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446A -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446A
KR20070077446A KR1020070005735A KR20070005735A KR20070077446A KR 20070077446 A KR20070077446 A KR 20070077446A KR 1020070005735 A KR1020070005735 A KR 1020070005735A KR 20070005735 A KR20070005735 A KR 20070005735A KR 20070077446 A KR20070077446 A KR 20070077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troller
supply controller
voltage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573B1 (ko
Inventor
프란치섹 수쿱
Original Assignee
세미컨덕터 콤포넨츠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미컨덕터 콤포넨츠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세미컨덕터 콤포넨츠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7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1Star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동작의 일 부분 동안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분리하고, 동작 중 나머지 부분 동안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결합한다.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

Description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 및 그 방법{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갖는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의 일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또다른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의 일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2의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확대된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디바이스들 및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반도체 산업은 전원 제어 시스템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 및 구조들을 이용했다. 몇몇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동작하기 위한 전력은 변압기의 보조 권선로부터 유도되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에 의해 소비되는(consumed) 전력량이 희망하는 크기보다 컸다. 덧붙여, 어떤 경우에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입력 전압의 범위가 제한되어, 이는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유용한 운용 동작 범위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전력 손실(dissipation)를 감소시키고 입력 전압의 더 넓은 동작 범위를 용이하게 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들 내의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스케일 된 것은 아니고,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덧붙여, 주지의 단계들 및 구성요소들의 상세내용 및 설명은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되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도전 전극(current carrying electrode)은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또는 콜렉터, 또는 다이오드의 음극 또는 양극과 같은 디바이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제어 전극은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같은 디바이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여기에서 N-채널 또는 P-채널 디바이스로서 여기에서 설명되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라 상보적 디바이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이용된 동안(during, while), 때(when)라는 단어는 동작(action)이 초기 동작(initial action)시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정확한 용어가 아니며, 약간의 적당한 지연(reasonable delay) 예컨대, 초기 동작에 의해 유발된 반응 사이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 있을 수 있다.
