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654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654A
KR20070078654A KR1020060009139A KR20060009139A KR20070078654A KR 20070078654 A KR20070078654 A KR 20070078654A KR 1020060009139 A KR1020060009139 A KR 1020060009139A KR 20060009139 A KR20060009139 A KR 20060009139A KR 20070078654 A KR20070078654 A KR 2007007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nection part
case
contact portio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356B1 (ko
Inventor
백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3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7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테나가 장착되며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로 구성되어, 제1바디를 개방하면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하여 방사패턴이 인체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방사패턴의 인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단말기, 안테나, 그라운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바디 20 : 제2바디
22 : 안테나 30 : 그라운드 연결부
32 : 에프피시비 34 : 그라운드층
40 : 제1연결부 42 : 제1접속부
44 : 제1접촉부 50 : 제2연결부
52 : 제2접속부 54 : 제2접촉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바디가 개방되면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12)가 장착되는 폴더(110)와, 상기 폴더(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122)가 구비되며 후면에 배터리(124)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30)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110)와 본체(120) 사이는 힌지 연결부(132)에 의해 연결되어 폴더(110)가 본체(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안테나(130)는 본체(120)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상기 폴더(110)와 본체(120)는 에프피시비(1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폴더(110)에 장착되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신호가 본체(120)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됨과 아울러 인쇄회로기판의 신호가 폴더(110)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으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상기 에프피시비(FPCB)(140)는 본체(120)의 안테나(130)가 장착되는 부위의 반대쪽에 치우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폴더(110)의 케이스 내부에 형 성된 그라운드와 기판에 형성되는 그라운드가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방사패턴(15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의 안쪽면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통화시 인체(특히 머리부위)의 영향으로 인하여 방사패턴이 방해를 받게 되어 무선 통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바디를 개방하면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가 연결되도록 하여 방사패턴이 인체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방사패턴의 인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테나가 장착되며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디의 안쪽면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2바디의 안쪽면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음성을 전송하는 마이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부위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제1바디에 장착되어 제1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되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어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되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가 개방되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1접지부와, 상기 제1접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결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2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제1접촉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테나가 구비되며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를 연결하는 그라운드층이 형성되는 에프피시비와; 상기 제1바디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 드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안쪽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장착되고 바깥쪽면에 보조 디스플레이(14)가 장착되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미도시)와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안테나(22)가 장착되는 제2바디(20)와, 상기 제1바디(1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바디(10)의 그라운드(18)와 제2바디(20)의 그라운드(28)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0)의 케이스(16) 내면에는 도전성 물질로 도포된 그라운드(18)가 형성되고, 제2바디(20)의 케이스(26) 내면에도 역시 도전성 물질로 도포된 그라운드(28)가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는 힌지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는 에프피시비(FPCB)(32)에 의해 연결되어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의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에프피시비(32)에는 제1바디(10)의 케이스(16)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18)와 제2바디(20)의 케이스(26)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28)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층(3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에프피시비(32)는 안테나(22)가 설치되는 부위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30)는 제1바디(10)의 그라운드(18)에 연결되고 제1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연결부(40)와, 상기 제2바디(20)의 그라운드(28)에 연결되고 제2바디(2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제1바디(10)가 열리면 상기 제1연결부(40)와 접촉되어 제1연결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30)는 안테나(22)가 설치되는 부위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제1바디(10)의 케이스(16)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18)에 연결되는 제1접지부(42)와, 상기 제1접지부(4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10)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접촉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50)는 상기 제2바디(20)의 케이스(26)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28)에 연결되는 제1접지부(52)와, 상기 제1접지부(5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20)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바디(10)가 힌지 연결부(2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상기 제1접촉부(4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부(5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접촉부(44)는 