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662A -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662A
KR20200077662A KR1020180166256A KR20180166256A KR20200077662A KR 20200077662 A KR20200077662 A KR 20200077662A KR 1020180166256 A KR1020180166256 A KR 1020180166256A KR 20180166256 A KR20180166256 A KR 20180166256A KR 20200077662 A KR20200077662 A KR 20200077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ake
waste vinyl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245B1 (ko
Inventor
남영조
김문택
남상호
김영근
최용
최일수
현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to KR102018016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2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2013/0218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21Dividing in larg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5Cutting handled material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65H2555/22Actuating means angular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을 폭방향 중심을 절개하여 양측으로 분산시킨 후 권취릴에 권취하여 제거하고, 트랙터의 속도와 동기하여 작동함으로서 수거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장력이 증가하여 찢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폐비닐의 수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전방양측과 중앙에 트랙터의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연결대와 중앙연결대를 가지는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후방으로 세로바를 연결하여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미에 설치하여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짐을 싣거나 보조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탑승대와; 상기 가로바의 양단위치에 두둑에 피복된 폐비닐의 양측 가장자리를 들어올려주는 변부상승기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폐비닐 권취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양측에는 폐비닐을 권취하도록 설치하는 권취부와; 권취되는 폐비닐의 중앙부를 절개하면서 양측의 권취부로 폐비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VINYL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재배를 위하여 사용된 폐비닐을 트랙터에 연결하여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폐비닐 수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는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함과 더불어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여 농가 일손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두둑(이랑)에 비닐을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피복된 비닐은 작물을 수확할 시기가 도래하면 작물을 수확함과 동시 또는 작물을 수확하기 이전에 피복한 비닐을 제거하여 차후 작물을 재배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게 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용도로 피복되어 사용된 폐비닐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일측에는 견인부(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대(12)가 구비된 프레임과(10); 상기 프레임(10)상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PTO와 연결되는 구동축(20)과; 상기 구동축(20)에 체인 또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30)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동축(40)과; 상기 피동축(40)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권취판(50)과; 상기 피동축(40)에 끼워지는 보빈(60)과; 상기 보빈(60)의 일측을 막아 보빈(60)에 감겨지는 폐비닐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권취판(50)과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피동축(4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이탈방지 회전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허문헌 2는, 폐비닐 수거장치에 있어서,
트랙터의 유압을 이용하여 와인딩 릴(3)이나 견인로프 릴(4)을 회전시키는 헤드(100)와, 로타리(7)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100)를 분해 조립할 수 있게 한 한 쌍의 사각지지관(22)으로 폐비닐을 수거하는 폐비닐 수거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헤드(100)는, 후미에 사각삽입관(11)을 가진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 위에 장착되며 트랙터의 유압라인과 연결 구동되는 유압모터(12), 그리고 상기 유압모터(12)의 전방에 설치되어 선단에 사각연결관(17)을 가진회전축(18)의 회전방향을 정 또는 역회전시키는 회전방향전환핸들(13)을 가진 유압콘트롤밸브(14)와, 상기 회전축(18)과 유압모터(12)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1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허문헌 3은, 트랙터에 착탈되어 보호휠(60)(70) 사이로 폐비닐을 감아주는 폐비닐 수거기의 프레임(10)에는 상측으로 보호휠(60)(70)이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고정링크(9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링크(90)의 상측에는 폐비닐이 수거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두 개의 회동링크(91)(92)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링크(91)(92)는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링크(91)(92)의 선단에는 보호휠(60)(70)이 끼워지고 트랙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30)과 수평되는 방향으로 수평링크(9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회동링크(91)(92)와 수평링크(93)의 결합부위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94)를 고정하고, 상기 수평링크(93)에는 구동축(30)에 감기는 폐비닐이 통과되는 폐공간의 유도구(9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254674 - 0000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64264 - 0000 호 특허 제 10 - 1404155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특허문헌 2는, 트랙터의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유압모터에 의하여 와인딩릴을 회전시켜 폐비닐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특허문헌 3은, 수거되는 폐비닐을 보호휠 전반에 걸쳐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권취될 수 있도록 유도구를 가지는 조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하게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으로 폐비닐을 당기면서 권취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폐비닐을 온전하게 수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게 된다.
