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848A -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 Google Patents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848A
KR20070078848A KR1020050096870A KR20050096870A KR20070078848A KR 20070078848 A KR20070078848 A KR 20070078848A KR 1020050096870 A KR1020050096870 A KR 1020050096870A KR 20050096870 A KR20050096870 A KR 20050096870A KR 20070078848 A KR20070078848 A KR 20070078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entral
expansion
road surface
g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603B1 (ko
Inventor
강도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05009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6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8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enhancing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우시에 도로노면에 내려 우수받이로 유입되는 빗물의 배수처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확장빗물받이를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되어 빗물이 수집되는 중앙빗물집수정의 좌우에 각각 내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빗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능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중앙빗물집수정 및 확장빗물받이가 주물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각 구성품들의 제작 및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노면 측구에 삽입설치되는 중앙빗물집수정과, 상기 중앙빗물집수정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조립되는 확장빗물받이와, 앵커홀에 삽입되는 이음앵커로 구성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중앙빗물집수정과 확장빗물받이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레이팅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입된 빗물이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도로노면, 측구, 제작용이, 확장, 우수받이

Description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 우수받이{T-shaped Expansion Street Inlet of road side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가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가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 : 우수받이 2 : 도로노면
3 : 도로경계석 4 : 티형 확장 우수받이
5 : 중앙빗물집수정 7a, 7b : 확장빗물받이
9a, 9b, 9c : 그레이팅뚜껑 11a, 11b, 11c : 단턱
13 : 배수관홀 15 : 앵커홀
17 : 이음앵커 19 : 배수관
본 발명은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되는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우시에 빗물의 배수처리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확장빗물받이를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되는 중앙빗물집수정의 좌우에 연결하여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의 배수능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각 구성품들의 제작 및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는 도로 배수시설의 일환으로써 빗물받이라고도 하며, 도로 건설시 도로노면의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된 것으로, 도로노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우수받이에 유입된 빗물이 일측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공공하수도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가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수받이(1)는 빗물이 집수되도록 도로노면(2)과 보행자 길의 경계인 도로경계석(3)의 일측, 즉 도로노면(2)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구비되는데, 각 우수받이(1)는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호우시에 도로노면(2)에 내린 빗물은 상기 우수받이(1) 쪽으로 흘러 들어가 하수도로 배수되는데, 상기 우수받이(1)는 주로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빗물과 더불어 우수받이(1)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우수받이(1)의 상부에는 상기 우수받이(1)의 상면을 덮는 뚜껑이 구비된다.
상기의 우수받이(1)는 빗물이 유입되는 면적이 협소하여 상기 우수받이(1)의 뚜껑에 각종 쓰레기 및 이물질이 걸리게 될 경우, 빗물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더 나아가, 현재 우리나라의 우수받이(1)는 대홍수 및 폭우가 발생하여 우수받이(1)를 통해 배출 가능한 빗물량보다 강우량이 많아질 경우, 빗물이 하수도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역류됨으로써, 도로가 침수되어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거나 심한 경우, 통행이 불가하여 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인근 건물의 침수로 번져 재산 피해를 가져와 사실상 우수받이(1)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 주차장, 주유소, 세차장 및 공업, 상업지구 등의 지역에서는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상기 우수받이(1)로 유입되는 빗물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빗물에 의한 하류의 부담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빗물의 저장 또는 저수한계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도로침수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상기 지역의 경우 호우시, 빗물에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함유되는데 상기 빗물이 역류하게 될 경우 다른 지역으로 빗물이 배출되어 오염물질에 대한 지면의 오염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이 집수되도록 배치되는 중앙빗물집수정과, 상기 중앙빗물집수정의 좌우에 결합수단을 이용해 내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확장빗물받이를 구비하여 빗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빗물의 원활한 