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577A -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577A
KR20070074577A KR1020077009525A KR20077009525A KR20070074577A KR 20070074577 A KR20070074577 A KR 20070074577A KR 1020077009525 A KR1020077009525 A KR 1020077009525A KR 20077009525 A KR20077009525 A KR 20077009525A KR 20070074577 A KR20070074577 A KR 2007007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ane
outlet
producing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677B1 (ko
Inventor
시릴르 오르테가
가이 레끌레르끄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7007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434Coating brittle material,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4Moulding material on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preformed part, e.g. outsert moulding
    • B29C70/76Moulding on edges or extremities of the preformed part
    • B29C70/763Moulding on edges or extremities of the preformed part the edges being disposed in a substantial flat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69Moulds with means for removing excess material, e.g. with overflow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Forg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곽을 이루는 띠(1)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으로, 이 띠는 캡슐화 수단에 의해 칸막이 유리(2) 위에서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3, 3')를 적어도 하나의 밀봉 연결 시스템(4)에 의해 칸막이 유리(2)에 접촉시키도록 한 후,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상기 밀봉 연결 시스템(4)의 내부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디바이스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PROFILED BAR}
본 발명은 캡슐화에 의해 창유리 위에서 중합체 물질의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시스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를 상기 창유리에 접촉시키는 몰딩 단계를 포함하고,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창유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구의 생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비드를 캡슐화 몰딩하는 동안, 몰딩 요소 내에서 존재하는 공기가 방출되도록 하며, 몰딩 요소에서의 몰드된 중합체의 균일한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캡슐화"라는 용어는 물질을 닫힌-몰드 시스템으로 주입하는 기술의 사용으로의 의미로 이해되어져야 하며, 플렉시블 비드는 창유리의 바깥 둘레의 전체 또는 부분, 또는 창유리의 어떤 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이해된다.
실제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없을 때, 캡슐화-몰드 중합체가 몰딩 요소의 구멍의 역으로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는 윤곽을 나타내는 위험을 무릅쓰거나, 또는 거칠게 되거나 기포의 생산 위험을 무릅쓴다.
그래서, 선행기술에서, 제어된 공기 누출을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몰딩 요소의 분할하는 라인에서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공기 누출은 때때로 물질의 누출을 동반한다. 그 후, 이러한 과잉 물질은 플래쉬-제거 작동되는 동안 제거되며, 이는 상당한 시간 손실을 이끌고, 엄청난 양의 인적자원을 요구하는데, 왜냐하면, 이 작동은 어려움 없이 자동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물질을 방치할 수 없는데, 이는 왜냐하면, 몰딩 요소의 분할하는 라인은 항상 창유리의 옆 가장자리의 근방에 있고, 그리하여, 닫혀야 하는 개구부에서, 창유리를 장착할 때, 이 물질이 보이게 되기 때문이다.
공기와 과잉 물질이 몰드의 특정 부피로의 방출을 일으킴으로써, 스푸르-벤트(sprue-vent) 채널을 생산하는 것 또한 알려져 있고, 심지어 일본특허공보 제 05084778 호에서처럼 몰딩 구멍에서의 생산도 알려져 있지만, 이 스푸르는 다음 플렉시블 비드가 몰드되기 전에 몰드로부터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 작동은 또한 시간 손실을 발생시키며, 또한 이 작동이 간신히 자동화되기 때문에 인력자원이 요구된다.
또한, 선행기술에서 알려진 실행으로, 창유리에 접착되는 물질의 스트립을 창유리 위에 위치시키고, 이 스트립에서 배출구를 만들며, 그래서, 과잉 물질은 이 스트립 위에 증착되고, 그 후 제거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또한 접착성의 스트립을 아래로 들러붙게 하고 제거하는데 시간 손실을 일으키고, 작동이 간신히 자동화되기 때문에 인력자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에서의 단점을 완화시키고자 함인데, 이는 몰딩과 그 후속 마무리에서의 손실을 일으키지 않거나 적어도 시간 손실을 줄이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장점에 의해, 캡슐화 작동은 더욱 쉽사리 자동화될 수 있고, 배출구 자신의 생산은 시간 손실이나 추가적인 수동의 플래쉬-제거 작동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넓은 의미에서, 캡슐화에 의해 창유리 위에서 중합체 물질의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시스템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를 상기 창유리에 접촉시키는 몰딩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는 상기 밀봉 시스템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배출구는, 윤곽을 이루는 비드가 형성되는 몰드 공동부의 외부 대기와 직접 접촉하는 국단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몰딩 동안 공기의 자유로운 유입을 쉬한 닫힌 공동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공기는 이 몰딩 공동부에서 물질의 진행에 의해 이 공동부 내에서 압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구는 창유리와 접촉하여 밀봉 시스템의 내부에서 실현된다; 그리하여, 공동부 몰딩의 내부에서 실현되지 않는다.