이는, 농작물 재배에 사용되는 폐비닐의 특성상 작물을 심거나 성장시키기 위하여 비닐의 표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가장자리는 물론 두둑의 중앙부에 간헐적으로 흙으로 돋아주고 있기 때문에 트랙터의 힘으로 단순하게 당겨서 수거할 경우에는 폐비닐이 연속적으로 수거되지 않고 중간 중간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폐비닐이 연결되지 않고 중간 중간에 자주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작업이 주기적으로 중단되어야 하므로 폐비닐을 수거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미처 수거되지 못한 폐비닐이 농경지에 잔존하게 되므로 폐비닐을 수거한 후 다시 잔존하는 폐비닐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특히 두둑의 폭이 넓게하는 마늘이나 양파를 재배하기 위하여 피복한 비닐의 경우에는 수거하여야 하는 폐비닐의 폭도 넓어지게 되는 데 이를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된 권취릴에 감으면서 수거할 경우에는 권취릴에 부하가 걸리게 되고, 트랙터의 진행속도와 권취릴의 회전속도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폐비닐이 쉽게 찢어지는 손상으로 인하여 원활한 수거가 불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전방양측과 중앙에 트랙터의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연결대(102)와 중앙연결대(103)를 가지는 한 쌍의 가로바(101)와, 상기 가로바(101)의 후방으로 세로바(104)를 연결하여 구비하는 프레임(105)과; 상기 프레임(105)의 양측에 장착하는 바퀴(106)와; 상기 프레임(105)의 후미에 설치하여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짐을 싣거나 보조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탑승대(107)와; 상기 가로바(101)의 양단위치에 두둑에 피복된 폐비닐의 양측 가장자리를 들어올려주는 변부상승기(108)와; 상기 프레임(105)의 중앙부에는 폐비닐 권취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하는 동력발생부(110)와; 상기 프레임(105)의 전방 양측에는 폐비닐을 권취하도록 설치하는 권취부(130)와; 권취되는 폐비닐의 중앙부를 절개하면서 양측의 권취부(130)로 폐비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0)를 포함하여;
폐비닐을 폭방향 중심을 절개하여 양측으로 분산시킨 후 권취릴에 권취하여 제거하고, 트랙터의 속도와 동기하여 작동함으로서 수거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장력이 증가하여 찢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폐비닐의 수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거되는 폐비닐의 중앙부를 양측으로 분리하여 진행방행 양측에 설치되는 권취릴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하고, 수거하기 위한 폐비닐의 양측 가장자리를 들어올려 권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폐비닐 수거과정에서 찢어지는 손상을 방지하여 연속적인 수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별도의 유압모터를 설치하여 권취릴을 회전시키고, 트랙터의 이동속도에 맞게 권취릴의 속도를 가감시켜 폐비닐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속도차이로 인한 폐비닐의 찢어짐을 방지하여 수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페비닐 수거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의 권취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의 가이드부 절개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의 권뷔부를 구성하는 인출기를 발췌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페비닐 수거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의 권취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의 가이드부 절개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의 권뷔부를 구성하는 인출기를 발췌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100)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킨 한 쌍의 가로바(101)와 상기 가로바(101)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전방양측과 중앙에 트랙터의 3점링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연결대(102)와 중앙연결대(103)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101)의 후방으로 세로바(104)를 연결하여 개략 ⊥형상의 프레임(10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5)의 양측에는 트랙터에 의하여 견인되어 이동되는 수거장치(100)를 지지하면서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바퀴(106)를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105)의 후미에는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짐을 싣거나 보조작업자가 탑승하여 수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탑승대(107)를 설치한다.
상기 가로바(101)의 양단위치에는 두둑에 피복된 폐비닐의 양측 가장자리를 들어올려 찢어짐없이 수거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되는 변부상승기(108)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5)의 중앙부에는 폐비닐 권취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부(11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05)의 전방 양측에는 폐비닐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130)를 설치하고, 상기 동력발생부(110)에는 권취되는 폐비닐의 중앙부를 절개하면서 양측의 권취부(130)로 폐비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7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력발생부(110)는, 프레임(105)의 중앙에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축(111)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111)의 후미에는 유압발생기(112)를 구비한다.
