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154A -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154A
KR20070074154A KR1020060001943A KR20060001943A KR20070074154A KR 20070074154 A KR20070074154 A KR 20070074154A KR 1020060001943 A KR1020060001943 A KR 1020060001943A KR 20060001943 A KR20060001943 A KR 20060001943A KR 20070074154 A KR20070074154 A KR 2007007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unit
display panel
panel
pan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우
최현규
강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154A/ko
Publication of KR2007007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이 개시된다.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는 패널 고정유닛, 회전유닛 및 테이프 부착유닛을 포함한다. 패널 고정유닛은 표시패널을 고정시킨다. 회전유닛은 패널 고정유닛을 지지하며, 패널 고정유닛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킨다. 테이프 부착유닛은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 이동된 패널 고정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패널 고정유닛에 고정된 표시패널에 테이프를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테이프를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것을 자동화된 테이프 부착설비를 통해 표시패널에 부착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패널 고정유닛, 회전 유닛, 테이프 부착유닛, 패널 이송유닛

Description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EQUIPMENT FOR ADHERING A TAPE TO 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ADHERING A TAPE TO A DISPLAY PANEL USING TH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패널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제1 테이프 부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제2 테이프 부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패널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시패널 30 : 차광테이프
40 : 제거 테이프 50 : 컨베이어
100 : 패널 고정유닛 200 : 회전유닛
300 : 제1 테이프 부착유닛 400 : 제2 테이프 부착유닛
500 : 패널 이송유닛 600 :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본 발명은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평판 표시장치인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액정(Liquid Crystal)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LCD)는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낮은 소비전력 및 낮은 구동전압에서 작동하는 장점을 갖고 있어 산업 전반에서 사용된다. 특히, 상기 액정 표시장치(LCD)는 대형 TV, 모니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패널, 상기 액정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광원에는 부피 및 무게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고휘도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용된 액정 표시패널에는 여러 종류의 테이프가 부착되는 데, 이러한 테이프는 구성요소간을 결합시키거나, 광의 이동을 차단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솔더링하여 상기 테이프를 상기 액정 표시패널에 부착시켰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프 부착방법으로 다량의 액정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작업자들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 또한 소요된다. 즉, 종래의 테이프 부착방법은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패널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테이프 부착설비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는 패널 고정유닛, 회전유닛 및 테이프 부착유닛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패널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유닛은 표시패널을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패널 고정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패널 고정유닛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킨다. 상기 테이프 부착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 이동된 상기 패널 고정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고정유닛에 고정된 표시패널에 테이프를 부착시 킨다.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 이동된 상기 패널 고정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을 외부의 컨베이어로 이송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은 패널 고정유닛에 표시패널을 로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패널 고정유닛을 지지하는 회전유닛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널 고정유닛과 함께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에 테이프 부착유닛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테이프가 부착된 표시패널을 패널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테이프를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것을 자동화된 테이프 부착설비를 통해 표시패널에 부착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600)는 패널 고정유닛(100), 회전유닛(200), 제1 테이프 부착유닛(300), 제2 테이프 부착유닛(400) 및 패널 이송유닛(500)을 포함한다. 우선,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 나중에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 고정유닛(100)은 표시패널(10)을 고정시킨다. 이때, 표시패널(10) 두 개가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고정유닛(100)은 회전유닛(2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4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이 정사각형 형태로 회전유닛(200)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4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이 정사각형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회전유닛(20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경우, 각 패널 고정유닛(100)은 고정된 위치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이 배치된 영역은 각각 로딩영역(AR1), 제1 부착영역(AR2), 제2 부착영역(AR3) 및 픽업영역(AR4)을 형성하다.
회전유닛(200)은 패널 고정유닛(10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유닛(200)은 정사각형 배치를 갖는 4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을 지지한다.
회전유닛(200)은 회전유닛(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패널 고정유닛(100)을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유닛(200)은 4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을 지지함으로, 회전유닛(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로 회전 운동한다. 여기서, 회전유닛(200)은 3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을 지지할 경우, 120도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고, 회전유닛(200)은 2개의 패널 고정유닛(100)들을 지지할 경우, 180도 각도로 회전 운동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각도로도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제1 테이프 부착유닛(300)은 제1 부착영역(AR2)에 배치된다. 제1 테이프 부착유닛(300)은 일례로, 차광테이프(30)를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차광테이프(30)는 광의 이동을 차단하며, 예를 들어 표시패널(10)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표시패널(10)은 이동통신 단말기 용 표시패널이다.
