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075B1 -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075B1
KR100827075B1 KR1020070006177A KR20070006177A KR100827075B1 KR 100827075 B1 KR100827075 B1 KR 100827075B1 KR 1020070006177 A KR1020070006177 A KR 1020070006177A KR 20070006177 A KR20070006177 A KR 20070006177A KR 100827075 B1 KR100827075 B1 KR 10082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ta
information
time
inpu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129A (ko
Inventor
이재홍
윤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7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09Arrangements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ime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B-H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델타-t 정보의 개수를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델타-t 락 개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델타-t 개수가 상기 델타-t 락 개수보다 작다면, 상기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VB-H, MPE, MPE-FEC, 타임 슬라이싱, 델타-t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DATA IN A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일반적인 DVB-H 시스템에서 TS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수행되는 R-S 인코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TS 패킷을 전송하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DVB-H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FEC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언급한 리얼 타임 파라미터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기 리얼 타임 파라미터에 포함된 델타-t 정보의 물리적 의미를 도 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의 블록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의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B-H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서비스는 단말을 가진 모든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는 음성만을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과 같은 오디오 방송 서비스와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비전과 같은 비디오 위주의 방송 서비스 및 음성, 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포괄하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들은 아날로그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디지털 방송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는 기존의 송신탑을 바탕으로 제공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유선으로 고화질 및 고속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및 유선과 인공 위성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하나로 상용 서비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방식 중 하나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의 서비스이다. 이러한 DMB 방식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을 모체로 하여, 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DAB의 기술 표준인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gect-147)에 근간을 두고 있다.
반면, DAB 기술의 근원지인 유럽에서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DVB-H'라는 이름으로 휴대 방송을 위한 별도의 기술 규격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DVB-H(Handheld)는 유럽의 디지털 TV 방송 방식의 표준화 조직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가 위성 디지털 TV(DVB-S), 디지털 케이블 TV(DVB-C), 지상파 디지털 TV(DVB-T)에 이어 새롭게 개발중인 방송 규격이다.
DVB 그룹은 3세대 이동 통신(UMTS 또는 IMT-2000), 지상파 디지털 TV,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로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영화와 방송 드라마 등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현할 수가 없다고 판단해 당초 'DVB-X(eXtention)'라는 이름으로 추진했다가 보다 분명하게 '휴대 방송'의 개념을 나타내는 DVB-H라는 명칭으로 바꾸었다.
DVB-H는 유럽형 디지털 TV 전송 규격인 DVB-T(Terrestrial)에서 이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규격으로 이동 단말이나 휴대용 영상 기기 등의 저 전력, 그리고 이동 성,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DVB-T에서 확장된 규격이다. 따라서, DVB-H의 대부분 물리 계층 규격은 DVB-T 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며, 휴대/이동 수신을 위한 몇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였다.
DVB-H 시스템은 레이어 3(Layer 3) 아이 피(IP : Internet Protocol) 패킷들에 대하여 추가적인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지원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오류정정 부호화 과정을 멀티 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에러 정정(Multi Protocol Encapsulation - Forward Error Correction : MPE-FEC)이라고 한다.
DVB-H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는 IP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 만들어지고, IP 데이터그램을 리드-솔로몬(Reed-Solomon) 부호화하여 MPE-FEC 프레임이 형성된다. 따라서, MPE-FEC 프레임은 IP 데이터그램이 실리는 MPE 섹션과, R-S 부호화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Parity Data)가 실리는 MPE-FEC 섹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MPE 섹션과 MPE-FEC 섹션은 DVB-H 시스템의 전송 단위인 TS(Transport Stream)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에 실려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된다.
도 1은 일반적인 DVB-H 시스템에서 TS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0은 방송 데이터가 실리는 IP 데이터 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IP 데이터 그램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네트워크 종단의 주소가 포함된 패킷을 의미한다. 참조번호 102는 IP 데이터 그램(100)이 실리는 MPE 섹션 또는 IP 데이터 그램(100)들의 패리티 데이터가 실리는 MPE-FEC 섹션을 도시한 것이다. 참조번호 104는 MPE 섹션 또는 MPE-FEC 섹션(102)이 실리는 TS 패킷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하나의 TS 패킷(104)은 다수의 MPE 섹션 또는 MPE-FEC 섹션(102)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MPE 섹션 또는 MPE-FEC 섹션(102)이 다수의 TS 패킷(104)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수행되는 R-S 인코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VB-H 송신단에서는 일반적으로 물리계층과 링크 계층에서 각각 한 번씩의 R-S 인코딩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도 2에서 참조번호 200은 DVB-H 시스템에서 MPE-FEC 프레임의 가로 방향(Column)크기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202는 MPE-FEC 프레임의 세로 방향(Row)의 크기를 나타낸다. 가로방향 즉, 열(Column)(200)은 255 바이트(Byte)로 구성되며, 그 중 왼쪽 영역은 방송 데이터인 IP 데이터그램(100)을 포함하는 MPE 섹션이 저장되는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Application Data Table region)(204)이며 가로방향 길이는 191 바이트이다. 오른쪽 영역은 상기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204)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R-S 인코딩한 결과 발생한 R-S 데이터 또는 패리티 데이터가 저장되는 R-S 데이터 테이블 영역(206)으로 가로 길이는 64바이트이다. 반면, 세로 방향 즉, 행(row)(202)은 가변적이며, 길이는 최대 1024행 까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2와 같이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204)에는 IP 데이터그램(100) N개가 수직방향(Vertical)으로 저장되며, 만일 상기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204)이 상기 1부터 N까지의 IP 데이터그램들로 채워지지 않는다면, 나머지 공간은 참조부호 208과 같이 "0"으로 채우는 제로 패딩(Zero-Padding)을 실시 하여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204)을 모두 채우게 된다.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204)에 IP 데이터 그램 또는 제로 패딩의 결과인 "0"이 다 채워지게 되면, 가로방향(Horizonal)으로 R-S 인코딩(Encoding)을 수행하고, 상기 R-S 인코딩의 결과 생긴 패리티(parity) 데이터를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 데이터 테이블 영역(206)에 가로 방향으로 채우게 된다.