이 배출구(들)은 바람직하게는 밀봉 시스템의 다수의 립 사이에서 형성되고, 이 립의 적어도 하나는 가로막히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더욱 유연하게 된다.
배출구가 여러 립 사이에서 생산될 때, 적어도 두 개의 립은 바람직하게는 다소 평행하거나 또는 동축을 가진다.
플렉시블 비드를 몰드하기 전에, 배출구가 생산되는 창유리의 각 지대(zone)가 바람직하게 제조되어, 배출구 영역에서 형성하는 어떤 과잉 물질은 창유리에 점착한다. 이 점착은,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 비드의 창유리로의 점착과 같다.
이 제조는 점착 프라이머를 적용시키거나 또는 점착 스트립을 적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가지 특별한 특징은, 상기 플렉시블 비드를 위한 생산 파라미터가 생산 실행을 통해 일정하다는 것이며, 다시 말하면, 주입은 일정한 부피 또는 일정한 무게 그리고 하나의 플렉시블 비드로부터 다음 비드로 같은 압력에서 형성된다. 그래서, 이전과 같이 생산 실행 (동일한 창유리, 동일한 플렉시블 비드) 동안, 특히, 치수의 불일치가 창유리에 나타날 때, 사출될 물질의 양 또는 압력을 더 이상 조절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불일치는 지금 플렉시블 비드 그 자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는 단지 배출구(각각)에서 플래쉬의 양이 더 많거나 더 적게 되는 것을 야기시킨다.
배출구(각각)의 영역에서 형성하는 이 과잉 물질은 윤곽 비드의 제조 후, 고객에서 전달되기 전에, 또는 닫혀야 하는 구멍에 장착되기 전에, 제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어떤 차량과 특히 자동차에 장치되도록 의도된 창유리 위에 플렉시블 비드를 생산하기 위해 실행될 때, 상기 창유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색된 물질(에나멜)의 부착된 스트립의 장식적인 스트립 또는 기판 타입에 결합된 착색된 물질의 장식적인 스트립을 가지며, 배출구(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상기 장식 층 뒤에 생산되고, 이는 차량이 외부에서 내부로 보여질 때 일어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출구(들)을 통한 새어나가는 과잉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장식적인 스트립에 의해 외부로부터 숨겨질 것이다. 이 물질은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장식용 가장자리에 의해 차량의 내부로부터 숨겨질 것이다.
이 전제 또한, 플렉시블 비드의 몰딩 전에, 적어도 하나의 강화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삽입물은 몰딩 요소에 위치될 수 있어, 형성된 플렉시블 비드는 그 후에 마침내 이 삽입물과 결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캡슐화에 의해 창유리 위에서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시스템 에 의해 상기 창유리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시스템이 상기 밀봉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밀봉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봉인 또는 환형을 형성하는 다수의 tkdrl 봉인 부분들을 포함하고, 그리하여, 상기 시스템은 축(A)을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립들을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립은 차단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더 유연하다.
차단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유연한, 이 립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립(들)과 관련하여 상기 플렉시블 비드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다수의 립을 구성할 때, 적어도 두 립은 바람직하게는 다소 평행하거나, 립이 환형일 때는 동축을 가진다.
상기 밀봉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는데, 밀봉 시스템이 환형일 때 이 홈도 환형이며, 이 홈은 횡단면에서는, 예를 들면, V 또는 U 형태를 갖고, 그 개구부는 창유리를 향한다. 이 홈에서, 배출구가 생산되고, 다시 말하면, 이 홈에서, 몰딩 공동으로 주입되는 물질에 의해 방출된 공기는 압축될 것이며 과잉 물질은 퍼질 것이고 창유리에 점착될 것이다.