제2 테이프 부착유닛(400)은 제2 부착영역(AR3)에 배치된다. 제2 테이프 부착유닛(400)은 일례로, 제거 테이프(remove tape, 40)를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제거 테이프(40)는 표시패널(10)의 보호시트에 부착되어, 작업자가 상기 보호시트를 표시패널(10)로부터 쉽게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패널 이송유닛(500)은 픽업영역(AR4)의 상부에 배치되고, 패널 이송유닛(500)의 일부가 컨베이어(50)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패널 이송유닛(500)은 패널 고정유닛(100) 상에 배치된 표시패널(10)을 픽업하여, 컨베이어(50) 상으로 이송한다.
도 3은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패널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 고정유닛(100)은 패널 고정부(110) 및 충격 완화부(120)를 포함한다.
패널 고정부(110)는 표시패널(10)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패널 고정부(110)에는 표시패널(10)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널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패널 고정홈(112)은 두 개의 표시패널(10)을 수납할 수 있는 두 개의 서브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고정홈(112)의 양단부는 표시패널(10)이 패널 이송유닛(500)에 의해 쉽게 픽업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완화부(120)는 패널 고정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패널 고정부(110)를 지지한다. 충격 완화부(120)는 패널 고정부(110)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준다. 구체적으로, 패널 고정부(11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테이프를 부착시킬 때 , 표시패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 결과, 표시패널(10)에 테이프를 부착시킬 때, 표시패널(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충격 완화부(120)는 표시패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제1 테이프 부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테이프 부착유닛(300)은 차광테이프 공급부(310) 및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를 포함하고,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차광테이프(30)를 부착시킨다.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는 패널 고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로 차광테이프(30)를 공급한다.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는 일례로, 롤러를 회전시켜 차광테이프(30)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차광테이프(30)는 이형필름 상에 복수개가 부착되고, 상기 이형필름은 원기둥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이형필름의 다발이 차광테이프 공급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이형필름이 차광테이프 공급부(310)의 롤러에 의해 차광테이프(30)를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로 전송한다. 이때, 차광테이프(30)가 상기 이형필름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이형필름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는 패널 고정유닛(100) 및 차광테이프 공급부(310)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는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차광테이프(30)를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는 일례로, 차광테이프 부착기(322),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 및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를 포함한다.
차광테이프 부착기(322)는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차광테이프(30)를 픽업하여,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차광테이프 부착기(322)는 공기압에 의해 차광테이프(30)를 픽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테이프 부착기(322)는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와 결합되며, 차광테이프(30)를 픽업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하로 이동된다.
차광테이프 부착기(322)의 하면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차광테이프 부착기(322)가 하강하여 차광테이프(30)와 접할 때, 차광테이프(30)의 전면에 균형적인 공기압이 제공되도록 도와준다.
차광테이프 부착기(322)는 표시패널(10)에 차광테이프(30)를 부착시킬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충격완화부재, 일례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는 차광테이프 부착기(322) 및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의 사이에 배치되며, 차광테이프 부착기(322) 및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와 결합된다.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는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고, 그 결과 차광테이프 부착기(322)에 픽업된 차광테이프(30)를 이송한다.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는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와 결합된다.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는 패널 고정유닛 (100) 및 차광테이프 공급부(310)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는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한다.