도 1과 도 2에서 상술한바와 같은 MPE-FEC 과정의 결과로써 IP 데이터그램들을 R-S 부호화하여 MPE-FEC 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MPE-FEC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들은 섹션이라는 전송 단위로 재구성되며, IP 데이터그램(100)은 섹션 헤더(header)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 32비트가 추가되어 MPE 섹션으로 재구성되고 RS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패리티 데이터 또한, 섹션 헤더와 CRC 32비트가 추가되어 MPE-FEC 섹션으로 재구성된다. 섹션 헤더는 MPE-FEC 처리와,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섹션의 앞 부분에 위치한다. CRC 32비트는 섹션의 뒷 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섹션들은 최종적으로 TS 패킷(104)의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서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된다.
도 3은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TS 패킷을 전송하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송신기는 참조번호 306과 같이 일정한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DVB-H 시스템의 송신단은 참조번호 310과 같이 소정 데이터의 묶음인 버스트(Burst)를 전송한다.
또한, DVB-H 시스템은 수신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한다. 타임 슬라이싱은 데이터를 버스트 형태로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전체 시간 구간(300) 동안에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를 전송률을 높여서 버스트 구간 동안만 전송한다. 따라서, 전체 시간 구간(300)동안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302)과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오프 타임(Off time) 구간(304)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도 3에서 참조번호 306은 타임 슬라이싱을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스트림을 전송할 때의 평균 대역폭(Average Bandwidth)을 의미하며, 참조번호 308은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버스트 대역폭(Burst Bandwidth)을 의미한다. 또한, 전체 시간 구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버스트의 전송이 시작된 시점부터 다음 버스트의 전송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버스트가 전송되는 구간(302)과 아무 데이터도 전송되지 않는 오프 타임(Off-Time)(304)구간으로 구성된다. 버스트 구간(Burst Duration)(302)은 버스트가 전송되는 시작구간과 끝구간을 의미하며, 각각의 버스트 구간 사이에는 트랜스포트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오프 타임이 존재한다. 그리고, 한 개의 버스트 사이즈(310)에는 한 개의 MPE-FEC 프레임이 전송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MPE-FEC 프레임의 송신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반적인 DVB-H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서, 도 4에 도시된 DVB-H 시스템의 특징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IP 데이터를 방송 데이터로 송출함과 아울러 방송 데이터의 오류 정정을 위해 R-S 패리티 데이터를 함께 전송한다는 점이다.
도 4에서 MPE-FEC 부호화기(401)는 방송 데이터로 송신되는 IP 데이터그램을 섹션 단위로 전송하도록 IP 데이터그램이 포함된 MPE 섹션을 생성하고, 상기 MPE 섹션의 순방향 오류 정정(FEC)(Forward Error Correction)을 위한 패리티 데이터가 포함된 MPE-FEC 섹션을 생성한다. 상기 패리티 데이터는 잘 알려진 외부 부호화 기술인 RS 부호화(Encoding)를 통해 생성된다. 상기 MPE-FEC 부호화기(Encoder)(401)의 출력은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처리기(403)로 전달되어 방송 데이터를 버스트로 전송하기 위한 시분할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대로 하나의 MPE-FEC 프레임은 하나의 버스트 구간을 통해 전송된다. 한편 타임 슬라이싱 처리를 거친 IP 데이터그램은 HP(High Priority) 스트림 처리를 거친 후, 변조차수(Modulation Order)와 계층적(Hierarchical) 혹은 비계층적(Non-Hierarchical)인 전송 모드에 따라 직/병렬 신호로 변환 처리될 수 있다.
