 디지털 TV 방송 방식의 표준화 조직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가 위성 디지털 TV(DVB-S), 디지털 케이블 TV(DVB-C), 지상파 디지털 TV(DVB-T)에 이어 새롭게 개발중인 방송 규격이다.
DVB 그룹은 3세대 이동 통신(UMTS 또는 IMT-2000), 지상파 디지털 TV,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으로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영화와 방송 드라마 등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현할 수가 없다고 판단해 당초 'DVB-X(eXtention)'라는 이름으로 추진했다가 보다 분명하게 '휴대 방송'의 개념을 나타내는 'DVB-H'라는 명칭으로 바꾸었다.
DVB-H는 유럽형 디지털 TV 전송 규격인 DVB-T에서 이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규격으로 이동 단말이나 휴대용 영상 기기 등의 저 전력, 그리고 이동성,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DVB-T에서 확장된 규격이다. 따라서, DVB-H의 대부분 물리 계층 규격은 DVB-T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며, 휴대/이동 수신을 위한 몇 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였다.
DVB-H 시스템은 레이어 3(Layer 3) 아이 피(IP : Internet Protocol) 패킷들에 대하여 추가적인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지원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오류 정정 부호화 과정을 멀티 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에러 정정(Multi Protocol Encapsulation - Forward Error Correction : MPE-FEC)이라고 한다.
DVB-H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는 IP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 만들어지고, IP 데이터그램을 리드-솔로몬(Reed-Solomon) 부호화하여 MPE-FEC 프레임이 형성된다. 따라서, MPE-FEC 프레임은 IP 데이터그램이 실리는 MPE 섹션과, R-S 부호화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Parity Data)가 실리는 MPE-FEC 섹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MPE 섹션과 MPE-FEC 섹션은 DVB-H 시스템의 전송 단위인 TS(Transport Stream)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에 실려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MPEG-2(Motion Picture Experts Group) TS를 사용한다. MPEG-2 TS 시스템에서는 각 방송별 오디오 및 비디오의 데이터를 188바이트 크기의 TS 패킷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하고 해당하는 각 방송별 오디오 비디오에 대한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 값을 부여한다. 단말기에서는 TS 패킷을 입력받게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의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를 PID로 구분하여 필터링하여 디먹싱(Demuxing)한다. 여기서 단말기가 각 방송별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에 어떤 PID가 부여되었는지 알기 위해서 TS 패킷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중간마다 정보를 전송해 준다. 이렇게 각 방송별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PID 정보는 PMT(Program Map Table)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되어있으며, 단말기는 이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PMT 또한 TS 패킷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PID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 PID 정보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를 이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DMB를 비롯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단말기는 최초 PAT로부터 각 방 송별 PMT PID 정보를 습득하게 되고, 사용자가 방송을 선택하면 그 방송에 해당되는 PMT PID를 이용하여 PMT 정보를 습득하게 된다. PMT로부터 습득한 정보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에 해당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TS 패킷의 PID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PAT/PMT 등의 정보를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라 하고, MPEG-2 TS 시스템의 일부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PSI와는 별도로 각 방송 프로그램별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를 SI(Service Information)라 한다. SI 정보로 가장 대표적인 내용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이며, 이 정보를 전송하는 패킷은 EIT(Event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TOT(Time Offset Table) 등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PSI와 SI를 모두 방송 서비스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DMB를 비롯한 기존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PSI 정보 및 SI 정보를 TS 패킷으로 전송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PSI 및 SI는 각각의 PID를 가지게 되어있으며, 단말기는 이 PID를 이용하여 수신된 TS 패킷으로부터 PSI 및 SI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PSI 및 SI 패킷 데이터로 전송되는 정보로 가장 대표적인 내용은 EPG이다. 즉, 채널 정보 관련된 사항이 PSI 및 SI 정보로 전송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수신하는 단말기에서는 PSI 및 SI 정보를 수신하여 EPG 정보를 습득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DVB-H 시스템은 EPG 정보를 IP 데이터그램 방식으로 들어오는 방식 을 채택하려 하고 있기 때문에, PSI 및 SI 정보 중 EIT, SDT, TOT 등의 정보를 수신할 필요는 없게 된다. 기존의 방식은 모든 PSI 및 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PSI 및 SI 패킷 데이터를 수신기가 수신하면 HOST로 보내기 위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수신할 필요가 없는 PSI 및 SI 패킷 데이터까지 수신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즉, 기존의 방식은 TS 스트림이 수신되면 PSI/SI PID에 대한 필터링 없이 하드웨어 로직에서 일정한 개수(4개)마다 인터럽트를 발생시켜서 HOST로 전송하면, HOST는 대용량의 시스템 메모리에 프레임 단위로 다수(수백~수천)의 패킷을 저장하여 HOST가 한꺼번에 PSI/SI PID를 선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재전송하는 구조이다. 이럴 경우 하드웨어 로직 메모리는 작을 수 있으나, 결국 HOST의 시스템 메모리가 증가 되고 HOST로의 불필요한 PSI/SI 패킷들도 함께 전송되므로 잦은 인터럽트 및 필터링을 위한 부하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호스트와의 PSI/SI 정보 전송 과정의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DVB-H 수신기의 PSI/SI정보의 HOST로 전달과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패킷 데이 터들을 필요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방송 서비스 정보를 제어부가 읽어갈 수 있게 상기 메모리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들을 필요에 따라 선별하고, 선별된 PSI/SI 패킷 데이터들에 대해 효율적인 메모리 제어와 인터럽트 처리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불필요한 정보들을 주고 받음으로써 수행되는 부가적인 동작을 감소시키고 최적화된 정보 전송 방식을 통해서 호스트의 부하를 줄이고, 수신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여 수신기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PSI/SI)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망을 통해 수신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Service Information : PSI/SI)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를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PSI/SI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PSI/SI)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패킷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킷 식별자(PID) 값과 일치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Service Information : PSI/SI)를 검출하는 패킷 식별자(PID) 필터링부와,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를 계수하는 패킷 계수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TS) 패킷에 대해 패킷 식별자(PID)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패킷 식별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패킷 계수부가 계수한 PSI/SI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어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은 안테나(101)를 통해 RF 복조기(103)로 수신되고, RF 복조기(103)를 통해 주파수 하향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TS 패킷의 OFDM 심볼들은 FFT(Fast Fourier Transform)(105)를 통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심볼 디매핑기(Symbol Demapper)(107)는 수신 신호를 QPSK, 16 QAM 혹은 64 QAM 등 정해진 변조 방식에 대응되게 심볼 디매핑하고, 심볼 디인터리버(Symbol Deinterleaver)(109)와 비트 디인터리버(Bit Deinterleaver)(111)는 심볼 단위의 디인터리빙과 비트 단위의 디인터리빙을 각각 수행하여 원래 신호로 복원한다.