도1은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30)의 일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실시예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10)의 일부의 예시를 도시한다.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30)는 시스템을 동작시키는데 필요로되는 전력량을 줄이도록, 특히 컨트롤러(30)를 동작하는 초기 단계 동안의 전력 손실(dissipation)를 줄이도록 구성되고, 또한 컨트롤러(30)에 공급되는 동작 전압의 사용가능한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입력 단자(11) 및 리턴 단자(12) 사이에 어서트되는 벌크 입력 전압으로부터 입력 전력을 수신하고, 전압 출력단(13) 및 전압 리턴단(14) 사이에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컨트롤러(30)는 출력 전압의 값을 목표 값으로 희망하는 값의 범위 내에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목표 값이 5 볼트(5V)이고, 희망하는 범위가 목표 값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5 퍼센트지(5%) 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1차 권선(17), 2차 권선(18), 및 보조 권선(19)을 포함하는 변압기(16)를 포함한다. 정류 다이오드(20) 및 필터 캐패시터(21)는 2차 권선(18)에 연결되어(connected) 출력 전압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보조 권선(19)은 일반적으로 컨트롤러(30)의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동작 전압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컨트롤러(30)에 대한 입력 전압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이용된다. 캐패시터(24), 저항(22) 및 다이오드(23)는 보조 권선(19)에 연결되어(connected), 이하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30)에 대한 입력 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전압원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원 스위치 예컨대, 전력 트랜지스터(27)는 일반적으로, 컨트롤러(30)가 출력 전압의 값을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1차 권선(17)에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스터(27)가 컨트롤러(3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떤 실시예들에 있어서 트랜지스터(27)는 컨트롤러(30)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너(zener) 다이오드로서 도시된 전압 레귤레이터(28)는 출력 전압의 값을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30)에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컨트롤러(30)는 감지 입력단(32) 상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30)의 스타트업(start-up) 후에, 전압 레귤레이터(28)는 또한 입력 전압의 최대 값을 컨트롤러(30)를 손상하지 않는 값으로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당업자는 레귤레이터(28)가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과 유사한 임의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예는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의 National Semiconductor,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LM329 및 LM136을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전압 입력단(34) 및 전압 리턴단(33) 사이의 컨트롤러(30)를 동작하기 위한 제1 동작 전압 또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30)는 일반적으로 컨트롤러(30)의 PWM 출력단(35)에 PWM 스위칭 신호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PWM 컨트롤러(38)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8)는 PWM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전압의 값을 희망하는 범위 내로 조정한다. 컨트롤러(38)는 고정 주파수 전류 모드 PWM 컨트롤러, 고전 주파수 전압 모드 PWM 컨트롤러, 히스터레틱 컨트롤러(hysteretic controller), 또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다양한 유형의 PWM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이한 PWM 컨트롤러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컨트롤러(38)는 그 밖의 주지의 PWM 컨트롤러 기능들 예컨대, 소프트-스타트(soft-start), 리딩 에지 블랭킹(leading edge blanking), 스킵-사이클(skip-cycle), 및 과전압 보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제1 회로, 예컨대 입력단(34)으로부터의 입력 전압의 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저전압 록아웃(under-voltage lock out; UVLO) 회로 또는 UVLO(48)와, 컨트롤러(38)와 같은 컨트롤러(30)의 몇몇 다른 부분들에서 동작 전압으로 이용되는 내부 동작 전압(Vdd) 또는 제2 동작 전압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바이어스 발생기(39)를 포함한다. UVLO(48) 및 바이어스 발생기(39)는 입력단(34) 및 리턴단(33) 사이에 연결되어(connected) 제1 동작 전압 또는 입력 전압을 수신한다. 컨트롤러(30)의 스타트업 동안, UVLO(48)는 입력 전압의 값을 모니터하고, 입력 전압의 값이 컨트롤러의 동작을 초기화(initiating)하기 위해 요구되는 스타트업값 보다 작은 경우 컨트롤러(30)가 내부 동작 전압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컨트롤러(30)의 스위치(44)는 또한 컨트롤러(30)를 동작시키는 이 초기 부분 동안 전압 레귤레이터(28)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30)가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분리한다.
