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388A - 압축성형제제 - Google Patents

압축성형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388A
KR20070076388A KR1020060108839A KR20060108839A KR20070076388A KR 20070076388 A KR20070076388 A KR 20070076388A KR 1020060108839 A KR1020060108839 A KR 1020060108839A KR 20060108839 A KR20060108839 A KR 20060108839A KR 20070076388 A KR20070076388 A KR 2007007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ysteine
ascorbic acid
compression molding
crystalline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561B1 (ko
Inventor
요이치 오누키
미노루 오카다
아키라 다카하시
미사오 무라타
데츠오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L-시스테인 및 아스코르브산을 약효성분으로서 많이 함유하면서, 제조성이 뛰어나 소형인 정제를 제공한다.
L-시스테인 또는 그의 염을 L-시스테인으로 환산해 20∼40질량%,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염을 아스코르브산으로 환산해 30∼70질량%,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합계로 7.5∼25질량% 및 고팽윤성 고분자를 1∼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성형제제에 관한다.

Description

압축성형제제 {COMPRESSION MOLDED PREPARATION}
본 발명은 압축성형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약효성분으로서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을 고함량 함유한 압축성형제제에 관한다.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을 배합한 제제는 주름, 주근깨, 햇볕에 그을림, 피부병 등의 색소 침착증, 전신 권태, 숙취, 여드름, 습진, 두드러기, 피부독, 약독, 잇몸으로부터의 출혈, 코출혈의 출혈 예방, 육체 피로시, 임신·수유기, 병중 병후의 체력 저하시, 노년기의 비타민 C의 보급에 대해서 이용되어 왔다.
그리고, 예를 들면, 주름, 주근깨, 햇볕에 그을림 등의 색소 침착증, 전신 권태, 숙취, 여드름, 습진, 두드러기, 피부독에 대해서는 1일당 L-시스테인의 복용량이 240mg, 아스코르브산 복용량이 300mg 및 판토텐산 칼슘의 복용량이 24mg인 당의정이 이용되고 있다. 또, 주름, 주근깨, 햇볕에 그을림에 의한 색소 침착증, 잇몸으로부터의 출혈, 코출혈의 출혈 예방, 육체 피로시, 임신·수유기, 병중 병후의 체력 저하시, 노년기의 비타민 C의 보급에 대해서는 1일당 L-시스테인의 복용량이 30∼160mg 및 아스코르브산의 복용량이 300∼1200mg으로 되는 L-시스테인과 아스코 르브산을 배합한 각종 제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은 모두 1일당 복용량이 많은 것에 더하여 특히, L-시스테인은 유동성이 나쁘고, 압축 성형성도 나쁘므로 정제로서 제제화하는 경우에, 부형제를 대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부형제를 대량으로 이용해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많게 하면, 1정당 질량이 많은 큰 정제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1정당 질량을 적게 하고, 정제를 작게 하여 복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는 1회에 복용하는 정제의 수가 증가해 버려, 환자에게 있어 복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아스코르브산의 유동성과 압축 성형성은 비교적 좋으므로, 1정 중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많이 할 수 있어도, 상기와 같이 L-시스테인의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그의 함량을 많이 하는 것은 곤란했다.
상기와 같이,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을 배합한 제제는 주름, 주근깨, 햇볕에 그을림 등에 의한 색소 침착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 많지만, 피부의 턴 오버이게 시간이 걸리며, 개인에 따라서 다르지만, 그 효과가 나타나기에는 약 3개월 지속하여 복용을 계속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장기간에 걸쳐 큰 정제 또는 다수의 정제를 복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있어 편리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콘플라이언스의 저하를 초래하여,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원인의 하나로도 되어 있었다.
실제, 특허문헌 1의 제제예 2.2, 제제예 2.3 및 제제예 2.4에 나타내는 아스 코르브산과 L-시스테인을 동시에 함유하는 정제는 아스코르브산의 함유량이 18질량% 전후, L-시스테인의 함유량은 9에서 15질량%로 낮아져 버리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및 특허문헌 6에는 피막처리하지 않은 정제(이하, "소정"이라 한다.) 1정당 아스코르브산과 L-시스테인의 함유량의 합계가 60질량%를 넘는 소정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의 소정에서는 아스코르브산의 함유량이 45∼56%로 많음에 불구하고, L-시스테인의 함유량은 모두 8∼19질량%로 적은 것이다.
