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935A -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935A
KR20070077935A KR20060007846A KR20060007846A KR20070077935A KR 20070077935 A KR20070077935 A KR 20070077935A KR 20060007846 A KR20060007846 A KR 20060007846A KR 20060007846 A KR20060007846 A KR 20060007846A KR 20070077935 A KR20070077935 A KR 20070077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interworking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531B1 (ko
Inventor
서창환
Original Assignee
서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환 filed Critical 서창환
Priority to KR2006000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5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5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대응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의 연동에 의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특정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가 그 컨텐츠를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를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연동, 컨텐츠, 이동통신망, 유선인터넷

Description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INTERWORK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모바일 연동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를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예시된 처리 절차 수행 도중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생성되는 수익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단말기 200: 컨텐츠 제공 서버
300: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310: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 DB
320: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 수신부
330: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 분석부
340: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
350: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수신부
360: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
본 발명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말하면 모바일 기기(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 부재시에도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의 형태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초기에는 이동통신서비스가 단순한 음성통화, 문자 및 음성 메시지 전송 서비스만을 지원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선 컨텐츠 제공 서비스까지 지원하고 있다.
무선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각종 컨텐츠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예컨대, 음악파일, 이미지 파일, 게임 등)를 선택한 후 그 컨텐츠를 다운받을 이동통신단말기를 지정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컨텐츠를 지정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이 때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과금은 사용자가 선택한 방법(예컨대, 무통장 입금, 카드 결제 및 휴대폰 결제 등)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무선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들은 컨텐츠들 각각에 대하여 '모바일 기기용'과 '개인용 컴퓨터(PC)(이하, '컴퓨터'라 칭함)'용 컨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제공하고 있다. 또는 모바일 기기용 컨텐츠와 개인용 컴퓨터 컨텐츠를 각각 별도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특정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에서 모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용 컨텐츠와 컴퓨터용 컨텐츠를 각각 다운 받아야 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동일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에서 다운로드 받아야 하므로 번거로움을 감수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컨텐츠가 유료인 경우 사용자는 이중으로 비용을 부담하여야 했다. 만약 사용자가 유료인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서만 다운로드 받았다면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상에서는 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해당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 부재시에도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예컨대, 컨 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연동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와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예컨대, 컴퓨터 등)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대응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분석하여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대응된 컨텐츠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 전송 단계는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수신단계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 단계는 유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의 연동에 의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유선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는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연동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메시지 수신부;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로부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메시지 수신부;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게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부터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 및 그 분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관리하는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개수; 및 상기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정보, 이름,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는 유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게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2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대응된 컨텐츠 정보를 검출한 후 그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에게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부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및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달받고 그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엔트리를 검출하고 상기 엔트리에 대응된 컨텐츠 연동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엔트리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신규 엔트리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컨텐츠 제공 서버(200),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컴 퓨터(PC)(400)간의 연동 작용에 의해 수행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한 후 컨텐츠를 요청하면(S101),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그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게 전달함(S103)과 동시에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도 전달한다(S105).
그러면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그 컨텐츠를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100)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한 후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PC(400)의 요청(S107)에 응답하여 PC(4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다(S109).
이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고,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PC(400)는 유선 인터넷망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가 그 컨텐츠를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10),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Message, MSG) 수신부(320),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분석부(330),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수신부(350) 및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360)를 포함한다.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는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연동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즉,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는 모바일 기기(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와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예컨대, 컴퓨터 등)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동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는 모바일 기기 식별정보와, 대응된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들 각각의 정보들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 구조의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수신부(32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수신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컨텐츠 요청 MSG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그 컨텐츠 요청 MSG를 분석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연동 정보를 생 성하여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제공하는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수신부(32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그 컨텐츠 연동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수신부(32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하고,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수신함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분석부(330)는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수신부(320)에서 수신한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분석한다. 즉,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분석부(330)는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수신부(320)로부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전달받고, 그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분석하여 그 컨텐츠 연동 정보를 발생시킨 이동통신단말기(즉, 대응된 컨텐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에는 컨텐츠 요청 정보(예컨대, 대응된 컨텐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식별 결과를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에게 전달한다.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는 모바일 연동 정보를 관리한다. 즉,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는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에 신규 엔트리를 생성하거나, 기 저장된 엔트리 정보의 갱신 및 삭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는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분석 부(330)로부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분석 결과 및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전달받고,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에 포함된 컨텐츠 연동 정보를 저장할 저장영역을 판단한 후 해당 영역에 대응된 컨텐츠 연동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식별한 후 그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엔트리를 검출하고 그 엔트리에 해당 컨텐츠 정보를 추가한다.
