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004A -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004A
KR20070077004A KR1020060016539A KR20060016539A KR20070077004A KR 20070077004 A KR20070077004 A KR 20070077004A KR 1020060016539 A KR1020060016539 A KR 1020060016539A KR 20060016539 A KR20060016539 A KR 20060016539A KR 20070077004 A KR20070077004 A KR 2007007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uide
bobbin
seedling box
rop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권
Original Assignee
이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권 filed Critical 이태권
Publication of KR2007007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6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section with web perpendicular to plane of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04B2002/7492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농사용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상자를 사용하여 벼의 모를 생육하는 못자리에 바둑판모양으로 놓여진 육묘상자와 못자리지면 사이에 있는 모의뿌리를 절단하여주는 날을 사람의 힘으로 밀어 주거나 끌어 당기어주어 육묘상자를 분리하는 육묘상자분리기를 윈치로 끌어 당겨주는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력의 회전수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장치와 상기 감속되어진 회전수를 전달받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로프를 안내하여 안정적으로 감아주며 상기 로프를 지지하여 일직선으로 놓여있는 육묘상자의 중앙의 위치에 놓여지게 안내하여 주는 로프가이드와 상기 로프가이드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여주는 이동수단과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보빈, 로프, 벨트, 벨트풀리, 텐션조절풀리, 로프가이드, 수단

Description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Seedbed Separate winch}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육묘상자분리기와의 연결 사시도
도 5는 육묘상자가 놓여진 못자리와 본 발명의 측면 예시도
도 6은 육묘상자가 놓여진 못자리와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9 : 벨트풀리 5 : 텐션조절풀리
7 : 벨트 15 : 보빈
37 : 로프가이드 39 : 로프
본 발명은 벼농사용 육묘상자분리기윈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상자를 사용하여 벼의 모를 생육하는 못자리에 바둑판모양으로 놓여진 육묘상자와 못자리의지면 사이에 있는 모의뿌리를 절단하여주는 날을 사람의 힘으로 밀어주 거나 끌어당기어주는 육묘상자분리기를 전동기나 내연기관이나 내연기관을 이용한 농기계 등의 동력원(이하, 동력원으로 통칭함)을 이용한 윈치로 끌어 당겨주는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못자리는 다수의 이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랑의 너비는 대략 160㎝가량 하며 상기 하나의 이랑에 가로60㎝와 세로30㎝로 만들어진 육묘상자를 세로방향 4줄로 바둑판모양으로 놓아준다.
종래의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는 상기 동력원의 회전축에 육묘상자분리기와 연결된 로프를 감아주는 보빈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동력원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주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상기 보빈의 회전속도가 너무 빨라 작업의 어려움과 상기 육묘상자분리기와 연결된 로프를 보빈에 안전하게 감아주기 위해서 보빈의 회전축과 로프와의 각을 직각으로 항시 유지하여 주어야 되고 로프를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와 같은 방향의 일직선으로 안내하여 상기 육묘상자분리기를 끌어당겨주기 위해서 상기 보빈을 설치한 동력원을 항시 좌우로 움직이어 조절하여 주어야만 되는 불편함과 상기 보빈의 위치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이 되어 있어서 육묘상자가 놓여지는 위치와 보빈이 놓여지는 위치의 높낮이가 다를 경우에 육묘상자분리기의 모의뿌리를 절단하여주는 날과 로프와의 상하 각을 육묘상자를 분리하는 작업에 알맞게 조절하여 줄 수 없는 문제점과 첫 번째 줄의 육묘상자를 분리하고 다음 줄의 육묘상자를 분리할 때에는 보빈을 설치한 동력원을 이동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육묘상자를 분리 할 시에 상기 보빈의 회전속도를 작업에 알맞게 감속하여 주는 것과 상기 육묘상자분리기와 연결된 로프를 보빈에 안전하게 안내하여 감아주며 육묘상자분리기를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와 일직선으로 끌어당겨주는 것과 상기 육묘상자분리기를 안내하여 끌어당겨주는 로프의 상하 각을 작업환경에 알맞게 상기 각을 조절하여 주는 것과 상기 하나의 이랑에 4줄로 놓여진 육묘상자를 상기 보빈을 설치한 동력원의 이동 없이 상기 육묘상자를 분리하여 주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장치와 상기 감속되어진 회전수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로프를 안정적으로 감아주며 상기 로프를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들의 중앙의 위치에 놓여지게 안내하여 육묘상자분리기를 끌어당겨주기 위해서 상기 로프를 걸어주어 지지하며 좌우로 안내하여주기 위한 로프가이드와 상기 로프가이드를 상하 좌우로 이동하여 주는 이동수단과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본 발명(10)을 동력원에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9)과 상기 프레임(9)에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기위한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에 설치한 제1벨트풀리(1)와 상기 제1 벨트풀리(1)와 벨트(7)로 연결되는 제2벨트풀리(11)로 구성된 감속장치와 상기 제2 벨트풀리(11)의 동일 축에 로프(39)를 감아주는 보빈(15)을 베어링으로 축받이 하여주고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보빈(15)에 안내하여 안전하게 감아주며 상기 로프(39)를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안내하여주기 위한 로프가이드(37)와 상기 로프가이드(37)를 상하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수단과 고정하여주는 수단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동력원의 회전속도를 작업자의 작업에 알맞은 속도로 상기 보빈(1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해서 체인기어나 감속기어나 크고 작은 벨트풀리(1)(11)를 이용한 감속장치를 설치하였다.