도 4에서 비트 인터리버(405)와 심볼 인터리버(407)는 전송 오류를 분산시키는 비트 단위의 인터리빙과 심볼 단위의 인터리빙을 각각 수행한다. 그리고 인터리빙된 신호는 심볼 매핑기(Symbol Mapper)(409)를 통해 QPSK, 16 QAM 혹은 64 QAM 등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심볼 매핑되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411)로 전달된다. 상기 IFFT부(411)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IFFT 처리된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보호 구간 삽입기를 통해 보호 구간(Guard Interval)이 삽입되어 기저 대역의 OFDM 심볼 신호로 생성된다. 상기 OFDM 심볼은 디지털 기저 대역 필터에 의해 펄스 성형된 후 RF 변조기(413)를 통해 변조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안테나(415)를 통해 DVB-H 신호인 TS 패킷으로 전송된다.
도 5는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MPE 섹션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대로 MPE-FEC 프레임의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204)에서 수직 방향으로 IP 데이터그램(application data)(500)을 추출하고 섹션 헤더(Section Header)(502)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32 비트(504)가 추가되어 MPE 섹션으로 재구성된다. 참조번호 506는 상기에서 언급한 섹션 헤더(502), 방송 데이터인 어플리케이션 데이터(500), CRC 비트(504)가 포함된 MPE 섹션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수신단에서는 상기 참조번호 508인 "0x3e"를 검출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MPE 섹션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참조번호 510은 리얼 타임 파라미터(Real time parameter)로서, 송신단에서 R-S 인코딩을 수행하지 않은 MPE 섹션을 보낼 때와 수신단에서 CRC 체크를 통해 MPE-FEC 프레임이 정상 수신되었음이 확인되었을 때, IP 데이터그램을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점을 나타내는 프레임 경계(Frame_boundary)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리얼 타임 파라미터는 하기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6은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FEC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MPE 섹션의 R-S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패리티 데이터(R-S 데이터)(600) 또한, 섹션 헤더(602)와 CRC 32비트(604)가 추가되어 MPE-FEC 섹션(606)으로 재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섹션 헤더(602)에는 MPE-FEC 복호화와 후술할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섹션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CRC 32비트(604)는 섹션의 뒷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섹션들은 최종적으로 트랜스포트 스 트림(Trasport Stream ; TS) 패킷(104)의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서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되게 된다.
참조번호 606은 상기에서 언급한 섹션 헤더(602), R-S 데이터(600), CRC 비트(604)가 포함된 MPE-FEC 섹션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수신단에서는 상기 참조번호 608인 "0x78"를 검출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MPE-FEC 섹션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참조번호 610은 리얼 타임 파라미터(Real time parameter)로서, 하기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에서 언급한 리얼 타임 파라미터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델타-t(delta-t)(700)는 다음의 MPE-FEC 프레임이 전송되는 즉, 버스트 구간이 시작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테이블 경계 정보(Table_boundary)(702)는 DVH-B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생성한 MPE 섹션이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에서의 마지막 MPE 섹션인지 여부를 알게 해준다. 만일, 테이블 경계 정보(702)가 "1"로 설정되면 현재 전송된 MPE 섹션이 MPE-FEC 프레임에서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의 마지막 섹션임을 의미한다.
프레임 경계 정보(Frame_boundary)(704)는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생성한 섹션이 MPE-FEC 프레임의 마지막 MPE-FEC 섹션인지의 여부를 알게 해준다. 만일, 프레임 경계 정보(704)가 "1"로 설정되면 현재 전송된 MPE-FEC 섹션이 MPE-FEC 프레임의 마지막 MPE-FEC 섹션임을 의미한다.