안테나(22)와 가깝게 위치되는 부위의 제1 바디(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접촉부(54)는 상기 제1접촉부(44)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안테나(22)와 가까운 위치의 제1바디(10)의 상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에프피시비(32)에 장착되는 그라운드층(34)에 의해 안테나(22)와 먼 위치에서 제1바디(10)의 그라운드(18)와 제2바디(20)의 그라운드(28) 사이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바디(10)가 힌지 연결부(2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제1바디(10)의 그라운드(18)와 연결된 제1연결부(40)와 제2바디(20)의 그라운드(28)와 연결된 제2연결부(50)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바디(10)의 그라운드(18)와 제2바디(20)의 그라운드(28)가 안테나(22)와 가까운 위치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그러면, 제1바디(10)의 그라운드(18) 영향이 커지게 되어 방사패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가 닿는 제1바디(10)의 안쪽면은 작아지고 인체와 닿지 않는 제1바디(10)의 바깥쪽면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통화시 얼굴 부위가 닿는 제1바디(10)의 안쪽면의 방사패턴이 작아지기 때문에 전자파 인체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 에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가 장착되고, 제2바디에 제2바디의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가 장착되어, 제1바디를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방하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1바디쪽 그라운드 영향이 커지도록 하여 방사패턴이 제1바디의 안쪽면은 작아지게 하고, 제1바디의 바깥쪽면으로 확장시켜 인체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무선통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체쪽으로의 방사패턴을 감소시켜 전자파 인체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테나가 장착되며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안쪽면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기 제2바디의 안쪽면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음성을 전송하는 마이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부위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제1바디에 장착되어 제1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되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어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되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바디가 개방되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1접지부와, 상기 제1접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2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제1접촉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단자와 제2접촉단자는 상기 안테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제1바디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되고, 상기 제1바디가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테나가 구비되며 내면에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갖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를 연결하는 그라운드층이 형성되는 에프피시비와;
    상기 제1바디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 사이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피시비는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부위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부위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부는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된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된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제1바디가 개방되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1접지부와, 상기 제1접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도포된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2접지부와, 상기 제2접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제1접촉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는 상기 안테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되고, 상기 단말기가 열리게 되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09139A 2006-01-27 2006-01-27 휴대 단말기 KR10122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139A KR101229356B1 (ko) 2006-01-27 2006-01-27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139A KR101229356B1 (ko) 2006-01-27 2006-01-27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654A true KR20070078654A (ko) 2007-08-01
KR101229356B1 KR101229356B1 (ko) 2013-02-05

Family

ID=3859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139A KR101229356B1 (ko) 2006-01-27 2006-01-2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3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35B1 (ko) * 2002-08-27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 그라운드 보강층 구조
KR20040020218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Sar이 개선된 휴대폰
TWI349473B (en) * 2003-07-11 2011-09-21 Sk Telecom Co Ltd Apparatus for reducing ground effects in a folder-typ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KR20050061960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팬택 정전기 제거 특성이 강화된 에프피씨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356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137B (zh) 便携无线装置
EP1764861B1 (en) Antenna integrated speaker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JP4786197B2 (ja) 携帯無線装置
JP2007088692A (ja) 携帯無線機
JP4312100B2 (ja) 携帯通信端末
WO2005112406A1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4637925B2 (ja) 電子機器
JP4605590B2 (ja) 無線端末装置
KR101144374B1 (ko) 휴대 단말기
KR20080100207A (ko) 휴대 무선기
KR20060003066A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 확장 안테나 지지체
KR20070078654A (ko) 휴대 단말기
JP4954823B2 (ja) 電子機器
JPWO2008084606A1 (ja) 携帯電話機
KR20090082433A (ko) 휴대전화기
JP2008153801A (ja) アンテナおよび無線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
JP2003143274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KR200700009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저감장치
KR10114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05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층형 회로기판
JP4926921B2 (ja) 携帯無線装置
JP5294921B2 (ja) 電子機器
JP3715607B2 (ja) 携帯無線装置
JP6166133B2 (ja) 携帯端末
JP4926904B2 (ja) 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