더욱이, 특허문헌 7에는 L-시스테인의 함유량이 22질량%의 소정이 밝혀져 있지만, 이것은 아스코르브산의 함유량은 28질량%로 적게 되어 버리고 있으며, 소정 중에 L-시스테인을 20질량% 이상, 또한, 아스코르브산을 30질량% 포함하고, 제조성이 우수한 소정은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지 않았다.
더욱이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 정제는 소량의 타정을 할 수 있어도 대량으로 생산을 행하면, 배합하는 부형제 등의 제제 첨가물에 따라서는 유동성이 나쁘고 타정할 수 없기도 하고, 스텍킹이나 캡핑 등의 타정장해를 일으키거나 또는 성분 함량의 격차가 많기도 하고, 중량의 편차가 커지거기도 하여,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없는 것도 있었다. 또한, 정제로서 타정할 수가 있어도, 시스테인 냄새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소정에 필름 코팅이나 당의를 하여 성분 함량의 저하하지 않아도, 보존 중에 변색이나 균열을 일으켜 버리는 것도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4-217655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2-179559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3-128543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3-155232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2004-26786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2004-149426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2004-107273
따라서, 본 발명은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을 각각 20질량% 이상 및 30질량% 이상의 고함량으로 함유한, 주름, 주근깨, 햇볕에 그을림 등에 의한 색소 침착증에 대한 치료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한 소형이면서도, 고품질인 정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2종 이상의 결정 셀루로오스와 고팽윤성 고분자를 조합한 담체에, L-시스테인 또는 그의 염과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염을 배합하고, 이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L-시스테인과 아스코르브산의 함유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정제의 중량의 편차가 적고, 성분 함량의 격차나 타정 장해도 없으며,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복용성이 우수한 소형의 정제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L-시스테인 또는 그의 염을 L-시스테인으로 환산하여 20∼40 질량%,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염을 아스코르브산으로 환산해 30∼70질량%,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합계로 7.5∼25질량% 및 고팽윤성 고분자를 1∼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성형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L-시스테인 및 아스코르브산 등이 가지는 작용을 유효하게 약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주름, 주근깨, 햇볕에 그을림 등의 색소 침착증, 전신 권태, 숙취, 여드름, 습진, 두드러기, 물들어 약 져 잇몸으로부터의 출혈, 코출혈의 출혈 예방, 육체 피로시, 임신·수유기, 병중 병후의 체력 저하시, 노년기의 비타민 C의 보급에 대해서의 효과의 발현이 확실한 복용하기 쉬운 압축성형제제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압축성형제제(이하, "본 발명 제제"라고 한다)는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와 고팽윤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담체에 L-시스테인 또는 그의 염과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의 염을 고함유량으로 배합하고, 이를 압축 성형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 제제에 있어서, 약효성분으로서 이용되는 L-시스테인 또는 그의 염(이하, "L-시스테인류"라고 한다)으로서는 L-시스테인 그 자체 이외에 L-염산 시스테인 등 L-시스테인의 산부가염 등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L-시스테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L-시스테인류의 투여량은 성인에 대해서는 L-시스테인으로 환산하여 통상 1일 10∼1000mg의 범위이고, 30∼480mg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240m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L-시스테인류는 1일 1회 또는 2∼4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기로는 2∼3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 중에서의 L-시스테인류의 함유 비율은 L-시스테인으로 환산하여 20∼4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25∼35질량%, 특히 27.5∼32.