PID 검출기(Packet Identifier Detector)(113)는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 필터링을 수행하며, 필터링을 수행한 결과 TS 패킷의 헤더 정보로부터 추출한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가 MPE 또는 MPE-FEC 섹션을 전송하는 패킷임을 지시한다면, MPE 섹션이나 MPE-FEC 섹션이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렇지 않고 TS 패킷의 헤더 정보로부터 PID가 프로그램 특정 정보와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이하, "방송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값이면, TS 패킷으로부터 PSI/SI가 수신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PID 검출기(113)의 자세한 동작은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섹션 검출기(Section Detector)(115)는 상기 PID검출기(113)로부터 필터링된 IP 데이터그램 형태로 전송될 MPE 패킷들에 대해서 Table ID(섹션마다 Table ID가 있으며, 일 예로 Application Data Table의 경우 테이블 ID는 "0x3e", R-S Data Table의 경우 테이블 ID는 "0x78"이다.)가 검출될 때마다 CRC 체크를 수행하고, CRC 체크 결과가 성공하였으면 성공한 섹션들을 MPE-FEC 복호화기(121)로 전송한다. 또한, CRC결과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섹션 헤더 추출기(117)로 알린다.
섹션 헤더 추출기(117)는 상기 섹션 검출기(115)로부터 수신된 섹션들에 대 해 CRC 체크를 수행하고, CRC 체크가 성공한 섹션들에 대해서 그 헤더들로부터 타임 슬라이싱과 MPE-FEC 적용 여부 등 방송 수신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섹션 헤더 추출기(117)는 각각의 MPE 섹션과 MPE-FEC 섹션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델타-t 정보를 추출하여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119)로 전송한다.
그리고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119)는 미리 정해진 버스트 구간마다 MPE-FEC 프레임이 포함된 TS 패킷 또는 MPE 프레임만이 포함된 TS 패킷을 수신하도록 수신기 블록들(100)을 스위칭한다. 즉,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119)는 버스트 구간 동안에만 수신기 블록들(100)을 동작시키며, 오프 타임 구간에는 수신기 블록들(100)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트 구간은 각 MPE 섹션과 MPE-FEC 섹션의 헤더에 포함되어 다음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간을 지시하는 델타(Delta) t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델타-t 정보는 섹션 헤더 추출기(117)로부터 얻어진다.
그리고, 도 1에서 MPE-FEC 복호화기(Decoder)(121)는 수신된 MPE-FEC 프레임에 대해 각 로우(Row)별로 R-S 디코딩을 수행하여 오류가 정정되면, R-S 디코딩 결과로 복원된 IP 데이터그램을 상위 계층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MPE-FEC 복호화기(121)는 수신된 TS 패킷으로부터 MPE-FEC 프레임을 구성하는 MPE 섹션의 IP 데이터그램과 MPE-FEC 섹션의 패리티 데이터를 구분하여 각각 내부 버퍼의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Application data table region)과 R-S 데이터 테이블 영역(R-S data table region)에 저장하고, R-S 복호를 수행하여 원래 방송 데이터를 복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DVB-H 수신기(100)에서 송신단으 로부터 전송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PID 검출기(113)의 내부 블록도이다.
먼저, PID 필터링부(200)는 비트 디인터리버(111)로부터 비트 디인터리빙되어 출력된 TS 패킷 헤더에 대해 PID 필터링을 수행하여 제어부(204)가 설정한 디지털 방송 수신에 필요한 PID 값과 상기 필터링되어 추출된 PID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한다면, 쓰기(Write)동작이 가능한 메모리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208)를 통해 메모리(212, 214)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12, 214)에 상기 PSI/SI 패킷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패킷 계수부(206)는 상기 PID 필터링부(200)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212, 214)에 저장하면, 패킷 계수 값을 미리 정해진 크기(예로 "1")만큼 계수한다.
그리고, PID 필터링부(200)는 상기 PID 필터링과정을 통해 필터링된 IP 데이터그램들을 섹션 검출기(115)로 전송한다.
패킷 계수부(206)는 상기 PID 필터링부(200)의 제어에 의해 패킷 계수 값을 정해진 크기만큼 증가시킨다.