만약 상기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식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에 없는 경우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는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신규 엔트리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수신부(350)로부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는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로부터 대응된 컨텐츠 정보를 검출한 후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다.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수신부(350)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를 수신한다. 즉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수신부(350)는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PC(400)로부터 모바일과의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를 수신하여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수신부(350)는 유선 인터넷망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360)는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340)로부터 컨 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그 컨텐츠를 대응된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예컨대, 컴퓨터)(400)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360)는 유선 인터넷망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유선 인터넷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모바일 연동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 DB(310)는 모바일 기기 식별 정보 필드(311)/컨텐츠 저장 정보 필드(312)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 식별 정보 필드(311)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모바일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저장 정보 필드(312)에는 대응된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저장 정보 필드(312)는 대응된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의 개수를 저장하는 컨텐츠 개수 필드(313)와 그 컨텐츠들 각각의 ID, 이름,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들(컨텐츠 ID_1(314), 컨텐츠 명_1(315), 컨텐츠 파일_1(316), …, 컨텐츠 ID_n(317), 컨텐츠 명_n(318), 컨텐츠 파일_n(319))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그 컨텐츠 요청 MSG를 생성하여 전달하면(S201)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컨텐츠 요청 MSG를 분석한다(S203). 이는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컨텐츠 요청 MSG'는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플래그 등)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요청 MSG' 구조의 예는 도 5a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요청 MSG'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a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요청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게 제공하고(S205)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컨텐츠를 저장한다(S207).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컨텐츠 요청 MSG 및 대응된 컨텐츠를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상기 분석 결과(S203)를 확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S209) 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생성하여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게 전달한다(S211). 이 때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 구조의 예는 도 5b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b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를 수신한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분석한다(S213). 그리고 그 분석 결과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를 분석하여 그 컨텐츠 연동 정보를 발생시킨 이동통신단말기(즉, 대응된 컨텐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식별한다(S215). 이를 위해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에는 컨텐츠 요청 정보(예컨대, 대응된 컨텐츠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S215)에서 컨텐츠 연동 정보를 발생시킨 이동통신단말기를 식별하였으면,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식별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 영역을 검출하고 그 저장 영역에 해당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S217).
한편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PC(400)로부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를 수신한 경우(S219)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PC(400)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한다(S221). 이를 위해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구조의 예는 도 5c에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c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인증(S221)이 성공한 경우(S223), 즉, PC(400)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 경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300)는 대응된 컨텐츠를 PC(400)에게 제공한다(S225). 이때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예시된 처리 절차 수행 도중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5a는 컨텐츠 요청 MSG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도 5b는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도 5c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컨텐츠 요청 MSG(10)는 이동통신단말기_식별정보(ID)(11)/컨텐츠제공서버_식별정보(ID)(13)/컨텐츠_요청정보(15)/모바일연동_표시플래그(17)/모바일연동서비스_제공서버주소(19)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11)는 컨텐츠 요청 MSG(10)를 전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 제공서버 식별정보(13)는 컨텐츠 요청 MSG(10)가 전달될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 요청정보(15)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요청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연동_표시 플래그(17)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고객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주소(19)는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고객인 경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소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5b를 참조하면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MSG(20)는 컨텐츠제공서버_식별정보(ID)(21)/모바일연동서비스_제공서버_식별정보(ID)(23)/컨텐츠정보(25)/컨텐츠요청정보(27)를 포함한다.