상기 유압발생기(112)는, 프레임(105)의 상면에 설치하는 유압탱크(113)와 유압탱크의 유체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생성하는 유압펌프(114)로 구성하고, 상기 유압펌프(114)는 프레임(105)의 전방 저면에 설치되는 속도조절기(115)에 의하여 트랙터의 주행속도에 맞게 유압펌프(114)를 작동시켜 권취부(130)와 가이드부(170)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속도조절기(115)는, 프레임(105)의 저면에 돌출되는 조절브라켓(116)의 하단에 힌지핀(117)으로 조절바(118)를 결합하고, 상기 조절바(118)의 끝단에는 수거되는 폐비닐이 경유할 수 있도록 조절롤러(119)를 장착하여 수거되는 폐비닐이 조절롤러(119)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조절바(118)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유압펌프(114)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즉, 수거되는 폐비닐에 의하여 조절롤러(119)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유압펌프(114)의 속도를 낮추고, 조절롤러(119)가 하측으로 내려지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유압펌프(115)의 속도를 높이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절브라켓(116)에 대하여 조절바(118)의 각도를 설정한 후 설정한 각도보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권취부(130)는, 중앙연결대(103)의 양측에 상측과 외측방향이 개방된 권취브라켓(131)을 고정하고, 상기 권취브라켓(131)의 하부 내측방향에는 힌지핀(132)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게 권취로드(133)를 연결한다.
상기 권취브라켓(13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조절공(134)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134) 위치의 권취로드(133)에는 선택공(135)을 형성하여 조절핀(136)으로 단속하여 권취로드(133)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권취로드(133)의 상부에는 권취플레이트(137)를 고정한 후 그 전방에 모터브라켓(138)을 세워 유압펌프(114)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139)를 장착하고, 상기 유압모터(139)로부터 취출되는 구동축(140)을 축하우징(141)으로 유지한다.
상기 구동축(140)의 끝단에는 권취릴(142)을 장착하여 수거되는 폐비닐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권취릴(142)은 구동축(140)과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권취림(143)을 고정하고, 상기 권취림(143)의 외측으로는 방사상으로 고정하는 서포터(144)와, 상기 서포터(144)의 끝단에 고정되는 링체(145)로 구성하여 권취되는 폐비닐이 적층될 수 있게하는 권취가이드(146)를 구비한다.
상기 권취림(143)의 후방으로는 다수개의 권취바(147)를 힌지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권취바(147)의 후방에는 폐비닐을 권취할 때에는 권취바(147)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권취완료 후에는 폐비닐의 인출시킬 수 있도록 권취바(147)의 후방부 직경을 축소시키는 인출기(1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출기(150)는, 권취림(14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권취축(151)의 단부에 권취축(151)보다 작은 직경의 인출축(152)을 결합하고, 상기 인출축(152)에는 원판형상의 인출판(153)을 결합한다.
상기 인출판(153)은 권취축(151)과 인출축(152)의 직경차이로 형성되는 걸림턱(154)과 인출축(152) 끝단에 고정되는 스토퍼(155)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출판(153)과 스토퍼(155) 사이에는 복귀스프링(156)을 설치하여 인출판(153)이 항상 걸림턱(154)과 연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출판(153)의 외경부에는 권취바(147)와 작동로드(157)를 힌지핀(158)으로 연결하여 폐비닐을 권취할 때에는 작동로드(157)가 폐비닐의 하중을 지지하여 권취바(147)의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출판(153)의 후방으로 손잡이(160)를 고정하여 폐비닐의 권취가 완료되면 인출판(153)을 후퇴시켜 권취바(147)의 후방 직경을 축소시켜 폐비닐의 인출을 용이하도록 하고, 폐비닐의 인출이 완료되면 복귀스프링(156)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권취바(147)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부(170)는, 프레임(105)을 구성하는 세로바(104)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어 수거되는 폐비닐의 폭방향 중앙부를 절개하는 절개기(171)와, 상기 세로바(104)의 중앙위치 상방 양측에 세워져 폐비닐이 권취부(130)로 안내하는 안내기(172)로 구성한다.