메모리 제어부(208)는 PID 필터링부(200) 및 제어부(204)로 메모리1(212) 또는 메모리2(214)별로 쓰기 가능(write enable)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PID 필터링부(200)는 상기 쓰기 가능 신호를 참조하여 현재 시점에 쓰기 가능한 메모리에 상기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4)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208)가 발생한 쓰기 가능 신호를 참조하여 현재 시점에 쓰기 가능한 시점의 메모리를 제외한 다른 메모리에 저장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Read)간다. 그러므로, 메모리 제어부(208)는 상기 PID 필터링부(200)와 제어부(204)의 읽기/쓰기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메모리 제어부(208)는 메모리1(212) 및 메모리2(214)별로 쓰기에서 읽기 혹은 읽기에서 쓰기로 동작이 전환되는 시점은 일정한 주기를 갖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주기의 설정은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가는 제어부(204)의 인터럽트 처리 성능 여하에 따라 적정한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PID 검출기(113)는 하나의 메모리에서 제어부(204)가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고 있는 중이라도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새로운 패킷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만약 필터링할 PSI/SI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면 현재 읽고 있는 메모리가 아닌 다른 메모리에 상기 PSI/SI 패킷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208)의 제어에 의해 저장한다. 인터럽트 발생부(210)는 메모리(212, 214)의 동작 전환 주기가 되면, 패킷 계수부(206)가 계수한 패킷 계수값을 확인하여 '0'보다 클 경우, 즉 하나 이상의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가 메모리(212, 214)에 존재한다면, 제어부(204)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04)로 하여금 읽기 동작이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한다. 또한, 인터럽트 발생부(210)는 제어부(204)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한 후에는 상기 패킷 계수부(206)를 초기화시킨다.
제어부 인터페이스(202)는 상기 제어부(204)와 상기 PID 검출기(113)를 구성하는 각 블록 및 메모리1(212), 메모리2(214)와의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메모리(212, 214)는 메모리1(212) 및 메모리2(214)로 구성되며, 메모리 제어부(208)에 의해 하나의 메모리에 쓰기 동작이 진행중일 경우 다른 메모리에서는 읽기 동작이 가능하게 제어된다. 예컨대, PID 필터링부(200)가 메모리1(212)에 쓰기 동작을 수행중이면, 제어부(204)는 메모리2(214)에 읽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제어부(204)로 전송하기 전에 PSI/SI 패킷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두 개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제어부(204)는 중앙 처리 장치(CPU)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될 수 있으며, 인터럽트 발생부(21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읽기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온다. 또한, PID 필터링부(200)로 필터링할 패킷 PID 값을 전송한다.
참조번호 230은 PID 필터링부(200)가 메모리1(212) 및 메모리2(214)에 필터링된 PSI/SI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경로(Path)를, 참조번호 240은 제어부(204)가 메모리1(212) 및 메모리2(214)에 저장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기 위한 경로를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4), 인터럽트 발생부(210), 메모리(212, 214)의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4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기 DVB-H 수신기(100)에서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PID 검출기(113)의 내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PID 검출기(113)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PID 검출기(113)에 비해 타이머 계수부(300)가 추가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를 별개의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두 가지 실시 예를 모두 지원할 경우에는 각 실시 예에 따라 타이머 계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에서 도 2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도 3에서는 도 2에 비해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과 새로 추가된 타이머 계수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02)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우선 PID 필터링부(200)가 PSI/SI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기 이전에 우선 필터링할 패킷 PID 값을 알 수 있도록 PID 필터링부(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PID 값이란, 패킷의 ID를 의미하며, TS 패킷의 용도 구분을 위해 송신단에서 각 TS 패킷마다 패킷 헤더에 제공하는 13비트짜리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최대 패킷 계수 값과 최대 타이머 계수 값을 각각 패킷 계수부(206)와 타이머 계수부(300)로 각각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02)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최대 패킷 계수 값과 최대 타이머 동작 값을 설정하는 동작이 추가된다.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상기 패킷 계수부(308)가 최대 패킷 계수 값까지 패킷의 개수를 계수한 경우 또는 타이머 계수부(300)가 최대 타이머 계수 값까지 계수한 경우 제어부(302)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읽기 가능한 메모리(212, 214)로부터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갈 타이밍을 제공한다. 또한, 인터럽트 발생 부(304)는 상기 타이머 계수부(300)가 상기 최대 타이머 계수 값만큼 계수하거나, 패킷 계수부(308)가 최대 패킷 계수 값만큼 계수한다면, 상기 타이머 계수부(300)를 초기화시킨 후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302)로 발생시킨다. 또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타이머 계수부(300)가 상기 최대 타이머 계수 값만큼 계수한 후에 패킷 계수부(308)가 계수한 패킷 개수가 '0'보다 크다면, 패킷 계수부(308)를 초기화시킨 후 제어부(302)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PID 필터링부(306)는 TS 패킷이 입력될 때마다 제어부(302)가 원하는 PID 값과 TS패킷 헤더를 통해서 추출한 PID 값을 비교한 후 일치하지 않으면, 다음 TS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 기다린다. 만약, 일치하는 경우에는 현재 쓰기 동작이 가능한 메모리를 확인하여 수신된 TS 패킷의 PSI/SI 패킷 데이터를 쓰기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패킷을 저장함과 동시에 패킷 계수부(308)를 제어하여 패킷 계수 값을 '1'씩 증가시킨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 3을 살펴보면 메모리별로 쓰기에서 읽기로 혹은 읽기에서 쓰기로 동작이 전환되는 시점이 도 2와는 달리 두 가지 사항에 의해서 결정되어짐을 알 수 있다. 하나는 패킷 계수부(308)가 계수한 최대 패킷 계수 값이고, 다른 하나는 타이머 계수부(300)가 계수한 최대 타이머 계수 값이다. 즉, 패킷 계수부(308)가 PID 필터링부(306)에 의해 필터링된 패킷의 개수를 계수하여 그 수가 제어부(302)가 설정한 임의의 값인 최대 패킷 개수에 이른 경우이거나, 어느 하나의 메모리에 쓰기 동작이 완료된 이후 필터링될 최초 PSI/SI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제어부(302)가 지정해 놓은 최대 타이머 계수 값에 도달할 때까지 필터링할 PSI/SI패킷이 하나도 수신되지 않더라도 최대 타이머 계수 값까지 타이머 계수부(306)가 계수할 경우에는 메모리 제어부(310)가 메모리의 읽기/쓰기 동작을 전환한다.