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제제에 있어서, 약효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아스코르브산 는 그의 염(이하, "아스코르브산류" 라고 한다)으로서는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 이외에, 아스코르브산 칼슘,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등의 아스코르브산염이나,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칼슘,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어느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아스코르브산류 중에서도,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칼슘,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BASF타케다비타민(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아스코르브산류의 투여량은 성인에 대해서는 통상 1일에 아스코르브산으로 환산하여 50∼2000mg의 범위이고, 50∼500mg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400mg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아스코르브산류는 L-시스테인류와 동일하게 1일 1회 또는 2∼4회 나누어 복용할 수 있으나, 2∼3회로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제제 중에서의 아스코르브산류의 함유 비율은 아스코르브산으로 환산하여 30∼7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32.5∼60질량%, 특히 35∼4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제제에는 상기의 L-시스테인류 및 아스코르브산류 외에 다시 다른 약리활성성분을 배합해도 좋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판토텐산, 판토텐산 칼슘, 판토 텐산 나트륨, 판테놀 등의 판토텐산, 숙신산 d-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아세트산 d-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염산 티아민, 질산 티아민, 질산 비스티아민, 티아민 디술피드, 티아민디아세틸 황산에스테르, 염산 푸르술티아민, 염산 디세티아민, 옥토티아민, 시코티아민, 비스이브티아민, 비스벤티아민, 벤포티아민 등의 비타민 B1, 리보플라빈, 부티르산 리보플라빈, 인산리보플라빈 나트륨 등의 비타민 B2, 염산 피리독신, 인산 피리독살 등의 비타민 B6, 시아노코발라민, 염산 히드록소코발라민, 아세트산 히드록소코발라민, 메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 니코틴산, 니코틴산 아미드 등의 니코틴산, 요쿠이닌, 오로틴산, 비오틴, 감마오리자놀, 글루크로노락톤, 글루크론산아미드, 유비데카레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는 판토텐산, 판토텐산 칼슘, 판토텐산 나트륨, 판테놀 등의 판토텐산을 들 수 있으며, 그의 투여량은 성인에 대해서는 통상 1일 5∼30mg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제제에는 담체로서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가 이용된다. 이 복수의 결정셀룰로오스의 예로서는 부피밀도 0.3g/㎤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와 부피밀도 0.3g/㎤ 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의 조합을 들 수가 있다.
이 중, 부피밀도 0.3g/㎤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로서는 부피밀도 0.6g/㎤ 정도까지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세오라스 PH-301(부피밀도 0.41g/㎤;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사제), 세오라스 PH-301D(부피밀 도 0.41g/㎤; 상동), 세오라스 PH-301Z(부피밀도 0.41g/㎤; 상동), 세오라스 PH-302(부피밀도 0.43g/㎤; 상동), 세오라스 PH-200(부피밀도 0.33g/㎤; 상동), 세오라스 PH-102(부피밀도 0.30g/㎤; 상동), 비바푸어-103(부피밀도 0.32g/㎤; 렛텐마이어사제), 비바푸어-301(부피밀도 0.38g/㎤; 상동), 비바푸어-102(부피밀도 0.31 g/㎤; 상동), 비바푸어-112 (부피밀도 0.35g/㎤; 상동), 비바푸어-12(부피밀도 0.33g/㎤; 상동), 비바푸어-200(부피밀도 0.34g/㎤; 상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더 바람직한 것으로는 평균입자경이 90 ㎛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 세오라스 PH-302, 세오라스 PH-200, 세오라스 PH-102, 비바푸어-112, 비바푸어-102, 비바푸어-12, 비바푸어-200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평균입자경이 1∼20㎛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 비바푸어-12, 비바푸어-200, 세오라스 PH-200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부피밀도 0.3g/㎤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로서는 부피밀도 0.10g/㎤ 정도까지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세오라스 KG-802(부피밀도 0.21g/㎤;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사제), 세오라스 PH-F20JP(부피밀도 0.23g/㎤; 상동), 세오라스 PH-101(부피밀도 0.29g/㎤; 상동), 세오라스 PH-101D(부피밀도 0.29g/㎤; 상동), 비바푸어-105 (부피밀도 0.23g/㎤; 렛텐마이어사제), 비바푸어-101(부피밀도 0.29g/㎤; 상동)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더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평균 입자경이 50㎛ 이상의 결정 셀루로오스; 세오라스 KG-802, 세오라스 PH-101, 세오라스 PH-101D, 비바푸어-101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부피밀도가 가 장 작은 세오라스 KG-802를 들 수 있다.
