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087B1 -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087B1
KR100982087B1 KR1020030099196A KR20030099196A KR100982087B1 KR 100982087 B1 KR100982087 B1 KR 100982087B1 KR 1020030099196 A KR1020030099196 A KR 1020030099196A KR 20030099196 A KR20030099196 A KR 20030099196A KR 100982087 B1 KR100982087 B1 KR 10098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registered
interest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955A (ko
Inventor
이지훈
이진영
주성연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9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0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이 요청되면,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지를 먼저 판단한다.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컨텐츠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모두 원저작자인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제2 사용자가 중간 유통자인 경우, 컨텐츠를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제공하고 나머지를 중간 유통자인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원 저작자에 대하여 컨텐츠 유통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유통이 활성화될 수 있다.
Figure R1020030099196
컨텐츠 유통, 저작권 보호, 포인트,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contents circulation system through network and method thereof}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사용자들간의 관계 및 각 관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 유통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 하자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라 전 세계의 다양한 정보들을 인터넷(internet)이라는 거대한 연결망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싸이트들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로는 정보 전송형 서비스, 검색형 서비스, 정보 제공형 서비스 및 대화형 서비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중에서 정보 제공형 서비스는 윈도우 형식으로 하이퍼 텍스트형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주로 사용된다. 정보 제공형 서비스에서는 텍스트 문자열이 별도의 텍스트나 파일, 화상, 동화상, 음성 등에 링크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각각의 텍스트 문자열을 클릭하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해당 텍스트나 파일, 화상 등을 이용자의 컴퓨터 등으로 제공한다. 통상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텍스트, 화상, 동화상, 음성 등의 정보를 "컨텐츠"라고 명명한다.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웹 서버, 인터넷 접속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제반 기술 및 하드웨어가 요구되기 때문에, 어느 누구나 용이하게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컨텐츠를 게시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인터넷 상에서 게시하는 중개 서비스를 수행하는 싸이트들이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상에서 게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무 료로 제공되던 컨텐츠들이 점차 유료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한 사용자가 원 정보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1 단계에서만 컨텐츠 사용에 따른 유료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컨텐츠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배포되는 중간 유통시에는 정보 제공자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하여 빠르게 전파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를 초기에 제공하는 원 정보 제공자에게 컨텐츠 유통에 따른 보상을 하여 컨텐츠 유통을 보다 활성화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시스템으로,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 상기 컨텐츠 제공에 따른 사용료를 결제하는 결제부; 및 상기 결제된 사용료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제공하고, 나머지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요 청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처리부; 상기 컨텐츠 제공에 따른 사용료를 결제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에 원저작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보호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유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방법으로,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원저작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보호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저작 보호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유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방법으로,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제공하고, 나머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유통 방법은, a)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모두 원저작자인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사용자가 중간 유통자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제공하고 나머지를 상기 중간 유통자인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에서 중개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가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원저작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저장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제공으로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를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원저작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에서 중개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가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원저작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료를 원저작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에 대한 개념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이하, 컨텐츠 유통 시스템이라고 명명함)은 컨텐츠를 게시하고자 하는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인터넷 상에서 게시하며, 또한, 이러한 컨텐츠의 유통을 중개한다. 특히, 컨텐츠 유통시에 정보 제공자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들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툴(tool)을 제공하고, 이러한 툴에 의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게시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에게 유통시킨다. 또한, 정보 제공자들이 상기 툴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생성한 컨테츠들을 게시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에게 유통시킨다.