배수능력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 우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빗물집수정 및 확장빗물받이가 분리된 상태로 주물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공장에서 제작되며, 상기 구성품들이 상호 접촉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앵커홀에 이음앵커를 삽입함으로써 조립되도록 하여 상기 구성품들이 제작되고 일체로 조립되는 과정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 우수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배수관홀이 형성되고, 빗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상단과 좌우 측면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도로노면의 측구에 삽입설치되는 중앙빗물집수정과; 빗물이 수집되는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조립되며, 내부 의 공간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일측면이 개방된 확장빗물받이와; 상기 중앙빗물집수정과 확장빗물받이의 상호 접촉되는 각 면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다수 형성된 앵커홀에 삽입되는 일자형의 이음앵커로 구성되되, 상기 이음앵커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서로 접촉되는 앵커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중앙빗물집수정과 확장빗물받이가 일체로 조립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중앙빗물집수정과 확장빗물받이의 상단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과 확장빗물받이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레이팅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입된 빗물이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가 도로노면의 측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4)는 호우시에 도로노면(2)에 내린 빗물이 흘러 집수될 수 있도록 도로경계석(3)의 밑단인 도로노면(2) 의 측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며, 원활한 배수를 위해 협소한 유입면적을 확장한 구조로 크게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 및 그레이팅뚜껑(9a, 9b, 9c)의 분리된 구성품들로 구성되어, 결합수단을 이용해 일체로 조립한 후 상기 도로노면(2)의 측구에 삽입설치된다.
우선,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은 도로노면(2)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여 하수도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노면(2)의 측구에 삽입설치되는데 측구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과 좌우 측면의 상측 일부가 개방되고, 후술될 구성품과의 조립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의 하부 일측에는 빗물을 하수도로 배수시키는 배수관(19)이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관홀(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은 후술될 그레이팅뚜껑(9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의 마주보는 내주면 둘레에 단턱(11a)이 형성되며, 주로 직사각형이다.
상기 확장빗물받이(7a, 7b)는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빗물이 수집되는 티형 확장 우수받이(4)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의 공간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일측면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빗물받이(7a, 7b)는 중앙빗물집수정(5)의 좌우에 조립되기 위해 두개가 구비되며, 좌측면에 조립되는 확장빗물받이(7a)는 상단과 우측면이 개방되며, 우측면에 조립되는 확장빗물받이(7b)는 상단과 좌측면이 개방되는데,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의 개방된 좌우 측면의 상측 일부의 길이와 상기 두 확 장빗물받이(7a, 7b)의 깊이 폭이 동일하며, 상기 확장빗물받이(7a, 7b)와 중앙빗물집수정(5)의 상부 면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조립된다.
또한, 상기 확장빗물받이(7a, 7b)는 주로 직사각형이나 내부로 수집되는 빗물이 중앙빗물집수정(5)으로 잘 흘러갈 수 있도록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후술될 그레이팅뚜껑(9b, 9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의 내주면 둘레에 단턱(11b, 11c)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에는 조립을 위해 결합수단이 삽입될 앵커홀(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은 상기 확장빗물받이(7a, 7b)와 접촉되는 좌우 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의 좌측에 연결되는 확장빗물받이(7a)는 상호 접촉되는 우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앵커홀(15)이 다수 형성되되, 중앙빗물집수정(5)에 형성되는 앵커홀(15)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우측에 연결되는 확장빗물받이(7b)도 상호 접촉되는 좌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앵커홀(15)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를 일체로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앵커홀(15)에 삽입되는 일자형의 이음앵커(17)로 구성되는데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의 연결시 면이 접촉되어 마주보게 되는 두 앵커홀(15)에 상기 이음앵커(17)이 전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마주보게 형성된 앵커홀(15)의 수만큼 상기 이음앵커(17)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음앵커(17)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또는 스틸(Steel)로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그레이팅뚜껑(9a, 9b, 9c)은 티형 확장 우수받이(4)의 내부로 각종 쓰레기 및 이물질이 빗물과 더불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을 각각 덮을 수 있도록 3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의 상단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11a, 11b, 11c)에 안착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티형 확장 우수받이(4)에 있어서,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 및 확장빗물받이(7a, 7b)는 분리된 상태로 주물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공장에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구성품들이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품들이 