상기 벨트(7)의 장력을 조절하여주는 텐션조절풀리(5)를 설치하여 주었다.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보빈(15)을 멈추게 하는 방법 중 하나는 상기 동력원의 자체동력을 차단 하여주는 방법과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벨트(7)의 장력을 조절하여주는 텐션조절풀리(5)를 이탈시키어 상기 벨트(7)를 느슨하게 하여주는 방법이 있다.
상기 각종 금봉이나 각종 갈고리나 각종 고리나 롤러나 도르래 등을 사용하여 로프를 걸어주어 지지하여주는 로프가이드(23)(37)를 설치하여 주었다.
도 1에서 상기 보빈(15)의 회전축(13) 길이와 상기 가이드축(25)의 길이를 같게 하여주어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와 연결된 로프(39)를 지지하여 보빈(15)에 안전하게 안내하여 감아주는 것과 상기 로프(39)를 좌우로 이동하여 주어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안내하여 조정하여주는 것을 하나의 로프가이드(37)에 의해 할 수 있게 하여 주었다.
도 2, 3에서 상기 보빈(15)의 회전축(13) 길이를 상기 가이드축(25)이 로프 가이드(37)를 좌우로 안내하여주는 범위보다 짧게 하여주어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와 연결된 로프(39)를 걸어주어 지지하여 보빈(15)에 안전하게 안내하여 감아주는 로프가이드(23)를 별도로 설치하여주고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안내하여 조정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설치하여 주었다.
상기 도 1, 2에서 상기 로프(39)를 안내하여줄 로프가이드(37)를 좌우로 이동하여 안내하여줄 필요 없이 상기 가이드축(25)에 다수의 로프가이드(37)를 고정시켜 설치하여주어 상기 로프(39)를 상기 다수의 로프가이드(37)에 이동하여 걸어주어 상기 로프(39)를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안내하여 조정하여주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농기계인 트랙터의 삼점링크에 부착하여 상기 트랙터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모터나 PTO을 이용한 죠인트로 상기 회전축(3)에 회전력을 전달하여주었다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는 모의뿌리를 절단하여주는 날(41)과 손잡이(45)를 설치하고 상기 로프(39)와 연결하여주는 고리(47)를 형성하여 주었다.
