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081A -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081A
KR20090035081A KR1020070100146A KR20070100146A KR20090035081A KR 20090035081 A KR20090035081 A KR 20090035081A KR 1020070100146 A KR1020070100146 A KR 1020070100146A KR 20070100146 A KR20070100146 A KR 20070100146A KR 20090035081 A KR20090035081 A KR 2009003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st
boundary
size
b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권윤주
정기호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081A/ko
Publication of KR2009003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3Linear codes
    • H03M13/15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 H03M13/151Cyclic codes, i.e. cyclic shifts of codewords produce other codewords, e.g. codes defined by a generator polynomial, Bose-Chaudhuri-Hocquenghem [BCH] codes using error location or error correction polynomials
    • H03M13/1515Reed-Solom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3Linear codes
    • H03M13/17Burst error correction, e.g. error trapping, Fir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6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s [DVB-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시 약전계에서 수신하는 유동적인 길이를 가지는 버스트의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이전에 수신한 참조 버스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여 버스트 오프하여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 및 방법으로 불필요한 버스트 온 상태를 줄여 전력낭비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P1020070100146
DVB-H, 타임 슬라이싱, 델타-T, 버스트 오프, Max Bursty Duration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URST-OFF CONTROL IN DVB-H RECEIVER}
본 발명은 DVB-H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VB-H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시 수신하는 버스트의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여 버스트 오프하여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서비스는 단말을 가진 모든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는 음성만을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과 같은 오디오 방송 서비스와 음성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비전과 같은 비디오 위주의 방송 서비스 및 음성, 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포괄하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들은 아날로그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디지털 방송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는 기존의 송신탑을 바탕으로 제공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유선으로 고화질 및 고속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및 유선과 인공 위성을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하나로 상용 서비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방식 중 하나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의 서비스이다. 이러한 DMB 방식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을 모체로 하여, 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DAB의 기술 표준인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gect-147)에 근간을 두고 있다.
반면, DAB 기술의 근원지인 유럽에서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DVB-H'라는 이름으로 휴대 방송을 위한 별도의 기술 규격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DVB-H(Handheld)는 유럽의 디지털 TV 방송 방식의 표준화 조직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가 위성 디지털 TV(DVB-S), 디지털 케이블 TV(DVB-C), 지상파 디지털 TV(DVB-T)에 이어 새롭게 개발중인 방송 규격이다.
DVB 그룹은 3세대 이동 통신(UMTS 또는 IMT-2000), 지상파 디지털 TV,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로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영화와 방송 드라마 등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현할 수가 없다고 판단해 당초 ‘DVB-X(eXtention)’라는 이름으로 추진했다가 보다 분명하게 ‘휴대 방송’의 개념을 나타내는 DVB-H라는 명칭으로 바꾸었다.
DVB-H 는 유럽형 디지털 TV 전송 규격인 DVB-T(Terrestrial)에서 이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규격으로 이동 단말이나 휴대용 영상 기기 등의 저 전력, 그리고 이동성,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DVB-T에서 확장된 규격이다. 따라서, DVB-H의 대부분 물리 계층 규격은 DVB-T 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며, 휴대/이동 수신을 위한 몇 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였다.
DVB-H 시스템은 레이어 3(Layer 3) 아이 피(IP : Internet Protocol) 패킷들에 대하여 추가적인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지원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오류정정 부호화 과정을 멀티 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에러 정정(Multi Protocol Encapsulation - Forward Error Correction : MPE-FEC)이라고 한다.
DVB-H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는 IP 데이터 그램(Datagram)으로 만들어지고, IP 데이터 그램을 리드-솔로몬(Reed-Solomon) 부호화하여 MPE-FEC 프레임이 형성된다. 따라서, MPE-FEC 프레임은 IP 데이터 그램이 실리는 MPE 섹션과, R-S 부호화에 따른 패리티 데이터(Parity Data)가 실리는 MPE-FEC 섹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MPE 섹션과 MPE-FEC 섹션은 DVB-H 시스템의 전송 단위인 TS(Transport Stream)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에 실려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된다.