동작 시, 단자들(11,12) 사이에 수신되는 벌크 전압(bulk voltage)은 컨트롤러(30) 및 시스템(10)을 동작시키는데 필요로되는 것보다 더 클 것이다. 예를 들어, 단자들(11,12) 사이에 어서트되는 전압은 100 볼트(100V) 또는 그 보다 클 것이고, 출력 전압의 목표값은 대략 5볼트(5V)일 것이다. 시스템(10)의 스타트업 동 작 동안, 캐패시터(24)는 방전되고, 단자들(11,12) 사이에 수신되는 벌크 전압이 저항(22)을 통해 캐패시터(24)를 충전시키기 시작한다. UVLO(48)는 입력 전압의 값을 모니터하고, 컨트롤러(30)의 스타트업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 제어 신호(47)를 형성한다. 캐패시터(24)가 충전되어지면서, UVLO(48)는 캐피시터(24)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전압의 값이 컨트롤러(30)의 초기화 동작에 대해 요구되는 스타트업 값보다 클 때까지 제어 신호(47)를 니게이트한다(negate). 예를 들어, 컨트롤러(30)를 동작하기 위한 입력 전압의 정상적인 범이는 10~12볼트(10~12V)이고, UVLO(48)는 입력 전압이 약 15 볼트(15V)의 스타트업 값에 이르기 전까지는 컨트롤러(30)이 동작을 시작하도록 할 수 없을 것이다. 발생기(39)는 컨트롤러(30)가 Vdd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며 컨트롤러(38)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니게이트된 제어 신호(47)를 수신한다. 스위치(44)는 또한 스위치(44)를 개방 상태로 비활성화시켜 컨트롤러(30)가 전압 레귤레이터(28)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차단하는 니게이트된 신호(47)를 수신한다. 스위치(44)가 개방된 상태에서, 레귤레이터(28)는 또한 동작하는 것이 금지되고, 따라서 입력 전압의 값을 조정하는 것이 금지된다. 캐패시터(24)는 계속하여 충전되고, 입력 전압이 스타트업 값 만큼 될 때 UVLO(48)는 제어 신호(47)를 어서트한다(assert). 제어 신호(47)를 어서트하여 스위치(44)를 닫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컨트롤러(30)가 레귤레이터(28)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컨트롤러를 결합시킨다. 스위치(44)를 닫음으로써 또한 레귤레이터(28)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피드백(FB) 신호를 형성하도록 회로(49)가 결합된다. 컨트롤러(38)는 FB 신호를 이용하 여 출력 전압의 값을 조정하는 것을 돕는다. 컨트롤 신호(47)를 어서트하는 것은 바이어스 발생기(39)로 하여금 Vdd를 발생하게 하고, 이어서 컨트롤러(38)는 출력 전압 값을 조정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는, 컨트롤러(30)가 동작하도록 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UVLO(48)와 Vdd를 발생시키는 발생기(39) 사이에 추가적인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이러한 지연은 일반적으로 바이어스 발생기 구성요소들이 컨트롤러(3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키기 전에 희망하는 값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이용된다. PWM 컨트롤러(38)는 출력단(35) 상에 트랜지스터(27)을 스위치하기 위해 PWM 구동 펄스(PWM drive pulse)들을 생성함에 따라, 보조 권선(19)은 전력을 수신하고, 다이오드(23)를 통해 캐패시터(24)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PWM 컨트롤러(38)는 또한 캐패시터(24)의 충전을 용이하게 한다. 스위치(44)가 현재 닫혀져 있기 때문에, 레귤레이터(28)는 리턴단(33)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레귤레이터(28)가 입력 전압의 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한 희망하는 동작 범위인 제3 값으로 조정하기 시작한다. 컨트롤러(30)에 대한 입력 전압의 희망하는 동작 범위, 따라서 제3 값은 일반적으로 캐패시터(24)가 충전되는 스타트업 값보다 작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 전압은 15 볼트일 수 있고, 레귤레이터(28)는 입력 전압의 제3 값을 11 또는 12 볼트 보다 크지 않은 값으로 제한할 것이다. UVLO가 스타트업 값을 검출한 후, 레귤레이터(28)가 입력 전압의 값을 더 낮은 값으로 조정함에 따라 UVLO(48)는 신호(47)를 니게이트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44)는 입력 전압이 넓은 범위의 값에 걸쳐 변화되도록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스위치 트랜지스터(45)는 감지 신 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컨트롤러(30)를 분리하기 때문에, 레귤레이터(28)가 입력 전압을 조정한 전압의 값은 스타트업 전압 보다 매우 더 낮은 값으로부터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컨트롤러(30)에 의해 유지될(sustain) 수 있는 최대 허용 값에 근접한 값까지 변할 수 있다. 입력 전압의 최저 값은 컨트롤러(30)를 동작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최소 값에 근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최저 값은 8 볼트(8V)에 근사한 값일 수 있고, 최대 값은 약 20 볼트(20V)일 수 있다. 스타트업 값은 15 볼트(15V)로 설정될 수 있고, 레귤레이터(28)는 8~20 볼트(8~20V) 중 임의의 조정 값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스위치(44)가 없다면, 레귤레이터(28)는 입력 전압의 제3 값을 스타트업 전압 보다 큰 범위로 한정하여, 입력 전압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전압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예에 대해, 상기 범위는 15~20 볼트(15~20V)일 수 있다. 이것은 컨트롤러(30)의 8~20 볼트(8~20V)의 범위보다 매우 작은 것이다.