도 5는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제2 테이프 부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제2 테이프 부착유닛(400)은 제거테이프 공급부(410) 및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를 포함하고,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제거테이프(40)를 부착시킨다.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는 패널 고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로 제거테이프(40)를 공급한다.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는 일례로, 롤러를 회전시켜 제거테이프(40)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제거테이프(40)는 차광테이프와 마찬가지로 이형필름 상에 복수개가 부착되고, 이러한 이형필름은 원기둥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제거테이프(40)가 차광테이프(3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제거테이프(40)가 부착된 이형필름의 폭은 차광테이프(30)가 부착된 이형필름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는 패널 고정유닛(100) 및 제거테이프 공급부(410)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는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된 제거테이프(40)를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는 일례로, 제거테이프 부착기(422),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 및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를 포함한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된 제거테이프 (40)를 픽업하여,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공기압에 의해 제거테이프(40)를 픽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와 결합되며, 제거테이프(40)를 픽업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하로 이동된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의 하면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제거테이프 부착기(422)가 하강하여 제거테이프(40)와 접할 때, 제거테이프(40)의 전면에 균형적인 공기압이 제공되도록 도와준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표시패널(10)에 제거테이프(40)를 부착시킬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충격완화부재, 일례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두 개의 제거테이프(40)를 픽업하기 위해,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를 포함한다.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는 소정의 사이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사이간격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두 개의 표시패널(10)의 제1 간격은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되는 제거테이프(40)의 두 열 사이의 제2 간격보다 크다. 즉,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는 제거테이프(40)를 픽업할 때, 상기 제2 간격으로 이격되고, 제거테이프(40)를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킬 때,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 각각은 제거테이프(40)가 표시패널(10)에 부착되는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 각각은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는 제거테이프 부착기(422) 및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거테이프 부착기(422) 및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와 결합된다.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는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고, 그 결과 제거테이프 부착기(422)에 픽업된 제거테이프(40)를 이송한다.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는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와 결합된다.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는 패널 고정유닛(100) 및 제거테이프 공급부(410)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는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한다.
도 6은 도 1의 테이프 부착설비 중 패널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 이송유닛(500)은 패널 고정유닛(100)에 배치된 표시패널(10)을 외부의 컨베이어(50)로 이송한다. 패널 이송유닛(500)은 수평 이동부(510), 수직 이동부(520), 회전 이동부(530) 및 패널 픽업부(540)를 포함한다.
수평 이동부(510)는 표시패널(10)을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수평 이동부(510)는 일례로, 공기압에 의해 표시패널(10)을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수직 이동부(520)는 수평 이동부(510)와 결합되어, 표시패널(10)을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수직 이동부(520)는 일례로, 공기압에 의해 표시패널(10)을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수직 이동부(520)는 제1 수직 이동부(522) 및 제2 수직 이동부(524)를 포함한다.
제1 수직 이동부(522)는 수평 이동부(510)와 결합되어, 표시패널(10)을 제1 범위만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제2 수직 이동부(524)는 제1 수직 이동부(522)와 결합되어, 표시패널(10)을 제2 범위만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수직 이동부(520)는 제1 및 제2 수직 이동부(522, 524)에 의해 상기 제1 범위와 제2 범위를 합한 길이만큼 표시패널(10)을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이동부(520)는 제1 수직 이동부(522) 및 제2 수직 이동부(524)를 포함하는 이유는, 회전유닛(200)의 높이와 컨베이어(50)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컨베이어(50)의 높이가 회전유닛(200)의 높이보다 낮다.
회전 이동부(530)는 수직 이동부(520), 즉 제2 수직 이동부(524)와 결합되고, 표시패널(1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운동시킨다. 회전 이동부(530)는 제2 수직 이동부(524)의 하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로 회전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이동부(530)는 일례로, 공기압에 의해 표시패널(1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운동시킨다.
패널 픽업부(540)는 회전 이동부(530)와 결합되고, 패널 고정유닛(100)에 배치된 표시패널(10)을 픽업한다. 구체적으로, 패널 픽업부(540)는 회전 이동부(530)의 하면과 결합된다.
패널 픽업부(540)는 표시패널(10)을 픽업하기 위한 글립퍼(gripper) 형상을 갖는다. 즉, 패널 픽업부(540)는 표시패널(10)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표시패널 (10)을 픽업한다. 이때, 패널 픽업부(540)는 패널 고정유닛(100)의 패널 고정홈(112) 중 양단부로 개구된 곳을 이용하여 표시패널(10)을 픽업한다.