이들 결정 셀룰로오스의 본 발명 제제의 전 질량에 대한 첨가량은 L-시스테인 및 아스코르브산 등의 함유량이나 정제의 전 질량에 따라 다르나, 부피밀도 0.3g/㎤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와 부피밀도 0.3g/㎤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바람직하기로는 7.5∼25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5∼20질량%의 범위이다. 각각에서는 부피밀도 0.3g/㎤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의 본 발명 제제의 전 질량에 대한 첨가양은, 바람직하기로는 5∼23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15질량%의 범위이고, 부피밀도 0.3g/㎤ 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의 본 발명 제제의 전 질량에 대한 첨가량은 바람직하기로는 1∼2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5∼10질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부피밀도 0.3 g/㎤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와 부피밀도 0.3g/㎤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8: 1∼1: 4의 질량비로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4: 1∼1: 1의 질량비로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5: 1∼1.5: 1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결정 셀룰로오스 중, 부피밀도 0.3g/㎤이상의 것은 성형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L-시스테인류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타정용 분말의 타정시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부피밀도 0.3g/㎤ 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는 타정할 때, 압축시의 성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정제 경도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 제제에 이용하는 고팽윤성 고분자는 물에 불용이며, 또한 팽윤성이 큰 것이다. 이 고팽윤성 고분자는 L-시스테인류 및 아스코르브산류 등과 배합에서 타정 전에는 유동성을 가지며, 압축 성형성이 뛰어나, 성형한 후에는 변색 등이 일어나지 않고, 반응성의 낮은 것이다. 이러한 고팽윤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크로스카로멜로스 나트륨,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포비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최적인 구체적인 예로서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루로오스(L-HPC)를 들 수 있으며, 특히 평균 입자경이 50㎛의 L-HPC(LH-11 및 LH-B1)가 바람직하고, 특히 섬유상의 분체인 L-HPC(LH-11)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고팽윤성 고분자의 본 발명 제제의 전 질량에 대한 첨가량은 전 질량에 대해,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2.5∼10질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 제제는 상기한 시스테인류 및 아스코르브산류 등의 약리 활성성분, 결정 셀룰로오스 및 고팽윤성 고분자에,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의약용 첨가제,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제, 계면활성제, 용해 보조제, 환원제, 완충제, 흡착제, 유동화제, 대전 방지제, 코팅제, 가소제, 부착 방지제, 차광제, 광택화제, 항산화제, 감미제, 교미제, 청량화제, 착색제, 착향제, 향료, 방향제 등을 가하여 압축 성형용의 분립체를 조정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 제제에 이용하는 의약용 첨가제로서는 L-시스테인류 및 아스코르브산류 등과의 배합에서, 압축 성형한 후, 변색을 일으키지 않는 수용성 고분자, 경질 무수 규산, 당, 당알코올, 전분,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L-시스테인류 및 아스코르브산류 등과 배합하여 압축 성형한 후에 변색을 일으키지 않는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 전분으로서는 알파화 전분, 부분 알파화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등이, 당·당 알코올로서는 유당, 만니톨, 크실리톨, 덱스트린, 소르비톨 등이 각각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고분자, 전분, 당·당 알코올의 첨가량은 압축성형제제의 크기나 압축 성형용 분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 양은 특정할 수 없지만, 압축성형제제 전 질량에 대해, 대략 0∼40질량%이다.
또한, 상기 의약용 첨가제 중, 경질 무수 규산은 압축 성형용 분체의 유동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압축성형제제의 습윤이나 고착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지는 것이다. 이 경질 무수 규산은 평균 입자경 2∼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자경 2∼4㎛의 경질 무수 규산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의 첨가량은 본 발명 제제 전 질량에 대해, 0.1∼3질량%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1질량%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탈크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양쪽 모두를 또는 그 어느 쪽이나 한쪽을, 압축성형제제전질량에 대해 0.1∼3질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5질량%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축 성형용의 분립체는 상기 성분을 혼합한 분말 그대로, 또는 그 일부 또는 모든 것을 조립 분말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 분체를 조립 분말로 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조립법, 예를 들면, 물이나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을 이용하는 분무 조립법, 교반 조립법, 유동 조립법, 전동 조립법, 전동 유동 조립법 등의 습식 조립법, 분립상의 결합제를 이용하는 압밀조립법 등의 건식 조립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제는 단발식 타정기, 로터리식 타정기 등을 이용하여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때, 압축 성형시의 압력은 200kg/㎠ 이상으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00∼2000kg/㎠이다. 