도2는 도1에서 설명된 시스템(10)의 택일적인 실시예인 전원 공급 제어 시스템(50)의 일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스템(50)은 도1에서 설명된 컨트롤러(30)의 더 자세한 예시적인 실시예인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51)의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컨트롤러(51)는 스위치(44)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스위치 트랜지스터(45)와, 회로(49)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피드백 회로(57)를 포함한다. 회로(57)는 제2 전류 미러(current mirror) 구성(configuration)으로 연결된(connected) 트랜지스터들(52,53)에 부가하여 전류 미러 연결된(connected) 트랜지스터들(54,55,56)을 포함한다.
컨트롤러(51)의 스타트업 동작 동안, UVLO(48)는 제어 신호(47)를 로우 레벨로 만들고, 이는 트랜지스터(45)를 비활성화 시켜 레귤레이터(28)를 리턴단(33)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컨트롤러(51)가 레귤레이터(28)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한다. 신호(47)로부터의 로우 레벨은 트랜지스터들(56,55)을 비활성화시켜 회로(57)을 비활성화 시킨다. 결과적으로, 저항(61)는 FB 신호를 실질적으로 리턴단(33)의 값으로 끌어 당긴다(pull). UVLO(48)가 입력 전압의 스타트업 값을 검출할 때, UVLO(48)는 신호(47)를 하이 레벨로 만들며, 이는 트랜지스터(45)를 활성화시킨다. 트랜지스터(45)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레귤레이터(28)가 트랜지스터(55) 및 저항(59)을 통해 리턴단(33)에 결합되어, 레귤레이터(28)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컨트롤러(51)가 결합된다. 트랜지스터(45)는 또한 감지 신호를 트랜지스터들(55,56)에 결합시키며, 이는 트랜지스터들(55,56)을 활성화시키고, 트랜지스터들(45,55) 및 저항(59)을 통해 흐르는 전류(58)를 형성한다. 레귤레이터(28)는 입력 전압의 값을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레귤레이터(28)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입력단(34) 상의 입력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전류(58)의 크기는 또한 입력단(34) 상의 입력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트랜지스터들(54,55,56)의 전류 미러 구성은 트랜지스터(54) 및 저항(60)을 통해 흐르는 제2 전류를 형성하며, 이는 입력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트랜지스터들(52,53)의 전류 미러는 트랜지스터(53) 및 저항(61)을 통해 흐르는 또다른 전류를 형성하며, 이는 또한 입력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저항(6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노드(62)에서 피드백(FB) 전압을 형성하고, 이는 또한 입력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회로(57)는 노드(62)에서 전 류(58)를 FB 전압으로 변환한다. 컨트롤러(38)는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고, 응답하여 출력단(13) 및 리턴단(14) 사이의 출력 전압의 값을 조정한다.
컨트롤러들(30,51)의 동작이 레귤레이터(28)로서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레귤레이터(2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그 밖의 유형들의 레귤레이터들일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밖의 회로 구성이 전류(58)를 FB 신호에 대한 전압으로 변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스타트업 값까지 증가하는 입력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구성되는 임의의 회로가 UVLO(48)를 대신하여 이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51)의 이 기능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컨트롤러(51)는 입력단(34)에 연결되는(connected) 레귤레이터(28)의 제1 단자와, 입력단(32)에 연결되는(connected) 레귤레이터(28)의 제2 단자를 갖도록 구성된다. 트랜지스터(45)의 드레인은 입력단(32)에 연결되고(connected), 소스는 공통으로 트랜지스터(56)의 베이스 및 트랜지스터(55)의 콜렉터에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스터(45)의 게이트는 제어 신호(46)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connected), 트랜지스터(56)의 콜렉터에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스터(56)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들(54,55)의 베이스에 공통으로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스터(55)의 에미터는 리턴단(33)에 연결되는(connected) 제2 단자를 갖는 저항(59)의 제1 단자에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스터(5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및 드레인과 트랜지스터(53)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스터(52)의 소스는 트랜지스터(53)의 소스 및 입력단(34)에 공통으로 연결된다(connected). 트랜지 스터(53)의 드레인은 노드(62) 및 저항(61)의 제1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된다(connected). 저항(61)의 제2 단자는 리턴단(33) 및 저항(60)의 제2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된다(connected).
