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381A -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381A
KR20070080381A KR1020060011649A KR20060011649A KR20070080381A KR 20070080381 A KR20070080381 A KR 20070080381A KR 1020060011649 A KR1020060011649 A KR 1020060011649A KR 20060011649 A KR20060011649 A KR 20060011649A KR 20070080381 A KR20070080381 A KR 2007008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dio data
slave
outpu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333B1 (ko
Inventor
유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3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21Bluetoo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되며, 마스터 단말기가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전송되는 오디오데이터들을 재생하는 방법이,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하에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연주 할 곡을 통신링크를 통해 다운 받아 동기에 맞춰 연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통신링크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타입을 통보하고 접속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여 다운을 받도록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시작시간 및 오디오출력 시간 동기에 따른 제어정보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터들을 상기 맞춰진 동기시간에 따라 합주용 오디오신호로 연주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음악을 다양한 악기들로 구성하여 합주하는 경우, 복수의 휴대단말기에 각각 다른 악기들을 설정하고, 이들 휴대단말기들이 동일한 곡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악기음들을 출력하면 마스터 휴대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악기음들을 합주 형태의 오케스트라 음악파일로 생성 및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멀티미디어 합성, 합주, 오케스트라 연주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DATA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처리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악기 연주를 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합주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터 휴대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 휴대단말기의 제어하에 합주 기능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휴대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휴대단말기들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동기에 맞춰 합주 형태로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대표적인 장치가 휴대 전화기이다. 상기 휴대전화기는 고유의 전화기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 부가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들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캠코더폰, TV 시청이 가능한 TV 폰, MP3등의 음악 청취가 가능한 MP3폰, 위성방송 및(또는) 지상파 방송의 시청이 가능한 디지탈방송 폰 등이 될 수 있다. 즉, 현재의 휴대전화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은 단독모드로 이루어진다. 즉, 유/무선을 통해 다운로드된 음악 파일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 파일들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단독으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므로 그 볼륨을 최대로 하더라도 재생되는 음악의 음량에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두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서라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휴대단말기에 스피커들이 배치되는 간격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음악 파일을 재생할 때, 단독으로 음악 파일을 재생하게 되므로, 여러 휴대단말기들에 의해 동시에 연주하여 합주 형태로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휴대단말기들을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구분하고, 마스터 휴대단말기의 제어하여 상기 슬레이브 휴대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동기에 맞춰 재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휴대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들을 합주 형태의 오디오신호로 동기에 맞춰 연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로 구분된 복수의 휴대단말기들이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형태로 링크되고,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 하에 다수의 휴대단말기들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설정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오디오신호들을 합주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연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마스터휴대단말기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전송되는 오디오데이터들을 재생하는 방법이, 상기 통신링크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 타입을 통보하고 접속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여 다운을 받도록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시작시간 및 오디오출력 시간 동기에 따른 제어정보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터들을 상기 설정된 시간 동기에 맞춰 합주 오디오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가 설정된 오디오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방법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통신링크를 통해 연주할 오디오 타입을 통보되면, 상기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단말기 에서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 출력시작시간 및 출력 시간 동기에 따른 제어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시작 동기시간에서 맞춰 상기 설정된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휴대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복합 기능의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작은 크기의 휴대단말기 임에도 불구하고 서라운드 스테레오를 위해 2개 이상의 스피커들을 사용하여 64폴리(poly) 이상 지원하는 휴대단말기들도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 능력 역시 매우 뛰어나 USB 2.0을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블루투스(bluetooth), WAP, 와이브로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휴대단말기들이 유선(예를 들면 USB 통신인터페이스)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예를들면 블루투스, WAP, 와이브로 등)을 통해 링크되어 각각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통신하며, 특정의 휴대단말기가 상기 통신 링크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악이며, 통신링크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120은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2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20은 CDMA, GSM, UMTS 등과 같은 공중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와 공중 이동통신망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30은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와이브로(Wi_BRO) 통신망이 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140은 USB 또는 RS 등과 같이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키입력부17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170의 