타이머 계수부(300)와 패킷 계수부(308)는 모두 PID 필터링부(306)의 제어에 의해 계수를 시작하고, 인터럽트 발생부(304)에 의해 초기화된다.
메모리 제어부(310)는 PID 필터링부(306) 및 제어부(302)와 메모리1(212), 메모리2(214)의 데이터 경로를 제공해주며, 메모리1(212) 및 메모리2(214)의 동작 주기를 변경시키는 기록 가능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인터럽트 발생부(304)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킬 때마다 메모리 동작 구간을 전환 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04)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는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일정한 주기를 갖고 두 개의 메모리(212, 214)에 번갈아 가면서 쓰기와 읽기 동작을 반복할 수 있으며 수신된 PSI/SI 패킷을 제어부(204)로 전송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미리 정해진 주기 내에 수신된 PSI/SI 정보가 없다면 제어부(204)로 전송하지 않는다.
도 4의 참조번호 400은 시간에 따라 PID 필터링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PID 패킷이 메모리(212, 214)에 저장되는 타이밍을 보여준다. 참조번호 402는 메모리(212, 214)의 동작이 전환되는 시점에 패킷 계수부(206)가 계수한 패킷 개수가 '0'보다 큰 경우에 인터럽트 발생부(210)가 제어부(204)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 는 타이밍을 보여준다. 참조번호 440과 참조번호 450은 각각 제어부(204)의 읽기 또는 PID 필터링부(200)의 쓰기 동작에 따라 메모리1(212)의 상태 변화를 보인다.
참조번호 404는 메모리 제어부(208)가 메모리1(212)에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Write enable)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406은 메모리2(214)에 기록할 수 있는 기록 가능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412, 416, 420, 424 구간은 메모리1(212)에 PID 필터링부(200)가 쓰기(Write) 가능한 시간이며, 참조번호 414, 418, 422구간은 제어부(204)가 메모리2(214)에 쓰기(Write) 가능한 시간이다.
먼저, 참조번호 412구간을 살펴보면, 메모리1(212)에는 PID 필터링부(200)가 필터링한 PID 값과 제어부(204)가 미리 설정한 PID 값이 일치하는 PSI/SI 패킷 데이터들인 A,B,C와 나머지 패킷 데이터인 D의 1/2만큼 썼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412구간이 종료되는 시점 즉, 메모리의 동작이 변화는 시점에서는 참조번호 480과 같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했기 때문에, 414구간에서 제어부(204)는 메모리1(212)에 저장된 A,B,C 1/2만큼의 D정보를 읽어간다. 그리고, 414구간에서 PID 필터링부(200)가 메모리2(214)에 상기 412구간에서 미쳐 쓰지못한 나머지 1/2만큼의 D정보와 A,F 정보를 기록한다. 414구간이 종료되고 416구간 즉, 다시 메모리1(212)이 쓰기 가능한 시점으로 메모리2(214)가 읽기 가능한 시점으로 동작이 변화하는 시점에서는 참조번호 482와 같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204)가 416구간에서 상기 메모리2(214)에 기록된 PSI/SI 패킷 데이터들을 읽어간다.
참조번호 460과 같이 채색된 부분은 PID 필터링부(200)가 해당 구간에서 PSI/SI 패킷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480시점에서 그리고, 416구간은 다시 메모리1(212)이 쓰기 가능하고, 메모리2(214)가 읽기 가능한 시점이므로, PID 필터링부(200)는 메모리 1(212)에 PSI/SI 패킷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어부(204)는 메모리2(214)로부터 상기 414구간에 기록되었던 D, A, F 데이터를 읽어간다.
418구간이 종료되고, 420구간이 시작되는 지점(486)은 418구간에서 PSI 필터링부(200)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메모리2(214)에 기록하지 않아 패킷 계수부(206)의 패킷 계수 값이 '0'으로 설정된 구간이며,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420구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204)는 메모리2(214)로부터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오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은 참조번호 422, 424구간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04)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는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참조번호 501은 시간에 따라 PID 필터링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PID 패킷이 메모리(212, 214)에 저장되는 타이밍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패킷 계수부가 계수한 패킷 값이 최대 패킷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타이머 계수부가 최대 타이머 계수 값까지 계수하여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메모리(212, 214)의 동작 전환 시점은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 시점에서 변환된다. 도 5에서는 상기 최대 패킷 계수 값을 '3'으로 설정하였다.