도 1은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TS 패킷을 전송하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송신기는 참조번호 106과 같이 일정한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DVB-H 시스템의 송신단은 참조번호 110과 같이 소정 데이터의 묶음인 버스트(Burst)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타임 슬라이싱은 데이터를 버스트 형태로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전체 시간 구간(100) 동안에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를 전송률을 높여서 버스트 구간 동안 만 전송한다. 따라서, 전체 시간 구간(100)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102)과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오프 타임(Off time) 구간(104)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도 1에서 참조부호 106은 타임 슬라이싱을 수행하지 않고 일반적인 스트림을 전송할 때의 평균 대역폭(Average Bandwidth)을 의미하며, 참조부호 108은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버스트 대역폭(Burst Bandwidth)을 의미한다. 또한, 전체 시간 구간(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버스트가 전송된 후 연속되는 다음 버스트가 전송될 때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버스트가 전송되는 구간(102)과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오프 타임(Off-Time)(104)구간으로 구성된다. 버스트 구간(Burst Duration)(102)은 버스트가 전송되는 시작구간과 끝구간을 의미하며, 각각의 버스트 구간 사이에는 트랜스포트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오프 타임이 존재한다. 그리고, 한 개의 버스트 크기(Burst Size)(110)에는 한 개의 MPE-FEC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MPE 섹션은 MPE-FEC 프레임의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에서 수직 방향으로 IP 데이터그램(application data)(200)을 추출하고 섹션 헤더(Section Header)(202)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32 비트(204)가 추가되어 MPE 섹션으로 재구성된다. 참조부호 206는 상기에서 언급한 섹션 헤더(202), 방송 데이터인 IP 데이터그램(200), CRC 비트(204)가 포함된 MPE 섹션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수신단에서는 상기 참조부호 208인 “0x3e”를 검출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MPE 섹션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참조부호 210은 MPE-FEC또는 타임 슬 라이싱 적용시 리얼 타임 파라미터(Real time parameter)로 대체되는 부분으로써,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3은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FEC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MPE 섹션의 R-S 부호화를 통해 생성된 패리티 데이터(R-S 데이터)(300) 또한, 섹션 헤더(302)와 CRC 32비트(304)가 추가되어 MPE-FEC 섹션으로 재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섹션 헤더(302)에는 MPE-FEC 복호화와 후술할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섹션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CRC 32비트(304)는 섹션의 뒷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섹션들은 최종적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sport Stream ; TS)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서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되게 된다. 참조부호 306은 상기에서 언급한 섹션 헤더(302), R-S 데이터(300), CRC 비트(304)가 포함된 MPE-FEC 섹션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수신단에서는 상기 참조부호 308인 “0x78”를 검출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MPE-FEC 섹션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참조부호 310은 리얼 타임 파라미터(Real Time Parameter)로서, 하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FEC 섹션에 포함된 리얼 타임 파라미터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델타_t(delta-t)(400)는 현재 버스트가 끝나고 오프 타임이 구간이 지나 다음 버스트가 시작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즉, 현재 전송되는 MPE 또는 MPE-FEC 섹션의 첫 번째 바이트 데이터가 실려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시작시점부터 다음 버스트의 첫 번째 바이트 데이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테이블 경계 정보(table_boundary)(402)는 DVH-B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생성한 MPE 섹션 또는 MPE-FEC 섹션이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 또는 RS 데이터 테이블 영역에서의 마지막 MPE 섹션인지 여부를 알게 해준다. 만일, 테이블 경계 정보(402)가 “1”로 설정되면 현재 전송된 MPE 섹션 또는 MPE-FEC섹션이 MPE-FEC 프레임의 방송 데이터 테이블 영역 또는 RS 데이터 테이블 영역에서 마지막 섹션임을 의미한다. 프레임 경계 정보(Frame_boundary)(404)는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생성한 섹션이 MPE-FEC 프레임의 마지막 섹션인지의 여부를 알게 해준다. 만일, 프레임 경계 정보(404)가 “1”로 설정되면 현재 전송된 섹션이 MPE-FEC 프레임의 마지막 MPE-FEC 섹션임을 의미한다.