창유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식적인 스트립을 가질 때,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주입 시간에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 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그래서, 차량이 외부에서 내부가 보여질 때, 과잉 물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주입 노즐에 대해 대립되는 장소에 위치되고, 이 노즐을 통해 플렉시블 비드를 형성하는 물질이 마침내 상기 몰딩 요소로 주입된다. 여기서 “대해 대립되는”이란 표현은 하기의 의미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 노즐이 세로의 몰딩 공동의 하나의 세로 끝에 위치할 때, “대해 대립되는”은 다른 세로 끝을 표시하고;
- 노즐이 세로 몰딩 공동의 중간에서 위치될 때, “대해 대립되는”은 하나의 세로 끝을 표시하며;
- 몰딩 공동이 환형일 때, “대해 대립되는”은 환형의 축에 대하여 노즐로부터 제거된 대략 180 장소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캡슐화에 의해 얻은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가지는 창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생산된 창유리의 플렉시블 비드는, 고객에게 전달될 때 그리고 결과적으로, 또한 닫혀야 하는 개구부에서 설치할 때와 그 후, 상기 배출구가 적어도 생산되었던 장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잉 물질을 포함한다.
차량용 창유리의 경우, 이 과잉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부에 향하게끔 의도된 창유리의 한 면 위에 위치되는데, 실제로 개구부에서 창유리의 설치 이후 자동차 내부를 향한다.
차량용 창유리의 경우, 또한, 상기 창유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색된 물질(에나멜)의 부착된 스트립 또는 기판 타입에 결합된 착색된 물질의 스트립의 장식적인 스트립을 가지며, 차량이 외부에서 내부로 보여질 때, 상기 과잉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 뒤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스트립 뒤에 전체적으로 위치한다.
차량용 창유리의 경우, 또한, 플렉시블 비드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물, 또는 심지어 여러 개의 삽입물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창유리를 적소에 고정시키거나 창유리를 강화시키거나 부속물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장식 층을 오직 부분적으로 가지는 창유리의 경우, 다시 말하면, 플렉시블 비드를 구비한 창유리의 전체 표면을 걸치지 않는 장식 층을 가진 창유리의 경우 또한, 차량이 내부에서 외부로 보여질 때, 상기 과잉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장 뒤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의 창유리는, 일체식 또는 다중식인, 다시 말하면, 물질의 하나 또는 여러 시트로 형성된 어떤 유리 또는 플라스틱 판넬로서 이해되어져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창유리의 사용은, 개구부 특히, 차량, 특히 자동차의 본체에서의 개구부를 닫기 위함이라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이 사용은 배출구(들) 영역에서 형성한 과잉 물질의 앞선 제거 없이 인식된다.
그러므로,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창유리에서 하나의 (또는 여럿의) 특별하게 선택된 구역(들)에서 하나의 (또는 여럿의) 제어된 통풍 구역(들)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눈에 띄지 않거나 한 번 설치될 때 창유리 위에서 오직 약간 눈에 띌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유리하게는, 배출구(들)는 과잉 물질을 유도하는 요소에서 창유리의 한 면 위로, 실제로는 보인 내부에 생산된다.
각 배출구를 위해 발생되는 과잉 물질은 장식적인 스트립 뒤에 숨겨질 수 있어, 창유리의 심미적 특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특히 장식적인 스트립이 제공되지 않을 때에는, 외장 뒤로 숨겨질 수도 있다.
이 과잉한 물질 또한 플렉시블 비드의 기계적 특성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 물질도 플렉시블 비드와 같은 방법으로 창유리에 점착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잉 물질은 창유리에 남겨질 수 있어,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 그리고 닫혀야 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기 전에, 이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배출구를 제조하기 위한 특별한 작동이 실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몰딩 전 시간이 절약된다: 필요한 것은 배출구가 위치되는 창유리 구역이, 플렉시블 비드가 점착되는 위한 창유리의 구역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떠한 플래쉬-제거를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몰딩 후 시간 또한 절약된다.
또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캡슐화 기술을 이행하기 위해 관례적으로 사용된 모든 물질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몇몇 제한되지 않은 예시적인 구현들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들의 검토하면 더욱 이해가 잘 될 것이다:
·도 1은 수평 배향 창유리 상의 본 발명에 따른 몰딩 디바이스의 아래로부터의 단순화된 모습을 예증하는 도면으로서 창유리의 바닥에서 볼 도면.
·도 2는 도 1의 B-B'위 구획에서의 모습을 예증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C-C'위 구획에서의 모습을 예증하는 도면.
도면을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러한 도면들은 일정한 비율로 정밀하게 그려지지 않는다.
