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349A -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349A
KR20070076349A KR1020060018614A KR20060018614A KR20070076349A KR 20070076349 A KR20070076349 A KR 20070076349A KR 1020060018614 A KR1020060018614 A KR 1020060018614A KR 20060018614 A KR20060018614 A KR 20060018614A KR 20070076349 A KR20070076349 A KR 2007007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der
lens
lens assembly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디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디엘
Publication of KR2007007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광학적 로 패스 필터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필터의 설치 방향의 미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카메라를 실현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
카메라용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렌즈와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1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1구체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다른 1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1구체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렌즈 어셈블리
12 렌즈
14 렌즈 홀더
16 방향성을 갖는 필터
18 필터 홀더
20 필터 장착부
22 관통구멍
24 관통홈
26 원통형상부재
28 관통홈
30 조절핀
32 PCB 홀더
34 CCD 탑재 PCB
36 PCB 수용부재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하는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광학적 로 패스 필터(OLPF)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상의 모아레(moire)를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디지털 카메라에는 없으면 안되는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OLPF 또는 OLPF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디지털 카메라의 CCD를 유지하는 CCD홀더에 접착제 또는 테이프에 의해 고착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OLPF는 CCD측에 고착되어 있었다.
OLPF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방향으로 위치를 맞춘 후에 촬상 소자 홀더(이하 CCD 홀더라고 부른다)에 고착되어 있다. 그렇지만, OLPF의 위치 맞춤은 미묘한 조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OLPF를 최적의 방향으로 맞춰서 CCD 홀더에 고착하는 것은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디지털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OLPF의 방향이 최적이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는 이미 OLPF가 고착되어 있으므로, 다시 최적의 방향으로 맞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OLPF의 CCD측의 면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안 경우라도, 그 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LPF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필터의 설치 방향의 미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카메라를 실현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상기 필터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안 경우라도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카메라를 실현하기 위한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OLPF를, 종래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소자 측에 고착하는 것이 아니라, 렌즈 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그 설치 방향을 미조정할 수 있는 것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또한, OLPF를 렌즈 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상기 필터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안 경우라도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것에 상도했다.
즉, 본 발명은,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렌즈와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용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는,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방향성을 갖는 필터」란,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빛의 광로(光路)에 필터를 배치하여 빛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필터를 상기 필터의 면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필터를 통과하는 빛의 어떠한 광학적 특성이 변화되는 필터를 의미한다. 방향성을 갖는 필터의 예로서, OLPF, 편광필터 및 역광보정 필터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 광학적 로 패스 필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당연히, 카메라 내에서는, 방향성을 갖는 필터는 렌즈와 CCD 또는 감광 필름 사이에 배치된다.
렌즈 어셈블리는, 통상의 카메라에 채용되고 있는 종래의 렌즈 어셈블리와 마찬가지로, 렌즈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홀더에 1장 또는 복수장의 렌즈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1장의 렌즈와, 그것을 유지하는 렌즈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는, 상기 렌즈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회동 가능하게」란, 인력을 추가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란, 360도(1회전) 회동 가능하게 또는 360도 미만의 각도만 회동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필터의 방향성은, 통상, 설치하기 전부터 알 수 있으므로, 필터를 회동시키는 최대 각도는, 통상, 30도∼90도 정도이면 충분하다.