도 5는 리얼 타임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있는 델타-t 정보의 물리적 의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DVB-H 시스템의 수신기는 델타-t 정보(500)를 이용하여 델타-t(500)가 지시하는 시간만큼을 계수하는 계수기를 두어 다음 버스트의 시작 시점(510)을 예측한다. 즉, 수신기는 MPE-FEC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섹션(520)의 헤더로부터 델타-t 정보(500)를 얻어내고 델타-t 정보(500)가 지시하는 값만큼을 계수하여 계수기가 이 값을 지시하는 시점을 다음 버스트의 시작 시점(510)으로 간주하고 수신기의 데이터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수신기는 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안테나를 통해 RF 복조기(602)로 수신하면, RF 복조기(602)는 수신한 TS 패킷을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OFDM 심볼들은 FFT(Fast Fourier Transform)(604)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TS 패킷의 OFDM 심볼들을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심볼 디매핑기(Symbol Demapper)(606)는 수신 신호를 QPSK, 16 QAM 혹은 64 QAM 등 정해진 변조 방식에 대응되게 심볼 디매핑하고, 심볼 디인터리버(Symbol Deinterleaver)(608)와 비트 디인터리버(Bit Deinterleaver)(610)는 심볼 단위의 디인터리빙과 비트 단위의 디인터리빙을 각각 수행하여 원래 신호로 복원한다.
그리고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620)는 미리 정해진 버스트 구간 마다 MPE-FEC 프레임이 포함된 TS 패킷 또는 MPE 프레임만이 포함된 TS 패킷을 수신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전체 수신기 블록(600)들에게 지시한다. 상기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620)의 상세한 설명은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트 구간은 각 MPE 섹션과 MPE-FEC 섹션의 헤더에 포함되어 다음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간을 지시하는 델타(Delta)-t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델타-t 정보는 섹션헤더 추출기(614)로부터 얻어진다. MPE-FEC 복호화기(612)는 수신한 MPE-FEC 프레임을 각 로우(Row)별로 RS 디코딩 수행하여 오류가 정정하고 RS 디코딩 결과로 복원된 IP 데이터그램을 상위 계층으로 출력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620)는 델타-T 계수부(704)와 MBD(Max Burst Duration) 계수부(706) 및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6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제어부(700)는 수신기가 최초 Power On되는 경우 혹은 Power On 이후 정상 동작시 이전 버스트의 델타-T값이 가리키는 시점까지 델타-T 계수가 완료되면 그 시점으로부터 각각의 Offset을 가감하여 RF 및 내부 복조기(Demodulator)(710)를 초기화하고 수신가능 상태로 제어한다. 이때 RF/복조기(710)는 RF 처리기(602), FFT(604), 심볼 디맵핑기(606), 심볼 디인터리버(610)를 포함하는 블럭이다. 제어부(700)는 수신가능 상태서 섹션 헤더 추출기(614)로부터 매 MPE 또는 MPE-FEC 섹션이 검출될 때마다 델타-t 정보를 입력받으면, 델타 T 계수부(704)로 델타-T 계수를 초기화하고 계수시작을 명령하고, 섹션 헤더 추출기(614)로부터 섹션 검출 신호와 함께 버스트 경계신호를 입력받으면 RF/복조기(710)로 수신기 OFF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MPE-FEC 복호화기(612)로 MPE-FEC의 RS 복호를 시작하도록 한다. 또한, 섹션 검출시 버스트 경계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무한정 버스트 경계를 기다리게 되어 전력을 낭비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MBD 계수부(706)를 제어하여 MBD값에 해당하는 계수값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MBD 계수부(706)가 현재 버스트의 경계 정보 검출 이전에 종료되었음을 알리면, 강제로 버스트 OFF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신기의 전력 낭비를 방지한다. 이때 MBD 계수부(706)의 시작은 해당 버스트 길이의 최대 한계를 계수하는 것이므로 버스트의 시작시점인 델타-T 계수부(704)의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델타-T 계수부(704)는 제어부(700)의 계수 시작 명령을 받으면 계수기를 초기화하고 새롭게 계수를 시작한다. 계수는 수신한 델타-T값까지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방식과 수신한 델타-T값이 0으로 종료될 때까지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계수의 단위는 10ms이다.