패널 픽업부(540)는 두 개의 표시패널(10)들이 패널 고정유닛(100) 상에 배치될 경우, 표시패널(10)의 개수와 동일하게 두 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각종의 테이프를 표시패널(10)에 부착하는 것을 자동화된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600)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증가되고 필요한 작업자의 수가 보다 감소됨에 따라, 표시패널(10)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의 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으로 우선, 회전유닛(200) 상에 고정된 패널 고정유닛(100)으로 표시패널(10)을 로딩하여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베이어(50)를 통해 전 공정단계에서 이동되어 온 표시패널(10)을 인위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패널 고정유닛(100)에 로딩한다. 일례로, 두 개의 표시패널(10)이 패널 고정유닛(100)으로 로딩된다. 이때, 두 개의 표시패널(10)은 패널 고정유닛(100)의 패널 고정홈(112)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표시패널(10)이 패널 고정유닛(100)으로 로딩된 후, 작업자가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600)의 스타트 버튼(미도시)을 눌러 동작시키거나,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회전유닛(20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켜, 표시패널(10)이 고정된 패널 고정유닛(100)을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유닛(200)은 90도로 회 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번째로, 패널 고정유닛(100)과 함께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10)에 차광테이프(30)를 제1 테이프 부착유닛(300)을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이때, 제1 테이프 부착유닛(300)은 차광테이프 공급부(310) 및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는 패널 고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로 차광테이프(30)를 공급한다.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는 일례로, 롤러를 회전시켜 차광테이프(30)를 이송한다.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는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차광테이프(30)를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차광테이프 부착부(320)는 일례로, 차광테이프 부착기(322),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 및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를 포함한다.
차광테이프 부착기(322)는 차광테이프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차광테이프(30)를 공기압에 의해 흡착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차광테이프 이송몸체(324)는 차광테이프 메인몸체(326)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차광테이프 부착기(322)에 픽업된 차광테이프(30)를 패널 고정유닛(100)의 상부로 이송한다.
패널 고정유닛(100)의 상부로 이송된 차광테이프 부착기(322)는 표시패널(10)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차광테이프를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네 번째로, 회전유닛(200)을 소정의 각도로 다시 회전 이동시켜, 표시패널(10)이 고정된 패널 고정유닛(100)을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유닛(200)은 90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 번째로, 패널 고정유닛(100)과 함께 다시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10)에 제거테이프(40)를 제2 테이프 부착유닛(400)을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이때, 제2 테이프 부착유닛(400)은 제거테이프 공급부(410) 및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는 패널 고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로 제거테이프(40)를 공급한다.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는 일례로, 롤러를 회전시켜 제거테이프(40)를 이송한다.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는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된 제거테이프(40)를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제거테이프 부착부(420)는 일례로, 제거테이프 부착기(422),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 및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를 포함한다. 이때,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를 포함한다.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된 제거테이프(40)를 픽업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는 각각 하나씩의 제거테이프(40)를 공기압에 의해 흡착한다.
제거테이프 이송몸체(424)는 제거테이프 메인몸체(426)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제거테이프 부착기(422)에 픽업된 한 쌍의 제거테이프(40)들을 패널 고정유닛(100)의 상부로 이송한다.
패널 고정유닛(100)의 상부로 이송된 제거테이프 부착기(422)는 표시패널(10)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거테이프(40)를 표시패널(10)에 부착시킨다. 이때, 패널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두 개의 표시패널(10) 사이의 제1 간격은 제거테이프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되는 제거테이프(40)의 두 열 사이의 제2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는 제2 간격에서 제1 간격으로 변경된 후, 두 개의 제거테이프(40)들을 두 개의 표시패널(10)들에 부착시킨다.
또한,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 각각은 제거테이프(40)가 표시패널(10)에 부착되는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서브부착기(422a) 및 제2 서브부착기(422b) 각각은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섯 번째로, 회전유닛(200)을 소정의 각도로 또 다시 회전 이동시켜, 표시패널(10)이 고정된 패널 고정유닛(100)을 회전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유닛(200)은 90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패널 고정유닛(100)과 함께 또 다시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10)을 패널 이송유닛(500)을 이용하여 컨베이어(50) 상으로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테이프 부착작업을 마치고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10)을 패널 이송유닛(500)의 패널 픽업부(540)가 패널 고정유닛(100)에 배치된 표시패널(10)을 픽업한다. 패널 픽업부(540)는 표시패널(10)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표시패널(10)을 픽업한다. 패널 픽업부(540)는 표시패널(10)의 개수와 동일하게 두 개로 구성되어, 한 쌍의 표시패널(10)들을 한 번에 픽업한다.