상기 절개기(171)는, 세로바(104)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내려지는 절개브라켓(173)의 하단에 나이프축(174)을 설치하여 쌍의 절개나이프(175)를 장착하고, 상기 나이프축(174)은 세로바(104)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압모터(176)와 벨트와 풀리, 체인과 체이기어 조합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기(172)는, 세로바(104)의 상방 양측에 세워지는 서포터(180)의 상부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관(181)을 고정하고, 상기 연결관(181)에는 폐비닐을 권취부(13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링(182)을 가지는 안내바(183)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거장치(100)를 트랙터와 연결한 후 수거하고자 하는 폐비닐의 끝단부를 가이드부(170)를 구성하는 걸개기(171)와 안내기(172)를 경유시킨 후 권취부(130)의 권취릴(142)에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움직이면 트랙터에 의하여 수거장치(100)가 견인되어 함께 이동하게 되고, 프레임(105)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변부상승기(108)가 두둑에 피복된 비닐의 양측 가장자리를 들어올려주게 되고, 가이드부(170)를 경유하면서 절개기(171)에 의하여 폐비닐의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되고 안내기(172)를 통하여 권취부(130)의 양측 권취릴(142)에 권취되어지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둑을 따라 이동하면서 변수상승기(108)에 의하여 폐비닐의 양측 가장자리가 들어올려지면, 권취부(130)의 권취릴(142)이 유압모터(139)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폐비닐을 당겨서 권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폐비닐은 두둑에서 가이드부(170)의 절개기(171)를 구성하면서 유압모터(176)에 의하여 회전하는 절개나이프(175)를 통과하면서 폭방향 중심부가 절개되고, 안내지(172)의 안내링(182)를 통과하여 권취릴(142)에 자연스럽게 권취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동력발생부(110)를 구성하는 속도조절기(115)의 조절롤러(119)를 폐비닐이 경유하게 되면서 속도가 빠르면 조절롤러(119)가 상승하고 늦으면 조절롤러(119)가 하강하게 되어 트랙터의 진행속도에 맞게 유압펌프(114)의 작동속도를 제어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유압펌프(114)의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모터(139,176)의 속도가 제어되어 권취릴(142)과 절개나이프(175)의 속도가 트랙터의 속도와 동기되므로 폐비닐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속도차이로 야기될 수 있는 폐비닐의 찢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에서는 권취릴(142)에 폐비닐의 권취가 완료되면 인출기(150)를 이용하여 권취바(147)의 후방부 직경을 축소시켜 권취된 폐비닐을 용이하게 빼낸 후 다시 권취바(147)의 직경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 후 다시 폐비닐을 권취하는 작업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 인출기(150)의 작동을 살펴보면, 손잡이(160)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인출판(153)과 스토퍼(155) 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156)의 힘을 극복하고 인출바(153)이 후퇴하게 된다.
상기 인출판(153)과 권취바(147)가 작동로드(157)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로드(157)가 인출판(153)을 따라서 후퇴함으로서 권취바(147)의 후방부 직경이 전방부 위치의 권취림(143) 위치의 직경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권취릴(142)에 권취된 폐비닐을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권취된 폐비닐의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손잡이(160)를 놓으면 복귀스프링(156)의 탄성에 의하여 인출판(15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권취축(151)과 인출축(152)의 직경차이로 형성되는 걸림턱(154)에 의하여 정지되므로 작동로드(157)가 권취바(147)를 받치는 형태를 이루어 폐비닐의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폐비닐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권취릴(142)부터 배출된 폐비닐을 작업지면에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프레임(105)의 후방에 더 구비되는 탑승대(107)에 일시적으로 적재하여도 되고, 탑승대(107)에 보조작업자가 탑승하여 폐비닐이 수거되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폐비닐을 폭방향 중심을 절개하여 양측으로 분산시킨 후 권취릴에 권취하여 제거하고, 트랙터의 속도와 동기하여 작동함으로서 수거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장력이 증가하여 찢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폐비닐의 수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105; 프레임
107; 탑승대 108; 변부상승기
110; 동력발생부 111; 구동축
112; 유밥발생기 115; 속도조절기
118; 조절바 119; 조절롤러
130; 권취부 131; 권취브라켓
133; 권취로드 137; 권취플레이트
139; 유압모터 140; 구동축
142; 권취릴 143; 권취림
146; 권취가이드 150; 인출기
151; 권취축 152; 인출축