또, 본 발명 제제의 질량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약 50 내지 약 400mg이고, 약 100 내지 약 200mg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질량은 복용 1 회당의 1투여단위 또는 그의 정수분의 1에 대응한 것(예를 들면, 1회당 1정∼3정 복용 등을 가능케 하는 성분함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제제의 크기는 예를 들면 원형 정제로 성형했을 경우, 그 직경은 통상 약 4 내지 약 12mm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약 6 내지 약 10mm 정도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압축성형제제는 팬 코팅법, 유동층 코팅법, 전동 코팅법, 드라이 코팅법이나, 이들 방법을 조합하는 것 등에 의해 속용성 코팅 제제나 당의제제로 할 수 있다. 이 때, 수용성 또는 위용성의 피막제를 물이나 유기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스프레이코팅 하는 것이나, 이들 피막제를 직접 살포하고, 열이나 압력을 가하고, 드라이 코팅할 수도 있다. 더욱이, 피막제에는 가소제, 부착 방지제, 차광제, 증량제, 착색제, 착향료 등을 첨가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압축성형제제의 최량의 실시 형태는 L-시스테인을 27.5∼32.5질량%, 아스코르브산을 35∼40질량% 함유하고, 부피밀도 0.3 g/㎤ 이상 으로 평균 입자경이 120㎛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전 질량중 15∼20질량%, 부피밀도 0.3g/㎤ 미만에서 평균 입자경이 50㎛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2.5∼10질량%, 고팽윤성 고분자로서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0.1∼5질량%, 경질 무수 규산을 1∼10질량%, 탈크 및/또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0.1∼3질량% 배합하여 얻은 압축 성형용 분체를 이용하여 제제 1개당의 질량을 약 100 내지 약 200mg, 직경 약 6 내지 약 10mm 가 되도록 압축 성형시의 압력 400∼2000kg/㎠이상으로 압축 성형한 압축성형제제이다.
본 발명 제제의 제조에 이용되는 타정용 분말은 L-시스테인류와 아스코르브산류의 함유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부피밀도가 다른 2 종의 결정 셀룰로오스 및 고팽윤성 고분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매우 양호하고, 압축 성형성이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이 타정용 분말을 이용해 고속타정기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 제제는 대량으로 생산하여도 타정 장해를 일으키지 않고, 성분 함량의 격차나 중량의 편차가 적고, 복용성이 우수한 소형의 정제가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정의 제조 (1)
L-시스테인 960g,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1237.2g, 판토텐산 칼슘 96g,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제) 458.8g, 결정 셀룰로오스(세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사제) 200 g,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루로오스(LH-11: 싱에츠카가쿠고교사제) 200 g, 경질 무수 규산(아드소리다 101: 프로인트산교사제) 16g를 15분간 혼합하고, 다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2g을 가하고, 1분간 혼합하여 얻어진 압축 성형용 과립을 로터리식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직경 8mm, 두께 4.3mm, 질량 200mg의 소정 (압축성형제제)을 얻었다.
실시예 2
소정의 제조 (2)
L-시스테인 960g,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1237.2g, 판토텐산 칼슘 타입 S 147.6g,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336.4 g, 결정 셀룰로오스(세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196g,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H-11: 싱에츠카가쿠고교) 196g, 경질무수규산 (아드소리다 101: 프로인트산교) 15.6g을 15분간 혼합하고, 다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1.2g을 가하고, 1분간 혼합하여 얻어진 압축 성형용 과립을 로터리식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직경 7mm, 두께 3.8mm, 질량 130mg의 소정(압축성형제제)을 얻었다.
실시예 3
필름코팅정의 제조
L-시스테인 960g,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1237.2g, 판토텐산 칼슘 타입 S 147.6g,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407.2g, 결정 셀룰로오스(세 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200g,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H-11: 싱에츠카가쿠고교) 200 g, 경질 무수 규산(아드소리다 101: 프로인트산교) 16g을 15분간 혼합하고, 다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2g을 가하고, 1분간 혼합하여 얻어진 압축 성형용 과립을 로터리식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직경 8mm, 두께 4.3mm, 질량 200mg의 소정 (압축성형제제)을 얻었다.
다음에, 이 소정을 코팅 팬에 넣고, 5질량%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스를 함유하는 에틸알코올: 정제수= 1: 1의 코팅액을 이용하여 1정당의 중량 증가가 10mg가 될 때까지 코팅하여 필름코팅정을 얻었다.