MBD 계수부(706)는 제어부(700)로부터 계수 시작명령을 받으면 20ms 단위로 시스템 파라미터인 MBD값에 이를 때까지 계수를 지속한다. 현재 버스트의 버스트 경계가 MBD계수가 종료되기 이전에 검출되었다면, MBD 계수는 초기화 되고 다음 버스트의 시작시 다시 계수를 시작하며, 현재 버스트의 버스트 경계가 검출되기 전에 MBD계수가 종료되면, 이를 제어부(700)로 알려서 버스트 오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신기는 800단계에서 버스트 온 모드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802단계로 진행하여 유효 섹션을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유효섹션을 검출하면, 804단계로 진행하여 섹션 헤더에서 델타-T를 추출하여 계수를 시작하고, 806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경계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면, 810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고, 812단계로 진행하여 델탈-T 계수가 종료되면, 814단계로 진행하여 MBD를 초기화 하고 계수를 시작하고, 다시 800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802단계의 확인결과 유효 섹션을 검출하지 못했거나 또는 상기 806단계의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 검출을 하지 못하였으면 상기 수신기는 808단계로 진행하여 MBD를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802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808단계의 확인결과 MBD를 초과하였으면 상기 810단계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는 타임 슬라이싱 방법을 사용 하여 MPE-FEC 프레임을 버스트 구간 동안만 전송한다. DVB-H 시스템의 수신기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오프 타임 구간 동안에는 데이터 수신 동작을 멈추고 델타-t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버스트 시작 시점부터 데이터 수신 동작을 재개한다. 이때 수신기는 버스트 시작 시점부터 검출된 섹션들로부터 버스트의 종료시점을 알려주는 프레임 경계를 추출하여 해당 섹션 종료시 버스트의 수신동작을 종료한다.
그런데, 채널 상황이 약전계로 진입하게 되면, 버스트의 수신 데이터로 부터 검출되어지는 섹션들이 감소하고 버스트의 마지막 섹션에서만 추출할 수 있는 프레임 경계정보를 놓치게 되는 일들이 빈번히 발생하며, 프레임 경계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수신기는 수신할 데이터가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수신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어, 수신기 동작을 멈추어 전력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물론, DVB-H 시스템에서는 MBD(maximum burst duration) 이라는 시스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신기가 프레임 경계정보를 놓치는 상황이 오더라도 버스트 경계의 한계값에 이르면 더 이상의 수신할 버스트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전력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MBD는 Elementary Stream내에서 가장 큰 버스트 경계에 20ms가 더해진 값으로 그 자체로 오차의 범위가 큰 한계 값이므로(이상적인 경우 20ms에서 최대 5.12초까지의 오차를 가질 수 있으며, 조정 단계는 20ms단위) 프레임 경계정보를 자주 놓치게 되는 약전계 상황에서는 전력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유동적인 버스터의 경계 정보를 검출하 지 못한 참조번호 900과 같은 경우 MBD(910) 동안 수신기가 버스트 온 상태로 동작함으로 전력 낭비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VB-H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VB-H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시 수신하는 유동적인 길이를 가지는 버스트의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여 버스트 오프하여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는, 버스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를 측정하는 RF 및 내부 복조기와, 섹션의 헤더를 추출하여 섹션 헤더에 포함된 다음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간을 지시하는 델타(Delta)-T 정보와 버스트 경계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헤더 추출기와, 델타-T를 계수하는 델타-T 계수부와,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MBD : Max Bursty Duration)을 계수하고 참조 버스트의 길이(BDs)와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BDp)를 측정하는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MBD : Max Bursty Duration) 계수부와, 강전계에서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와,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계산하는 버스트 대역폭 계산부와, 버스트 온 모드에서 수신한 상기 RSSI 또는 상기 BER를 이용하여 강전계인지 확인하고 강전계이면, 상기 델타-T의 계수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BSs를 측정하고,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면 상기 BBs를 계산하도록 제어하고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타임 슬라이싱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은, 버스트 온 모드에서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를 이용하여 수신신호가 강전계인지 약전계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강전계이면 유효 섹션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유효섹션을 