참조번호 500은 타이머 계수부(300)가 미리 정해진 최대 타이머 계수 값까지 계수하는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을 보여준다. 참조번호 500a는 원래 타이머 계수부(300)가 정해진 최대 타이머 값만큼 계수하는 동안의 시간이며, 참조번호 500b는 참조번호 560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여 타이머 계수부(300)가 초기화된 후 다시 계수를 시작하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번호 500c는 참조번호 562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여 타이머 계수부(300)가 초기화된 후 다시 계수를 시작하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번호가 508인 구간은 PID 필터링부(306)가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PSI/SI 정보)들인 A,B,C 데이터를 메모리 1(212)에 기록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PID 필터링부(306)가 메모리1(212)에 3개의 데이터를 기록하였으므로, 패킷 계수부(308)는 상기 최대 패킷 계수 값을 계수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부(304)가 참조번호 560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메모리 제어부(310)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 지점(560)에서 메모리(212, 214)의 동작을 전환시키며, 510구간에서 메모리1(212)은 읽기 가능 구간으로 메모리2(214)는 쓰기 가능 구간으로 설정한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 560지점에서는 타이머 계수부(300) 및 패킷 계수부(308)가 모두 '0'으로 초기화된다.
참조번호 510구간은 메모리2(214)가 기록 가능 구간이므로 PID 필터링 부(306)가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인 D, A, F를 메모리2(214)에 기록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560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했으므로, 제어부(302)는 상기 메모리1(212)에서 A,B,C 데이터를 읽어간다. 이때, 상기 510구간에서도 PID 필터링부(306)가 3개의 PSI/SI 패킷 데이터를 기록하였으므로, 패킷 계수부(308)는 최대 패킷 계수 값인 '3'만큼을 계수한 것이 되며,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참조번호 562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메모리 제어부(310)는 참조번호 562지점에서 메모리 동작을 전환 시킨다. 또한, 참조번호 562지점에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패킷 계수부(308)와 타이머 계수부(300)를 초기화시킨다.
참조번호 512구간은 메모리1(212)이 기록 가능한 구간이며, 메모리2(214)가 읽기 가능한 구간이다. 따라서, 제어부(302)는 참조번호 562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했으므로, 메모리2(214)로부터 D, A, F 데이터를 읽어온다. 그리고, PID 필터링부(306)는 PSI/SI 패킷 데이터 G, D, I를 메모리 1(212)에 기록한다. 따라서, 패킷 계수부(308)는 최대 패킷 계수 값까지 계수한 상태가 되며, 참조번호 564 지점에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참조번호 514구간은 메모리1(212)이 읽기 가능한 구간이며, 메모리2(214)가 쓰기 가능한 구간이다. 따라서 제어부(302)는 참조번호 564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했으므로, 514구간에서 메모리1(212)로부터 G, D, I 데이터를 읽어간다.
상기 참조번호 514구간의 시작지점에서 참조번호 514a 지점까지는 타이머 계수부(300)가 동작하지 않는 구간이다. 그러니까,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 이유는 PID 필터링부(306)가 PSI/SI 패킷 데이터를 메모리2(214)에 기록하지 않아서, 제어부(302)가 읽어갈 데이터가 메모리1(212)에 없기 때문이다.
참조번호 514b는 PID 필터링부(306)가 PSI/SI 패킷 데이터 B, J, K를 메모리 2(214)에 기록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패킷 계수부(308)는 최대 패킷 계수 값을 계수하였기 때문에 참조번호 566지점에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566지점에서 메모리의 동작이 전환된다.
참조번호 516구간은 메모리1(212)이 쓰기 가능한 구간이고, 메모리2(214)는 읽기 가능한 구간이다. 상기 566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했기 때문에 제어부(302)는 메모리2(214)에 저장되어 있던 B, J, K 데이터를 읽어간다. 그리고, PID 필터링부(306)는 새로운 PSI/SI 패킷 데이터인 G, L, A를 메모리1(212)에 기록한다. 따라서, 패킷 계수부(308)는 최대 패킷 계수 값을 계수한 것이 되며,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참조번호 568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메모리 제어부(310)는 메모리의 동작을 전환 시킨다.
참조번호 518구간은 메모리1(212)가 읽기 가능한 구간이고, 메모리2(214)가 쓰기 가능한 구간이다. 상기 568지점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했으므로 제어부(302)는 메모리1(212)로부터 G, L, A 데이터를 읽어간다. 그리고, PID 필터링부(300)는 새로운 PSI/SI 패킷 데이터인 C, G를 메모리2(214)에 기록한다. 이때 패킷 계수부(308)가 계수한 패킷 계수 값은 "2"가 된다. 따라서 패킷 계수부(308)는 최대 패킷 계수 값인 "3"까지 계수하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나, 참조번호 570지점은 타이머 계수부(300)가 최대 타이머 계수 값까지 계수한 지점이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상기 570지점에서 패킷 계수부(308)의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크고, 타이머 계수부(300)가 최대 타이머 계수 값까지 계수한 상태이므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서 최대 패킷 계수 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제어부(302)가 수신되는 PSI/SI 패킷 데이터를 개개의 패킷 단위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매 패킷마다 수신하여야 하고,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매 패킷마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는 등의 부하(Load)를 덜어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최대 패킷 계수 값을 '1'로 할 경우 하나의 PSI/SI 패킷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될 때마다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제어부(302)로 인터럽트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타이머 계수부(300)를 사용하는 이유는 최대 패킷 계수 값 보다 작은 수의 패킷이 수신된 경우에도 최대 패킷 개수에 도달하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흘러서 제어부(302)가 너무 지연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코자 함이다.