당업자는 레귤레이터(28)가 또한 컨트롤러들(30 또는 51) 중 하나와 함께 반도체 다이(die) 상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컨트롤러(30 또는 51)는 각각의 컨트롤러의 외부에 위치하는 소스로부터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선택적으로는 스위치(44) 또는 트랜지스터(45)가 감지 신호를 각각의 컨트롤러(30 또는 51)에 결합하도록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도3은 반도체 다이(71) 위에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 또는 집적 회로(70)의 실시예의 일부의 확대된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컨트롤러(51)는 다이(71) 위에 형성된다. 다이(71)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3에 도시되지 않은 그 밖의 회로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51) 및, 디바이스 또는 집적 회로(70)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반도체 제조 기술에 의해 다이(71) 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모든 것을 감안하여, 신규한 디바이스 및 방법이 스타트업된 것이 분명하다. 다른 특징들 중, 컨트롤러의 스타트업 동작 동안 레귤레이터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성은 스타트업 동작 동안의 시스템의 전력 손실(dissipation)을 감소시킨다. 부가적으로, 스위치(44) 또는 스위치 트랜지스터(45)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의 값이 입력 전압의 값의 유용한 범위를 증가시키는 스타트업 값보다 적은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44 또는 45)는 또한 스타트 업 단계 동안 높은 임피던스를 제공하며, 이는 스타트업 단계 동안 전력 손실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대상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지만, 반도체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대체(alternation) 및 변형(variation)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되었다(connected)"는 말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처에 이용되었지만, "결합되었다(coupled)"는 말과 같은 의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연결되었다"는 직접적인 연결 또는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입력 전압의 더 넓은 동작 범위를 용이하게 하는 스위칭 전원 공급 컨트롤러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전원 공급 컨트롤러(power supply controller)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외부의 전압 소스로부터 동작 전압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단; 및
    상기 동작 전압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제1 전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로서, 상기 동작 전압이 제1 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분리하고, 상기 동작 전압이 상기 제1 값에 이른 후에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도록 결합된 제1 도전 전극,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데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결합된 제어 전극, 및 제2 도전 전극을 갖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로부터의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전류를 나타내는 전압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제2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결합된 제1 도전 전극,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도전 전극에 결합된 제어 전극, 및 제2 도전 전극을 갖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결합된 제1 도전 전극,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 도전 전극에 결합된 제어 전극, 및 제2 도전 전극을 갖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결합된 제어 전극, 제1 도전 전극, 및 제2 도전 전극을 갖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
  4.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외부 전압 소스로부터 동작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전압이 제1 값까지 증가하기 전에 상기 동작 전압을 수신하도록 결합된 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제1 전류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분리시키고, 및 상기 동작 전압이 상기 제1 값까지 증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형성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류를 수신하기 위해 및 상기 제1 전류가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다른 부분들에 결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 컨트롤러의 제1 스위치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컨트롤러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070005735A 2006-01-23 2007-01-18 스위칭 전원 공급 제어기 및 그 방법 KR101285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37,236 US7486529B2 (en) 2006-01-23 2006-01-23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method therefor
US11/337,236 2006-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446A true KR20070077446A (ko) 2007-07-26
KR101285573B1 KR101285573B1 (ko) 2013-07-15

Family

ID=3828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735A KR101285573B1 (ko) 2006-01-23 2007-01-18 스위칭 전원 공급 제어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86529B2 (ko)
KR (1) KR101285573B1 (ko)
CN (1) CN101009469B (ko)
HK (1) HK1106625A1 (ko)
TW (1) TWI3922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844A (ko)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에이디텍 교류-직류 변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1734B2 (en) * 2006-08-17 2010-04-20 System General Corp. Detection circuit to detect input voltage of transformer and detecting method for the same
US20080304299A1 (en) * 2006-09-11 2008-12-11 Bormann Ronald M Low voltage LED drive from 120VAC line