도 8은 상기 리얼 타임 파라미터(600)에 포함된 델타-t 정보(700)의 물리적 의미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는 타임 슬라이싱 방법을 사용하여 MPE-FEC 프레임을 버스트 구간(302) 동안만 전송한다. 또한 MPE-FEC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MPE 또는 MPE-FEC 섹션은 델타-t 정보를 섹션 헤더에 가지고 있고 이 델타-t 정보는 각 섹션마다 다르다. 따라서, DVB-H 시스템의 수신기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오프 타임 구간에는 데이터 수신 동작을 멈추고 델타-t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버스트 시작 지점부터 데이터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이때, 수신기는 델타-t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만큼을 계수하여 다음 버스트 시작 시점을 예측하고 수신 동작을 재개하는 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만일, 델타-t 정보가 송신단에서 잘못 계산되거나 전송과정중에 발생하는 오류에 의해 잘못 수신된다면, 엉뚱한 시점부터 동작을 재개하게 되어 원하는 버스트 데이터의 수신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수신 성능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DVB-H 수신기에서 타임 슬라이싱 동작에 따라 데이터를 정확히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DVB-H 수신기에서 송신단에서 전송된 델타-t 정보로 수신기가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버스트 구간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델타-t 정보의 개수를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델타-t 락 개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델타-t 개수가 상기 델타-t 락 개수보다 작다면, 상기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헤더 추출기와, 상기 추출된 델타-t 정보의 개수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델타-t 개수가 미리 정해진 델타-t 락 개수와 같은지를 검사하고, 상기 델타-t 개수가 상기 델타-t 락 개수 이하라면, 상기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모두 계수하였을 경우, 데이터의 수신을 재개하게 제어하는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델타-t 정보 중 새로 수신된 섹션에 대한 제1 델타-t 정보와 이전에 수신된 제2 델타-t 정보를 사용하여 다음번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을 계수한 델타-t 계수 값과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 편차 값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새로 수신된 제1 델타-t 정보를 사용하여 다음번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을 지시하는 델타-t 계수 값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델타-t 계수 값으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점을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에 다음번 버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9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에서 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은 안테나(901)를 통해 RF 복조기(903)로 수신되고, RF 복조기(903)를 통해 주파수 하향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TS 패킷의 OFDM 심볼들은 FFT(Fast Fourier Transform)(905)를 통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심볼 디매핑기(Symbol Demapper)(907)는 수신 신호를 QPSK, 16 QAM 혹은 64 QAM 등 정해진 변조 방식에 대응되게 심볼 디매핑하고, 심볼 디인터리버(Symbol Deinterleaver)(909)와 비트 디인터리버(Bit Deinterleaver) (911)는 심볼 단위의 디인터리빙과 비트 단위의 디인터리빙을 각각 수행하여 원래 신호로 복원한다.
PID 검출기(Packet Identifier Detector)(913)는 비트 디인터리빙된 신호에 대해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 필터링을 수행하여 TS 패킷의 헤더 정보로부터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가 MPE 또는 MPE-FEC 섹션을 전송하는 패킷이라고 지시하면, MPE 섹션이나 MPE-FEC 섹션이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렇지 않고 TS 패킷의 헤더 정보로부터 PID가 프로그램 특정 정보와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 PSI/SI)(이하, "방송 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값이면, TS 패킷으로부터 PSI/SI가 수신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섹션 검출기(Section Detector)(915)는 상기 PID검출기(913)로부터 필터링된 IP 데이터그램 형태로 전송된 MPE 패킷들에 대해서 Table ID(섹션마다 Table ID가 있으며, Application Data Table의 경우 Table ID가 "0x3e", RS Data Table의 경우 Table ID가 "0x78"로 검출될 때마다 CRC 체크를 수행하고, CRC 체크 결과가 성공하였으면 성공한 섹션들을 MPE-FEC 복호화기로 전송한다. 또한, CRC결과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섹션 헤더 추출기(917)로 알린다.
섹션 헤더 추출기(917)는 상기 섹션 검출기(915)로부터 수신된 섹션들에 대 해 CRC 체크를 수행하고, CRC 체크가 성공한 섹션들에 대해서 그 헤더들로부터 타임 슬라이싱과 MPE-FEC 적용 여부 등 방송 수신과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섹션 헤더 추출기(917)는 각각의 MPE 섹션과 MPE-FEC 섹션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델타-t 정보(700)를 추출하여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919)로 전송한다.
그리고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919)는 미리 정해진 버스트 구간 마다 MPE-FEC 프레임이 포함된 TS 패킷 또는 MPE 프레임만이 포함된 TS 패킷을 수신하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체 수신기 블록들(900)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트 구간은 각 MPE 섹션과 MPE-FEC 섹션의 헤더에 포함되어 다음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간을 지시하는 델타(Delta) t 정보(700)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델타-t 정보는 섹션 헤더 추출기(917)로부터 얻어진다.