타이머 계수부(300)가 최대 타이머 계수 값을 계수하여 타이머가 종료된 경우이거나 또는 패킷 계수부(308)가 계수한 패킷 계수 값이 최대 패킷 계수 값과 같아질 때까지, PID 필터링부(306)는 필터링한 패킷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패킷 계수부(308)는 패킷 계수 값을 계속 증가시킨다.
메모리 동작 전환시간이 되면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타이머 계수부(300)를 초기화하고 현재까지 쓰기 상태의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계수 값을 확인하여 '0'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하나 이상의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패킷 계수부(308)를 초기화('0'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럽트 발생 부(210)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면, 메모리 제어부(310)가 각 메모리의 동작을 전환하고,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제어부(302)로 전송된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2)는 읽기 동작이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PSI/SI 패킷을 읽어간다. 이때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제어부(302)가 PSI/SI 패킷을 읽고 있는 중이라도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지 않는 한 새로운 PSI/SI 패킷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만약 필터링할 PSI/SI 패킷이 존재하면 현재 읽고 있는 메모리가 아닌 다른 메모리에 저장하는 식으로 메모리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일정 개수마다 제어부(302)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 예들 모두 제어부가 지정한 PSI/SI 패킷 데이터들만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하드웨어 로직으로 필터링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DVB-H 수신기에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600단계에서 제어부(204)는 PID 필터링부(200)에 PSI/SI 패킷 중 필터링할 PID 값을 설정하고, 패킷 계수값을 초기화한다. 일반적으로 TS 패킷에는 헤더 정보에 따라서 PSI/SI 정보를 담은 패킷이 실려올 수도 있고, MPE 혹은 MPE-FEC에 해당하는 데이터 정보가 실려올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204)는 상기 PID 필터링부(200)가 필터링할 PID 값을 설정한다.
602단계에서 PID 필터링부(200)는 상기 수신된 TS패킷들을 필터링 하여 패킷 PID 가 검출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패킷 PID 가 검출되었다는 의미는 TS 패킷의 헤더로부터 PID값이 PSI/SI 정보일 경우 해당하는 PID와 일치하는 경우 입력된 TS 패킷을 PSI/SI 정보를 담은 패킷으로 판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604단계에서 PID 필터링부(200)는 수신된 패킷 PID가 상기 제어부(204)가 설정한 PID와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604단계의 검사결과, PID 필터링부(200)는 상기 수신한 패킷의 PID값과 상기 설정한 PID 값이 일치한다면, 606단계로 진행하여 쓰기 가능한(Write enable) 메모리에 대해 상기 일치하는 TS패킷의 PSI/SI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608단계에서 패킷 계수부(206)로 하여금 패킷 계수 값을 "1"증가시키게 제어한다.
610단계에서 인터럽트 발생부(210)는 쓰기 동작중이던 메모리가 읽기 동작으로 전환되었는지 검사하고, 동작이 전환되었다면, 612단계에서 패킷 계수부(206)가 계수한 패킷 계수값이 "0"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메모리(212, 214)의 동작 전환을 검사하는 이유는, 제어부(204)가 메모리로부터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이며, 612단계에서 패킷 계수 값을 검사하는 이유는, 패킷 계수부(206)가 계수한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크다면, 제어부(204)가 읽어갈 PSI/SI 패킷 데이터가 메모리(212, 214)에 저장되어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기 612단계의 검사결과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크다면, 614단계에서 인터럽트 발생부(210)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며, 616단계에서 패킷 계수부(206)의 패킷 계수값을 초기화시킨다. 그리고, 618단계에서 제어부(204)는 읽기 동작이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는다.
반면, 상기 612단계에서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크지 않다면, 현재 수신되는 TS 패킷이 없다는 의미임으로, 62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204)는 현재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620단계의 검사결과, 아직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다시 상기 6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며,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60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204)가 다시 필터링할 PID 패킷 값과 패킷 계수 값을 초기화한 후 상기 과정들을 반복한다. 여기서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제어부(204)가 섹션 검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PID 필터링부(200)는 620단계에서 하나의 메모리에서 제어부(204)가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을 읽고 있는 중이라도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새로운 패킷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만약 필터링할 PSI/SI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면 현재 읽고 있는 메모리가 아닌 다른 메모리에 상기 PSI/SI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식으로 메모리 제어부(208)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DVB-H 수신기에서 PSI/SI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700단계에서 제어부(302)는 PSI/SI 패킷 중 필터링할 PID 값을 설정하고, 패킷 계수 값을 초기화한다. 702단계에서 PID 필터링부(306)는 패킷 PID를 검출하였다면, 즉, 수신된 TS 패킷으로부터 PSI/SI 정보를 갖고 있는 TS 패킷을 검출하였다면, 70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패킷의 PID가 상기 설정된 PID 값과 일치하는지 검사 한다. 상기 704단계의 검사 결과 일치한다면, 706단계로 진행하여 PID 필터링부(306)는 타이머 계수부(300)로 하여금 계수를 시작하게 지시한다. 708단계에서 PID 필터링부(306)는 쓰기 동작이 가능한 메모리에 대해 상기 PID 값이 일치한 PSI/SI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면, 710단계에서 패킷 계수부(308)는 패킷계수 값을 증가시킨다.