실시예 4
당의정의 제조
L-시스테인 960g, 직접 타정용 아스코르브산 1237.2g, 판토텐산 칼슘 96g,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388 g, 결정 셀룰로오스 (세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196g, 저치환도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LH-11: 싱에츠카가쿠고교) 196 g, 경질 무수 규산(아드소리다 -101: 프로인트산교) 15.6g을 15분간 혼합하고, 다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1.2g을 가하고, 1분분 혼합하여 얻어진 압축 성형용 과립을 로터리식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직경 7mm, 두께 3.8mm, 질량 130mg의 소정(압축성형제제)을 얻었다.
다음에, 이 소정을 코팅 팬에 넣고, 5질량%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에틸알코올: 정제수= 1: 1의 코팅액을 이용하여 1정당의 중량 증가가 10mg가 될 때까지 코팅을 행했다.
이어서, 2질량%의 탈크, 2질량%의 산화티탄, 3질량%의 탄산칼슘, 1질량%의 아라비아 검 분말 및 60질량%의 정제 자당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1정당의 중량 증가가 85mg가 될 때까지 코팅을 행했다. 그런 다음, 60질량% 의 정제 자당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1정당의 중량 증가가 15mg가 될 때까지 코팅하여 당의정을 얻었다.
비교예 1
비교 소정의 제조 (1)
실시예 1의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458.8g 및 결정 셀룰로오스(세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200g을 결정 셀룰로오스(세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658.8g로 대체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소정(비교 압축성형제제)을 제조했다.
비교예 2
비교 소정의 제조 (2)
실시예 1의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458.8g 및 결정 셀루로오스(세오라스 KG-802: 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 200g을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658.8g로 대체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소정(비교 압축성형제제)을 제조했다.
비교예 3
비교소정의 제조 (3)
실시예 1의 결정 셀룰로오스(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458.8g 및 저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LH-11: 싱에츠카가쿠고교) 200g을 결정 셀룰로오스 (비바푸어-12: 렛텐마이어사) 658.8g로 대체한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소정(비교 압축성형제제)을 제조했으나, 캡핑을 일으켰다.
시험예 1
질량편차시험:
실시예 1∼4의 소정 및 비교예 1 및 2의 비교 소정 각 20정에 대해서, 각각의 질량을 측정하여, 질량 편차를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CV값 (%)으로 나타냈다. 본 발명 제제 1의 소정은 모두 질량 편차가 작지만, 비교예 1의 소정은 질량 편차가 컸다.
[표 1]
제제 질량편차 CV값(%)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0.66 0.75 0.58 0.69 2.03 0.62
시험예 2
정제 경도:
실시예 1∼4의 소정 및 비교예 1 및 2의 비교 소정 각 10정에 대해서, 각각의 정제 경도를 정제 경도계(TH-303MP형 정제파괴강도 측정기, 토야마 산교(주)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2의 비교 소정은 동일한 크기인 실시예 1 및 3의 소정에 비해 거의 경도가 훨씬 경도가 작았다.
[표 2]
제제 정제 경도 (N)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51.0 41.3 50.2 42.1 67.0 34.6
L-시스테인 및 아스코르브산등을 약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압축성형제제는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 및 고팽윤성 고분자의 배합에 의해, L-시스테인 및 아스코르브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면서, 제조성이 우수한 소형인 압축성형제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7)

  1. L-시스테인 또는 그의 염을 L-시스테인으로 환산하여 20∼40질량%,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의 염을 아스코르브산으로 환산하여 30∼70질량%,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를 합계로 7.5∼25질량% 및 고팽윤성 고분자를 1∼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성형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결정 셀룰로오스의 한 쪽이, 부피밀도 0.3g/㎤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이고, 다른 한편이 부피밀도 0.3g/㎤ 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인 압축성형제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부피밀도 0.3 g/㎤ 이상의 결정 셀룰로오스와 부피밀도 0.3g/㎤ 미만의 결정 셀룰로오스와의 비율이 8: 1 내지 1: 4 인 압축성형제제.l
  4. 제 1항에 있어서, 고팽윤성 고분자가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로멜로스 나트륨 또는 크로스포비돈으로부터 선택된 것의 1종 또는 2종 이상인 압축성형제제.
  5. 제 1항에 있어서, 다시 수용성 고분자, 경질무수 규산, 당류, 당알코올, 전 분, 탈크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의 1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성형제제.