그리고 도 9에서 MPE-FEC 복호화기(Decoder)(921)는 수신된 MPE-FEC 프레임에 대해 각 로우(Row)별로 R-S 디코딩을 수행하여 오류가 정정되면, R-S 디코딩 결과로 복원된 IP 데이터그램을 상위 계층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MPE-FEC 복호화기(921)는 수신된 TS 패킷으로부터 MPE-FEC 프레임을 구성하는 MPE 섹션의 IP 데이터그램과 MPE-FEC 섹션의 패리티 데이터를 구분하여 각각 내부 버퍼의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Application data table region)과 R-S 데이터 테이블 영역(R-S data table region)에 저장하고, RS 복호를 수행하여 원래 방송 데이터를 복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DVB-H 수신기는 버스트 구간(302)동안 MPE 또는 MPE-FEC 섹션(102)들을 수신받을 때마다 상기 섹션들의 헤더에 포함 된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802)가 시작하는 시점을 예측하여 마지막 섹션이 수신된 다음 오프 타임(304)구간동안 수신 동작을 멈추고, 계수기(Counter)가 상기 델타-t 정보가 지시하는 값만큼을 계수하였는지 검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VB-H 시스템의 수신기는 델타-t 정보(700)를 이용하여 델타-t 정보(700)가 지시하는 시간만큼 계수하는 계수기를 두어 다음 버스트의 시작 시점을 예측한다. 즉, 수신기는 MPE-FEC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섹션의 헤더로부터 델타-t 정보를 얻어내고 델타-t 정보가 지시하는 값만큼을 계수하여 계수기가 이 값을 지시하는 시점을 다음 버스트의 시작 시점으로 간주하고 수신기의 데이터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그럼 이하에서, 상기 델타-t 정보(700)를 근거로 타임 슬라이싱을 제어하는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919)의 블록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919)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919)는 델타-t 계수기(Counter)(1000)와 상기 계수기(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2)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02)는 섹션헤더 추출기(917)로부터 매 MPE 또는 MPE-FEC 섹션마다 델타-t 정보(700)를 입력 받으면 그 시점부터 계수기(919)를 초기화하여 계수를 새롭게 시작시키고 다음 델타-t 정보가 얻어진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계수하게 한다. 즉, 섹션이 수신될 때마다 제어부(1002)는 델타-t 계수기(1000)를 새로운 값으로 갱신하여 역 계수하게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매 섹션마다 수신되는 간격이 10ms간격이고, 첫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100ms일 경우, 제어부(1002)는 델타-t 계수기(1000)를 100ms부터 역 계수시키고, 델타-t 계수기(1000)가 100ms를 다 계수하여 0이 되는 시점이 다음 버스트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일 것이다.
그리고 현재 수신 환경이 양호한 경우라면, 두 번째 섹션은 10ms 이후에 수신될 것이며, 상기 두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90ms를 가리키고, 상기 델타-t 계수기(1000)가 10ms만큼을 계수했을 것이므로 상기 두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유효한 정보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델타-t 락 개수를 두어 상기 델타-t 락 개수까지 계수될 동안만 델타-t 계수기(1000)가 계수할 델타-t 정보를 갱신(update)한다. 또한, 현재 섹션에서 얻어진 델타-t 정보와 이전에 얻어진 델타-t 정보로 상기 계수기(1000)가 계수한 계수기 값과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 차이가 미리 정해놓은 범위 안에 해당되면 신뢰할 수 있는 델타-t 정보라고 판단하고 이 시간 이후에 다음 버스트가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반면, 현재 섹션에서 얻어진 델타-t 정보와 이전에 얻어진 델타-t 정보로 상기 계수기(1000)가 계수한 계수기 값과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델타-t의 최대 편차 값 범위보다 크다면, 제어부(1002)는 해당 델타-t 정보를 무시하고, 델타-t 계수기(1000)를 갱신하지 않고, 새로운 섹션을 수신한다.
예컨대 첫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100ms이고, 미리 정해진 델타-t 정보의 최대 편차가 10ms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하자. 제어부(1002)는 첫 번째 섹션이 수신된 후 델타-t 계수기(1000)를 100ms부터 역 계수 시킬 것이고, 그리고 두 번째 섹션이 수신되고, 두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70ms를 가리킨다면, 제어부(1002)는 상기 첫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인 100ms로부터 역계수한 시점인 90ms와 두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인 70ms와의 편차인 20ms가 상기 미리 정해진 최대 편차 범위인 10ms를 초과함으로 제어부(1002)는 상기 델타-t 계수기(1000)를 상기 두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인 70ms로 갱신하지 않고 세 번째 섹션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첫 번째 섹션에 포함되었던 델타-t 정보로 계속 역 계수시킬 것이다.
제어부(1002)는 이러한 동작을 새로운 델타-t가 입력될 때마다 반복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델타-t 락(Lock)을 위한 개수(이하" 델타-t 락 개수"라 함)만큼 델타-t 정보가 섹션 헤더 추출기(917)로부터 수신되면, 더 이상 수신된 델타-t 정보로 델타-t 계수기(1000)를 초기화시키지 않고 무시한다. 예컨대 델타-t 락 개수가 3이라면, 제어부(1002)는 이후에 수신되는 델타-t 정보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그리고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델타-t 정보에 해당하는 값까지 계수기가 계수하면 제어부(1002)는 델타-t 계수기(1000)가 만료(Expire)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전체 수신기 블록들(900)로 하여금 데이더 수신을 재개하라는 명령을 발생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919)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1100단계에서 제어부(1002)는 섹션 헤더 추출기(917)로부터 새로운 델타-t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새로운 델타-t 정보가 수신되었다면, 1102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정보의 개수를 계수한다. 즉, 처음 수신된 델타-t 라면, 제어부(1002)는 델타-t 정보의 개수를 "1"로 계수한다. 1104단계에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놓은 델타-t 락(Lock)을 위한 개수(이하 "델타-t 락 개수"라 함)와 같은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델타-t 락 개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델타-t 정보는 매 섹션이 수신될 때마다 갱신됨으로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 섹션이 수신된다면, 이미 수신된 델타-t 정보만을 갖고 델타-t 계수기(1000)를 계수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이후에 발생될 수 있는 델타-t 의 오류를 반영하지 않겠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델타-t 락 개수를 "3"이라고 가정하기로 하며, 델타-t 값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필드 테스트와 같은 실험 결과에 따라 제조업체가 설정할 수 있다.상기 1104단계의 검사 결과 계수(count)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놓은 델타-t 락 개수(3)와 같지 않다면, 제어부(1002)는 1106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시작 후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 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106단계의 검사 결과 버스트 시작 후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라면, 제어부(1002)는 1108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를 상기 1106단계에서 입력된 델타-t 정보로 초기화한 후, 1114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로 하여금 계수를 시작하게 제어한다.