153; 인출판 156; 복귀스프링
157; 작동로드 160; 손잡이
170; 가이드부 171; 절개기
172; 안내기 175; 절개나이프
176; 유압모터 182; 안내링

Claims (7)

  1.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전방양측과 중앙에 트랙터의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연결대(102)와 중앙연결대(103)를 가지는 한 쌍의 가로바(101)와, 상기 가로바(101)의 후방으로 세로바(104)를 연결하여 구비하는 프레임(105)과;

    상기 프레임(105)의 중앙부에는 폐비닐 권취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하는 동력발생부(110)와;
    상기 프레임(105)의 전방 양측에는 폐비닐을 권취하도록 설치하는 권취부(130)와;
    권취되는 폐비닐의 중앙부를 절개하면서 양측의 권취부(130)로 폐비닐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110)는, 프레임(105)의 중앙에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동축(111)과;
    상기 구동축(111)의 후미에 유압탱크(113)와 유압펌프(114)를 포한하는 유압발생기(112)와;
    상기 프레임(105)의 전방 저면에 설치되어 트랙터의 주행속도에 맞게 유압펌프(114)를 작동시켜 권취부(130)와 가이드부(170)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기(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130)는, 상측과 외측방향이 개방되어 중앙연결대(103)의 양측에고정되는 권취브라켓(131)과;
    상기 권취브라켓(131)의 하부 내측방향에 힌지핀(132)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게 연결하는 권취로드(133)와;
    상기 권취브라켓(131)의 상부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조절공(134)과, 상기 조절공(134) 위치의 권취로드(133)에 형성하는 선택공(135)과, 상기 조절공(134)과 선택공(135)을 단속하여 권취로드(133)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게하는 조절핀(136)과;
    상기 권취로드(133)의 상부에 고정하는 권취플레이트(137)와;
    상기 권취플레이트(137)의 전방에 세워지는 모터브라켓(138)에 유압펌프(114)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하는 유압모터(139)와;
    상기 유압모터(139)로부터 취출되어 축하우징(141)으로 유지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의 끝단에 장착하여 수거되는 폐비닐을 권취하는 권취릴(142)과;
    상기 권취릴(142)은, 구동축(140)과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권취림(143)과, 상기 권취림(143)의 외측으로는 방사상으로 고정하는 서포터(144)와, 상기 서포터(144)의 끝단에 고정되는 링체(145)로 구성하는 권취가이드(146)와, 상기 권취림(143)의 후방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권취바(147)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바(147)의 후방에 설치하여 폐비닐을 권취할 때에는 권취바(147)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권취완료 후에는 폐비닐의 인출시킬 수 있도록 권취바(147)의 후방부 직경을 축소시키는 인출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70)는, 프레임(105)을 구성하는 세로바(104)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어 수거되는 폐비닐의 폭방향 중앙부를 절개하는 절개기(171)와;
    상기 세로바(104)의 중앙위치 상방 양측에 세워져 폐비닐이 권취부(130)로 안내하는 안내기(172)로 구성하고;
    상기 절개기(171)는, 세로바(104)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내려지는 절개브라켓(173)의 하단에 설치하는 나이프축(174)과;
    상기 나이프축(174)에 장착하는 한 쌍의 절개나이프(175)와;
    상기 나이프축(174)은, 세로바(104)의 상방에 설치되는 유압모터(176)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고;
    상기 안내기(172)는, 세로바(104)의 상방 양측에 세워지는 서포터(180)와;
    상기 서포터(180)의 상부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결관(181)과;
    상기 연결관(181)에 결합되는 안내바(183)와;
    상기 안내바(183)에 구비하여 폐비닐을 권취부(13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링(1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5)의 양측에 장착하는 바퀴(106)와;
    상기 프레임(105)의 후미에 설치하여 작업에 필요한 도구나 짐을 싣거나 보조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탑승대(107)와;
    상기 가로바(101)의 양단위치에 두둑에 피복된 폐비닐의 양측 가장자리를 들어올려주는 변부상승기(1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기(115)는, 프레임(105)의 저면에 돌출되는 조절브라켓(116)과;
    상기 조절브라켓(116)의 하단에 힌지핀(117)으로 결합하는 조절바(118)와;
    상기 조절바(118)의 끝단에 장착하는 조절롤러(119)를 포함하여 수거되는 폐비닐이 조절롤러(119)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조절바(118)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통하여 유압펌프(114)의 속도를 조절하여 권취부(130)와 가이드부(170)를 트랙터의 속도와 동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150)는, 권취림(14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권취축(151)과;
