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078A - 외과용 임플란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외과용 임플란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078A
KR20070078078A KR1020070007460A KR20070007460A KR20070078078A KR 20070078078 A KR20070078078 A KR 20070078078A KR 1020070007460 A KR1020070007460 A KR 1020070007460A KR 20070007460 A KR20070007460 A KR 20070007460A KR 20070078078 A KR20070078078 A KR 2007007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ryletherketone
region
surgical implant
implant
crystalli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 포조넨
토티 린드그렌
토니 푸하카
하리 하포넨
오보 카이코넨
Original Assignee
이니온 오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니온 오위 filed Critical 이니온 오위
Publication of KR2007007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63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for changing crystal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29C2071/022Ann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임플란트 및 이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과용 임플란트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는다.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은 단독중합체이고,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3)은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폴리아릴에테르케톤, 비정질 중합체, 결정질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Description

외과용 임플란트 및 그 제조 방법{SURGICAL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비정질 PEEK 샘플의 DSC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결정질 PEEK 샘플의 DSC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임플란트의 상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임플란트의 신장율 대비 인장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의 외과용 임플란트의 측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의 외과용 임플란트의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의 외과용 임플란트의 개요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의 외과용 임플란트의 일부분에 대한 상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6의 외과용 임플란트의 상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0은 비정질 PEEK로 제조된 박판의 시간 대비 인장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결정질 PEEK로 제조된 박판의 시간 대비 인장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한 임플란트의 개요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 박판 2: 고정 구멍 3: 제 1 영역 4: 제 2 영역 5: 몸체부
본 발명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polyaryletherketone, PAEK)을 포함하는 몸체부(body)를 갖는 외과용 임플란트(implant)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는 외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관 장기에 이식할 수 있는 다양한 인공 임플란트(implant)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기관 장기에 이식할 수 있는 성형된 단편, 예를 들면 막, 고정 박판, 기타 입체적 공간적 부품, 고정 수단, 예컨대 나사, 핀, 리벳, 압정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치료 중에 조직을 지지하거나 부착시키는 용도, 또는 조직을 다른 조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생분해성 또는 생체안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생체안정성 임플란트는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일부 생체안정성 임플란트는 고결정질 중합체, 예를 들면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oly-ether-ether-ketone) 으로 제조된다. 생체안정성 중합체로 제조된 임플란트의 기계적 강도는 대개 매우 높은 결정도에 의해서, 그리고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와 같은 강화 섬유를 사용해서 증가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임플란트는 매우 경직된 구조를 가지므로, 지지하고자 하는 골(骨) 조직이 높은 응력에 노출되는 경우의 수술에 적합하다. 외과용 임플란트로서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생체안정성 고결정질 중합체중 하나는 1998년에 VIctrex®에서 발매한 PEEK-OPTIMA® 생체재료이다.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은 PAEK(폴리아릴에테르케톤) 플라스틱 부류중 가장 많이 알려진 성분일 것이다. PAEK 플라스틱은 여러 가지 우수한 특성, 특히 생분해성 중합체와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보유한 반결정질 계열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또한, PAEK 재료는 우수한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방사선성을 가지며 우수한 피로 내구성(fatigue durability)도 갖는다. 기타 잘 알려진 PAEK 플라스틱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PEK(폴리에테르케톤), PEKK(폴리에테르케톤케톤), PEEK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케톤) 및 PEKEKK(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을 들 수 있다. PEEK는 폴리방향족 반결정질 열가소성 수지로서, 전형적인 결정도는 30 내지 35%이고, 융점은 약 343℃이며, 용융 상태로부터 냉각시켰을 때 결정화 피이크 온도는 약 160℃이고, 유리 전이 온도는 약 145℃이다.
금속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PAEK 플라스틱의 장점은, 예를 들자면, 구조물 촬영이 불필요하고, X선을 사용해서 조직 성장이나 회복을 검사할 수 있다-이것은 보통 금속 부품에 의해 방해받는다-는 것이고, 또한 상기 용도 및 다른 용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금속 이온에 대한 알레르기성 조직 반응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진단뿐만 아니라 수술후 평가에 있어서도, X선, CT(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MRI(핵 자기 공명 영상) 촬영과 같은 현대의 영상 촬영 기법에 의해 치유 과정을 모니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X선 촬영에 있어서, 금속 임플란트에 의해 생성된 짙은 음영은 외과 수술의에게 중요한 영역과 중첩되어서, 조직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적절하게 확보하기가 어렵고 때로는 불가능하기까지 하다. 이것은 금속 임플란트로 인공 구조물을 형성한 CT 촬영시에도 마찬가지다. 일부 PAEK 플라스틱은 X선에 대하여 투과성이므로, CT 촬영시 인공 구조물 이미지가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플라스틱은 자성이 없기 때문에, MRI 기법은 플라스틱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EEK 중합체와 같은 유기 표면에는, 금속 표면에 비해서, 표면 개질 방법을 더욱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는 조직 또는 혈액과 직접 접촉하는 임플란트인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플라스틱 가공 기법과 적절한 연결 기법을 통해서 외과 임플란트를 설계하고 성형하는데 있어서 더욱 큰 자유도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폴리아릴에테르케톤과 같은 고결정질 중합체로 제조된 생체 안정성 임플란트와 관련된 한가지 문제점은, 쓰여질 위치에서(in situ) 필요한 형상으로 성형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부러진 뼈를 지지하는 지지판은 그 뼈를 적절하게 지탱하기 위해서 뼈의 해부학적 윤곽을 따라 성형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 단독중합체(homopolymer)이고, 임플란트 몸체부의 제 1 영역이 열량계에서 가열시 그것의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를케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로서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를 포함하는 재료(들)를 선택하는 단계, PAEK를 용융 상태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료(들)로부터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임플란트의 몸체부가 열량계에서 가열시 DSC 곡선에서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으로 구성된 제 1 영역을 갖도록 상기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결정도가 낮은 PAEK로부터 제조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방법의 장점은, 비정질(amorphous) PAEK가 견고한 임플란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며 그 임플란트는 필요한 위치에서 영구적인 변형이 구부러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특징은, 임플란트의 몸체부의 제 2 영역은 제 1 영역과 동일하되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도록 PAEK가 불균일한 형태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의 장점은, 동일한 설계를 갖지만 비정질 PAEK만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보다 강도가 더 높고, 결정질 PAEK만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보다 파단시 신장률이 더 높다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횡단면적이 보다 작은 몸체부의 영역(들)에 존재하는 PAEK가 비정질 상태에서 냉각되고, 횡단면적이 보다 큰 몸체부의 영역(들)에 존재하는 PAEK는 결정질 상태에서 냉각되도록, 몸체부의 냉각 속도를 조절하는 것, 또는 상기 임플란트는 2개 이상의 영역을 갖고 이들 중 적어도 한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온도가 더 낮은 금형에서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의 장점은, 추가의 처리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통상의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의 처리 단계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간단한 방식으로 도시하였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PAEK를 PAEK와 관련된 강성 양상이 아닌 연성 양상을 보이는 비정질 또는 거의 비정질인 제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의외로 밝혀졌다.