이러한 컨텐츠 유통시에 정보 제공자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유통 단계시마다 컨텐츠 사용료에 대한 일부를 원저작자에게 지불하며, 특히, 유통되는 컨텐츠에 원 정보 제공자의 정보를 항상 삽입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출처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이러한 컨텐츠 유통을 중개한 시스템(중개인)에게도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수수료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제공자를 "원 저작자"라고 명명하고,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를 "소비자"라고 하고, 컨텐츠를 구입한 후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유통시키는 사용자들을 "중간 유통자"라고 명명한다. 여기서, 중간 유통자는 소비자인 동시에 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유통자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유통시에 원 저작자 또는 중간 유통자와 특정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소정 혜택을 부여하여 컨텐츠 유통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A가 사용자 B를 관심인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 B를 사용자 A의 스타라고 하며, 사용자 A를 사용자 B의 팬이라고 명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들간에 스타와 팬이라는 관계가 형성되며, 스타와 팬 관계를 토대로 사용자들간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에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와 팬 관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 관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 유통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컨텐츠 유통 활성화를 위하여 사용자간에 형성되는 관계는 위의 스타와 팬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타와 팬 등의 특정 관계가 형성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컨텐츠가 유통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할인하는 등의 혜택을 부여하고,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를 중개인에게 제공하지 않고 각각 원저작자와 중간 유통자에게 각각 지불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사용료가 10인 경우에, 소비자가 정보 제공자(중간 유통자 또는 원저작자)와 특정 관계에 있으면 약 80%의 할인을 적용하여 소비자가 2만 사용료로 결제하도록 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자가 원저작자이면 결제된 사용료 2를 모두 정보 제공자에게 제공하고, 정보 제공자가 중간 유통자이면 결제된 사용료 중에서 1은 원저작자에게 나머지 1은 정보 제공자 즉, 중간 유통자에게 지불한다. 그러나, 소비자와 정보 제공자 사이에 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소비자는 사용료 100%를 결제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자가 원저작자이면 결제된 사용료 10을 9:1의 비율로 각각 원저작자와 중개인에게 제공한다. 정보 제공자가 중간 유통자이면 결제된 사용료 10을 1:8:1의 비율로 원저작자, 중간 유통자, 중개인에게 각각 제공한다.
이 경우에도 유통되는 컨텐츠에 원 정보 제공자의 정보를 항상 삽입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출처가 노출되도록 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타와 팬 등의 특정 관계가 형성되는 사용자들 또는 전혀 관계가 없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컨텐츠는 "포인트"라는 통화 가치를 토대로 유통된다. 포인트는 컨텐츠 유통의 과금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사용자간의 거래 활성화와 사용자의 적극적인 서비스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통화 가치는 포인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포인트는 실제 통화 화폐로 전환될 수 있으나, 가상의 화폐로서 금전적인 가치가 없을 수도 있다.
한편, 유통되는 컨텐츠는 네트워크 상에 게시 가능한 모든 것들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특정 파일, 사진과 같은 유형의 컨텐츠뿐만 아니라 스타 등록, 방송 듣기와 같은 무형의 컨텐츠까지 포함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00, 전화망, 인터넷, 무선 통신망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유선 전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PC 통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다수의 사용자들간에 컨텐츠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0), 처리 서버(20), 메일 서버(30), 메신저 서버(40) 및 인터페이스 서버(5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 등록 데이터베이스(12), 관심인 데이터베이스(13),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15), 및 블로그 데이터베이스(16)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을 통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할당된 식별자(사용자 ID)에 대응하여 로그인(login)을 위한 패스워드, 주민 등록 번호, 성명, 우편 주소, 전자 메일 주소, 연락처(이동 전화 번호 또는 유선 전화 번호 등) 등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등록 데이터베이스(1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별로 특정 관계를 형성한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ID, 메일 주소 등)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ID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가 스타로 등록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관심인 데이터베이스(13)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 ID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의 활동도와 인기도를 나타내는 팬 수, 연예인 등록 여부, 팬클럽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연예인은 스타 등록된 사용자들 중에서 팬 수가 설정 이상이면서, 그 순위가 설정 순위 내에 속하는 사용자들을 나타낸다.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에는 모든 사용자별로 포인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ID별로 부여된 계좌에 대응하여 포인트 충전 정보와 포인트 사용 정보, 그리고 사용 가능한 총 포인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포인트 충전 정보는 포인트 충전일, 충전액, 그리고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포인트가 충전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충전 경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 사용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회원으로의 등록 시에 기본 포인트를 부여받으며, 그 다음에 B2C 활동(예를 들어 소정 아이템 구매 등)을 통하여 소정의 포인트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원 저작자들은 컨텐츠 유통시마다 소정의 포인트를 충전 받을 수 있다. 한편,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들은 팬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포인트를 충전받을 수 있다.