설정된 키를 통해 상기 미들렛의 다운로드 및 설치, 그리고 설치된 미들렛의 삭제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메모리110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호 처리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play) 및(또는) 특정 휴대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은 오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은 특정 악기음으로 이루어진 음악파일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 및 부호/복호화하는 코덱을 구비하여 송신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또한 수신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은 MSM 칩이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에서 상기 모뎀 및 코덱을 분리시킨 데이터 처리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부120과 제어부100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 멀티미디어 처리 모드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마스터 단말기인 경우, 재생할 멀티미디어의 선택권을 가지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통신 링크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재생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하에 부여된 역할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하며, 또한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하에 상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표시부17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70은 통신 및 멀티미디어 처리 모드시 해당모드에서 처리되는 이미지들을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160은 통신 및 멀티미디어 처리 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해당 모드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은 두개의 스피커들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신호를 스테레오 및(또는) 서라운드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들을 이용하여 각 휴대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휴대단말기들 중 특정 한 단말기를 마스터 단말기로 마스터 단말기로 설정하고 나머지 단말기들을 슬레이브 단말기로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통신 링크를 통해 공통으로 접속시킨다. 이때 상기 통신링크는 근거리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링크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형성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통신망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음악으로, 각 악기의 오디오신호들이라고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재생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상기 도 2는 마스터 단말기와 갱신(update) 과정에 참가할 슬레이브 단말기들 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는 복수의 휴대단말기들이 블루투스 통신으로 접속되며,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master device)가 지휘자 역할(director role)을 하고, 나머지 슬레이브 단말기(device)들이 연주자 역할(play role)을 한다. 그리 고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출력해야할 악기를 설정하고,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설정된 악기음을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며,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개의 오디오신호들을 합주 형태의 오디오신호로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지휘자 역할을 하는 마스터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연주할 곡의 선택권을 가지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역할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역할은 각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결정하고, 이를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보고하여 승인을 받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연주의 동기를 맞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전체 연주의 동기를 맞추는 방법은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연주시간을 동일한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 하에 동시에 연주를 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전체 연주의 동기를 맞추는 방법은 마스터 단말기가 지휘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tick)를 방송(broadcasting)하고, 이에 따라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상기 제어정보(tick)에 맞춰 연주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연주할 곡의 전체 데이터(모든 악기의 연주 정보)를 연주자(player)인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전달해 줄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상기 연주되는 각 휴대단말기의 오디오신호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컴퓨터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 말기들 중의 어느 한 휴대단말기가 마스터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 역할을 하는 슬레이브 단말기들(상기 도 2에서 device A,B,C, others)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의해 자신의 역할(악기)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직접 자신이 연주할 악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자신이 선택한 악기를 통보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승인하에 선택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연주할 곡에 대하여 선택된 악기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단말기로부터 전달받거나 또는 유/무선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하에 선택된 악기의 연주를 시작하며, 이때 표시부150에는 약속된 여러 가지 패턴을 독립적으로 표시하여 멀티미디어 효과를 최대로 표현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하에 연주 속도 및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상기 각 슬레이브 휴대단말기는 적절한 애니메이션을 표시부15에 출력하여 멀티미디어 효과를 강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통신 링크를 형성한 후 연주자 역할을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접속을 대기한다. 여기서 통신링크는 근거리통신부230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기 근거리통신부230이 블루투스 통신부라고 가정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연주할 곡목이 선택되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연주곡목을 결정한 후, 접속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연주 곡목을 전달하고 상기 곡을 연주할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접속을 대기하며, 이후 접속을 수락한 슬레이브 휴대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메모리21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15단계에서 상기 리스트에 등록된 각 슬레이브 휴대단말기들에 연주할 각 악기(연주할 파트 등)를 설정하며, 설정된 상기 악기를 근거리 통신부230을 통해 해당하는 각 단말기들에 통보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연주할 각 악기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자신이 연주할 악기(연주할 파트 등) 정보를 통신 링크 상에 전송하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상기 근거리통신부230을 통해 이를 수신하며, 2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슬레이브 단말기의 악기 정보에 따라 연주할 악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연주자(슬레이브 단말기)들 별로 악기를 설정한 후,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17단계에서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각각 