반면, 상기 1104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델타-t 개수가 미리 정해 놓은 델타-t 락 개수와 같다면, 제어부(1002)는 1118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가 만료(expire)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델타-t 계수기(1000)의 만료란, 제어부(1002)가 수신된 델타-t 정보로 델타-t 계수기(1000)의 동작을 초기화 한 후, 제 어부(1002)가 수신한 델타-t 정보에 해당하는 값까지 델타-t 계수기(1000)가 계수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수신된 델타-t 정보가 100ms를 가리키고 있다면, 제어부(1002)는 델타-t 계수기(1000)로 하여금 100ms부터 0ms가 될 때까지 역으로 계수를 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111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델타-t 계수기(1000)가 만료되었다면(0ms까지 델타-t 계수기(1000)가 역 계수를 하였다면), 제어부(1002)는 1120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수신 블록(900)에 대해 데이터 수신 재개 명령을 내린다.
반면, 상기 1118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델타-t 계수기(1000)가 만료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0)가 1122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가 다음번 버스트 시작 시간까지 계속 계수하게 제어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어부(1002)는 매 섹션이 수신될 때마다 상기 수신된 섹션의 델타-t 정보로 델타-t 계수기(1000)로 하여금 역 계수를 하게 제어한다. 예컨대, 델타-t 락 개수가 "3"이고, 각 섹션마다 수신되는 간격이 10ms이고, 미리 정해진 최대 편차가 10ms일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그럴 경우 첫 번째 수신된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100ms일 경우에는 제어부(1002)가 델타-t 계수기(1000)로 하여금 100ms부터 역 계수하게 제어하고, 두 번째 수신된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90ms일 경우에는 상기 첫 번째 수신된 섹션의 델타-t 정보로부터 역계수한 정보와 미리 정해진 값 이내에 포함됨으로 델타-t 계수기(1000)로 하여금 90ms부터 역 계수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수신된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80ms일 경우에도 상기 두 번째 수신된 섹션에 포함된 값으로부터 역계수된 값과 상기 세번째 수신된 섹션의 80ms가 미리 정해진 값 이내에 해당됨으로 제어부(1002)는 델타-t 계수기(1000)로 하여금 다시 80ms부터 역 계수하게 제어한다. 그 이후에 수신되는 섹션들에 대해서는 델타-t 락 개수를 벗어남으로 제어부(1002)는 상기 섹션들에 포함된 델타-t 정보들을 무시한다.
상기 1106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1100단계에서 입력된 델타-t 정보가 버스트 시작 후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아니라면, 제어부(1002)는 1110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가 현재까지 계수한 델타-t 계수기 값과 새로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미리 정해놓은 델타-t의 최대 편차 값 범위를 초과하였는지 검사한다. 상기 1110단계의 검사를 수행하는 이유는, 매 섹션이 수신될 때마다 수신되는 델타-t 정보들 중 정확하지 않은 델타-t 정보가 수신될 경우 이전에 수신된 델타-t 정보에 의해 계수된 계수 값과의 차이가 상기 최대 편차값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이전에 수신된 델타-t 정보와 현재 수신된 델타-t 정보 중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된다. 따라서, 이럴 때에는 두 가지 델타-t 정보들 중 어느 것을 신뢰해야하는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므로 둘의 평균값을 구하여 계수기를 계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1110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델타-t 계수기(1000)가 현재까지 계수한 델타-t 계수기 값과 새로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 값 범위를 초과하였다면, 제어부(1002)는 1112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2)를 갱신하지 않고, 다시 상기 1100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가 입력될 때까지 델타-t 계수기(1000)가 역 계수하게 제어한다.
반면, 상기 1110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델타-t 계수기(1000)가 현재까지 계수한 델타-t 계수기 값과 새로 입력된 델타-t 입력과의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 값 범위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2)는 1116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를 상기 새로 입력된 델타-t 정보로 초기화한 후, 1114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계수기(1000)의 계수를 시작하게 제어한다.