    상기 권취축(151)의 단부에 권취축(151)보다 작은 직경으로 결합하는 인출축(152)과;
    상기 인출축(152)에 결합되고 권취축(151)과 인출축(152)의 직경차이로 형성되는 걸림턱(154)과 인출축(152) 끝단에 고정되는 스토퍼(155) 사이를 움직일 수 있게하는 원판형상의 인출판(153)과;
    상기 인출판(153)과 스토퍼(155) 사이에 설치하여 인출판(153)이 항상 걸림턱(154)과 연접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하는 복귀스프링(156)과;
    상기 인출판(153)의 외경부에 권취바(147) 사이를 힌지핀(158)으로 연결하는 작동로드(157)와;
    상기 인출판(153)의 후방으로 고정하여 폐비닐의 권취가 완료되면 인출판(153)을 후퇴시켜 권취바(147)의 후방 직경을 축소시켜 폐비닐의 인출을 용이하도록 하고, 폐비닐의 인출이 완료되면 복귀스프링(156)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권취바(147)를 지지할 수 있게하는 손잡이(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KR1020180166256A 2018-12-20 2018-12-20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KR10215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56A KR102151245B1 (ko) 2018-12-20 2018-12-20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56A KR102151245B1 (ko) 2018-12-20 2018-12-20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662A true KR20200077662A (ko) 2020-07-01
KR102151245B1 KR102151245B1 (ko) 2020-09-03

Family

ID=7160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56A KR102151245B1 (ko) 2018-12-20 2018-12-20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2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4922A (ja) * 1990-12-28 1992-08-24 Iseki & Co Ltd マルチフィルム巻取装置
JPH0730642U (ja) * 1993-11-29 1995-06-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トラクタ装着式マルチフィルム除去装置
KR200254674Y1 (ko) 2001-08-13 2001-12-01 유정만 트랙터부착형 농업용 폐비닐수거기
KR100623494B1 (ko) * 2005-06-02 2006-09-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권취기
KR200464264Y1 (ko) 2010-12-16 2012-12-21 곽병도 폐비닐 수거장치
KR101404155B1 (ko) 2012-09-05 2014-06-09 정길동 폐비닐 수거 조절기
KR101791382B1 (ko) * 2017-03-24 2017-10-30 윤병운 비닐 피복기용 비닐 컷팅장치
KR20180048115A (ko) * 2016-11-02 2018-05-10 임완섭 트랙터 부착형 농업 폐비닐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4922A (ja) * 1990-12-28 1992-08-24 Iseki & Co Ltd マルチフィルム巻取装置
JPH0730642U (ja) * 1993-11-29 1995-06-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トラクタ装着式マルチフィルム除去装置
KR200254674Y1 (ko) 2001-08-13 2001-12-01 유정만 트랙터부착형 농업용 폐비닐수거기
KR100623494B1 (ko) * 2005-06-02 2006-09-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권취기
KR200464264Y1 (ko) 2010-12-16 2012-12-21 곽병도 폐비닐 수거장치
KR101404155B1 (ko) 2012-09-05 2014-06-09 정길동 폐비닐 수거 조절기
KR20180048115A (ko) * 2016-11-02 2018-05-10 임완섭 트랙터 부착형 농업 폐비닐 수거장치
KR101791382B1 (ko) * 2017-03-24 2017-10-30 윤병운 비닐 피복기용 비닐 컷팅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245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752Y1 (ko) 비닐 수거기
US942212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existing turf and installing new turf
CN104160897B (zh) 自动铺膜机
CA2833268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existing turf and installing new turf
KR101761745B1 (ko) 건답용 직파장치
CN107318544B (zh) 一种全自动铺膜机
KR100818251B1 (ko)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101471996B1 (ko)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CN110073803A (zh) 一种果园多功能除草旋耕机
CN108834698A (zh) 一种农业薄膜铺设设备
CN204408947U (zh) 山药种植收获机
KR20200077662A (ko) 농업용 폐비닐 수거장치
KR101631464B1 (ko) 비닐수거기의 수거 롤러에서 비닐 분리장치
CN106688438B (zh) 轮式仿地形割台
KR20220005979A (ko) 밭작물 수확용 줄기절단장치
CN103749011B (zh) 一种步耕式旋耕机
KR20170030315A (ko) 트랙터 전면 부착형 폐비닐 수거장치
CN211283229U (zh) 前置液压升降式滴灌带回收机
KR20030018435A (ko) 전동식 부추 수확기
CN113853898A (zh) 一种月季种植用起苗机
CN203814133U (zh) 一种步耕式旋耕机
CN111602526A (zh) 一种木槿花种植用扦插设备及其使用方法
CN205124271U (zh) 搂膜收膜机
KR200416293Y1 (ko) 육묘상자분리기용윈치
CN218550577U (zh) 一种仿人工扶苗的培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