제작되고 일체로 조립되는 과정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은 전반적인 구성은 동일하게 갖고, 일부 구성을 달리하거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티형 확장 우수받이(4)는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 및 그레이팅뚜껑(9a, 9b, 9c)의 기본 구성을 기대로 유지하며,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가 연결되는 사이 부분에 여과망 또는 필터(미도시)를 두어 상기 확장빗물받이(7a, 7b)를 통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으로 들어갈 수 있는 각종 쓰레기 및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망 또는 필터(미도시)가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앵커홀(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가 일체로 조립될 때 사이에 끼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여과망 또는 필터(미도시)를 세균번식을 억제하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물질로 가공하여 기능성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빗물집수정 및 확장빗물받이를 구비하여 빗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홍수 및 폭우시 빗물의 원활한 배수능력의 확보하여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그에 따른 도로의 침수, 보행자 및 차량 통행의 지장 또는 불가, 사고의 발생 우려 및 인근 건물의 침수로 인한 재산 피해를 예방하고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품들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분리 제작된 구성품들이 이음앵커를 이용해 간단히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성품들이 제작되고 상호 일체로 조립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배수관(19)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에 배수관홀(13)이 형성되고, 빗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상단과 좌우 측면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도로노면(2)의 측구에 삽입설치되는 중앙빗물집수정(5)과;
    빗물이 수집되는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조립되며, 내부의 공간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일측면이 개방된 확장빗물받이(7a, 7b)와;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의 상호 접촉되는 각 면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다수 형성된 앵커홀(15)에 삽입되는 일자형의 이음앵커(17)로 구성되되, 상기 이음앵커(17)가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서로 접촉되는 앵커홀(15)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가 일체로 조립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의 상단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11a, 11b, 11c)에 안착되어 상기 중앙빗물집수정(5)과 확장빗물받이(7a, 7b)를 각각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레이팅뚜껑(9a, 9b, 9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입된 빗물이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 우수받이.
KR1020050096870A 2005-10-14 2005-10-14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KR10075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870A KR100758603B1 (ko) 2005-10-14 2005-10-14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870A KR100758603B1 (ko) 2005-10-14 2005-10-14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848A true KR20070078848A (ko) 2007-08-03
KR100758603B1 KR100758603B1 (ko) 2007-09-14

Family

ID=3859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870A KR100758603B1 (ko) 2005-10-14 2005-10-14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071A (zh) * 2019-05-06 2019-07-26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36B1 (ko) 2015-02-10 2016-09-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KR102348400B1 (ko) * 2020-09-28 2022-01-07 그린로드(주) 점배수 기능을 겸한 선배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759Y1 (ko) 1996-09-12 1999-08-02 윤성길 배수구
KR100951061B1 (ko) * 2003-11-12 2010-04-07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KR20190000084U (ko) * 2018-12-10 2019-01-08 장수한 메모지가 내장된 스테이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071A (zh) * 2019-05-06 2019-07-26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CN110056071B (zh) * 2019-05-06 2024-05-07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603B1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KR100837429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악취방지장치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20190053753A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0758603B1 (ko)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0976851B1 (ko) 집수정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CN205329832U (zh) 带过滤框的雨水口
KR20090017869A (ko)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CN216237954U (zh) 基于路缘石与排水沟的雨水暗排构造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0951061B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101126280B1 (ko) 우수받이
KR200284862Y1 (ko) 배수용 그릴
JP3172550U (ja) 街渠桝
KR200268507Y1 (ko) 도로용 집수구
KR200399238Y1 (ko) 빗물배수용 우수전
KR200416889Y1 (ko) 맨홀 구조.
KR101054283B1 (ko) 빗물받이
KR200324404Y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