US8077483B2 (en) 2007-04-06 2011-12-13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multiple voltage values from a single terminal of a power converter controller
US8077486B2 (en) * 2007-04-06 2011-12-13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fault condition detection
JP5217544B2 (ja) * 2008-03-19 2013-06-19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起動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起動方法
US8339113B2 (en) * 2010-07-19 2012-12-2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Buck switch-mode power converter large signal transient response optimizer
TWI423571B (zh) * 2010-10-25 2014-01-11 Sitronix Technology Corp 切換式電源供應器之高壓啟動裝置
US9048747B2 (en) 2011-11-23 2015-06-02 Zahid Ansari Switched-mode power supply startup circuit, method,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CN102801339B (zh) * 2012-08-28 2014-07-16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低待机功耗的交直流电压转换电路及其控制方法
US9391525B2 (en) * 2012-09-24 2016-07-12 Dialog Semiconductor Inc. Power system switch protection using output driver regulation
KR101351923B1 (ko) * 2012-11-13 2014-01-15 한국광기술원 전원 제어 장치
EP2965411A1 (en) * 2013-03-04 2016-01-13 Osram Sylvania Inc. Primary side control for switch mode power supplies
KR102149952B1 (ko) * 2014-04-17 2020-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동작 방법
US10153702B2 (en) * 2017-02-07 2018-12-1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witched-mode power supply controller using a single pin for both input voltage sensing and control of power supply charging
US10601329B2 (en) * 2018-07-04 2020-03-24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and power switch controller circuit thereof
CN111245198A (zh) * 2018-11-28 2020-06-05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辅助源电路和隔离开关电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591A (en) * 1997-03-31 1998-12-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ltage detection circuit and internal voltage clamp circuit
JP2956681B2 (ja) * 1998-02-27 1999-10-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US6069805A (en) * 1999-05-28 2000-05-30 Motorola, Inc. Two stage power supply start up circuit
EP1058375B1 (en) * 1999-06-01 2010-11-2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WM controller
JP3394509B2 (ja) * 1999-08-06 2003-04-07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
US6775164B2 (en) * 2002-03-14 2004-08-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terminal, low voltag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ler IC
US6906934B2 (en) * 2003-09-04 2005-06-14 System General Corp. Integrated start-up circuit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6998828B2 (en) * 2004-03-29 2006-02-1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Low audible noise power supply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844A (ko) * 2014-03-21 2015-10-02 주식회사 에이디텍 교류-직류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6625A1 (en) 2008-03-14
CN101009469A (zh) 2007-08-01
KR101285573B1 (ko) 2013-07-15
US20070171683A1 (en) 2007-07-26
TWI392201B (zh) 2013-04-01
US7486529B2 (en) 2009-02-03
CN101009469B (zh) 2010-12-15
TW200729675A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573B1 (ko) 스위칭 전원 공급 제어기 및 그 방법
US7468877B2 (e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US7477532B2 (en) Method of forming a start-up device and structure therefor
JP5443749B2 (ja) 昇圧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
US84876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switch
KR101389056B1 (ko) 결함 제어 회로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US75895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on reset and under voltage lockout schemes
US20060256592A1 (en) Electronic circuit
US83843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able control for power systems
US20100013450A1 (en) Power supply and over voltage protection apparatus and over voltage protection method
US116710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 to pulse-width-modulation controllers of power converters during normal operation
EP1673850B1 (en) Power control system startup method and circuit
US5978195A (en)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US20030189454A1 (en) Method of forming a switching device and structure therefor
TW202110029A (zh) 電荷幫浦控制電路以及電池控制電路
US11114941B2 (en) Reduced voltage ratings for power transistors in a buck converter
JP2011166851A (ja)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1404570B1 (ko) 프리바이어스 상태의 동기식 스텝-다운 컨버터의 스타트 업 회로
JP2022138849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