712단계에서 타이머 계수부(300)가 미리 정해진 시간을 계수하였거나, 패킷 계수부(306)가 계수한 패킷 개수가 미리 정해진 최대 패킷 계수 값이 일치한다면, 714단계에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상기 타이머 계수부(300)의 타이머 계수 값을 초기화시키며, 716단계에서 패킷 계수부(308)의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상기 716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크다면, 718단계에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메모리 제어부(310)로 하여금 메모리(212, 214)의 동작을 전환(읽기<->쓰기)하게 지시한다. 즉, 쓰기 동작 중인 메모리는 읽기 가능 상태로 전환 시키고, 읽기 동작중인 메모리는 쓰기 가능 상태로 전환 시킨다.
그리고, 720단계에서 인터럽트 발생부(304)는 제어부(302)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며, 722단계에서 패킷 계수값을 초기화시키고, 724단계에서 제어부(302)는 읽기 동작이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필터링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는다.
반면, 상기 716단계의 검사결과 패킷 계수 값이 "0"보다 크지 않다면, 726단계에서 제어부(302)는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하고,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7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들을 반복하고, 종료되었다면, 상기 700단계로 진행하여 PID 필터링부(306)에 PID값을 설정하고, 패킷 계수 값을 초기화한다.
또한, PID 필터링부(306)는 726단계에서 하나의 메모리에서 제어부(204)가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읽고 있는 중이라도 버스트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새로운 패킷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만약 필터링할 PSI/SI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면 즉,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TS 패킷 중에서 PSI/SI 정보를 담은 패킷이 존재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가 있으면, 현재 읽고 있는 메모리가 아닌 다른 메모리에 상기 PSI/SI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식으로 메모리 제어부(208)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방식을 요약하면, 제1 실시 예의 경우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두 개의 메모리에 번갈아 가면서 쓰기와 읽기 동작을 반복하여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방식이고, 제2 실시 예의 경우는 수신된 PSI/SI 패킷 데이터를 일정 개수마다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되 타이머를 두어서 일정시간 동안 더 이상 수신되는 PSI/SI 패킷 데이터가 없으면 적은 개수라도 제어부가 읽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두 실시 예 모두 제어부가 지정한 PSI/SI 패킷 데이터들만 읽어가도록 되어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VB-H 수신기가 제어부가 지정한 PSI/SI 패킷 데이터들만 선별이 가능하며, 선별된 패킷 데이터들을 제어부가 읽어갈 때에도 제어부의 처리 능력에 따라서 전송할 패킷의 개수나 전송 시간들을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제어부의 처리 능력에 최적화된 PSI/SI 패킷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하고, 불필요한 PSI/SI 패킷 데이터의 저장에 따른 메모리의 과다사용을 방지하며, 이에 따르는 DVB-H 수신기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PSI/SI)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망을 통해 수신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Service Information : PSI/SI)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를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PSI/SI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PSI/SI에 대한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을 교번(Alternative)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된 PSI/SI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어가게 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PSI/SI를 메모리에 쓰기 가능한지를 가리키는 신호와 메모리로부터 PSI/SI를 읽기 가능한지를 가리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SI/SI를 읽어갈 때, 상기 PSI/SI의 개수를 계수한 계수 값을 초기화 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 될 때,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를 계수한 계수 값을 초기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SI/SI가 검출될 때, 타이머 계수부를 계수시키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 계수부가 미리 정해진 최대 타이머 계수 값만큼 시간을 계수하였다면,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가 "0"보다 큰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PSI/SI의 개수가 "0"보다 크다면, 상기 PSI/SI를 읽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된 PSI/SI 개수가 "0"보다 크다면, 상기 PSI/SI를 읽어가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된 PSI/SI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 상기 PSI/SI를 읽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PSI/SI를 읽은 경우, 상기 계수한 PSI/SI의 개수를 계수한 계수 값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PSI/SI에 대한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을 교번(Alternative)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
  12.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PSI/SI)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패킷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킷 식별자(PID) 값과 일치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 Service Information : PSI/SI)를 검출하는 패킷 식별자(PID) 필터링부와,
    상기 검출된 PSI/SI의 개수를 계수하는 패킷 계수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TS) 패킷에 대해 패킷 식별자(PID)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 해 패킷 식별자 값을 설정하고, 상기 패킷 계수부가 계수한 PSI/SI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어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PSI/SI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PSI/SI의 읽기 동작과 쓰기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쓰기 동작이 가능한지와 읽기 동작이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PSI/SI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에 도달된 경우, 상기 PSI/SI를 읽어가게 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를 더 포 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여 읽기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PSI/SI를 읽어옴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식별자 필터링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가 발생한 쓰기 가능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터링된 PSI/SI를 쓰기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가 발생한 읽기 가능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읽기 가능한 메모리로부터 상기 패킷 식별자 필터링부가 저장한 PSI/SI를 읽음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할 때, 상기 패킷 계수부가 계수한 PSI/SI의 개수 를 계수한 계수 값을 초기화시킴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PSI/SI가 검출될 때 타이머의 계수를 시작하는 타이머 계수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 계수부가 미리 정해진 최대 타이머 계수 값만큼 시간을 계수하였다면, 상기 패킷 계수부가 계수한 PSI/SI의 개수가 "0"보다 큰 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0"보다 크다면, 상기 PSI/SI를 읽음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된 패킷의 개수가 "0"보다 크다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PSI/SI를 읽어가게 하기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수신 장치.