설정된 악기(또는 연주할 파트)의 음악 파일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가 연주할 악기의 음악 파일을 갖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219단계에서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에 연주할 악기의 음악 파일 또는 음악파일이 위치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230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악기의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악기의 음악파일이 위치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정보에 따라 악기의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터 단말기에 링크된 모든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각각 연주할 악기의 음악파일들을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21단계에서 근거리통신부230을 통해 연주를 시작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연주시작을 위한 제어정보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각각 설정된 악기의 음악파일을 출력할 시작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악파일의 연주 방법은 모든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동시에 설정된 음악파일의 해당 악기 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설정된 음악에서 특정한 시간에 출력되는 악기인 경우에는 해당 악기의 출력시작시간 및 악기의 출력 지속시간 등이 될 수 있다.즉, 전자의 방법은 모든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동일한 시간동안 출력할 수 있는 악기 파일을 가지고 있는 경우, 마스터 단말기들은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시작 시간만 일치시켜 제어하고,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설정된 시작 시간에서 구비하고 있는 음악화일의 악기음을 재생하여 출력하면 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음악파일에서 자신의 연주하여야 할 악기음 출력을 단속할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시작 시간에서 자신에게 설정된 악기음을 출력해야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시간 및 출력 지속시간들의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각각 시작 시간에서 설정된 지속 시간 크기로 악기음을 출력 할 수 있으며, 출력 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무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자의 방법은 연주할 음악파일에서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연주할 악기의 음악화일 데이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작시간 및 이에 따른 출력 지속시간 정보를 전달 받는다. 그리고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저장하고 있는 음악파일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연주 시간을 통보하면,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설정된 시간에서 설정된 악기의 음악 파일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23단계에서 근거리통신부230을 통해 수신되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연주 악기음들을 수신하여 합주 형태의 오디오신호로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22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연주 중인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시간 동기 정보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악기음의 볼륨을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인 시간동기정보 및(또는) 볼륨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단말기들은 각각 설정된 악기의 연주시간 및 출력되는 악기음의 볼륨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면서 연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하나의 음악파일에 대한 악기 연주 절차를 종료하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른 음악파일에 대한 연주를 계속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다른 음악파일의 연주를 계속하는 경우, 상기 마스터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213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연주할 음악파일을 선택한 후 상기와 같은 동작 절차를 반복한다. 그러나 더 이상 음악파일의 연주를 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스터단말기의 제어부100은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음악화일의 합주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연주자인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접속하기를 기다리며, 일정 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접속되면 연주할 곡목을 선택하고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연주할 악기(연주파트 등)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상기 접속된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상기 설정된 악기가 상기 선택된 곡목에서 연주할 데이터들 및 시간 정보들을 전송하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연주할 준비가 되면 연주 시작시간을 알려주어 연주를 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연주되는 각 악기들의 신호들을 합주 형태로 재생하며, 상기 재생 중에 필요한 경우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연주 시간을 동기시키기 위한 제어정보 및(또는) 볼륨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합주되는 곡목의 악기 재생시간 및(또는) 볼륨을 제어하면서 합주되는 음악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되는 음악신호는 상기 메모리210에 저장하여 이후 필요한 시간에 재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통신 링크를 형성하며, 마스터 단말기에서 연주자를 모집하는 경우 근거리통신부230을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통신부2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부라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연주곡목을 결정한 후, 접속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연주 곡목을 전달하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13단계에서 이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 부100은 315단계에서 상기 마스터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연주할 각 악기(연주할 파트 등)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선택된 곡목에서 자신이 연주할 각 악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상기 315단계에서 자신이 연주할 악기(연주할 파트 등)를 선택한 후, 상기 악기선택 정보를 통신 링크 상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선택한 악기의 연주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한 악기를 따라 연주할 악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주자(슬레이브 단말기)들 별로 악기를 설정한 후, 상기 단말기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17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악기(또는 연주할 파트)의 음악 파일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가 연주할 악기의 음악 파일을 갖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연주할 악기의 음악 파일 또는 음악파일이 위치된 정보를 마스터 단말기에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230을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악기의 음악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악기의 음악파일이 위치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정보에 따라 악기의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단말기가 연주할 악기의 음악파일들을 구비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21단계에서 근거리통신부230을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연주 