상기 로프가이드(37)의 전후이동 수단은 도 2, 3에서 상기 로프가이드(37)와 연결된 내경이 큰 파이프(19)에 작은 파이프(17)를 넣어주어 전후 이동하여 주어 작업 환경에 맞게 로프가이드(37)와 보빈(15)과의 거리를 조절하고 보조역활로 상하 각(53)도 조절 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19)(17)에 핀 구멍(20)(21)을 형성하여 주어 핀(33)으로 고정하여 주었다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날(41)과 로프(39)와의 상하 각(53)을 조정 안내 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상기 로프가이드(37)의 상하 이동 수단은,
도 1,3에서는 상기 로프가이드(37)를 설치한 좌우이동수단(31)과 상기 좌우이동수단(31)을 설치하여 상기 로프가이드(37)를 좌우로 안내하여주는 가이드축(25)과 상기 가이드축(25)에 연결된 상하이동수단(27)을 프레임(9)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여주어 상기 상하이동수단(27)을 이용하여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안내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주어 상기 날(41)과 로프(39)와의 상하 각(53)을 조정하여주면 상기 상하이동수단(27)에 형성한 핀 구멍(59)과 프레임(9)에 형성한 핀 구멍(61)에 핀(33)을 이용하여 고정을 하여 준다
도 2에서는 상기 로프가이드(37)를 설치한 좌우이동수단(31)과 상기 좌우이동수단(31)을 설치한 가이드축(25)과 상기 가이드축(25)에 연결된 상하이동수단(27)인 내경이 작은 파이프(17)를 상기 보빈(15)의 회전축(13)에 베어링 축받이 하여주어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양쪽 방향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주었고 상기 상하이동수단(27)을 프레임(9)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하여주어 상기 로프가이드(37)를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 상기 상하이동수단(27)에 형성한 핀 구멍(59)과 프레임(9)에 형성한 핀 구멍(61)에 핀(33)으로 고정을 하여준다.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좌우로 이동 안내하여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상기 로프(39)를 안내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상기 로프가이드(37)의 좌우 이동 수단은,
도 1, 2, 3에서 상기 가이드축(25)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좌우이동수단(31)을 설치하여주고 상기 좌우이동수단(31)에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주는 로프 가이드(37)를 설치하여 상기 좌우이동수단(31)을 좌우로 이동하여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상기 로프(39)를 안내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주었다.
상기 로프(39)를 걸어주어 지지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설치한 좌우이동수단(31)을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로프(39)를 좌우 이동 안내하여주면 상기 좌우이동수단(31)과 가이드축(25)에 각각 형성한 핀 구멍(35)(29)에 핀(33)을 이용하여 상기 로프가이드(37)를 고정을 하여주었다.
상기 보빈(15)에 감겨있는 로프(39)와 연결된 육묘상자분리기(43)를 끌어당겨주기 위해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안내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의 실시예를 도 5, 6에서 설명을 하면은,
도 5에서 육묘상자(49)가 놓여있는 못자리의 논바닥이 보빈(15)이 놓여지는 위치가 높거나 낮을 시에는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의 날(41)과 육묘상자분리기(43)와 연결된 로프(39)와의 상하 각(53)을 상기 전후 상하 이동수단으로 상기 로프(39)를 걸어주어 안내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전후 상하로 조절하여주어 상기 상하 각(53)을 작업환경에 알맞게 조절 하여주며
도 6에서 다수의 이랑으로 된 못자리에 상기 하나의 이랑에 세로방향으로 4줄로 놓여진 육묘상자(49)에 상기 본 발명(10)의 가이드축(25)의 범위에 상기 하나의 이랑에 대어주고 상기 보빈(15)에 감겨있는 로프(39)와 연결된 육묘상자분리기(43)를 1번 줄(Ⅰ)의 육묘상자(49)에 놓아주고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와 연결된 로프(39)를 지지하여 안내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좌우로 이동하여주는 좌우이동수단(31)을 이용하여 상기 로프(39)를 1번 줄(Ⅰ)의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 (49)들의 중앙으로 안내하여주면 상기 로프가이드(37)를 상기 핀 구멍(29)(35)과 핀(33)을 이용하여 고정을 하여 주고 난 다음에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와 연결된 로프(39)를 감아주는 보빈(15)을 회전 시키어주면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가 끌어당겨지어 상기 1번 줄(Ⅰ)의 육묘상자(49)를 분리하여 지면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를 2번 줄(Ⅱ)의 육묘상자(49)에 놓아주고 상기 로프(39)를 지지하여 안내하여주는 로프가이드(37)를 좌우로 이동하여주는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로프(39)를 2번 줄(Ⅱ)의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49)들의 