비정질 또는 거의 비정질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PAEK의 온도를 상기 재료가 제품으로 성형될 수 있는 용융 상태에 도달하도록 고온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예컨대 사출 성형 장치, 압출기, 압축 성형 장치 또는 기타 잘 알려진 플라스틱 가공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충전제 물질들이 PAEK에 첨가되지 않은 경우, 재료를 가공 장치내로 공급하기 이전에 충전제 물질들을 재료에 첨가할 수 있다.
2. 상기 제품의 적어도 일부분을 급속 냉각시키거나 급냉시켜서 당해 부분에 존재하는 PAEK를 비정질 상태의 제품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품은 임플란트 완제품 또는 임플란트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반제품일 수 있다.
3. 경우에 따라서, PAEK를 상기 제품의 일부분에서 결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이 부분들을 열처리하여 당해 부분들에 존재하는 비정질 PAEK를 결정화시키는 단계.
"비정질"이라는 용어는 중합체가 그것의 DSC 곡선상에,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이에 후속하여 발열 결정화 피이크를 가지며, 다시 이에 후속하여 흡열 용융 피이크를 갖는 경우, 그 중합체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시차 주사 열량 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은 중합체의 열 전이 및 결정화도를 특성 분석하는 표준 방법이다. 비정질 PEEK의 여러 가지 특징들이 논의된 바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 ["Enthalpic relaxation in semi-crystalline PEEK", J. R. Atkinson, J. N. Hay, M. J. Jenkins, Polymer 43 (2002) 731-735]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비정질 PEEK 샘플의 DSC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DSC 곡선은 142℃ 내지 145℃ 부근에 뚜렷한 유리 전이 온도(Tg)를 나타내고, 이에 후속하여 160℃ 내지 170℃ 부근에 뚜렷한 발열 피이크를 나타내는데, 이 피이크는 열량계에서 가열시 발생하는 결정화 반응에 상응하는 것이며, 이에 이어서 335℃ 내지 345℃ 부근에 흡열 용융 피이크를 나타낸다.
도 2는 결정질 PEEK 샘플의 DSC 곡선을 나타낸다. 결정질 PEEK의 경우에, DSC 분석에서 미소한 유리 전이 현상이 여전히 관찰될 수 있지만, 당해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가 약 148℃ 내지 155℃로 상승하며, 이에 이어서 335℃ 내지 345℃ 부근에 흡열 용융 피이크만이 관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재료는 그것의 DSC 곡선상에 흡열 용융 피이크에 선행하는 발열 결정화 피이크를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발열 결정화 피이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결정질 PEEK를 열량계에서 더 가열하더라도 결정질 PEEK는 결정화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PEEK 의 결정도는 DSC 곡선에서 결정화 발열 및 용융 흡열 피이크 아래의 영역을 적분하고, 용융 엔탈피로부터 결정화 엔탈피를 추론하는 방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계산치를 100% 결정질 PEEK의 용융 엔탈피에 대한 이론치 130 J/g으로 나눈다.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PEEK-OPTIMA® LT 중합체의 결정화 엔탈피는 20℃/분의 DSC 가열 속도하에서 대개 약 20 J/g 내지 약 30 J/g이다.
통상적으로 비정질 PAEK는 광학적으로 비정질이다. 즉, 비정질 PAEK는 투명한 외관을 갖는다. 따라서, PAEK는 그것의 색과 광투과성에 기초하여 비정질임을 알 수 있다. 비정질 PAEK는 투명한 반면에 결정질 PAEK는 불투명하다. 구체적으로, 비정질 PEEK-OPTIMA® LT 중합체는 투명하고 암갈색인 반면에, 결정질 PEEK-OPTIMA ® LT 중합체는 불투명하고 담갈색이다. 두께가 약 0.2 내지 2.0 mm인 비정질 PEEK-OPTIMA® LT 시트를 흑점이 인쇄된 백색 종이 위에 놓을 경우, 그 시트를 통해서 인쇄된 흑점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두께가 동일한 결정질 PEEK-OPTIMA® LT 시트를 통해서는 인쇄된 흑점을 볼 수 없다.
PAEK 중합체의 결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과학적인 기법으로는 밀도 측정법,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분석법(FTIR), 광각 X-선 산란 분석법(WAXS) 등을 들 수 있다.
비정질 PEAK의 결정도는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결정도가 낮을수록 PAEK의 성형 특성은 더 우수하다. 결정도는 임플란트에 필요한 요건에 따라서 조정됨은 물론이다.