시간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여기서 상기 연주시간 제 어정보는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가 설정된 악기의 음악파일을 출력할 시작 시간 정보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시작 시간에서 구비하고 있는 음악화일의 악기음을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자신의 연주하여야 할 악기음 출력을 단속할 시간을 미리 설정된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음악파일은 시작 시간에서 설정된 악기음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작 시간 및 출력 지속시간들의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각 시작 시간에서 설정된 지속 시간 단위로 악기음을 출력 할 수 있으며, 출력 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무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단말기로부터 연주할 음악파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시작시간 및 이에 따른 출력 지속시간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악기의 연주를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슬레이브 단말기는 설정된 악기의 연주 시간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설정된 시작 시간에서 설정된 악기의 음악 파일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연주 악기음들을 합주되는 악기들의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연주 중인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시간 동기 정보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악기음의 볼륨을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인 시간동기정보 및(또는) 볼륨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단말기는 325단계에서 설정된 악기의 연주시간 및 출력되는 악기음의 볼륨 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면서 연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나의 음악파일에 대한 악기 연주 절차를 종료하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다른 음악파일에 대한 연주를 계속할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다른 음악파일의 연주를 계속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1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와 같은 동작 절차를 반복한다. 그러나 더 이상 음악파일의 연주를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제어부100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악기 연주 동작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에 접속한 후에 곡목과 자신이 연주할 악기를 배정받는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악파일의 악기 목록 중에서 자신이 연주할 악기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악기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설정된 악기를 연주하는데 필요한 음악정보 파일을 웹(web) 또는 마스터 단말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를 완료하면 연주 준비 상태로 천이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연주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설정된 악기의 연주를 시작한다. 이때 상기 시작명령은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동시에 연주가 가능하도록 시간 동기를 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악기 연주 시작은 음악 데이터 파일에서 해당 악기가 연주되어야 하는 시간들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제어하에 설정된 시간에 시간 동기를 이루면서 악기 연주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여기서는 음악 연주 기능) 합주기능을 구현하 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어서 더 큰 멀티미디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각 단말기들은 각각 별도의 악기들을 맡아서 연주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체 단말기들이 동일한 곡을 합주(오케스트라)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각 단말기들의 표시부150에는 적당한 악기 또는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합주의 멀티미디어 효과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악을 합주 형태로 연주하는 예를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음악 이외의 이미지도 [합성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배경화면에 인물을 출력하는 경우, 배경이미지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인물이미지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단말기를 설정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마스터 단말기가 단말기들을 제어하여 출력되는 이미지들을 하나의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경을 출력하는 슬레이브 단말기 및(또는) 인물을 출력하는 슬레이브 단말기들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의 출력 시작시간 및 출력 지속시간을 제어하면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또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단말기와 음악 등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슬레이브 단말기들을 설정하고, 마스터 단말기가 이들 슬레이브 단말기들을 제어하여 이미지에 오디오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터말기들을 네트 워킹(USB, bluetooth, 무선 LAN, WAP, 와이브로 등)을 이용해 동기에 맞춰 동시에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재생할 수 있다. 즉, 음악을 다양한 악기들로 구성하여 합주하는 경우, 복수의 휴대단말기에 각각 다른 악기들을 설정하고, 이들 휴대단말기들이 동일한 곡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악기음들을 출력하면 마스터 휴대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악기음들을 합주 형태의 오케스트라 음악파일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휴대단말기들이 낼 수 있는 최대 출력을 하나로 뭉쳐서 키울 수 있다. 또한 음악인 경우, 연주시에 실제 휴대단말기들을 공간에 적절하게 배치하면 서라운드, 스테레오 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들을 가진 사용자들끼리 같은 곡을 서로 나누어 연주할 수 있어 재미와 함께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마스터휴대단말기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전송되는 오디오데이터들을 합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링크를 통해 연주할 오디오 타입을 통보하고 접속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된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여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시작시간 및 오디오출력 시간 동기에 따른 제어정보들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동기 시간에 맞춰 상기 슬레이브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두 종류의 오디오데이터들을 합주 형태의 오디오로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한 후,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으면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시작시간 및 출력지속시간 정보를 가지며, 상기 출력시작시간에서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지속시간 동안 유지하므로써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들의 시간 동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타입은 노래 곡목이며,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설정되는 오디오 데이터들은 상기 설정된 곡목에 대한 특정 악기의 오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서 악기음의 데이터를 출력할 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악기음의 시간동기 및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링크는 근거리 통신 링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링크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재생 방법.