방향성을 갖는 필터는, 렌즈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필터에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안 경우라도, 용이하게 그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렌즈 홀더에 장착하는 것은, 예를 들면, 도 2에 기초해서 후술하는 것처럼,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대략 원통형상 필터 홀더 내에 유지하고, 한편, 렌즈 홀더에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 홀더를, 상기 필터 장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서 장착하거나 또는 비틀어 넣어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끼워서 장착하거나 또는 비틀어 넣어 장착하는 경우,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진동 등에 의해 필터가 멋대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손가락으로 어느 정도 힘을 가하지 않으면 필터 홀더가 회동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끼워서 장착하거나 또는 비틀어 넣어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필터를 최적 방향으로 설정한 후, 필터 홀더가 회동하지 않도록, 필터 홀더를 필터 장착부에 고정나사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바람직한 1구체예에서는, 필터 홀더의 측면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 장착부를, 상기 필터 홀더에 외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하고, 상기 필터 장착부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홀더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관통홈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홈에 동시에 조절핀을 삽입하고, 이 조절핀을 손가락으로 광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필터 홀더 나아가서는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기초해서 후술하는 것처럼, PCB(인쇄회로기판) 홀더(CCD를 탑재한 PCB를 수용한다)가 필터 장착부에 끼워 장착될 경우에는, PCB 홀더의 원통형상부재의 측면은, 상기 필터 홀더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 및 상기 필터 장착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과 연통하는 관통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상부재는, 상기 필터 장착부에 고정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절핀은, 필터 홀더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 렌즈 홀더의 필터 장착부에 형성된 관통홈, 및 PCB 홀더의 원통형상부재에 형성된 관통홈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필터 홀더 내에는, 방향성을 갖지 않는 다른 필터를 또한 유지해도 좋다. 이러한 방향성을 갖지 않는 다른 필터로서는, 광흡수 필터나, 적외선 컷 필터와 같은 반사 필터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방향성을 갖지 않는 다른 필터는, 1장이여도 복수장이여도 좋고, 복수 종류의 것을 조합해도 좋다.
상기한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 이외는,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는, 종래부터 주지의 렌즈 어셈블리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가 OLPF이며, 카메라가 디지털 카메라이다.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의 구성은, 렌즈 어셈블리로서 상기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종래의 카메라와 완전히 같다. 즉, 케이스체 내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CCD 또는 감광 필름을 설치하고, 렌즈의 전체 면에는 셔터를 배치한 통상의 구성의 것이여도 좋다.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카메라를 조립할 때에는,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렌즈 홀더에 장착하고, 렌즈 어셈블리를 카메라 케이스체에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서 필터를 광축의 둘레에 수동에 의해 회동시켜서 미조정을 행한다. 미조정은, 상기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서 그 상태를 관찰하고, 필요가 있으면 필터를 회동시킨다는 작업을 반복하여, 필터를 최적의 방법으로 설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CCD를 모니터에 접속하고, 모니터를 보면서 리얼타임으로 필터를 회동시키면서 미조정하는 것이 효율적이여서 바람직하다. 필터를 최적의 방향으로 설치하면, 그 방향을 유지한 채 카메라의 케이스체를 닫는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1구체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렌즈 어셈블리의 분해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1구체예가 되는 렌즈 어셈블리(10)는, 렌즈(12)를 내부에 유지하는 렌즈 홀더(14)를 구비한다. 렌즈(12)는, 1장이여도 복수장이여도 좋고, 통상, 복수장이다. 렌즈 홀더(14)의 뒤측(구체예의 서술에 있어서, 카메라의 앞면측(셔터를 설치하는 측)을 「앞측」, 「앞」등으로 기재하는 것이 있으며, 그 반대측을 「뒤측」,「뒤」등으로 기재하는 것이 있다)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장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방향성을 갖는 필터(16)는,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홀더(18) 내의 후단부에 유지된다. 필터 홀더(18)의 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 장착부(20)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그리고, 필터 홀더(18)가 필터 장착부(20) 내에 삽입, 비틀어 넣어 장착되고, 그것에 의해, 필터(16)가 렌즈 홀더(14)에 장착된다. 필터 홀더(18)의 후단부의 외주에는, 손가락으로 집기 쉽도록 광축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손잡이 부분(18')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 홀더(18)를, 필터 장착부(20)에 비틀어 넣 어 장착한 후, 손잡이 부분(18')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필터 홀더(18)를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서, 필터(16)의 설치 방향을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다른 1구체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렌즈 어셈블리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구체예와 동일의 부재에는 동일의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필터 홀더(18)의 측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필터 장착부(20)의 측면에는, 관통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홈(24)은, 필터 홀더(18)가 필터 장착부(20)에 비틀어 넣어 장착되었을 때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22)과 연통 가능할 뿐의 둘레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도 4에는, 렌즈 어셈블리에 추가해서, PCB 홀더(32)도 그려져 있다. PCB 홀더(32)는, 필터 장착부(20)에 외접하여 끼워 장착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26)와, CCD를 탑재한 PCB(이하, 단순하게 「PCB」)(34)를 수용하는 PCB 수용부재(36)를 구비하고, 원통형상부재(26)와 PCB 수용부재(36)는 고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PCB 홀더(32)는,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에 채용되고 있는 것이다. 