  6. 제 1항에 있어서, 다시 제제 표면을 수용성 필름 기제에 의해 피복 하는 압축성형제제.
  7. 제 1항에 있어서, 다시 제제 표면을 당의에 의해 피복하는 압축성형제제.
KR1020060108839A 2006-01-16 2006-11-06 압축성형제제 KR101364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7331 2006-01-16
JP2006007331A JP5021210B2 (ja) 2006-01-16 2006-01-16 圧縮成型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88A true KR20070076388A (ko) 2007-07-24
KR101364561B1 KR101364561B1 (ko) 2014-02-18

Family

ID=3834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839A KR101364561B1 (ko) 2006-01-16 2006-11-06 압축성형제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21210B2 (ko)
KR (1) KR101364561B1 (ko)
CN (1) CN101002765B (ko)
HK (1) HK1104234A1 (ko)
TW (1) TWI4142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407166E (pt) * 2009-03-13 2013-11-25 Toyama Chemical Co Ltd Comprimido e pó granulado que contêm 6-fluoro-3-hidroxi-2-pirazinacarboxamida
JP5733930B2 (ja) * 2009-09-09 2015-06-1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固形製剤
CN104271134B (zh) * 2013-01-15 2016-06-29 富士胶片株式会社 含有5-羟基-1h-咪唑-4-甲酰胺的片剂
JP6327237B2 (ja) * 2014-12-05 2018-05-23 大正製薬株式会社 固形組成物
JP7330716B2 (ja) * 2019-02-21 2023-08-22 アサヒグループ食品株式会社 アミノ酸又はその塩及びビタミンc含有組成物の変色抑制方法、並びに粉末組成物、顆粒、及び錠剤
JP6676816B1 (ja) * 2019-05-31 2020-04-08 シオノギヘルスケア株式会社 L−システイン配合ビタミンc高含有圧縮成形製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927A (ja) * 2000-05-12 2001-11-20 Shin Etsu Chem Co Ltd 低置換度ヒドロキシプロピルセルロース含有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9559A (ja) * 2000-10-06 2002-06-26 Takeda Chem Ind Ltd 薄層糖衣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26786A (ja) * 2002-05-10 2004-01-29 Takeda Chem Ind Ltd ビタミン製剤
CN1593411A (zh) * 2004-01-15 2005-03-16 范敏华 一种祛斑药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4287B (zh) 2013-11-11
TW200744572A (en) 2007-12-16
JP5021210B2 (ja) 2012-09-05
JP2007186470A (ja) 2007-07-26
HK1104234A1 (en) 2008-01-11
KR101364561B1 (ko) 2014-02-18
CN101002765A (zh) 2007-07-25
CN101002765B (zh)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6274B2 (en) Storage stable thyroxine active drug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EP2815752B1 (e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20090119993A (ko) 구강내 붕괴정
KR101364561B1 (ko) 압축성형제제
US7052717B2 (en) Storage stable thyroxine active drug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WO2013122134A1 (ja) 経口投与用医薬組成物
EP4051246A1 (en) Bilayer tablet formulations comprising dapagliflozin and metformin
US20110274751A1 (en) Trimetazidine formulation with different release profiles
US2009015536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levodopa, entacapone and carbidopa
KR100594606B1 (ko) 속방성 경구 의약품 조성물
IE883032L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piperidinoalkanol
US9271951B2 (en) Levothyroxine formulation with acacia
US20060030581A1 (en) Mannitol formulation for integrin receptor antagonist
US20140179784A1 (en) Levothyroxine formulation with carrageenan
JPH092953A (ja) バルフロキサシン製剤
JP5226732B2 (ja) 催眠用圧縮成型製剤
EP4074313A1 (en)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WO2023062648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ation of sitagliptin and empagliflozin
WO2022119541A1 (en) A film coated tablet formulation comprising dapagliflozin and metformin hydrochloride
EP4212150A1 (en) A bilayer tablet composition comprising amorphous dapagliflozin and metformin
WO2023234901A1 (en) A formulation comprising empagliflozin and metformin hydrochloride
EP4079296A1 (en) A bilayer tablet formulation comprising amorphous dapagliflozin and metformin
EP4008315A1 (en) A process for formulations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 hydrochloride
JP2004107258A (ja) 催眠用圧縮成型製剤
JPH09249563A (ja) チザニジン含有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