도 1은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1)가 생산되는 창유리(2)를 예시한다.
플렉시블 비드(1)를 이루는 중합체 물질은 열가소성(PVC, TPE, etc.), 폴리우레탄 또는 대안적으로는 EPDM 타입의 합성 고무 또는 또 다른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플렉시블 비드(1)의 제조 방법은 "캡슐화"로 불러지는데, 왜냐하면, 도 2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두 몰딩 요소들, 즉, 상부 몰딩 요소(3)와 하부 몰딩 요소(3') 사이의 몰딩 디바이스(10)에서 플렉시블 비드(1)를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도면에서, 플렉시블 비드(1)는 창유리(2)의 전체 바깥둘레 주위에 배열되지만, 이 플렉시블 비드는 창유리의 바깥둘레의 오직 부분 또는 창유리의 임의의 부분 위로 완벽하게 잘 위치될 수 있다.
각 몰딩 요소는 밀봉 시스템(4)에 의해 창유리(2) 주위에서 닫혀지다; 하지만, 더욱 명료하게, 하부 몰딩 요소(3')를 위한 밀봉 시스템(4)만이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밀봉 시스템은 중합 물질이 주입되는 동안 몰드 내에서의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밀봉 시스템은 또한 특정 범위, 창유리 위의 공차와 제조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다시 말하면, 몰드 내에서 창유리의 공칭 치수에 발생하는 어떠한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각 밀봉 시스템은 환형의 봉인을 구성하고, 이 봉인은 창유리의 바깥둘레에 위치하며, A축을 가지고, 이 경우, 수직으로 유도되는데, 왜냐하면 주입은 수평으로 위치된 창유리 위에서 이행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A 축은 또한, 주입이 수직으로 위치한 창유리 위에서 이행될 경우에도 수평으로 또는 또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비드를 구성하는 물질이 주입될 때, 창유리 위에 닫혀진 몰딩 요소의 몰딩 공동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상기 밀봉 시스템(4) 내부에서 형성된다.
주입 압력이 때때로, 특히 PU-RIM에서, 몇몇 바에서부터 몇 십 바의 영역에 있지만, 특히 PVC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에서는 몇 백 바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출구(들)는, 또한 과잉 물질의 적은 양을 플렉시블 비드를 몰딩하기 위한 몰딩 공동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허용하는데, 이는 봉인된 봉입물,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로서 밀봉 시스템(4)에 의해 한정된 봉입물을 남기는 어떠한 방법 없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배출구으로 빠져나간 과잉 물질(9)는 도 3에 예증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하부 몰딩 요소(3')의 밀봉 시스템(4)은 상기 밀봉 시스템(4)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과잉 물질(9)를 원하는 쪽으로, 실제로는 밀봉 시스템(4)내에 퍼지도록 유도할 것이다.
이러한 수단은, 특히 봉인이 압출 성형될 때, 봉인의 제조 후 이행되는 추가적인 작동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고, 또는, 특히, 봉인이 몰딩에 의해 생산될 때, 봉인을 제조하는 실제의 작용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밀봉 시스템(4)은,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예증된 발명의 변형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은 다수의 립(5, 5')을 구성하고, 이 립들은 평행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을 가지는데, 왜냐하면, 밀봉 시스템(4)은 환형이고, 그 중 하나인, 상기 플렉시블 비드(1)에 가장 가깝게 축의 방향으로 놓인 립(5)은 차단된다: 창유리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데, 상세 부분을 통해 주입된 물질에 의해 방출된 공기는 밀봉 시스템(4)으로 전달되고, 그리고 또한 과잉 물질은 밀봉 시스템(4)에 전달된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이 외측 립이 공기 및 과잉물질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다수의 구멍을 갖추는 것은 동등하게 가능하다.
여기에 예증된 본 발명의 변형에서, 립(5, 5')은 다소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립의 기초를 충족시킨다. 환형의 V-형태 홈(6)은 두 립(5, 5') 사이에 형성 된다. 그러나, 홈(6)을 위한 다른 횡단면, 특히 U-형태 횡단면을 고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홈의 바닥이 몰드 외부의 대기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날개식 문 또는 필터에 의해)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배출구(들)가 생산되는 포인트(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밀봉 시스템의 유일한 부분 위에서 홈(6)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홈의 횡단면은, 상기 플렉시블 비드(1)에 축의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립의 차단에서 및/또는 상기 플렉시블 비드(1)에 축의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이 립에서 형성되는 구멍에서 최대 값을 가질 수 있고, 그 후, 이 차단 및/또는 이러한 구멍에서의 떨어져 증가하는 거리로 , 몇 센티미터 뒤에서 0의 값으로 감소한다.