포인트 사용 정보는 사용자별로 충전된 포인트를 사용한 내역을 나타내며, 사용일, 사용액, 사용 대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 사용자들은 포인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 대상에는 이와 같이, 포인트를 어디에 사용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는 사용자별로 스타로 등록한 사용자들에 대하여 어떠한 컨텐츠를 받고자 하는지를 나타내는 푸쉬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들은 컨텐츠 유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이 스타로 등록한 사용자들이 어떠한 활동을 할 경우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사용자들간에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크게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서비스는 예를 들어, 음악 방송, 스타 방송, 특집 방송 등의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방송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와, 주제별 토크, 미팅, 화상 채팅, 노래방, 비디오방 등의 사용자들간에 채팅 등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생성을 유도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노출시키고, 유통시키는 공간(일명, 스테이지)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서, 사용자들은 스테이지를 통하여 자신의 컨텐츠들을 마음대로 생성하고 노출시켜 스타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는 사용자별로 예를 들어 한 스타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스타 사용자가 제1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에만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나타내는 푸쉬 환경 정보가 저장되며, 다른 스타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스타 사용자가 제2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에만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나타내는 푸쉬 환경 정보가 저장된다. 이외에도, 각 서비스별로 어떠한 것만을 이용한 경우에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
블로그 데이터베이스(16)에는 각 사용자별로 저장형 개인 미디어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형 개인 미디어 커뮤니티는 각 사용자별로 컨텐츠(특히,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블로그"라고 명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ID에 대응하여 자신의 블로그의 식별 정보, 블로그에 저장된 컨텐츠 종류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들은 블로그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등을 게시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블로그에 게시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들간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 서버(20)는 사용자 등록부(21), 관계 형성부(22), 활동 감시부(23), 컨텐츠 제작부(24), 컨텐츠 처리부(25), 보상 처리부(26), 및 포인트 처리부(27)를 포함한다.
사용자 등록부(21)는 다수 사용자들의 회원 등록을 수행하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관계 형성부(22)는 사용자들간에 스타 및 팬 관계를 형성하며, 형성된 관계 정보를 등록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 및 관리한다.
활동 감시부(23)는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상에서의 활동을 감시하고, 스타 사용자의 활동시에 컨텐츠 처리부(25)로 이를 통보하여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가 팬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컨텐츠 제작부(24)는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영상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영상 편집 툴, 이미지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그림 제작 편집 툴, 노래 등의 음악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음악 편집 툴 등을 제공하며, 이러한 각종 툴에 의하여 제작된 컨텐츠들은 해당 사용자의 블로그 등의 저장 장소에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 제작 툴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컨텐츠 처리부(25)는 사용자별로 푸쉬 환경을 등록하는 푸쉬 환경 설정부(25a), 스타로 등록한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팬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푸쉬부(25b), 및 컨텐츠(특히, 사용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파일들일 수 있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유통부(25c)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텐츠 유통부(25c)는 사용자들간에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유통시키며, 특히, 컨텐츠의 원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유통되는 컨텐츠에 포함시켜 컨텐츠를 유통시킨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통되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원 저작자에 대한 정보를 "저작 보호 정보"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저작 보호 정보에는 원 저작자의 ID, 또는 별명, 또는 성명 등의 식별 정보, 해당 컨텐츠가 원 컨텐츠인지 아니면 유통에 따라 복사된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복사 정보, 해당 컨텐츠가 최초에 게시된 페이지에 대한 정보, 원저작자의 블로그로 연결되는 링크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특히, 컨텐츠 유통부(25c)는 컨텐츠를 블로그로 복사하는 컨텐츠 담기를 수행하여 컨텐츠를 유통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담기와 같이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저장 장소로의 컨텐츠 복사만을 허용하고, 컨텐츠의 다운로드(download)를 기본적으로 금지시켜 컨텐츠의 불법적인 유통을 제한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 사용자와 팬 사용자간에 파일을 주고 받는 경우에는 다운로드를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푸쉬부(25b)는 사용자들이 설정한 푸쉬 환경에 따라 스타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푸쉬한다.