예컨대 첫 번째 델타-t 정보가 100ms이고, 두 번째 델타-t 정보가 90ms이고, 세 번째 델타-t 정보가 60ms이고, 미리 설정된 델타-t 편차 범위의 최대 값이 10ms일 경우를 들어보기로 한다. 만약 세개의 델타-t정보가 10ms간격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첫번째 섹션을 수신한 후 델타-t 계수기는 100ms 부터 역계수를 시작하게 되고, 두 번째 섹션을 수신하면 입력된 델타-t정보인 90ms와 그 시점에서 델타-t 계수기의 계수값인 90ms와의 편차가 0ms로 델타-t 편차 범위(10ms)내에 있으므로 두 번째 섹션에서 수신한 입력 델타-t 정보값인 90ms부터 델타-t 계수기를 다시 계수한다. 그리고, 세번째 섹션을 수신하면 입력된 델타-t 정보인 60ms와 그 시점에서의 델타-t 계수기의 계수값인 80ms와의 편차가 20ms로 델타-t 편차범위(10ms)를 벗어나므로 제어부(1002)는 상기 세 번째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로 델타-t 계수기(1000)를 갱신하지 않고, 새로운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2)에서의 델타-t 정보 처리 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어부(1002)는 최초 델타-t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델타-t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기 수신블록(900)의 수신명령을 하달하여 지속적으로 델타-t 정보의 수신을 기다린다. 최초 델타-t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002)는 비교할 대상이 없으므로 우선 그 값으로 델타-t 계수기(1000)를 계수하게 제어한다. 만약 더 이상의 델타-t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002)는 최초 수신된 델타-t 정보에 근거한 계수 값이 종료될 때까지 계수기(1000)를 계수하게 제어하고, 다음 버스트 수신을 위해 단말기 수신 재개 명령을 발생시킨다.
최초 델타-t 정보의 수신 이후 새로운 델타-t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000)는 우선 두 번째 델타-t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최초 델타-t 정보로부터 델타 t 계수기(1000)가 계수한 값과 두 번째 수신된 델타-t 정보간의 편차가 델타-t 지터(Jitter)에 해당하는 최대허용치(단,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조절 가능한 범위)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두 번째 수신된 델타-t 정보를 유효한 값으로 인정하고, 델타-t 계수기(1000)를 두 번째 수신된 델타-t 정보로부터 계수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델타-t 편차가 최대 허용치보다 클 경우 최초 수신된 델타-t 정보와 두 번째 수신된 델타-t 정보 중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둘 중에 어느 것을 신뢰해야 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므로 상기 두 번째 수신된 섹션에 포함된 델타-t 정보로부터 델타-t 계수기(1000)가 역계수하지 않게 제어하고, 새로운 수신될 때까지 상기 첫 번째 섹션의 델타-t 정보로 다음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추정하게 제어 한다.
델타-t 정보의 개수를 따로 계수하는 것은 SW에서 미리 정해둔 델타-t Lock을 위한 델타-t 개수 값과 비교하여 그에 해당하면 더 이상의 수신된 델타-t 정보를 무의미한 것으로 여기고 가장 최근까지의 상기 동작 플로우로부터의 델타-t 정보로 델타-t 계수기를 계수하고자 함이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차후 수신 환경이 열악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델타-t 정보의 오류에 대해서는 수신기의 타임 슬라이싱 동작에 반영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VB-H 시스템의 수신기가 신뢰도가 높은 델타-t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다음번 버스트 구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다음번 버스트 구간에 TS 패킷을 정확히 수신할 수 있게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수신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신기에서 원하는 버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Claims (15)

  1.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델타-t 정보의 개수를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델타-t 정보의 개수와 미리 정해진 델타-t 락 개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계수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델타-t 락 개수보다 작다면, 상기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근거로 계수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에서 데이터의 수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은,
    상기 델타-t 정보가 버스트 구간이 시작된 후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만약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라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과,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아니라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성 검사 이후에 상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으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t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은,
    이전 델타-t 정보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얻어진 시점까지 역계수된 델타-t 계수기 값과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미리 정해놓은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t 계수기 값과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한다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로 상기 델타-t 계수기 값을 갱신하지 않고, 새로운 델타-t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델타-t 계수기 값을 계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t 계수기 값과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7.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헤더 추출기와,
    상기 추출된 델타-t 정보의 개수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델타-t 락 개수와 같은지를 검사하고, 상기 델타-t 정보의 개수가 상기 델타-t 락 개수 보다 작다면, 상기 델타-t 정보를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고,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에서 데이터의 수신을 재개하게 제어하는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는,
    상기 계수된 델타-t 정보의 개수가 상기 델타-t 락 개수보다 작지 않다면, 상기 델타-t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이전 델타-t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을 계수함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는,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가 버스트 구간이 시작된 후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라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는,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최초로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아니라면, 상기 델타-t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으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는,
    이전 델타-t 정보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얻어진 시점까지 역계수된 델타-t 계수기 값과의 편차가 미리 정해놓은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하는지 검사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함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는,
    상기 델타-t 계수기 값과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한다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점을 계수하게 제어함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는,