검출하면, 섹션 헤더에서 델타-T를 추출하여 계수를 시작하는 과정과,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하는 과정과, 버스트 경계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면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계산하는 과정과,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시 약전계에서 수신하는 유동적인 길이를 가지는 버스트의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이전에 수신한 참조 버스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여 버스트 오프하여 전 력 효율을 증대시키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필요한 버스트 온 상태를 줄여 전력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시 수신하는 유동적인 길이를 가지는 버스트의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여 버스트 오프하여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서 본 발명에서는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약전계 직전의 강전계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버스트를 '참조 버스트'라 칭하고 약전계 버스트의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는데 필요로 하는 버스트 대역폭을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신기는 타임 슬리이싱 처리기(1000)와, 섹션 헤더 추출기(1020), RF 및 내부 복조기(1030) 및, MPE-FEC 복호화기(10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섹션 헤더 추출기(1020)는 섹션의 헤더를 추출하여 섹션 헤더에 포함된 다음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간을 지시하는 델타(Delta)-t 정보와 버스트 경계 정보를 상기 타임 슬리이싱 처리기(1000)로 제공한다.
상기 RF 및 내부 복조기(1030)는 상기 타임 슬리이싱 처리기(1000)로부터의 온(ON)/오프(OFF)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본 발명에 따라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를 측정하여 상기 타임 슬리이싱 처리기(1000)로 제공한다.
MPE-FEC 복호화기(1040)는 상기 타임 슬리이싱 처리기(1000)로부터의 복호 명령에 따라 복조된 수신한 MPE-FEC 프레임을 각 로우(Row)별로 RS 디코딩 수행하여 오류가 정정하고 RS 디코딩 결과로 복원된 IP 데이터그램을 상위 계층으로 제공한다.
상기 타임 슬리이싱 처리기(1000)는 제어부(1002), 델타-T 계수부(1004),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1006), 버스트 대역폭 계산부(1008),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MBD : Max Bursty Duration) 계수부(1010) 및, 버스트 경계 최적값 계산부(10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델타-T 계수부(1004)는 상기 제어부(1002)의 계수 시작 명령을 받으면 계수기를 초기화하고 새롭게 계수를 시작한다. 계수는 수신한 델타-T값까지 양의 값으로 증가하는 방식과 수신한 델타-T값이 0으로 종료될 때까지 음의 값으로 감소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계수의 단위는 10ms이다.
상기 MBD 계수부(1010)는 상기 제어부(1002)로부터 계수 시작명령을 받으면 20ms 단위로 시스템 파라미터인 MBD(Max Bursty Duration)값에 이를 때까지 계수를 지속한다. 현재 버스트의 버스트 경계가 MBD계수가 종료되기 이전에 검출되었거나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의해 버스트가 오프되면 MBD 계수는 초기화 되고 다음 버스트의 시작시 다시 계수를 시작하며, 현재 버스트의 버스트 경계가 검출되기 전이나 버스트 경계 최적값이 계산되어 종료되기 전에 MBD계수가 종료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1002)로 알려서 버스트 오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MBD 계수부(1010)는 상기 제어부(1002)의 제어를 받아 참조 버스트의 길이(BDs)와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BDp)를 측정한다.
상기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1006)는 상기 제어부(1002)의 제어를 받아 강전계에서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아래에서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약전계에서 현제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아래에서 <수학식 3>을 통해 측정한다.
BSs = DT1st × CBs
여기서,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DT1st는 참조 버스트에서 첫번째 섹션의 델타-T 이고, CBs는 참조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BSs = (BDp + DTc) × CBs(Constant BW)
여기서,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BDp는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이고, DTc는 현재 섹션 검출 시점에서의 델타-T 이고, CBs는 참조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BSr = DTc × CBw
여기서, BS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이고, DTc는 현재 섹션 검출 시점에서의 델타-T 이고, CBw는 현재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상기 버스트 대역폭 계산부(1008)는 상기 제어부(10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1006)에서 계산한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와 상기 MBD 계수부(1010)에서 측정한 참조 버스트의 길이(BDs)를 이용하여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한다.