"결정질"이라는 용어는 중합체가 그 DSC 곡선에 발열 결정화 피이크를 전혀 갖지 않음을 의미한다. 결정질 PAEK의 결정도는 약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 공정을 통해서, 예를 들면,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형태, 케블라(Kevlar) 섬유 또는 휘스커(whisker) 섬유, 또는 중합체, 금속 및/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다른 섬유의 형태일 수 있는 충전제 물질을 첨가할 경우에, 본래의 충전제를 처리하지 않은 PAEK의 강도는 보다 큰 응력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뼈에 대한 강성 역시 섬유 또는 기타 충전제를 적절한 농도로 선택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뼈와 탄성률의 조화는 응력 차단 을 극소화시켜야 하는 용도에 있어서 중요하다. 비정질 영역과 결정질 영역은 별도로 또는 동시에 충전 및 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통상의 사출 성형 기법을 사용하여 보통 크기의 개의 뼈 모양을 갖는 인장 시험 표본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본의 길이는 100 mm이고 두께는 1.2 mm이며 넓이는 10.5 mm이었다. PEEK-OPTIMA® LT1 및 PEEK-OPTIMA® LT3 중합체의 펠릿을 영국, 토른톤 클레벨리에 소재하는 Invibio Ltd.로부터 구입하였다. 사출 성형하기에 앞서, 원료를 120℃에서 10 시간동안 건조시켜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시험 표본을 잘 알려진 Kraus-Maffei KM50C2 전자유압식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하였다. 성형기 배럴의 온도는 PEEK-OPTIMA® LT1 및 PEEK-OPTIMA® LT3 중합체 재료에 대하여 모두 355℃ 내지 375℃로 하였다.
금형 온도는 PEEK-OPTIMA® LT1 중합체 재료의 경우 55℃로 하였고, 유동성이 더 큰 PEEK-OPTIMA® LT3 중합체 재료의 경우에는 40℃로 하였다. 다시 말해서, 금형 온도는 가공하고자 하는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Tg)보다 상당히 더 낮은 온도이다. 이와 같이 성형한 결과, 금형내에서 재료의 급냉 및 응고가 일어났다. 이와 같은 급냉으로 인하여, 상기 재료는 충분한 수의 결정질 코어(core)가 적절하게 결정화될 정도의 시간을 갖지 못하였고, 따라서 재료는 비정질 상태로 응고되었다.
따라서, 상기 재료의 냉각은 매우 저온의 금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마찬가지로, 압출 노즐로부터 얻은 중합체 용융물을 매우 빠른 속도로 냉각시키는 방법을 압출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금형 또는 중합체 용융물을 냉각 시키기 위한 극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 예를 들면 액상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극저온 액체 또는 기체는 부품 또는 반제품의 표면에, 또는 기구 또는 금형에 직접 가할 수 있다. 또한, 반제품 또는 부품을 상기 액체 기체 또는 이의 고체 상태, 예컨대 드라이 아이스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비정질 시험 표본의 일부는 성형한 후에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시켜서 참조용 시험 표본을 얻었다. PAEK는 빠르게 경화하므로, 사출 성형 공정중에 금형 중공부(cavity)의 온도를 결정화 피이크 온도 범위로 가열할 경우 결정질 성형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정질 표본의 성형후 결정화 열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에 따라 진공로에서 수행하였다: 먼저, 온도를 150℃로 상승시키고, 이 온도에 16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4시간동안 175℃로 상승시키고, 그 후에 온도를 다시 200℃까지 상승시켜, 이 온도에서 16시간동안 방치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도를 자유롭게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상기 시험 표본들을 ISO 527 플라스틱 인장 응력 시험 표준 "인장 특성의 결정"에 따라 인장 응력에 대해 시험하여, 비정질 PEEK와 열처리된 결정질 PEEK 사이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제시하였다.
PEEK-OPTIMA® LT1
비정질 결정질
항복 강도(N) 평균 859.44 1,228.94
표준편차 35.46 12.23
항복 응력(MPa) 평균 73.22 106.71
표준편차 3.05 1.06
항복 변형시 신장 길이 (mm) 평균 2.45 2.44
표준편차 0.23 0.49
항복 변형시 신장률 (%) 평균 12.26 12.98
표준편차 1.16 2.13
파단시 신장 길이 (mm) 평균 37.52 14.77
표준편차 3.72 4.92
파단시 신장률 (%) 평균 187.61 12.98
표준편차 18.60 2.13
PEEK-OPTIMA® LT3
비정질 결정질
항복 강도(N) 평균 777.42 1,224.95
표준편차 9.57 14.50
항복 응력(MPa) 평균 62.03 98.39
표준편차 1.75 2.20
항복 변형시 신장 길이 (mm) 평균 2.45 3.37
표준편차 0.06 0.12
항복 변형시 신장률 (%) 평균 12.20 16.36
표준편차 0.30 0.58
파단시 신장 길이 (mm) 평균 56.03 6.52
표준편차 2.08 0.24
파단시 신장률 (%) 평균 280.13 32.61
표준편차 10.40 1.22
상기 시험 표본들의 결정도는 TA 기기 Q1000 DSC 장치를 사용해서 20℃/분의가열 속도하에 측정하였다. 이론치인 130 J/g을 100% 결정화된 PEEK 중합체의 용융 엔탈피로서 사용하였다. DSC의 보정은 순수한 인듐 표준 샘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인듐의 융점 온도는 157.35℃로 측정되었고, 용융 엔탈피는 28.39 J/g으로 측정되었다.
비정질 PEEK-OPTIMA® LT1 시험 표본의 결정도는 14.8%인 반면에, 비정질 PEEK-OPTIMA® LT3 시험 표본의 결정도는 9.7%였다. 결정화된 PEEK-OPTIMA® LT1 시험 표본의 결정도는 34%인 반면에, 결정화된 PEEK-OPTIMA® LT3 시험 표본의 결정도는 33%였다. 비정질 PEEK는 광학적으로 비정질이다. 다시 말하면, 비정질 PEEK는 분명하게 반투명성이다. 이와 달리, 결정화된 PEEK는 불투명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할 때, 결정질 PEEK는 비정질 PEEK보다 더 단단하다. 2가지 상에 대한 탄성 변형 범위는 크기 면에서 동일하다. 인장 강도 시험의 파단시 신장률에 비추어 보면, 비정질 PEEK는 PEEK에 비해서 상당히 연성이 더 크다. 비정질 PEEK는, 강도 등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제품에 영구적인 변형을 부여해야 하는 용도에 대해서 결정질 PEEK보다 더 적합하다. 이와 같은 제품은 예를 들어, 수술시 뼈의 표면 형태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위에 맞도록 굴곡시켜야 하는 박판형 임플란트를 들 수 있다.