필터 장착부(20)를 원통형상부재(26) 내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원통형상부재(26)가 필터 장착부(20)에 장착된다. 원통형상부 재(26)의 측면에도 관통홈(28)이 형성되어 있어, 원통형상부재(26)가 필터 장착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홈(28), 상기 관통홈(24) 및 적어도 1개의 상기 관통구멍(22)이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조절핀(30)을 관통홈(28), 관통홈(24) 및 1개의 관통구멍(22)에 관통시키고, 이 조절핀(30)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도 4의 화살표에 나타내는 것처럼 회전시킴으로써, 필터 홀더(18), 나아가서는 필터(16)를 광축의 둘레에 회전시켜, 필터(16)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 구체예에서는, 렌즈 어셈블리(10)와 PCB 홀더(32)를 연결한 후라도 필터(16)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에서는, OLPF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필터가, 렌즈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필터의 방향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를 모니터에 접속하고, 모니터를 보면서 필터의 방향 맞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렌즈 홀더에 장착했을 경우에는, 카메라를 조립한 후에 상기 필터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안 경우라도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9)

  1. 렌즈와,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렌즈와 CCD 또는 감광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방향성을 갖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가 광학적 로 패스 필터, 편광 필터 및 역광보정 필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가 광학적 로 패스 필터이며, 상기 카메라가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가, 상기 렌즈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을 갖는 필터가,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홀더 내에 유지되고, 상기 필터 홀더가, 상기 렌즈 홀더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장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서 장착 또는 비틀어 넣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홀더의 측면에는 1개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필터 홀더에 외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이며, 상기 필터 장착부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홀더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성을 갖지 않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을 갖지 않는 필터가 광흡수 필터 또는 반사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필터가 적외선 컷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어셈블리
KR1020060018614A 2006-01-17 2006-02-27 렌즈 어셈블리 KR20070076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9013 2006-01-17
JP2006009013A JP2007192923A (ja) 2006-01-17 2006-01-17 レンズアセンブリ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49A true KR20070076349A (ko) 2007-07-24

Family

ID=3844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614A KR20070076349A (ko) 2006-01-17 2006-02-27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192923A (ko)
KR (1) KR200700763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469A (ja) * 2010-03-15 2011-09-29 Panasonic Corp 中間鏡筒
KR101566834B1 (ko) 2013-06-27 2015-11-13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오토포커스 렌즈의 오차보정 결합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92923A (ja)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673B2 (en) Night vision instrument focus device
WO2013027308A1 (ja) レンズ鏡筒
WO2018097053A1 (ja) 撮像装置
TWI598723B (zh) 攝像頭固定裝置
US7190534B2 (en) Image pick up apparatus
KR20150058867A (ko) 모바일기기 카메라용 렌즈 부착장치
CN111120790B (zh) 相机云台系统
US6844988B2 (en) Lens barrel device
JP2004287304A (ja) 撮像素子の取付装置
KR20070076349A (ko) 렌즈 어셈블리
US20210058538A1 (en) Main body of interchangeable-lens image pickup apparatus, mount apparatus for same, and flange back adjustment member
JP2006091153A (ja) 光学素子保持機構、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GB2074811A (en) Television camera with an electronic view finder
CN112243072A (zh) 支架式摄像装置
JP2006201690A (ja) レンズ枠位置決め方法
US20160139495A1 (en) Adapters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mobile electronic devices
JP3904791B2 (ja) 撮像素子の取付け方法
EP1575267A1 (en) A camera apparatus
US7961243B2 (en) Camera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3899512B2 (ja) レンズ装置
CN212723625U (zh) 支架系统及拍摄装置
CN210670374U (zh) 一种全景镜头和全景拍摄设备
JP4779268B2 (ja) レンズフード
CN210629622U (zh) 支架式摄像装置
JP3113512U (ja) カメラ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