BBs = BSs / (BDs × 0.96)
여기서, BBs는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이고,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BDs는 참조 버스트의 길이이다.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 계산부(1012)는 상기 제어부(1002)의 제어를 받아 약전계에서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추정하고, 추정한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와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BDp)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약전계에서 버스트 경계를 검출할 수 없을 때 버스 트 경계로 사용하는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한다.
BDr = BSr / (BBs × 0.96)
여기서, BD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이고, BS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이고, BBs는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이다.
OBD = BDp + BDr
여기서, OBD는 약전계에서 버스트 경계를 검출할 수 없을 때 버스트 경계로 사용하는 버스트 경계 최적값이고, BDp는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이고, BD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이다.
상기 제어부(1002)는 수신기가 최초 Power On되는 경우 혹은 Power On 이후 정상 동작시 이전 버스트의 델타-T값이 가리키는 시점까지 델타-T 계수가 완료되면 그 시점으로부터 각각의 Offset을 가감하여 상기 RF 및 내부 복조기(1030)를 초기화하고 수신가능 상태로 제어하고, 수신가능 상태서 상기 섹션 헤더 추출기(1020)로부터 매 MPE 또는 MPE-FEC 섹션이 검출될 때마다 델타-t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델타-T 계수부(1004)로 델타-T 계수를 초기화하고 계수시작을 명령하고, 상기 섹션 헤더 추출기(1020)로부터 섹션 검출 신호와 함께 버스트 경계신호를 입력받아 버스트 경계를 감지하면 상기 RF 및 내부 복조기(1030)로 수신기 OFF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MPE-FEC 복호화기(1040)로 MPE-FEC의 RS 복호를 시작하도록 한다. 또한, 섹션 검출시 버스트 경계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무한정 버스트 경계를 기다리게 되어 전력을 낭비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MBD 계수부(1010)를 제어하여 MBD값에 해당하는 계수값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MBD 계수부(1010)가 현재 버스트의 경계 정보 검출 이전에 종료되었음을 알리면, 강제로 버스트 OFF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수신기의 전력 낭비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2)는 상기 RF 및 내부 복조기(1030)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를 이용하여 수신신호가 강전계인지 약전계인지 확인하고, 강전계이면 상기 버스트 대역폭 계산부(1008)를 통해 현재 수신하는 버스트를 참조 버스트로 갱신하면서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을 계산하도록 제어하고, 수신신호가 약전계이면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 계산부(1012)를 통해 현재 수신신호의 버스트 경계 최적값을 계산하도록 제어하고, 약전계에서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서 버스트 오프 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신기는 1100단계에서 버스트 온 모드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110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를 이용하여 수신신호 가 강전계인지 약전계인지 확인하고, 확인결과 강전계이면 1104단계로 진행하여 유효 섹션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유효섹션을 검출하면, 1106단계로 진행하여 섹션 헤더에서 델타-T를 추출하여 계수를 시작하고, 1108단계로 진행하여 델타-T 지터(jitter) 내에서 최초 델타-T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검출되면, 1110단계로 진행하여 참조 버스트에서 첫번째 섹션의 델타-T(DT1st)를 저장하고, 11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한다. 하지만 상기 1108단계에서 확인결과 델타-T 지터(jitter) 내에서 최초 델타-T(DT1st)를 검출지 못하였으면 11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2>을 이용하여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한다.