금형 온도를 실온 수준까지, 즉, 약 20℃ 내지 25℃까지 감소시키면 5% 이하의 결정도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임플란트의 상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고정 박판(1)이다. 상기 고정 박판(1)은 일반적으로 공지의 소정 수단, 예를 들면 고정 구멍(2)를 통해 삽입되는 나사 또는 핀을 사용하여 골 조직의 부러짐 또는 쪼개짐 지점의 양측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상기 고정 박판(1)은 뼈를 바른 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최선의 방식으로 치유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고정 박판(1)은 총 6개의 고정 구멍(2)을 포함하며, 이 구멍들은 한줄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박판(1)의 몸체(5)를 통해서 돌출되어 있다. 성형 영역(6)들이 구멍(2)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고정 박판(1)은 다양한 수의 다양한 크기와 길이를 갖는 나사 구멍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또한, 고정 박판은 문자 L, T, X 또는 Y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다른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박판(1)은 PEEK 단독 중합체, 즉, 단일 유형의 단량체로만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PEEK는 예컨대 사출 성형, 압출 및 압축 성형에 의해서 쉽게 용융 가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박판(1)은 박판(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11개의 영역들로 구성된다. 제 1 영역(3)들은 주로 비정질 PEEK를 포함하며, 제 2 영역(4)들은 주로 결정질 PEEK를 포함한다. 명확한 표시를 위해서, 제 2 영역(4)들은 도 3에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박판(1)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성형하는 동안에 성형 영역에서, 즉, 구멍들 사이에서 전적으로 또는 적어도 주로 변형이 일어나는 반면에, 구멍(2)들은 실제로 전혀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결정질 영역과 비정질 영역을 둘다 포함하는 박판의 구성은 비정질 PEEK만을 포함하는 박판보다 더 강도가 높고, 결정질 PEEK만을 포함하는 박판보다 파단시 신장률이 더 높다.
도 4는 상기 박판(1)의 신장률 대비 인장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비정질 영역의 결정도는 9.5%이고, 결정질 영역의 결정도는 33.6%였다. 대조용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전부 비정질 PEEK만으로 이루어진 박판을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전부 결정질 PEEK만으로 이루어진 박판도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도 4는 결정질 영역과 비정질 영역을 둘다 포함하는 박판의 구성이 비정질 PEEK만을 포함하는 박판보다 강도가 더 높고, 결정질 PEEK만을 포함하는 박판보다 파단시 신장률이 더 높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상기 박판(1)의 가공 파라미터들을, 제 1 영역(3)이 연성과 성형 특성이 탁월한 비정질 영역인 반면에 구멍(2)에 바로 인접한 제 2 영역(4)이 결정질 영역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비정질 영역(3)의 연성 특성으로 말미암아 골합성(osteosynthesis)에 사용된 박판을 구부려서 뼈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판(1)은 성형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뼈의 치유를 충분히 뒷받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의 PAEK의 결정도는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의 PAEK의 결정도보다 15% 이상 더 낮다. 이런 식으로, 제 1 영역의 기계적 성질은 제 2 영역의 기계적 성질과 명백히 달라지므로, 임플란트를 구부릴 경우, 구부러짐은 제 1 영역에서만 일어나는 반면에 제 2 영역은 구부러지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박판(1) 전체가 PEEK로 제조된다. 상기 박판(1), 또는 기타 임플란트는 다른 PAEK, 예를 들면 PEK, PEKK, PEEKK 및 PEKEKK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일부분을 PAEK 이외의 다른 재료로 제조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구멍이 결정질 PAEK로 둘러싸이는 것은 아니고, 구멍들 중 일부는 비정질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박판을 해부학적인 윤곽을 따라서 성형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구멍(2)들 사이의 영역들중 일부분은 결정질 PAEK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할 경우에, 상기 구멍들 사이에서 박판의 강성이 증가한다.
상기 박판(1)의 제조 방법을 하기 실시예 2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판(1)은, 먼저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은 제조 파라미터와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박판(1)의 형태로 비정질 반제품 전체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PEEK-OPTIMA® LT3 재료로부터 제조하였다. 따라서, 금형의 온도가 낮아서 PEEK는 비정질 상태에서 경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정질 반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하여, 고온으로 가열되는 가열 헤드를 포함하는 열처리 장치내로 공급하였다. 각 가열 헤드는 당해 가열 헤드를 사용해서 가열하고자 하는 반제품의 부분의 형태와 동일하게 성형된 접촉 표면을 포함하였다. 상기 가열 헤드는 전기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것이며, 가열 자체는 전기 저항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가열 헤드를 결정화시키고자 하는 반제품의 위치에 대고 누른 다음 그 위치에서 약 10 내지 30초동안 유지시켰다. 이 경우에, 결정화시키고자 하는 부위들은 각각의 고정 구멍(2) 근처에 위치시켰다. 비정질 상태로 남겨두고자 하는 반제품의 영역들은 가열 헤드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공기와 자유롭게 접촉하였다. 가열 헤드를 이용하여 결정화시키고자 하는 영역들의 온도를 당해 영역에 포함된 PEEK가 결정질 상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상승시켰다. 가열 헤드의 온도는 전형적으로 230℃ 이상이며, 이때 온도는 주로 반제품의 두께, 형태 및 재료에 준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적으로 비정질인 반제품을 박판(1)로 전환시켰으며, 제조된 박판은 비정질 부분(3)과 결정질 부분(4)를 포함하는 불균일 제품이었다. 이와 같이 박판(1)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외부 냉각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 수단에 의해서, 결정화시키고자 하는 부분들을 가열하는 동안에 비정질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박판의 부분들을 냉각시킨다. 예를 들면, 냉각 단계는 상기 반제품의 해당 부분에 적합한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또는 통상 금속으로 만들어진 냉각 수단을 냉각시키고자 하는 반제품의 부분들에 대고 누르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제품 및 그것에 결합된 가열 헤드를 전부 냉각액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반제품의 해당 부분들을 결정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사용된 온도뿐만 아니라 반제품의 두께, 형태 및 재료에도 좌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판(1)은, 예를 들면, PEEK 또는 또 다른 PAEK로 제조된 나사를 사용해서 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도 역시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은 원리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비정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저온 금형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PAEK 나사의 장점은 그것이 연성을 갖는다는 점이며, 이로 인하여 나사는 당해 목적에 적합한 기구, 예컨대 Inion® TackerTM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사용된 기구의 해머가 나사 헤드를 칠때 나사가 파손될 위험없이, 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비정질 PAEK의 탄성 및 결정질 PAEK의 강도를 인대와 힘줄을 뼈에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는 고정장치(anchor)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ACL 고정장치(전방 십자형 인대), PCL 고정장치(후방 십자형 인대) 또는 기타 연성 조직을 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기구, 예컨대 관절순(labrum) 또는 어깨의 회전 근개 파열을 봉합사 없이 치유하기 위한 압정(tack), 연성 조직을 뼈에 부착시키기 위한 봉합사 고정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유형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장치의 환형 부분(7)은 장착시 인장 압력 응력을 받는 부위로서, 비정질 PEEK로 제조되는 반면에, 톱니형 다리부(8)은 뼈에 물리는 부분으로서 결정질 PEEK로 제조된다. 