  8.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이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가 설정된 오디오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통신링크를 통해 연주할 오디오 타입을 통보되면, 상기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 출력시작시간 및 출력 시간 동기에 따른 제어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시작 동기시간에 맞춰 상기 설정된 오디오데이터를 상기 통신링크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전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으면 상기 마스 터 단말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요구하여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전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시작시간 및 출력지속시간 정보를 가지며, 상기 출력시작시간에서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지속시간 동안 유지하므로써 슬레이브 단말기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들의 시간 동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전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타입은 노래 곡목이며, 상기 설정되는 오디오 데이터들은 상기 설정된 곡목에 대한 특정 악기의 오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전송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서 제어정보에 의해 출력되는 악기음의 시간동기 및 볼륨을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60011649A 2006-02-07 2006-02-07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KR10115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649A KR101153333B1 (ko) 2006-02-07 2006-02-07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649A KR101153333B1 (ko) 2006-02-07 2006-02-07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381A true KR20070080381A (ko) 2007-08-10
KR101153333B1 KR101153333B1 (ko) 2012-06-05

Family

ID=3860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649A KR101153333B1 (ko) 2006-02-07 2006-02-07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3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041B1 (ko) * 2007-09-27 2009-04-15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적응적인 무선 링크 접속 제어 방법
KR101028488B1 (ko) * 2008-10-23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및 방법
KR101430446B1 (ko) * 2007-09-04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61A (ko) 2014-08-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389A (ko) * 2003-12-01 2005-06-08 주식회사 팬택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46B1 (ko) * 2007-09-04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KR100893041B1 (ko) * 2007-09-27 2009-04-15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적응적인 무선 링크 접속 제어 방법
KR101028488B1 (ko) * 2008-10-23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333B1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6546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karaoke function
US20070087686A1 (en) Audio playback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US7747338B2 (en) Audio system employing multiple mobile devices in concert
CN105390144B (zh) 一种音频处理方法和音频处理装置
JP200304709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音響再生システム
JP2009508177A (ja) 移動端末を用いてカラオケ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725065B2 (en) Themed ornaments with internet radio receiver
CN108345489A (zh) 一种点唱系统
JP2001061019A (ja) ダウンロードプログラムによる音楽データ再現システム
KR101153333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JP2002244654A (ja) 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及びプレイ装置
KR20100039946A (ko) 모바일 ip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459210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JP2004117892A (ja) 携帯カラオケ用アダプタ
JP2008263638A (ja) データ配信方法
JP2002244681A (ja) カラオケ楽曲データ再生機能付電話装置、カラオケ楽曲データ再生機能付デジタルテレビ装置及びカラオケ楽曲データ配信装置
KR100597969B1 (ko) 주문형 오디오 재생장치
KR102307639B1 (ko) 핸드폰 영상밴드 노래반주 시스템
EP1298639B1 (en)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karaoke function
JP2002123273A (ja) 情報端末装置
KR10067809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파일들을 편집하는 방법
JP4337185B2 (ja) 携帯型電話装置
JP3568491B2 (ja) 携帯式カラオケ装置
JP2005300863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CN113141602B (zh) 低延迟蓝牙音信传输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