더욱이, 여기에 예증된 본 발명의 변형에서, 립(5, 5')은 하부 몰딩 요소(3')의 밀봉 시스템(4)의 상부 수직적 연장을 구성하지만, 전체적으로 두 립(5, 5')을 완전히 독립적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후자의 변형에서, 다른 것보다 더 유연한 상기 플렉시블 비드(1)에 축의 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위치한 립(5)을 생산하여, 공기와 과잉 물질(9)의 두 립 사이에 위치한 홈(6)으로의 통과를 손쉽게 하고, 이 공기와 이 과잉 물질을 밀봉 시스템(4)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 모양의 횡단면(7)을 가지는 구멍은, 또한 밀봉 시스템(4)의 모든 또는 부분을 따라 끊임없이 생산될 수 있는데, 이는 밀봉의 바람직한 레벨을 보장하는 동시에, 후속의 변형을 손쉽게 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배출구는 바람직하게는, 주입 노즐(11)에 대해 대립된 장소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노즐을 통해 플렉시블 비드(1)로 이루어진 물질이 몰드로 주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비드가 환형이 되고, 축에 대해 다소 좌우대칭이며, 배출구는 물질이 주입되는 영역에 대립된 장소에 위치되는데, 이 장소에서 각 측면으로부터 플럭스(들)가 만난다. 또한, 단지 하나의 주입 노즐이 사용될 때, 특히, 몰드 공동이 긴 길이에 걸쳐 연장될 때, 여러 배출구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비드(1)를 몰딩하기 전에, 배출구가 생산되는 창유리(2)의 각 영역은 제조되어, 과잉 물질(9)는, 플렉시블 비드(1)가 창유리(2)에 점착하는 것처럼, 창유리(2)에 점착한다.
창유리(2)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고, 다시 말하면, 물질의 단일 시트를 구성하는 모노리식 창유리로 될 수 있고, 또는 복합 창유리일 수 있는데, 즉, 이는 물질의 여러 시트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적층 창유리의 경우, 점착성 물질의 적어도 한 층이 삽입되거나, 또는 이중 창유리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중간 층 공간이 삽입된다. 물질의 시트는 사실상, 특히 유리로 만들어진 무기물, 또는 특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유기물일 수 있다.
차량을 위한 창유리의 경우, 창유리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창유리의 바깥둘레에서 장식적인 스트립(8)을 가진다. 이 장식적인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에나멜 침착물로부터 기인하는데, 이는 창유리의 내부면 위 또는 복합 창유리의 경우, 창유리의 중간 층 면 위에 생산되지만, 상기 스트립은 또한 사용된 물질 시 트, 특히 유기적 물질로 이루어진 시트의 부분적인 및/또는 주변 채색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들)은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8) 뒤에 생산되어, 과잉 물질(9)는 장식적인 스트립(8)에 의해 숨겨진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8) 아래에 위치되는데, 왜냐하면, 창유리는 수평적으로 위치되고, 플렉시블 비드(1)는 본질적으로 예증된 변형에서 창유리(2) 아래에서 생산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과잉 물질(9)는 차량 내부를 향하도록 의도된 창유리 면 위에 생산된다.
배출구는 장식적인 스트립 아래 외의 지점에서 쉽게 생산될 수 있다: 일단 창유리가 맞춰진 경우, 숨겨질 창유리의 영역에서,
차량을 위한 창유리의 경우, 또한, 플렉시블 비드(1)의 몰딩 전에 몰딩 요소(3, 3')에서 하나(또는 여럿의) 삽입물(들)(12)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플렉시블 비드가 이(러한) 삽입물(들)과 결합한다.
이(러한) 삽입물(들)은 일반적으로, 도 2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플렉시블 비드(1)로 완벽하게 결합되는 하나의(또는 그 이상의) 강화 삽입물(들)이거나, 또는 창유리 또는 부속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튀어나온 하나의(또는 그 이상의) 고정 삽입물(들)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 윤곽을 이루는 플렉스블 비드(1)와, 배출구가 생산되는 장소에 대응하는 과잉 물질(9)를 가지는 창유리(2)는, 일단 몰드로부터 제거되었으면 고객에게 그 상태로 전달된다. 고객 에게 전달되기 전과 개구부에 설치되기 전, 몰드에서 떨어질 때, 플래쉬-제거 작용은 실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로서 상세 설명에 기재된다. 당업자가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 진다.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슐화에 의해 창유리 위에서 중합체 물질의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몰딩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를 상기 창유리에 접촉시키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시스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이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창유리에 사용된다.