이런 식으로, 상기 제품은 장착시에 매우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며, 뼈에 고정시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명확한 표시를 위해서, 비정질 재료의 영역은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2에 설명한 원리에 따라서 고정장치를 제조하였다. 고정장치의 DSC 측정 결과, 비정질 영역의 결정도는 15%이고, 결정질 영역의 결정도는 32%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임플란트는 소위 케이블 타이(cable tie)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비정질 부분과 결정질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개심(open chest heart) 수술 후에 절제된 흉골을 빠르고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타이는 골 내부의 길이방향 열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빠르고 확실한 고정 수단이다. 이외에도, 케이블 타이는 분쇄된 뼈를 교정하는데에도 유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케이블 타이를 종래의 강성 골절 고정 수단, 예를 들면 금속 박판 및 나사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소형 케이블 타이는 혈관을 접합하는 경우에도, 다시 말해서, 외과 수술중에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혈관의 세관을 결찰사로 묶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상기 케이블 타이의 잠금부(9)는 결정질 PAEK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잠금부(9)가 가장 강한 응력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밴드(10)은 비정질 PAEK 재료로 제조하여 모양에 따라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고, 또한 재료의 항복 한계(yield limit)를 다소 초과할 수 있는 인장 하중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밴드(10)은 약간 신장되지만 파단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타이 또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냉각 속도를 갖는 부분/영역들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기타 임플란트, 예를 들면 고정 구멍 주위에 재료의 두꺼운 영역을 갖는 고정 박판은, 예를 들어, PAEK를 등온 금형 내로 사출하는 방식으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잠금부(9)의 부피에 대한 그 외부 영역의 비율이 밴드(10)에서의 상응하는 비율에 비해서 실질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잠금부(9)를 구성하는 재료는 밴드(10)를 구성하는 재료에 비해서 상당히 더 느리게 냉각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잠금부(9)를 구성하는 재료는 결정질 상태로 배향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실온으로 냉각된 케이블 타이의 잠금부(9)는 결정질 PAEK로 구성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밴드(10)는 매우 빠르게 냉각되는데, 실온으로 냉각된 케이블 타이의 밴드(10)이 비정질 PAEK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타이 또는 기타 길고 가느다란 형태 또는 박판 형태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또는 그것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반제품을 금형에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데, 이때 금형 중공부의 한쪽 성형 표면은 상기 금형 중공부의 다른 한쪽 성형 표면 부분보다 더 온도가 낮다. 적당한 금형 온도를 선택하여, 저온의 성형 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PAEK를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도록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고온의 성형 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PAEK는 보다 느리게 냉각되므로 결정화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비정질 PAEK와 결정질 PAEK 사이의 기계적인 면에서의 차이점을 척추 케이지(cage)에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척추 케이지는 구멍이 있는 2개의 돌출부(11)를 포함한다. 척추 케이지를 조직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나사 또는 기타 수단을 상기 돌출부(12)에서 링(12)을 통해 조직에 맞춘다. 상기 링(12)은 아암(13)의 단부에 배열된다. 상기 아암(13)은 비정질 PAEK로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아암은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각도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외과 수술의는 척추 케이지를 다양한 수술 위치에 훨씬 자유롭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척추 케이지의 다른 부분은 결정질 PAEK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결정질 PAEK는 강성이며 단단하다. 명확한 표시를 위해서, 비정질 재료로 된 영역들을 도 7에는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메쉬(mesh) 박판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메쉬 박판은 2개의 주요 방향 X와 Y로 배열된 다수의 고정 구멍(2)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 박판은 박판의 몸체(5) 전체에 걸쳐 비정질인 PAEK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박판은 두개골 또는 관골구(Acetabulum) 등과 같은 고정 지점으로 성형하기가 용이하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박판(1)과 같은 기타 임플란트도 전부 비정질 PAEK 재료만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를 기관의 적소에 배치할 때 큰 하중을 받지 않는 경우 또는 임플란트가 매우 용이하고 다양하게 성형 가능한 것일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의 예로서는 안면 또는 두개 외과 수술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통상의 티타늄 박판과는 달리, 비정질 PAEK 박판을 박판의 기계적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여러 차례 구부릴 수 있다.
메쉬 박판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구멍의 일부 또는 심지어 전부에 바로 인접한 주변을 결정질 PAEK로 제조하고, 결정질 영역들 사이의 공간을 비정질 PAEK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박판은 다양한 관형 골의 파열부를 고정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박판은 지그재그 형태로 된 몸체부(5)를 갖고 다수의 고정 구멍(2)을 포함한다. 상기 박판은, 예컨대 탄소 섬유로 강화된 PEEK를 PEEK 매트릭스 중합체가 비정질로 유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냉각된 금형에서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박판은 실온에서 박판을 집게로 구부림으로써 뼈의 굴곡에 맞도록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박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PAEK로 제조된 나사는 PAEK를 고온의 금형에서 사출함으로써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상기 나사를 결정질이고 강성이 매우 크며 단단한 뼈에 잘 물리는 나사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박판을 다른 재료로 제조된 고정 수단을 사용해서 뼈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 두어야 한다.