컨텐츠제공서버 식별정보(21)는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20)를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식별정보(23)는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MSG(20)가 전달될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 정보(25)는 모바일 및 유선 인터넷과 연동하여 제공할 컨텐츠 정보(예컨대, 컨텐츠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 요청 정보(27)는 해당 컨텐츠를 최초로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5c를 참조하면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30)는 PC_식별정보(ID)(31)/모바일연동서비스_제공서버_식별정보(33)/컨텐츠요청정보(35)/이동통신단말기식별정보(37)를 포함한다.
PC_식별정보(31)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30)를 전달하는 PC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연동서비스_제공서버_식별정보(33)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MSG(30)가 전달될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요청정보(35)는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식별정보(37)는 해당 컨텐츠가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생성되는 수익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과 유선 인터넷이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500)와, 컨텐츠 제공자(600)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사업자(700)간에 생성되는 수익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500)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사업자(700)에게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요금을 지불하고(S301), 모바일 연동 서비스 사업자(700)는 컨텐 츠 제공자(600)에게 컨텐츠 이용 요금을 지불한다(S303). 이로 인해 모바일 연동 서비스 사업자(700)는 사용자(500)와 컨텐츠 제공자(600) 사이에서 소정의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연동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특정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가 그 컨텐츠를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를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등) 부재시에도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예컨대,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대응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자인 경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분석하여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한 사용자의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계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대응된 컨텐츠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 전송 단계는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수신단계는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권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 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 단계는
    유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9.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의 연동에 의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모바일 연동 서비스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유선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는 유선 인터넷 접속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망과 유선 인터넷망을 연동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메시지 수신부;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메시지 분석부;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로부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메시지 수신부;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게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부터 상기 컨텐츠 연동 정보 전달 메시지 및 그 분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관리하는 모바일 연동 정보 관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대응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개수; 및
    상기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정보, 이름,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는
    유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장치에게 대응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2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연동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대응된 컨텐츠 정보를 검출한 후 그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연동 서비스 제공부에게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부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및 컨텐츠 연동정보 전달 메시지를 전달받고 그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엔트리를 검출하고 상기 엔트리에 대응된 컨텐츠 연동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연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엔트리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저장을 위한 신규 엔트리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60007846A 2006-01-25 2006-01-25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5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7846A KR100755531B1 (ko) 2006-01-25 2006-01-25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7846A KR100755531B1 (ko) 2006-01-25 2006-01-25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935A true KR20070077935A (ko) 2007-07-30
KR100755531B1 KR100755531B1 (ko) 2007-09-06

Family

ID=3850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7846A KR100755531B1 (ko) 2006-01-25 2006-01-25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41B1 (ko) * 2006-12-05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연계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34B1 (ko) * 2003-07-21 2012-05-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537778B1 (ko) * 2003-12-24 2005-12-20 김영철 유무선 인터넷을 연동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KR101021277B1 (ko) * 2004-02-06 201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13148B1 (ko) * 2004-08-31 2007-05-02 주식회사 코메스타 멀티미디어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41B1 (ko) * 2006-12-05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연계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531B1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4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erver, first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251518B2 (en) Centralized and device-aware ticket-transfer system and methods
KR101348126B1 (ko) 유저 인증의 용이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서버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RU2446470C2 (ru) Финансируемые за счет рекламы службы доступа к данным
US201903183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Wireless Device Users To Interact With Sponsor Offers And Advertising
JP2009522876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広告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939362A (zh) 用户账号管理方法及装置
CN105654321A (zh) 建立关联关系的方法及装置
US200800654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upon program
JP6510258B2 (ja) ユーザ属性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属性情報管理方法
JP2006259983A (ja) アフィリエイト・プログラム実施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5554545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
JP2004135229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10068238B2 (en) Incentive-based system and method for third-party web application development and publication
KR100755531B1 (ko)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216081A (ja) 情報・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広告配信方法
CN109348298A (zh) 信息推送、播放多媒体数据流的方法和设备
JP200212343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2005004427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KR20020029466A (ko) 공중컴퓨터 제어방법
KR100553156B1 (ko) 통신망을 통해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마케팅보상 방법
KR10098208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1264A (ko) 온라인상 친구관계를 이용한 연속적 광고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KR20100057872A (ko)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20170140609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