Claims (22)

  1. 캡슐화에 의해 창유리(2) 위에서 중합체 물질의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 (3, 3')를 적어도 하나의 밀봉 시스템(4)을 통해 상기 창유리(2)와 접촉시키는, 몰딩의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1)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상기 밀봉 시스템(4)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구가 다수의 립(5, 5') 사이에서 형성되고, 이 중 적어도 하나는 차단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더욱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립(5, 5')이 다소 평행하거나 동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식적인 스트립(8)을 가지고, 배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8) 뒤에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 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비드(1)를 위한 생산 파라미터가 생산 공정 전체에 걸쳐(production run)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비드(1)의 몰딩 전에, 배출구가 생산되는 창유리의 각 구역은, 배출구의 영역에 형성되는 임의의 과잉 물질(9)이 창유리(2)에 점착하도록 제조되어,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의 영역에서 형성되는 임의의 과잉 물질(9)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1)의 제조 후, 제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비드(1)의 몰딩 전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물(12)이 몰딩 요소(3, 3')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캡슐화에 의해 창유리(2) 위에서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윤곽을 이루는 플 렉시블 비드(1)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시스템(4)에 의해 상기 창유리(2)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 요소(3, 3')를 포함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1)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시스템(4)이 상기 밀봉 시스템(4)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시스템(4)이 적어도 하나의 환형 밀봉 또는 환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다수의 립(5, 5')으로 구성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차단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더욱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차단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다른 하나보다 더욱 유연한 상기 립(5)은 상기 플렉시블 비드(1)에 가장 가깝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립(5, 5')이 다소 평행하거나 동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시스템(4)이 적어도 하나의 홈(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식적인 스트립(8)을 가지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8)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제 9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생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주입 노즐(11)에 대해 대향하는 장소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노즐을 통해 플렉시블 비드(1)를 형성하는 물질이 마침내 상기 몰딩 요소(3, 3')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17.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캡슐화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1)를 가지는 창유리(2)로서,
    상기 플렉시블 비드(1)가, 상기 배출구가 적어도 생산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적어도 과잉 물질(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물질(9)가 차량 내부를 향하도록 의도된 창유리 면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식적인 스트립(8)을 가지고, 상기 과잉 물질(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식적인 스트립(8)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물질(9)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겉면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21. 제 17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비드(1)가 적어도 하나의 삽입물(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22. 개구부, 특히 차량 차체의 개구부를 닫기 위한, 제 17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창유리(2)의 사용 방법.
KR1020077009525A 2004-09-27 2005-09-26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디바이스, 및 창유리 KR101247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2163A FR2875731B1 (fr) 2004-09-27 2004-09-27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boyau profile
FR0452163 2004-09-27
PCT/FR2005/050781 WO2006035180A1 (fr) 2004-09-27 2005-09-26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 boyau prof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577A true KR20070074577A (ko) 2007-07-12
KR101247677B1 KR101247677B1 (ko) 2013-04-01

Family

ID=3494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525A KR101247677B1 (ko) 2004-09-27 2005-09-26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디바이스, 및 창유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80102237A1 (ko)
EP (1) EP1796891B1 (ko)
JP (1) JP5000519B2 (ko)
KR (1) KR101247677B1 (ko)
CN (1) CN101065230B (ko)
AT (1) ATE403533T1 (ko)
DE (1) DE602005008754D1 (ko)
ES (1) ES2312028T3 (ko)
FR (1) FR2875731B1 (ko)
MX (1) MX2007003634A (ko)
PL (1) PL1796891T3 (ko)
WO (1) WO2006035180A1 (ko)
ZA (1) ZA2007033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5466A1 (de) 2007-03-30 2008-10-02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Dichtungselement und einem Träger sowie eine solche Dichtungsanordnung
JP5136193B2 (ja) * 2008-05-12 2013-02-0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枠体付きガラス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枠体付きガラスの製造方法
BE1022165B1 (fr) * 2014-11-05 2016-02-22 Splifar Sa Procédé pour appliquer un joint à une plaque
FR3052996B1 (fr) * 2016-06-27 2018-07-13 Saint Gobain Procede de moulage d'un cordon profile affleurant sur un element vitre et dispositif de moulage pour ce procede.