보상 처리부(26)는 원저작자에 대하여 컨텐츠 유통에 따른 보상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간에 컨텐츠 제공에 따른 결제가 이루어지면, 결제된 금액(포인트 포함)의 일부를 원 저작자에게 부여한다. 또한, 결제된 금액의 일부를 컨텐츠 유통 중개에 대한 수수료로 제한다 .
포인트 처리부(27)는 포인트 충전, 사용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 다. 구체적으로 포인트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27a), 사용자의 요청 또는 설정된 관계에 따라 한 사용자의 포인트를 다른 사용자로 제공하는 이체부(27b),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27c)를 포함한다. 결제부(27c)는 포인트를 이용한 결제 이외에도, 신용 카드, 현금 등의 다른 결제 수단을 이용한 결제도 수행한다.
한편, 메일 서버(3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메일 송수신을 수행하며, 메신저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300)들 사이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서버(50)는 네트워크(200) 특히, 인터넷이나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300)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처리 서버(20)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 처리하여 다수의 단말기(300)로 제공하거나,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 서버(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웹 서버나 다른 시스템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연동 장치(CG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처리 서버(20)의 각 구성 요소들이 처리 서버 내에서 동작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서버로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1∼16)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스타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동작 과정 중 스타 등록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가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과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단말기(300) 상에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으로 접속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면, 이 URL 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변환되고 패킷화된 다음에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
이에 따라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 서버(50)가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며, 전송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상에 윈도우 상태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300)의 화면상에 나타난 웹 페이지를 통하여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로그인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면, 처리 서버(20)의 사용자 등록부(21)가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한다(S100∼S110).
로그인 처리된 사용자가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중에서 스타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처리 서버(20)는 다음과 같이 스타 등록을 수행한다(S120∼S130).
먼저, 사용자는 스타로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어, ID를 입력한다. 처리 서버(20)의 관계 형성부(22)는 사용자가 제공한 ID를 토대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를 검색하여 스타로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또는 관심인)가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S140∼S160).
스타로 등록하고자 하는 관심인이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이면, 관계 형성부(22)는 등록 데이터베이스(12)를 검색하여 스타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또는, 요청자)의 스타 등록 사항을 체크하여 등록한 스타수가 설정수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70∼S180). 이 단계는 무분별한 스타 등록을 방지하여 스타가 가지는 의미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요청자가 등록한 스타수가 설정 수 이하이면, 관계 형성부(22)는 포인트 처리부(26)로 스타 등록에 따른 포인트 결제를 요청한다(S190). 포인트 처리부(26)의 결제부(27c)는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요청자의 포인트 잔액을 조회하여, 현재 포인트 잔액으로 스타 등록이 가능하면 일정 포인트를 스타 등록에 대한 대금으로 결제 처리하고(S200∼S210), 포인트 잔액이 모자라면 사용자 단말기(300)로 포인트 충전을 안내한다(S220). 그리고, 처리 결과를 관계 형성부(22)로 통보한다.
관계 형성부(22)는 스타 등록에 따른 포인트 결제가 수행되면, 요청자의 ID에 관심인의 ID를 스타로 대응시켜 등록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시킨다(S230). 따라서, 요청자는 스타로 등록한 관심인의 모든 컨텐츠를 열람 및 소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요청자가 스타 등록시 결제한 포인트를 스타로 등록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관계 형성부(22)는 위의 단계(S160)에서 관심인이 컨텐츠 유통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거나, 단계(S180)에서 요청자가 등록한 스타수가 설정수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기(300)로 스타 등록이 불가능함을 통보한다(S240).