결정질 PEEK는 생체적합성이고 생체안정성이며 가수분해 내성인 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와는 달리, PEEK의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에 관한 연구 사례는 문헌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비정질 PEEK의 생체적합성과 가수분해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결정도가 15% 이하인 비정질 박판을 PEEK-OPTIMA® LT3 중합체로부터 Inion CPS® PLT-1015 판 금형을 사용해서 사출 성형하였다. 일부 박판들은 실시예 1에 기술된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결정화시켜서 결정도가 25%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박판을 감마선을 사용하여 25 kGy의 최소 조사량으로 살균 처리하였다. 일부 박판들은 양(sheep) 피부 아래의 피하조직에 생체내 이식하고, 다른 박판들에 대해서는 시험관 내에서 가수분해 시험을 하였으며, 이때 상기 박판들은 37℃의 온도에서 최대 3년 동안 실험실 내 항온처리기에서 생리학적 인산염 완충 용액 중에 보관하였다. 도 10 및 도 11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비정질 및 결정질 PEEK 박판의 인장 강도의 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비정질 박판은 결정질 PEEK 박판과 완전히 동등한 가수분해 내성과 생체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서 PAEK는 모든 공지의 방법, 장치 및 원리를 사용해서,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 에틸렌 옥사이드, 플라즈마 살균법, 자외선 살균법, 감마선 살균법, 전자 살균법 등을 사용해서 살균 처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두어야 한다. 높은 가공 온도에 기인하여, PAEK 제품은 성형 후에 살균시킨다. 따라서, 제품을 가공 장치로부터 살균 포장 영역으로 즉각 이동시킨다면, 살균 포장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별도의 살균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고정 박판의 형태 안정성은 예를 들자면 안면 및 두개 외과 수술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건이다. 상기 박판은 종종 복잡한 형태로 구부러져야 하고, 또한 박판은 생리학적인 상황하에서 그 형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PEEK 굴곡 각도의 안정성은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비정질(결정도 15% 이하) 및 결정질(결정도 30% 이상)인, 두께 1.3 mm, 너비 7 mm 및 길이 37 mm이며, 구멍 간격이 6 mm이고 구멍 직경이 2mm인 6개의 구멍을 갖는 두개안면(craniomaxillofacial) 수술용 박판(Inion CPS® 2.0mm system PLT-1038 박판과 유사한 형태)들을 시험하고자 하는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비정질 박판은, PEEK® Optima LT1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였다. 결정질 박판은 사출 성형된 비정질 박판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결정화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일련의 시험에서 5회의 병행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의 순서는 a) 비정질 및 b) 결정질로 하였다. 시험하고자 하는 샘플을 벤딩 플라이어 (Inion® Ins-9024)를 사용해서 구멍 사이의 박판 중앙부에서 90도 각도로 구부렸다.
소정의 각도로 구부리는 작업은 먼저 박판을 115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리고, 이어서 그 각도로 90도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는데, 초기 각도는 종이에 그려진 각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또한, 조정된 각도도 상기 각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부러진 샘플을 실온에 1시간 동안 보관하고, 이어서 각도계를 사용하여 각도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항온처리기에서 시험관내 조건으로 처리하였다(인산염 완충 용액 pH 7.4, 온도 37℃).
6주 동안 시험관내 조건으로 처리한 후 다음과 같은 시간 간격으로 각을 측정하여 각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24시간, 48시간, 96시간, 1주, 3주 및 6주. 각의 측정은 각도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표 3은 박판의 굴곡 각도 안정성을 요약한 것이다.
굴곡 각 안정성
결정질 PEEK 비정질 PEEK
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0 90.7 0.7 90.8 1.3
0(시간) 90.7 0.7 90.8 1.3
1일 99.4 2.1 94.0 2.2
2일 100.3 2.5 94.4 1.1
4일 100.4 3.0 96.7 0.6
1주 100.4 3.0 94.6 3.0
3주 101.4 2.5 93.6 2.7
6주 103.0 2.3 95.0 3.1
위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비정질 PEEK는 결정질 PEEK에 비해서 성형된 상태를 더욱 우수하게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부위에서 필요한 형상으로 성형하기 용이한,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임플란트 몸체부의 제 1 영역이 열량계에서 가열시 그것의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것인 생체 안정성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음을 잘 알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 으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서 다양한 개조예와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6)

  1.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는 외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 단독중합체이고, 상기 몸체부의 제 1 영역(3)이 열량계에서 가열시 DSC(시차 주사 열량분석)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 광학적으로 비정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18%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전체가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고 충전제 물질이 충전되거나 충전되지 않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중합체는, 상기 몸체부의 제 2 영역(4)이, 상기 제 1 영역(3)과 동일하되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지 않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불균일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지 않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는 약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가 조직을 지지하기 위한 박판(1)이고, 상기 박판(1)은 박판(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연장하는 2개 이상의 고정 구멍(2) 및 상기 고정 구멍(2)들 사이의 성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역(3)은 하나 이상의 성형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4)은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2)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1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5%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0.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4)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1.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3)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상기 제 2 영역(4)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보다 15% 이상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힘줄 고정장치(anch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합사 없이 연성 조직을 뼈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압정(t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성 조직을 뼈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봉합사 고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척추 케이지(spinal c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타이(cable t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7.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쉬 박판(mesh p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케톤(PEK),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케톤(PEEKK) 및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PEKEKK)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에 보강 섬유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임플란트.