이후, 상기 1110단계 또는 상기 1114단계를 통해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하였으면 상기 수신기는 1116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경계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버스트 경계가 검출되면 1118단계로 진행하여 BDs는 참조 버스트의 길이를 측정하고, 11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수신기는 1140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여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고, 1142단계로 진행하여 델탈-T 계수가 종료되면, 1144단계로 진행하여 MBD를 초기화 하고 계수를 시작하고, 다시 1100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1102단계의 확인결과 약전계이면 상기 수신기는 1122단계로 진행하여 유효 섹션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유효섹션을 검출하면, 1124단계로 진행하여 섹션 헤더에서 델타-T를 추출하여 계수를 시작하고, 1126단계로 진행 하여 추출한 현재 델타-T(DTc)를 저장하고, 112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계산하고, 11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5>과 같이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계산하고, 113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학식 6>과 같이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을 계산하고, 1134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경계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면 상기 114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1134단계의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였으면 1136단계로 진행하여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했는지 확인하고,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했으면 상기 14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1104단계의 확인결과 유효 색션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1122단계의 확인결과 유효 색션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1116단계의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1136단계의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기는 1138단계로 진행하여 MBD(Max Bursty Duration)를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1104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1138단계의 확인결과 MBD를 초과하였으면 상기 1140단계로 진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1202)는 MBD(Max Bursty Duration)(1200)에 비해 실질적인 버스트 경계에 근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버스트 경계를 추출하지 못할 경우 MBD(1200)에서 OBD(1202)를 뺀 만큼동안의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 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DVB-H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TS 패킷을 전송하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FEC 섹션의 구조 및 필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DVB-H 송신단에서 생성하는 MPE-FEC 섹션에 포함된 리얼 타임 파라미터의 메시지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리얼 타임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있는 델타-t 정보의 물리적 의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타임 슬라이싱 처리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DVB-H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버스트 오프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2)

  1.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버스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를 측정하는 RF 및 내부 복조기와,
    섹션의 헤더를 추출하여 섹션 헤더에 포함된 다음 버스트 구간의 시작 시간을 지시하는 델타(Delta)-T 정보와 버스트 경계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헤더 추출기와,
    델타-T를 계수하는 델타-T 계수부와,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MBD : Max Bursty Duration)을 계수하고 참조 버스트의 길이(BDs)와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BDp)를 측정하는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MBD : Max Bursty Duration) 계수부와,
    강전계에서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와,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계산하는 버스트 대역폭 계산부와,
    버스트 온 모드에서 수신한 상기 RSSI 또는 상기 BER를 이용하여 강전계인지 확인하고 강전계이면, 상기 델타-T의 계수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BSs를 측정하고,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면 상기 BBs를 계산하도록 제어하고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타임 슬라이싱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버스트는,
    강전계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버스트 경계가 검출된 버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제어부는,
    상기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델타-T 계수가 종료되면 MBD를 초기화하여 다시 계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는,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아래 <수학식 7>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BSs = DT1st × CBs
    여기서,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DT1st는 참조 버스트에서 첫번째 섹션의 델타-T 이고, CBs는 참조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는,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아래 <수학식 8>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BSs = (BDp + DTc) × CBs(Constant BW)
    여기서,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BDp는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이고, DTc는 현재 섹션 검출 시점에서의 델타-T 이고, CBs는 참조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대역폭 계산부는,
    상기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계산 아래 <수학식 9>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BBs = BSs / (BDs × 0.96)
    여기서, BBs는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이고,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BDs는 참조 버스트의 길이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제어부는,
    상기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 계수부로부터 MBD 종료를 수신하면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는 약전계에서 현제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추정하고,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을 계산하는 버스트 경계 최적값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제어부는 약전계에서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하였으면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사이즈 계산부는,
    상기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아래 <수학식 10>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BSr = DTc × CBw
    여기서, BS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이고, DTc는 현재 섹션 검출 시점에서의 델타-T 이고, CBw는 현재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 계산부는,
    상기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아래 <수학식 11>을 통해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BDr = BSr / (BBs × 0.96)
    여기서, BD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이고, BS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이고, BBs는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이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 계산부는,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을 아래 <수학식 12>를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OBD = BDp + BDr
    여기서, OBD는 약전계에서 버스트 경계를 검출할 수 없을 때 버스트 경계로 사용하는 버스트 경계 최적값이고, BDp는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이고, BD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이다.