사용자들간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스타와 팬이라는 관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별도의 커뮤니티를 위한 다른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 등)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타와 팬으로 등록된 사용자들간의 커뮤니티 유지를 위하여, 활동 감시부(23)는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그 정보를 팬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들은 자신이 등록한 스타 사용자별로 스타 사용자가 블로그를 통하여 컨텐츠를 게시할 때 이를 알려주는 블로그 알림, 스타 사용자의 파일 전송시 전송되는 파일을 실시간으로 전달해주는 파일 전송 알림 등의 옵션들을 선택하는 푸쉬 환경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정보들은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다. 이후, 활동 감시부(23)는 스타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활동을 체크하여 스타 사용자의 활동이 감지되면 컨텐츠 처리부(25)로 이벤트 발생을 통보하며, 컨텐츠 처리부(25)의 컨텐츠 푸쉬부(25b)는 현재 감시된 스타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팬 사용자들에게 활동 상태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팬사용자의 메신저로 컨텐츠가 제공되어 팝업 형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은 관심인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활동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팬 사용자들은 이러한 컨텐츠 푸쉬에 따라 현재 스타 사용자가 활동하는 서비스로 접속하여 스타와의 커 뮤니티를 형성하거나, 스타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봐와 같이, 스타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컨텐츠 푸쉬 과정에 따라 스타 사용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한 후 스타 사용자의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요청하거나, 또는 위의 컨텐츠 푸쉬 과정과는 상관없이 컨텐츠 사용자가 유통 시스템(100)으로 접속하여 자신의 스타 사용자 또는 자신과 관계를 형성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요청하면, 다음과 같은 컨텐츠 유통이 이루어진다.
도 7a 내지 도 7d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요청하면, 먼저, 컨텐츠 유통부(25c)는 유통시킬 컨텐츠에 저작 보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가 원 저작자인지를 확인한다(S300∼S310).
컨텐츠 제공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도 7a에 도시되어 있듯이, 컨텐츠 유통부(25c)는 원저작자가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요청자)의 스타인지를 확인한다(S320). 즉, 등록 데이터베이스(12)를 검색하여 요청자가 등록한 스타들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요청자의 스타인지를 확인한다.
단계(S320)에서, 컨텐츠 제공자가 요청자의 스타인 경우, 포인트 처리부(27)의 결제부(27c)는 요청자의 계좌를 조회하여 컨텐츠 제공에 따른 포인트 결제가 가능한지를 확인한다(S330∼S340).
상기 요청자의 포인트 잔액이 부족한 경우, 결제부(27c)는 요청자의 단말기(300)로 포인트 충전을 안내하여 컨텐츠를 제공받기에는 포인트가 부족함을 알린다(S350). 그러나, 요청자의 포인트로 결제가 가능하면 결제부(27c)는 이를 컨텐츠 처리부(25)로 통보하며, 컨텐츠 처리부(25)의 컨텐츠 유통부(25c)는 해당 컨텐츠를 요청자에게 제공한다(S360∼S370). 여기서, 컨텐츠 제공 과정은 요청자의 단말기(300)로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컨텐츠를 요청자의 블로그로 복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때, 컨텐츠 유통부(25c)는 컨텐츠를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의 복사본을 요청자에게 제공하고, 복사본 컨텐츠에 저작 보호 정보를 삽입시켜 요청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원 컨텐츠는 그대로 컨텐츠 제공자에게 남겨지게 되며, 유통되는 컨텐츠에는 저작 보호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출처가 노출된다. 이후, 상기 컨텐츠가 다수의 단계를 거쳐 유통되는 경우에도,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저작 보호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원저작자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 시스템은 이후에 컨텐츠에 포함된 저작 보호 정보를 토대로 원저작자를 판별하여 원저작자에 대한 보상을 수행한다. 그러나 원저작자를 판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컨텐츠마다 원저작자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후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원저작자를 판별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컨텐츠가 요청자에게 안전하게 제공되면 컨텐츠 유통부(25c)는 포인트 처리부(27)로 컨텐츠 제공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고(S370∼S400), 포인트 처리부(27)의 결제부(27c)는 컨텐츠 제공에 따른 금액을 포인트로 결제한다. 이 때, 요청자가 스 타 사용자의 팬이므로 상기 금액에서 일정액을 할인한 금액만을 포인트로 결제하고, 보상 처리부(26)가 결제된 포인트를 컨텐츠 제공자에게 제공한다(S410∼S420). 즉, 결제된 포인트를 컨텐츠 제공자(원저작자이면서 요청자와 스타/팬 관계를 가지는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시키고, 그 내역을 포인트 데이터베이스(14)에 기록한다.