    상기 델타-t 계수기 값과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입력된 델타-t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함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14. 타임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 패킷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정보들이 실린 섹션 헤더들을 검출하고, 상기 섹션 헤더들로부터 델타-t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델타-t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근거로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간을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델타-t 정보 중 새로 수신된 섹션에 대한 제1 델타-t 정보와 이전에 수신된 제2 델타-t 정보를 사용하여 다음번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을 계수한 델타-t 계수기 값과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 편차 값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새로 수신된 섹션에 대한 제1 델타-t 정보를 사용하여 다음번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을 지시하는 델타-t 계수기 값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델타-t 계수기 값으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이 시작될 시점을 계수하는 과정과,
    상기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에 다음번 버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델타-t 정보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델타-t 정보가 얻어진 시점까지 역계수된 델타-t 계수기 값과 상기 제1 델타-t 정보와의 편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 편차값 범위를 초과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편차가 상기 최대 편차 값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새로 수신된 상기 제1 델타-t 정보를 사용하여 델타-t 계수 값을 갱신하지 않고, 상기 이전에 수신된 상기 제2 델타-t 정보로 상기 다음번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을 계수하여 상기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점에 다음번 버스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KR1020070006177A 2006-01-20 2007-01-19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KR100827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6503 2006-01-20
KR1020060006503 2006-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129A KR20070077129A (ko) 2007-07-25
KR100827075B1 true KR100827075B1 (ko) 2008-05-02

Family

ID=3794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177A KR100827075B1 (ko) 2006-01-20 2007-01-19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24418B2 (ko)
EP (1) EP1811698A3 (ko)
KR (1) KR100827075B1 (ko)
CN (1) CN1010800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4876B2 (en) * 2007-05-31 2011-04-12 Nokia Corporation Time slicing and statistical multiplexing in a digital wireless network
US20090007207A1 (en) * 2007-06-29 2009-01-01 Broadcom Corporation Hardware-implemented handling of back-to-back and parallel time slices in a video broadcasting receiver
KR20090033658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055168A1 (en) * 2009-11-06 2011-05-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rea efficient counters array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counters
CA2789648C (en) * 2010-02-11 2018-08-21 Sony Corporation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2964A1 (en) 2003-05-13 2004-11-2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ling time-slicing parameters in the service information
WO2004107619A1 (en) 2003-05-30 2004-12-09 Nokia Corporation Burst transmission
WO2006030329A1 (en) 2004-09-15 2006-03-23 Nokia Corporation Burst transmiss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KR20060099724A (ko) * 2005-03-1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포착 시간 제어 방법
US20070002870A1 (en) 2005-06-30 2007-01-04 Nokia Corporation Padding time-slice slots using variable delt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2601B1 (en) * 2000-05-18 2004-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mode object locking method and system
GB2406483A (en) * 2003-09-29 2005-03-30 Nokia Corp Burst transmission
WO2005117444A1 (en) * 2004-05-31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2964A1 (en) 2003-05-13 2004-11-2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ling time-slicing parameters in the service information
WO2004107619A1 (en) 2003-05-30 2004-12-09 Nokia Corporation Burst transmission
WO2006030329A1 (en) 2004-09-15 2006-03-23 Nokia Corporation Burst transmiss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KR20060099724A (ko) * 2005-03-1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포착 시간 제어 방법
US20070002870A1 (en) 2005-06-30 2007-01-04 Nokia Corporation Padding time-slice slots using variable delt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1698A2 (en) 2007-07-25
KR20070077129A (ko) 2007-07-25
US7624418B2 (en) 2009-11-24
US20070189393A1 (en) 2007-08-16
EP1811698A3 (en) 2007-10-03
CN101080020A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891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섹션 검출 및 신뢰성 정보획득을 위한 다중 순환잉여검증 장치 및 방법
KR100735276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오류 정정 프레임의 복호 방법 및 장치
EP1946449B1 (en) Power saving in signal processing in receivers
EP181676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in a mobile broadcasting terminal
US20100086087A1 (en) Transmission Enhancements for Physical Layer Transmission
WO2006006070A1 (en) Encapsulator and an associa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capsulating data packets
EP3185506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US20130028269A1 (en) DTV systems employing parallel concatenated coding in COFDM transmissions for iterative diversity reception
KR101381476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100827075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KR100724890B1 (ko) 디브이비-에이치 수신기에서 리드-솔로몬 복호를 위한프레임 경계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에러 정정 복호 방법
KR20150012816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90456A1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20090006926A1 (en) Device Providing Selective Error Correction Data Reception
CN106031179B (zh) 用于在数字广播系统中发送和接收信令信息的装置和方法
AU2020294302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143000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10140085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수신 장치및 방법
Gardikis et al. Evaluation of the DVB-H data link layer
Jokel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different Reed-Solomon erasure decoding strategies at the DVB-H link layer
KR20150035366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Himmanen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DVB-H Link Layer Forward Error Correction
Li et al. A New Reliable Scheme for IP Service Transmission in T-DMB Systems
KR20090035081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