EP3795324B1 (en) * 2019-09-18 2023-06-28 Magna Engineered Glass Europe S.à.r.l. Method and device to produce a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and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6812B1 (ko) * 1983-05-30 1986-04-18 Saint Gobain Vitrage
US4561625A (en) * 1983-09-26 1985-12-31 Libbey-Owens-Ford Company Mold structure
US4688752A (en) * 1986-04-25 1987-08-25 Libbey-Owens-Ford Co. Mold structure for producing an encapsulated window assembly
US4732553A (en) * 1987-07-06 1988-03-22 Libbey-Owens-Ford Co. Seal construction for a mold structure for encapsulating glass with a gasket
US4915395A (en) * 1987-08-21 1990-04-10 Libbey-Owens-Ford Co. Seal construction for a mold structure for encapsulating glass with a gasket
FR2657308B1 (fr) * 1990-01-04 1994-08-05 Peugeot Procede et dispositif de realisation d'un joint renfermant un insert, a la peripherie d'un vitrage et vitrage obtenu.
JP3063288B2 (ja) * 1991-09-30 2000-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ウインドパネル部材の成形方法
JP2583693Y2 (ja) * 1993-05-28 1998-10-2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樹脂枠の射出成形装置
JP3123327B2 (ja) * 1993-12-28 2001-01-09 橋本フォーミング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ウ組立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5916600A (en) * 1996-09-06 1999-06-29 Donnelly Corporation Mold assembly for holding a sheet of glass during molding
DE19835280A1 (de) * 1998-08-05 2000-02-17 Behr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eines Innenausbauteiles für Fahrzeuge sowie danach hergestelltes Innenausbau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6891B1 (fr) 2008-08-06
PL1796891T3 (pl) 2009-01-30
FR2875731A1 (fr) 2006-03-31
MX2007003634A (es) 2007-06-13
JP5000519B2 (ja) 2012-08-15
ES2312028T3 (es) 2009-02-16
US20080102237A1 (en) 2008-05-01
CN101065230A (zh) 2007-10-31
ZA200703362B (en) 2008-08-27
WO2006035180A1 (fr) 2006-04-06
FR2875731B1 (fr) 2006-11-03
JP2008514449A (ja) 2008-05-08
KR101247677B1 (ko) 2013-04-01
DE602005008754D1 (de) 2008-09-18
CN101065230B (zh) 2010-09-29
EP1796891A1 (fr) 2007-06-20
ATE403533T1 (de) 200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4851A (en) Encapsulated window and manufacturing process
CA2594601C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EP0907485B1 (en) Encapsulated fixed-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EP0628439B1 (en) Seal assembly for movable window for a vehicle
US4668556A (en) Elastomeric profiled strip for sealingly enclosing windowpanes
KR920004869B1 (ko) 자동차용 판유리 및 그 접착조립방법
US20080238134A1 (en) Unsupported division post for automotive glass encapsulation
KR101247677B1 (ko)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디바이스, 및 창유리
US20100001550A1 (en) Sealing or guid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MXPA02005492A (es) Ensamblaje de un vidrio de vehiculo a un elemento contiguo.
CZ286396B6 (en) Glazing par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US20110109009A1 (en) Method of forming unsupported division post for automotive glass encapsulation
EP3323649B1 (en) Plate-like body with a resin frame attached thereto for a vehicle
US20020096800A1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with continuous seal trim strip for a motor vehicle
EP0145354A2 (en) Molded urethane window gasket assembly with hinge memb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946273B1 (ko) 단편 위에 프로파일 림을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및프로파일 림을 구비한 창유리
KR20170094325A (ko) 압출된 시일부, 트림, 및 코어를 갖는 글레이징 및 상기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US7754128B2 (en) Window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window pane
KR20090123899A (ko) 다원료 층상 압출
EP1585796B1 (en) Panel-shaped members with strips joined to th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0897969B1 (ko) 창문 창유리
US69263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profiled trim section for a glass pane
EP3056367B1 (en) Vehicle glass guiding and sealing element
CA2751974A1 (en) Method of forming unsupported division post for automotive glass encap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