한편, 단계(S320)에서 컨텐츠 제공자가 요청자의 스타가 아닌 경우, 도 7b에 도시되어 있듯이, 요청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를 요청자의 스타로 등록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컨텐츠 유통시에 할인 혜택을 부여한다. 즉, 관계 형성부(22)는 요청자에게 컨텐츠 제공자를 스타로 등록할 것인지를 문의하고, 이에 따라 요청자가 컨텐츠 제공자를 스타로 등록할 것으로 답변을 하면, 위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타 등록 과정을 수행하여, 요청자의 ID에 대응하여 등록 데이터베이스(12)에 컨텐츠 제공자의 정보를 기록하여, 컨텐츠 제공자를 요청자의 스타로 등록한다(S430∼S440).
다음에, 도 7a에 도시된 단계(S360)와 같이 결제가 가능한 경우, 컨텐츠 유통부(25c)는 해당 컨텐츠를 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컨텐츠가 요청자에게 제공되면 결제부(27c)가 컨텐츠 제공에 따른 금액에서 일정액을 할인한 금액만을 포인트로 결제하고, 결제된 포인트는 모두 컨텐츠 제공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단계(S430)에서 요청자가 컨텐츠 제공자를 스타로 등록하지 않거나 컨텐츠 제공자가 요청자의 스타가 아닌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되어 있듯이, 결제가 가능하면 해당 컨텐츠를 요청자에게 제공하고, 결제부(27c)가 할인 없이 컨텐츠 제공에 따른 금액 100%를 포인트로 결제한 다음, 보상 처리부(26)가 결제된 포인트의 일부를 시스템의 중개 수수료로 제한 다음에 나머지를 컨텐츠 제공자(원저작자이면서 요청자와 어떠한 관계도 없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50∼S470).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가 원저작자인 첫 번째 유통 단계에서는 요청자가 컨텐츠 제공자와 스타/팬이라는 특정 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면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할인하고,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를 원저작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첫 번째 유통 단계에서 요청자가 컨텐츠 제공자와 특정 관계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할인 없이 컨텐츠 사용료를 결제하고,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 중에서 일부를 중개 수수료로 제한 다음에 나머지를 원저작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단계(S310)에서 컨텐츠 제공자가 원저작자가 아니고 중간 유통자인 경우에는, 도 7c에 도시되어 있듯이, 중간 유통자가 요청자의 스타인지를 확인하고(S480), 스타인 경우 결제가 가능하면 해당 컨텐츠를 요청자에게 제공한다(S490∼S530). 이 경우에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컨텐츠에 저작 보호 정보를 삽입하여 요청자에게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하여 원저작자의 정보가 항상 노출되도록 하여 해당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한다. 다음, 컨텐츠가 요청자에게 제공되면 결제부(27c)가 컨텐츠 제공에 따른 금액에서 일정액을 할인한 금액만을 포인트로 결제한다(S550∼S570). 그러나, 도 7a에 도시된 유통 과정과는 달리, 보상 처리부(26)는 결제된 포인트를 각각 중간 유통자인 컨텐츠 제공자와 원저작자에게 제공한다(S580∼S590). 예를 들어,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결제된 포인트의 50%를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상을 하고, 중간 유통자에게 결제된 포인트의 50%를 제공하여 컨텐츠 유통에 따른 보상을 한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가 중간 유통자이면서 요청자의 스타가 아닌 경우에는 도 7d에서와 같이, 컨텐츠를 요청자에게 제공한 후(S600∼S620), 할인 혜택 없이 컨텐츠 제공에 따른 금액을 포인트로 100%로 결제하고, 보상 처리부(26)가 결제된 포인트를 원저작자, 중간 유통자, 그리고 시스템에게 각각 분배한다(S640∼S650). 예를 들어,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결제된 포인트의 10%를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상을 하고, 중간 유통자에게 결제된 포인트의 80%를 제공하여 컨텐츠 유통에 따른 보상을 하며, 시스템에 중개 수수료로 결제된 포인트의 1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가 중간 유통자인 유통 단계에서는 요청자가 컨텐츠 제공자와 스타/팬이라는 특정 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면 컨텐츠 사용료의 일부를 할인하고,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를 원저작자와 컨텐츠 제공자인 중간 유통자에게 각각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 유통 단계에서 요청자가 컨텐츠 제공자와 특정 관계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할인 없이 컨텐츠 사용료를 결제하고,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 중에서 일부를 중개 수수료로 제한 다음에 나머지를 각각 원저작자와 중간 유통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츠 유통 과정에 따라 원저작자들은 자신의 컨텐츠가 다수의 유통 관계를 거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어도 항상 컨텐츠 저작권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유통되는 컨텐츠에 원저작자에 대한 저작 보호 정보가 삽입되어 유통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출처가 항상 노출되어 불법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팬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스타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 제공에 따라 스타 사용자에게 설정 기간마다 포인트를 제공하여, 팬과 스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간에 포인트를 선물하는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 경우 송수신되는 포인트 양을 설정 기간별로(예를 들어, 일별) 제한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게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가 다수 단계를 거쳐서 유통되는 경우에도, 항상 컨텐츠 저작권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통되는 