중앙으로 조정 안내하여주어 상기 로프가이드(37)를 고정하여주는 수단으로 고정을 하여주고 상기 로프(39)를 감아주는 보빈(15)을 회전을 시키어주어 상기 육묘상자분리기(43)를 끌어당겨주어 상기 2번(Ⅱ) 줄의 육묘상자(49)를 분리 한다 상기와 같이 반복하여 로프(39)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로프가이드(37)를 좌우로 이동 안내하여주어 상기 3, 4번 줄(Ⅲ, Ⅳ) 육묘상자(49)를 분리하여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작업자의 작업에 알맞은 속도로 상기 로프를 감아주는 보빈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주는 것과 상기 보빈의 회전축과 상기 로프와의 각도를 항시 직각으로 유지할 필요 없이 상기 각을 자유로운 각도 에서도 상기 로프를 상기 보빈에 안전하게 감아주는 것과 상기 육묘상자분리기와 연결된 로프의 상하 각을 작업환경에 알맞게 조절하여 줄 수 있고 상기 로프를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들의 중앙으로 안내하여주기 위해서 보빈을 부착한 동력원을 좌우로 이동하여 안내하여줄 필요 없이 로프가이드를 이용하여 안내하여줄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이랑으로 이루어진 못자리에서 상기 하나의 이랑에 4줄로 놓여진 육묘상자를 분리할 때에 상기 보빈을 설치한 동력원의 이동 없이 상기 육묘상자를 분리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동력원을 이용하여 모의뿌리를 절단하여주는 날이 설치된 육묘상자분리기를 끌어당겨주어 모의뿌리를 절단하여주기 위한 윈치에 있어서,
    보빈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주는 감속장치와;
    상기 육묘상자분리기와 연결된 로프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보빈에 안내하여 감아주기 위한 로프가이드와;
    상기 로프가이드를 금봉이나 갈고리나 고리나 롤러나 도르래 등을 사용한 것과;
    상기 보빈과 감속장치와 로프가이드를 설치하여 동력원에 부착하기 위한 프레임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육묘상자분리기와 연결되어진 로프를 지지하여 상기 로프를 좌우로 이동하여 일직선으로 놓여진 육묘상자들의 중앙으로 상기 로프를 안내하여 상기 육묘상자분리기를 끌어당겨주기 위한 로프가이드와;
    상기 로프가이드를 금봉이나 갈고리나 고리나 롤러나 도르래 등을 사용한 것과;
    상기 로프가이드를 좌우로 이동하여주는 수단과 고정하여주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KR1020060016539A 2006-01-19 2006-02-21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KR20070077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786A KR20060012048A (ko) 2006-01-19 2006-01-19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KR1020060005786 2006-01-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703U Division KR200416293Y1 (ko) 2006-01-19 2006-02-21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004A true KR20070077004A (ko) 2007-07-25

Family

ID=371218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786A KR20060012048A (ko) 2006-01-19 2006-01-19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KR1020060016539A KR20070077004A (ko) 2006-01-19 2006-02-21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786A KR20060012048A (ko) 2006-01-19 2006-01-19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6001204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048A (ko) 2006-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139B1 (ko) 해초류 양식줄 자동 인양장치
US9326459B2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pulling out the cut-off vine branches
CN107432203B (zh) 植物栽培系统
JP6746815B1 (ja) 簡易蔓切機
KR20170126360A (ko) 초목 제거 파쇄 장치
KR200416293Y1 (ko)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KR20070077004A (ko)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US5428947A (en) Fruit picker
KR20170135320A (ko) 비닐하우스용 롤러가이드식 내부차광장치
KR101302932B1 (ko) 비닐 수거장치
CN216358131U (zh) 一种林业技术推广用育苗装置
CN212876878U (zh) 一种农业栽培装置
KR20110081693A (ko) 넝쿨식물 줄기유인 장치
JP7206019B2 (ja) 誘引具、誘引装置
CN213202076U (zh) 一种树木移植吊装装置
CN211353212U (zh) 一种梨树拉枝器
KR20090073967A (ko) 덩굴제거장치
CN207219418U (zh) 一种油用牡丹果实采摘机
KR200157887Y1 (ko) 식물재배용 유인끈 케이스
KR20200077662A (ko)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CN2919815Y (zh) 轮叶式浮力微型耕整机
KR102392781B1 (ko) 작물의 절단줄기 수집장치
CN218302415U (zh) 一种开角稳枝装置
CN215819527U (zh) 一种红树植物快速培育装置
CN216906103U (zh) 一种农艺师用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