  20.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갖는 외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재료(들)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용융 상태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료(들)로부터 임플란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가 열량계에서 가열시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는 제 1 영역(3)을 갖도록 상기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3) 내의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 광학적으로 비정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18%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의 모든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결정도가 18%를 넘지 않도록 상기 임플란트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의 모든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이 그것의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도록 상기 임플란트를 가공하고, 상기 몸체부에 불균일한 구조가 생성/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선택된 영역(들)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몸체부가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영역(3) 및 DSC 곡선에 결정화 피이크를 갖지 않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영역(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구분 가능한 횡단면적들을 갖도록 상기 임플란트를 성형하며, 상기 몸체부의 가열 속도를,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몸체부의 영역(들)에 포함된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은 비정질 상태로 냉각되고, 횡단면적 이 상대적으로 큰 몸체부의 영역(들)에 포함된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은 결정질 상태로 냉각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2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더 낮은 온도로 존재하는 금형에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07460A 2006-01-25 2007-01-24 외과용 임플란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78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00802.5 2006-01-25
EP06100802A EP1813292A1 (en) 2006-01-25 2006-01-25 Surgical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078A true KR20070078078A (ko) 2007-07-30

Family

ID=3705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460A KR20070078078A (ko) 2006-01-25 2007-01-24 외과용 임플란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85488A1 (ko)
EP (1) EP1813292A1 (ko)
JP (1) JP2007252887A (ko)
KR (1) KR20070078078A (ko)
CN (1) CN101007182A (ko)
AU (1) AU2007200246A1 (ko)
CA (1) CA25744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17B1 (ko) * 2008-06-03 2009-02-18 구태훈 질성형용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5367B2 (en) 2003-09-29 2012-01-31 Smith & Nephew, Inc. Bone plate and bone plate assemblies including polyaxial fasteners
US8137382B2 (en) 2004-11-05 2012-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atomical features
US7749250B2 (en) 2006-02-03 2010-07-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8298262B2 (en) 2006-02-03 2012-10-3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7601165B2 (en) 2006-09-29 2009-10-1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suture loop
US8361113B2 (en) 2006-02-03 2013-01-29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088130B2 (en) 2006-02-03 2012-01-0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7909851B2 (en) 2006-02-03 2011-03-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9801708B2 (en) 2004-11-05 2017-10-3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303604B2 (en) 2004-11-05 2012-11-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US9017381B2 (en) 2007-04-10 2015-04-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Adjustable knotless loops
US8840645B2 (en) 2004-11-05 2014-09-2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128658B2 (en) 2004-11-05 2012-03-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bone
US7905904B2 (en) 2006-02-03 2011-03-15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7857830B2 (en) 2006-02-03 2010-12-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and conduit device
US8118836B2 (en) 2004-11-05 2012-02-2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998949B2 (en) 2004-11-09 2015-04-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conduit device
CN101272743B (zh) 2005-07-25 2011-01-26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使用多轴式板的系统
US8382807B2 (en) 2005-07-25 2013-02-26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olyaxial plates
CN103637840A (zh) 2005-08-23 2014-03-19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遥测矫形植入物
US9271713B2 (en) 2006-02-03 2016-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suture
US8562645B2 (en) 2006-09-29 2013-10-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8968364B2 (en) 2006-02-03 2015-03-0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ixation of an ACL graft
US9538998B2 (en) 2006-02-03 2017-01-1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ure fixation
US8936621B2 (en) 2006-02-03 2015-01-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8801783B2 (en) 2006-09-29 2014-08-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Prosthetic ligament system for knee joint
US8652172B2 (en) 2006-02-03 2014-02-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Flexible anchors for tissue fixation
US11311287B2 (en) 2006-02-03 2022-04-2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10517587B2 (en) 2006-02-03 2019-12-3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9149267B2 (en) 2006-02-03 2015-10-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574235B2 (en) 2006-02-03 2013-11-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rochanteric reattachment
US8251998B2 (en) 2006-08-16 2012-08-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Chondral defect repair
US8771352B2 (en) 2011-05-17 2014-07-0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ibial fixation of an ACL graft
US8652171B2 (en) 2006-02-03 2014-02-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tissue fixation
US8506597B2 (en) 2011-10-25 2013-08-1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sseous membrane reconstruction
US8562647B2 (en) 2006-09-29 2013-10-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soft tissue to bone
US8597327B2 (en) 2006-02-03 2013-12-03 Biomet Manufactu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nal closure
US9078644B2 (en) 2006-09-29 2015-07-14 Biomet Sports Medicine, Llc Fracture fixation device
US11259792B2 (en) 2006-02-03 2022-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atomical features
WO2007103276A2 (en) * 2006-03-03 2007-09-13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medicament
US9918826B2 (en) 2006-09-29 2018-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Scaffold for spring ligament repair
US11259794B2 (en) 2006-09-29 2022-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implanting soft tissue
US8672969B2 (en) 2006-09-29 2014-03-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Fracture fixation device
US8500818B2 (en) 2006-09-29 2013-08-06 Biomet Manufacturing, Llc Knee prosthesis assembly with ligament link
WO2009011824A1 (en) * 2007-07-13 2009-01-22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System and method for hernia mesh fixation
WO2009034086A2 (en) 2007-09-11 2009-03-19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Improved prosthetic devices
US20100227523A1 (en) * 2007-09-14 2010-09-09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bioactivity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and objects with surfaces improved thereby
US9144627B2 (en) * 2007-09-14 2015-09-29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bioactivity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and objects with surfaces improved thereby