컨텐츠에 원저작자에 대한 저작 보호 정보가 삽입되어 유통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출처가 항상 노출되어 불법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유통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짐으로써, 컨텐츠 유통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컨텐츠 유통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유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부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보상 처리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에서 중개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가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가 포함하는 컨텐츠 푸쉬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해 설정한 푸쉬 환경 정보가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의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류된 서비스 중 상기 제2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수행하였을 때, 상기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 받을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활동 감시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 감시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관계 형성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사용자와의 관심인 등록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형성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와의 관심인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인 등록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 가능한 사용자인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인의 숫자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인의 숫자가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금액 또는 상기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가 아닌 경우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금액 또는 상기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포함된 원저작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보호 정보는 해당 컨텐츠가 원 컨텐츠 또는 복사된 컨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사 정보, 해당 컨텐츠가 최초에 게시된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복사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8. 삭제
  9. 컨텐츠 유통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유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컨텐츠 처리부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원저작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저장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결제부에서 상기 컨텐츠의 제공으로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를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보상 처리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원저작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가 포함하는 컨텐츠 푸쉬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해 설정한 푸쉬 환경 정보가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의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류된 서비스 중 상기 제2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수행하였을 때, 상기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 받을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활동 감시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 감시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 결제단계 이전에,
    상기 컨텐츠 처리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 결제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할인하여 결제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료 제공 단계에서 상기 할인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할인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처리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에서 중개 수수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료 제공 단계에서,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 또는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관계 형성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사용자와의 관심인 등록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형성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와의 관심인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인 등록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 가능한 사용자인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인의 숫자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인의 숫자가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방법.
