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171A -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171A
KR20070075171A KR1020060003633A KR20060003633A KR20070075171A KR 20070075171 A KR20070075171 A KR 20070075171A KR 1020060003633 A KR1020060003633 A KR 1020060003633A KR 20060003633 A KR20060003633 A KR 20060003633A KR 20070075171 A KR20070075171 A KR 2007007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ode
menus
us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111B1 (ko
Inventor
이지연
정태성
김윤향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서 숨김모드를 설정하여 메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숨김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편집하기 위해 메뉴편집모드로 설정하는 메뉴편집모드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메뉴편집모드의 메뉴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뉴표시단계, 및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를 해제하는 메뉴 숨김모드 해제단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를 숨김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메뉴, 숨김, 편집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Menu using hi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숨김을 설정 및 해제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메뉴 숨김 모드 설정 및 해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기능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모든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제공되는 기능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한정되 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되는 메뉴가 많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메뉴 항목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가 선택하기 원하는 메뉴가 하단에 있을 경우 상하 방향버튼을 이용하여 하단의 메뉴까지 탐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메뉴리스트의 글자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눈이 나쁜 사용자는 메뉴를 한눈에 알아보기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숨김모드를 설정하여 메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의 개수에 대응하여 글자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은 숨김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편집하기 위해 메뉴편집모드로 설정하는 메뉴편집모드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메뉴편집모드의 메뉴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뉴표시단계, 및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를 해제하는 메뉴 숨김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들을 숨김모드로 설정하여 평상시 사용 시 자주 사용하는 메뉴만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여러 번 조작하지 않고 용이하게 메뉴 선택을 할 수 있다. 또한 메뉴의 개수에 대응하여 글자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는 메뉴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부(110), 키 입력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무선부(110)는 무선망을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화로 형성 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 시 무선 데이터를 송 수신한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전단한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메뉴 숨김모드를 위한 메뉴숨김 메뉴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메뉴 숨김모드 해제를 위한 메뉴숨김해제 메뉴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키입력부(120)는 키패드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30)는 휴대용 단말기를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리스트를 저장한다.
표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숨김모드로 설정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 리스트를 화면(141)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 리스트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뉴편집모드로 설정하여, 화면(141)에 편집 가능한 체크박스 형태로 메뉴들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들을 제외한 메뉴들을 화면(141)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거하여 숨김 해제하고, 메뉴 숨기기 전의 메뉴 리스트를 화면(141)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숨김을 설정 및 해제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인덱스 형태의 메뉴 리스트를 화 면(141)에 디스플레이하고(S201), '메뉴편집'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기다린다(S202).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해 '메뉴편집'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체크박스 형태의 메뉴 리스트를 화면(141)에 디스플레이 한다(S203).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된 메뉴 중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04).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메뉴숨김'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05). '메뉴숨김'메뉴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설정'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06). '설정'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들을 인덱스 형태로 화면에 맞게 표시한다(S207).
한편 S206단계에서 '설정'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해제'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별한다(S208). '해제'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숨김 모드로 선택된 메뉴들의 숨김 모드를 해제하고 편집되기 전의 전체 메뉴 리스트를 화면(141)에 표시한다(S209).
도 3은 도 2의 메뉴 숨김 모드 설정 및 해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인덱스 형태의 메뉴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메뉴숨김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는 메뉴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d는 메뉴숨김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e는 메뉴숨김 모드를 해제한 메뉴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화면(141)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뉴 중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휴대폰 관리'메뉴를 표시한다. 제어부 (150)는 화면(141) '휴대폰 관리'메뉴의 하위 메뉴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화면(141) 하단에는 '메뉴 편집(142)' 메뉴를 표시한다. 이 때 '메뉴편집(142)' 메뉴는 소프트 키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메뉴편집(142)'메뉴 선택에 의거하여 메뉴 편집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숨김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각 메뉴는 체크박스 형태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화면조명선택', '사용제한', '전화받기 선택', 및 '초기설정으로'메뉴가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로 선택되었다.
도 1 및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메뉴숨김(143)'메뉴의 하위메뉴 중 '설정(144)'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선택된 메뉴들을 제외한 메뉴들을 화면(141)에 표시한다. 여기서는 '1. 벨소리 설정', '2. 자동지역번호', '3.비밀번호변경'메뉴가 화면(141)에 표시된다. 이때 선택된 메뉴 개수에 따라 메뉴의 글자크기가 변경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메뉴들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글자 크기를 변경하여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d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메뉴편집(142)' 메뉴 선택에 의거하여 메뉴편집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각 메뉴는 체크박스 형태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화면조명선 택', '사용제한', '전화받기 선택', 및 '초기설정으로' 메뉴가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로 선택되었다.
도 1 및 도 3e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메뉴숨김(143)' 메뉴의 하위 메뉴 중 '해제(145)'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선택된 메뉴들의 숨김 설정을 해제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하기 전의 메뉴 리스트를 화면(141)에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주 사용하지 않는 메뉴를 숨김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간결한 메뉴를 제공하며, 신속한 메뉴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메뉴의 개수에 대응하여 글자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는 메뉴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숨김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편집하기 위해 메뉴편집모드로 설정하는 메뉴편집모드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메뉴편집모드의 메뉴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로 설정할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뉴표시단계; 및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숨김 모드를 해제하는 메뉴 숨김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의 글자 크기는 메뉴 개수에 대응되어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뉴는 숨김 모드로 설정된 메뉴를 제외한 메뉴 들을 한 화면으로 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편집모드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체크박스 형태로 메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KR1020060003633A 2006-01-12 2006-01-12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KR10078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33A KR100783111B1 (ko) 2006-01-12 2006-01-12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33A KR100783111B1 (ko) 2006-01-12 2006-01-12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171A true KR20070075171A (ko) 2007-07-18
KR100783111B1 KR100783111B1 (ko) 2007-12-07

Family

ID=3850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633A KR100783111B1 (ko) 2006-01-12 2006-01-12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645B2 (en) 2009-09-01 2013-11-26 Pantech Co., Ltd. Apparatus to modify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RU2564448C2 (ru) * 2010-11-18 2015-10-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512A (ko) * 2003-03-13 2004-09-22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 또는최근통화목록 제어 방법
KR101006633B1 (ko) * 2003-11-29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목록 표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645B2 (en) 2009-09-01 2013-11-26 Pantech Co., Ltd. Apparatus to modify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RU2564448C2 (ru) * 2010-11-18 2015-10-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US10162482B2 (en) 2010-11-18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11B1 (ko) 200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1393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KR100801650B1 (ko)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JP6092702B2 (ja) 通信端末、および情報送信方法
US776180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0354839C (zh) 终端设备和显示控制方法
KR1006834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표시 방법
KR100651481B1 (ko) 데이터의 저장 정보에 따라 배경 화면을 변환하여 표시하기위한 계층 구조 제공 방법과 그에 따른 배경 화면 변환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060154696A1 (en)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KR1007804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WO2009123030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JP2007042105A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17640A (ja) ツリーメニューによる項目選択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07735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device menu
KR101590340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40019895A1 (en) Electronic device
KR1007831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숨김 기능을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KR100731776B1 (ko) 메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표시 방법
JP4001706B2 (ja) 携帯通信端末の機能設定装置
JP2008084323A (ja) 携帯通信端末
JP2007274275A (ja)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表示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705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매니저 표시방법
CA2532123C (en)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JP4813317B2 (ja) 携帯端末、装飾設定方法及び装飾設定プログラム
EP1577741B1 (en) Dynamic assigning of functions to an inpu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