  12.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버스트 온 모드에서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 전계 강도(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부호 오류 율(BER : Bit Error Rate)를 이용하여 수신신호가 강전계인지 약전계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강전계이면 유효 섹션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유효섹션을 검출하면, 섹션 헤더에서 델타-T를 추출하여 계수를 시작하는 과정과,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하는 과정과,
    버스트 경계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버스트 경계를 검출하면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계산하는 과정과,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버스트는,
    강전계에서 가장 최근에 수신한 버스트 경계가 검출된 버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델타-T 계수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델타-T 계수가 종료 되면 MBD를 초기화하여 다시 계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아래 <수학식 13>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BSs = DT1st × CBs
    여기서,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DT1st는 참조 버스트에서 첫번째 섹션의 델타-T 이고, CBs는 참조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를 아래 <수학식 14>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BSs = (BDp + DTc) × CBs(Constant BW)
    여기서,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BDp는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이고, DTc는 현재 섹션 검출 시점에서의 델타-T 이고, CBs는 참조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BSs)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BBs)을 계산 아래 <수학식 15>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BBs = BSs / (BDs × 0.96)
    여기서, BBs는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이고, BSs는 참조 버스트의 버스트 크기이고, BDs는 참조 버스트의 길이이다.
  18. 제 12항에 있어서,
    최대 버스트 지연시간간(MBD : Max Bursty Duration)의 계수가 종료되었음을 확인하면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확인결과 수신신호가 약전계이면 유효 섹션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유효섹션을 검출하면, 섹션 헤더에서 델타-T를 추출하여 계수를 시작하는 과정과,
    현제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측정하는 과정과,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추정하는 과정과,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을 계산하는 과정과,
    버스트 경계 검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버스트 경계 검출을 하지 못하면,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에 도달하였으면 버스트 오프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버스트의 남은 크기(BSr)를 아래 <수학식 16>을 통해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BSr = DTc × CBw
    여기서, BS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이고, DTc는 현재 섹션 검출 시점에서의 델타-T 이고, CBw는 현재 버스트에서의 컨스탄트 대역폭(Constant BW)이다.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추정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BDr)를 아래 <수학식 17>을 통해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BDr = BSr / (BBs × 0.96)
    여기서, BD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이고, BS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크기이고, BBs는 참조 버스트의 대역폭이다.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버스트 경계 최적값(OBD)을 아래 <수학식 18>를 통해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트 오프 제어 방법.
    OBD = BDp + BDr
    여기서, OBD는 약전계에서 버스트 경계를 검출할 수 없을 때 버스트 경계로 사용하는 버스트 경계 최적값이고, BDp는 현재 섹션이 검출된 시점까지의 버스트 길이이고, BDr는 현재 수신위치에서의 버스트의 남은 길이이다.
KR1020070100146A 2007-10-05 2007-10-05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KR2009003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146A KR20090035081A (ko) 2007-10-05 2007-10-05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146A KR20090035081A (ko) 2007-10-05 2007-10-05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081A true KR20090035081A (ko) 2009-04-09

Family

ID=4076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146A KR20090035081A (ko) 2007-10-05 2007-10-05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0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91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 multi-carrier signal
US20070019578A1 (en) Method for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in battery powered handheld and mobile devices
EP171797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data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2337651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0195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EP1946449B1 (en) Power saving in signal processing in receivers
WO2006085326A2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memory requirements
WO2004066652A1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providing digital broadband transmission
RU2005138487A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с параметрами квантования времени в служебной информации
KR101381476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CN1985445A (zh) 在无干扰方式下能与gsm发射机共同操作的地面数字视频广播(dvb-t)接收机
KR100724890B1 (ko) 디브이비-에이치 수신기에서 리드-솔로몬 복호를 위한프레임 경계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프로토콜 캡슐화-순방향 에러 정정 복호 방법
KR100827075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US9667757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090006926A1 (en) Device Providing Selective Error Correction Data Reception
KR2009006604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장치
US20100050056A1 (en) Receiver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90035081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버스트 오프 제어 장치 및방법
AU2020294302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0409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 데이터의 버퍼링 및복호 방법 및 장치
KR200900351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수신 장치및 방법
KR2008004709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46891B1 (ko) 휴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장치 및방법
Gardikis et al. Evaluation of the DVB-H data link layer
Kornfeld Optimizing the DVB-H time interleaving scheme on the link layer for high quality mobile broadcasting re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