  14.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5.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에서 중개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사용료가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해 설정한 푸쉬 환경 정보가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의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푸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류된 서비스 중 상기 제2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수행하였을 때, 상기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 받을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감시하는 활동 감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동 감시부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저장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인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보상 처리부는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금액 또는 상기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가 아닌 경우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금액 또는 상기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17.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원저작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저작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인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원저작자가 아닌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에 따라 발생되는 컨텐츠 사용료를 원저작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해 설정한 푸쉬 환경 정보가 푸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의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푸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 환경 정보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류된 서비스 중 상기 제2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수행하였을 때, 상기 활동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 받을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서비스에 대한 활동을 감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유도하는 활동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상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 사용료가 소정 비율로 할인된 금액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원저자작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보상 처리부는 상기 결제된 컨텐츠 사용료에서 중개 수수료를 차감하고,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중개 수수료가 차감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제2 사용자 또는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에게 배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0.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사용자와의 관심인 등록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와의 관심인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하는 관계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 형성부는
    상기 제2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 가능한 사용자인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관심인으로 등록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인의 숫자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인의 숫자가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2. 삭제
  23.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의 판단결과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인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포인트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소정 주기마다 제공하는 이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4.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복사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5.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저작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원저작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보호 정보는 해당 컨텐츠가 원 컨텐츠 또는 복사된 컨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사 정보, 해당 컨텐츠가 최초에 게시된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27.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KR1020030099196A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196A KR100982087B1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196A KR100982087B1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359 Division 2003-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55A KR20050015955A (ko) 2005-02-21
KR100982087B1 true KR100982087B1 (ko) 2010-09-13

Family

ID=3722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196A KR100982087B1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81B1 (ko) * 2006-12-26 2008-09-05 엔에이치엔(주)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31500B1 (ko) * 2007-12-24 2009-1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리치미디어 서버와 리치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 리치미디어전송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75A (ko) * 1999-09-03 1999-12-06 김자성 사용자 선택 광고 푸쉬 및 사용자의 광고참여에 의한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광고 방법
KR20020034458A (ko) * 2000-11-02 2002-05-09 구자홍 저작물의 배포 시스템 및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020082201A (ko) * 2002-10-15 2002-10-30 강승훈 디지털 학습 콘텐츠의 생성 촉진 및 제어, 유통 방법
JP2003006505A (ja) * 2001-04-19 2003-01-10 Zen:Kk サービス提供サーバ及び当該サービス提供サーバを用いたサービス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75A (ko) * 1999-09-03 1999-12-06 김자성 사용자 선택 광고 푸쉬 및 사용자의 광고참여에 의한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광고 방법
KR20020034458A (ko) * 2000-11-02 2002-05-09 구자홍 저작물의 배포 시스템 및 시스템의 운용 방법
JP2003006505A (ja) * 2001-04-19 2003-01-10 Zen:Kk サービス提供サーバ及び当該サービス提供サーバを用いたサービス提供方法
KR20020082201A (ko) * 2002-10-15 2002-10-30 강승훈 디지털 학습 콘텐츠의 생성 촉진 및 제어, 유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55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734B1 (ko)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80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Electronic Publications by Content Creators and Online Publishers with Referral-Based Commissions
JPH0911489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020128907A1 (en) Information delivery scheme and advertisement providing scheme using social filtering technique
KR101151726B1 (ko) 온라인 광고중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중개방법
KR1003442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88371A1 (en) Internet based method and process for facilitating the presentation, sale, purcha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reative ideas concepts and content
KR10098208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TWI775687B (zh) 資訊通訊系統、及資訊通訊方法
KR101751038B1 (ko) 연계 광고 제공 서버, 연계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4001338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660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출판물 비즈니스 방법
JP2004158023A (ja) メールに広告情報を追加可能なメール配信システム、並びに受信形態の異なる複数種類のメール配信サービスを提供可能なメール配信システム
KR20040031767A (ko) 인터넷을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89980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CN111133466B (zh) 用于基于互联网的商家的基于推荐器的支付系统选择的方法和系统
JP7253526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KR20050018556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푸쉬를 통한 커뮤니티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55531B1 (ko) 모바일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18555A (ko) 네트워크를 통한 최적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204024A1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P4738617B2 (ja) メッセージ及びコンテンツ登録・表示システム
KR20220041566A (ko) 사용자 집단 타겟화 기반 상품 광고 대행 및 과금 방법
KR20050015954A (ko)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24594A (ja) オンライン・コンテンツ対価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