US9492210B2 (en) 2008-10-15 2016-11-15 Smith & Nephew, Inc. Composite internal fixators
GB0818967D0 (en) * 2008-10-16 2008-11-26 Victrex Mfg Ltd Polymeric materials
CA2740252C (en) * 2008-10-24 2017-05-09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High purity diphenyl sulfon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ryletherketone)
CN102348430B (zh) * 2009-03-11 2017-09-01 艾克索乔纳斯公司 改善表面生物活性特征的方法及具有由此改善的表面的物体
US8343227B2 (en) 2009-05-28 2013-01-01 Biomet Manufacturing Corp. Knee prosthesis assembly with ligament link
US20110015752A1 (en) * 2009-07-14 2011-01-20 Biomet Manufacturing Corp. System and Method for Acetabular Cup
RU2552939C2 (ru) 2009-11-25 2015-06-10 Дифьюжн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Пост-загрузка покрытых цеолитом пластиков антимикробными ионами металлов
BR112012016027B1 (pt) 2009-12-11 2019-01-15 Difusion Technologies, Inc. método de produção de implantes antimicrobianos de polieteretercetona
GB201005035D0 (en) 2010-03-25 2010-05-12 Victrex Mfg Ltd Pipe
CA2795836C (en) 2010-05-07 2015-11-17 Difusion Technologies, Inc. Medical implant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luminosilicate particles incorporated therein
CA2811750C (en) 2010-08-23 2018-08-07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US10670960B2 (en) 2010-08-23 2020-06-02 Exogenesis Corporation Enhanced high aspect ratio etch performance using accelerated neutral beams derived from gas-cluster ion beams
US11199769B2 (en) 2010-08-23 2021-12-14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US10825685B2 (en) 2010-08-23 2020-11-03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CA2839423A1 (en) 2011-06-15 2012-12-20 Smith & Nephew, Inc. Variable angle locking implant
US10556042B2 (en) 2011-08-19 2020-02-11 Exogenesis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2758184A4 (en) 2011-08-22 2015-06-24 Exogenesis Corp METHOD FOR IMPROVING THE BIOACTIVE PROPERTIES OF A SURFACE AND OBJECTS WITH SUCH IMPROVED SURFACES
RU2014110963A (ru) * 2011-08-22 2015-09-27 Эксондженезис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2490350B (zh) * 2011-10-10 2014-12-17 黄登峰 利用peek材料制成脑颅骨的工艺及专用设备及应用
US9357991B2 (en) 2011-11-03 2016-06-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itching tendons
US9370350B2 (en) 2011-11-10 2016-06-21 Biomet Sports Medicine, Llc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81013B2 (en) 2011-11-10 2016-07-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14241B2 (en) 2011-11-10 2016-04-19 Biomet Sports Medicine, Llc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EP2786854B1 (en) * 2011-11-29 2018-02-14 Wuhan Constant Science and Technology Ltd. Process utilizing peek material to manufacture cerebral cranium bone and special equipment
KR102093095B1 (ko) 2012-03-28 2020-03-26 신세스 게엠바하 골 고정 부재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102127101B1 (ko) 2013-01-25 2020-06-29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임플란트를 위한 캡 및 임플란트 조립체
US9757119B2 (en) 2013-03-08 2017-09-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Visual aid for identifying suture limbs arthroscopically
US9918827B2 (en) 2013-03-14 2018-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Scaffold for spring ligament repair
US10136886B2 (en) 2013-12-20 2018-11-27 Biomet Sports Medicine, Llc Knotless soft tissue devices and techniques
US9615822B2 (en) 2014-05-30 2017-04-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Insertion tools and method for soft anchor
US9700291B2 (en) 2014-06-03 2017-07-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Capsule retractor
CN104042319A (zh) * 2014-06-27 2014-09-17 江苏艾迪尔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颌面t型接骨板
US10039543B2 (en) 2014-08-22 2018-08-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Non-sliding soft anchor
US9744704B2 (en) * 2014-10-06 2017-08-29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lding amorphous polyether ether ketone
US9955980B2 (en) 2015-02-24 2018-05-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Anatomic soft tissue repair
US9974534B2 (en) 2015-03-31 2018-05-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Suture anchor with soft anchor of electrospun fibers
DE102015215509A1 (de) * 2015-08-13 2017-02-16 Raumedic Ag Fixierkomponente zur Halterung eines medizinischen Arbeitsmittels
US10993750B2 (en) 2015-09-18 2021-05-04 Smith & Nephew, Inc. Bone plate
CN111583221B (zh) * 2020-04-30 2021-06-29 赤峰学院附属医院 颅颌面软硬组织的分析方法及装置、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9924A1 (de) * 1990-12-14 1992-06-17 Hoechst Ag Legierungen aus teilkristallinen und amorphen polyaryletherketonen
US5223203A (en) * 1991-04-08 1993-06-29 The Torrington Company Method for making a polymer part having an amorphous surface layer
US5236457A (en) * 1992-02-27 1993-08-17 Zimmer, Inc. Method of making an implant having a metallic porous surface
WO1996041836A1 (en) * 1995-06-09 1996-12-27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Highly-filled, moldable polyaryletherketones
EP0761242A1 (en) * 1995-08-21 1997-03-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Orthopaedic implant with bearing surface
GB0015424D0 (en) * 2000-06-24 2000-08-16 Victrex Mfg Ltd Bio-compatible polymeric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17B1 (ko) * 2008-06-03 2009-02-18 구태훈 질성형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52887A (ja) 2007-10-04
CN101007182A (zh) 2007-08-01
EP1813292A1 (en) 2007-08-01
CA2574409A1 (en) 2007-07-25
AU2007200246A1 (en) 2007-08-09
US20070185488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8078A (ko) 외과용 임플란트 및 그 제조 방법
Nieminen et al. Amorphous and crystalline polyetheretherketone: Mechanical properties and tissue reactions during a 3‐year follow‐up
US8303625B2 (en) Biodegradable shape memory polymeric sutures
Vert et al. Stereoregular bioresorbable polyesters for orthopaedic surgery
Ramakrishna An introduction to biocomposites
US8679164B2 (en) Compliant osteosynthesis fixation plate
JP3043778B2 (ja) 分解吸収性成型体および該成型体の製造方法
CN106687077A (zh) 各向异性生物复合材料、包含各向异性生物复合材料的医疗植入物及其治疗方法
BR112013006716B1 (pt) Mistura polimérica bioabsorvível, dispositivo médico bioabsorvível e método de fabricação do referido dispositivo
Ramakrishna et al. Biocomposites
Holmes et al. MacroPore resorbable devices in craniofacial surgery
Loh et al. Plasma surface modification of synthetic absorbable sutures
Kelley et al. Totally resorbable high-strength composite material
KR101569698B1 (ko) 생분해성 임플란트 구조체
Waris et al. Self-reinforced absorbable polylactide (SR-PLLA) plates in craniofacial surgery: a preliminary report on 14 patients
Gareb et al. Biocompatibility and degradation comparisons of four biodegradable copolymeric osteosynthesis systems used in maxillofacial surgery: A goat model with four years follow-up
EP2870940A1 (en) Kit for immobilization of a human's body part
Hovis et al. Biochemical and biomechanical properties of bioabsorbable implants used in fracture fixation
KR100772966B1 (ko) 유연성을 갖는 뼈 고정용 고강도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그의 제조방법
Yalçınozan et al. Comparison of custommade 3D printed bio-degradable plates and titanium anatomical plates at fracture treatment: a biomechanical study
CN101618586A (zh) 基于聚羟基烷酸酯材料的骨科内固定器械的制备方法
KR20160101955A (ko) 방사선 치료용 스페이서
Bachtiar Evaluation of 3D-Printed Biostable and Bioresorbable Elastomeric Thermoplastics for Medical Implant Applications
Jeewantha Shape memory polymer composite for adaptive components for orthosis and lower limb fracture fixators
Dwijaya et al. PRELIMINARY STUDY OF MATERIAL PROPERTIES ON PU-MG-ZN FOR ANEURYSM CLIP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