KR1020070015054A 2006-02-14 2007-02-1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381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4180 2006-02-14
KR1020060014180 200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040A true KR20070082040A (ko) 2007-08-20
KR101381476B1 KR101381476B1 (ko) 2014-04-10

Family

ID=3798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054A KR101381476B1 (ko) 2006-02-14 2007-02-13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51410B2 (ko)
EP (1) EP1819074A3 (ko)
JP (1) JP5024836B2 (ko)
KR (1) KR101381476B1 (ko)
CN (1) CN101385339B (ko)
WO (1) WO2007094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7618B1 (en) * 1998-05-20 2005-08-30 Sony Corporation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and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8358687B2 (en) * 2007-09-07 2013-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ple simultaneous stream bursts with limited DVB receiver memory
KR20100016774A (ko) * 2008-08-05 2010-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정보 송수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R2936923B1 (fr) * 2008-10-02 2011-04-08 Sagem Comm Procede de gestion de la reception d'une commande de changement de services dans un decodeur de television numerique
KR101012980B1 (ko) * 2009-03-16 2011-02-10 한국방송공사 계층적 방송 장치 및 방법
JP5496548B2 (ja) * 2009-05-29 2014-05-2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9131265B2 (en) * 2011-05-19 2015-09-08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tellite television service to a premises
CN103199952A (zh) * 2012-01-06 2013-07-10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通信接收机中的业务数据传输方法及业务数据传输模块
US8929278B2 (en) 2012-02-06 2015-01-06 Maxline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otection and billing for mobile delivery of satellite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021A (en) * 1995-02-03 1996-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ation and time synchronization of the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KR100226528B1 (ko) * 1995-03-29 1999-10-15 가나이 쓰도무 다중화 압축화상/음성데이타의 복호장치
WO1997035393A1 (fr) * 1996-03-15 1997-09-25 Hitachi, Ltd. Dispositif de separation de donnees
US5838873A (en) * 1996-05-31 1998-11-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acketized data formats for digital data storage media
EP2146499B1 (en) 1997-11-14 2012-10-31 Sony Deutschland Gmbh Distribution of MPEG-2 transport streams on the IEEE 1394-based home network
JP3309069B2 (ja) * 1997-11-17 2002-07-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重符号化画像音声データの受信装置
US6999424B1 (en) * 2000-01-24 2006-02-14 At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isplaying data
RU2270485C2 (ru) * 2001-03-08 2006-02-2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записи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JP2003308643A (ja) * 2002-04-09 2003-10-31 Toa Corp 書き込み・読み出し可能な記憶媒体を用いた録音再生装置
KR100466237B1 (ko) * 2002-06-20 2005-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09927A (ko) * 2002-07-26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Dtv 스트림 생성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정보저장매체, dtv 스트림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WO2004034616A1 (ja) * 2002-10-10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放送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放送データ送受信方法
JP4308546B2 (ja) 2003-02-20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プログラム
GB2399986A (en) * 2003-03-25 2004-09-29 Nokia Corp Transmission parameter information
JP2005109829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記録編集装置及び記録編集方法
JP2005333593A (ja) * 2004-05-21 2005-12-02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GB2415873A (en) 2004-06-30 2006-01-04 Nokia Corp Erasure information generation in Forward Error Correction decoding
JP2006295868A (ja) * 2004-07-30 2006-10-26 Victor Co Of Japan Ltd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0766077B1 (ko) * 2004-08-31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의 기능 갱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8053763A (ja) * 2004-11-16 200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av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当該avデータ記録装置又は方法で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6164378A (ja) * 2004-12-06 2006-06-22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
DE602006011273D1 (de) * 2005-01-18 2010-02-04 Taiwan Semiconductor Mfg Verbesserte ip-datagramm-entkapselung
US8230293B2 (en) * 2005-06-29 2012-07-24 Nokia Corporation Forward error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9074A3 (en) 2011-03-09
WO2007094611A1 (en) 2007-08-23
JP5024836B2 (ja) 2012-09-12
EP1819074A2 (en) 2007-08-15
US20070220584A1 (en) 2007-09-20
KR101381476B1 (ko) 2014-04-10
CN101385339B (zh) 2010-12-15
JP2009526468A (ja) 2009-07-16
CN101385339A (zh) 2009-03-11
US8351410B2 (en)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476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100724891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섹션 검출 및 신뢰성 정보획득을 위한 다중 순환잉여검증 장치 및 방법
RU235511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кодирования фрейма mpe-fec в системе dvb-h
KR101075861B1 (ko) 채널 식별자를 패킷 식별자에 매핑하기 위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섹션
US8037497B2 (en)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70147409A1 (en) Optimized method for multiplexing digital data
US9219951B2 (en) Mobile TV system architecture for mobile terminals
US20090168902A1 (en) Method for arranging zapping streams in mpe-fec frame and receiver
WO2008044142A2 (en) Approach for channel switch time reduction in ipdc over dvb-h
WO20070891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in a mobile broadcasting terminal
KR20090127826A (ko)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수신 시스템
KR100724890B1 (ko) 디브이비-에이치 수신기에서 리드-솔로몬 복호를 위한프레임 경계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에러 정정 복호 방법
KR2009006604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장치
KR100827075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EP1474888B1 (en) Retransmission of a burst copy in a broadband digital network
CN107690779B (zh) 发送设备、接收设备和用于控制上述设备的方法
KR2008004709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351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수신 장치및 방법
KR20080006357A (ko) 휴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Petković et al. Mobile broadcasting technologies: A comparativ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