이어서, 픽업된 표시패널(10)을 패널 이송유닛(500)의 수직 이동부(520)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상승킨다. 이때, 수직 이동부(520)는 제1 및 제2 수직 이동부(522, 524)를 포함하므로, 제1 수직 이동부(522)가 표시패널(10)을 제1 범위의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제2 수직 이동부(524)가 표시패널(10)을 제2 범위의 길이만큼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수직 이동된 표시패널(10)을 패널 이송유닛(500)의 수평 이동부(510)를 이용하여 컨베이어(50)의 상부로 수평 이동시킨다. 표시패널(10)이 수평 이동된 후, 표시패널(10)을 회전 이동부(530)를 이용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이동부(530)는 표시패널(10)을 90도 각도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 이동부(530)가 90도 각도로 회전 이동하는 이유는 두 개의 표시패널이 컨베이어(50)의 진행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시키기 위함이다.
이어서,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10)을 수직 이동부(520)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하강시켜, 컨베이어(50) 상에 배치시킨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50)의 높이는 회전유닛(200)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컨베이어(50) 상부에서 수직 이동부(520)가 수직 이동되는 길이는 회전유닛(200)의 상부에 수직 이동부(520)가 수직 이동되는 길이보다 길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패널(10)을 컨베이어(50) 상에 배치시키고 나면, 패널 이송유닛(500)은 상기 기술한 순서의 역순을 따라서 이동하여 원위치를 회복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테이프를 표시패널(10)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화된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600)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테이프 부착작업에 필요한 인력이 감소될 수 있어, 표시패널(10)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각종의 테이프를 표시패널에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동화된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필요한 인력이 감소되고 작업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표시패널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표시패널을 고정시키는 패널 고정유닛;
    상기 패널 고정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패널 고정유닛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 이동된 상기 패널 고정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 고정유닛에 고정된 표시패널에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유닛은
    상기 표시패널을 고정하는 패널 고정부; 및
    상기 패널 고정부를 지지하여, 상기 패널 고정부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부에는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패널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홈의 양단부는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착유닛은
    상기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및
    상기 테이프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테이프를 픽업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부은 회전을 통해 상기 테이프를 전송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착부는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를 픽업하고, 상기 테이프를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기;
    상기 테이프 부착기와 결합되어, 상기 테이프 부착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몸체; 및
    상기 수평 이송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 이송몸체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착기의 하면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착기는 서로간의 사이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제1 서프부착기 및 제2 서프부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착기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회전 이동된 상기 패널 고정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을 외부의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패널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솔더링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표시패널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상기 수평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수직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픽업하는 패널 픽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이송유닛은
    상기 수직 이동부 및 상기 패널 픽업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수평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제1 범위만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제1 수직 이동부; 및
    상기 제1 수직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제2 범위만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90도씩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고정유닛은 정사각형을 이루도록 4개가 상기 회전유닛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18. 패널 고정유닛에 표시패널을 로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패널 고정유닛을 지지하는 회전유닛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널 고정유닛과 함께 회전 이동된 표시패널에 테이프 부착유닛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 부착된 표시패널을 패널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90도씩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테이프 부착방법.
KR1020060001943A 2006-01-06 2006-01-06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KR20070074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943A KR20070074154A (ko) 2006-01-06 2006-01-06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943A KR20070074154A (ko) 2006-01-06 2006-01-06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154A true KR20070074154A (ko) 2007-07-12

Family

ID=3850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943A KR20070074154A (ko) 2006-01-06 2006-01-06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1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883A (zh) * 2015-09-01 2015-12-16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模组胶带贴附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883A (zh) * 2015-09-01 2015-12-16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模组胶带贴附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4118A (ko) 표시패널 솔더링 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솔더링방법
US8528196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CN1796254B (zh) 面板供给装置、面板供给方法和面板装配装置
JP4819184B2 (ja) 圧着方法
KR20100009208A (ko) 박리 및 안착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234473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분리장치
KR101887655B1 (ko) 수평형 피씨비 본딩 장치
KR101265277B1 (ko) 패널 부착장치
KR20110126819A (ko) 판넬 이송용 흡착장치
CN103091884B (zh) 手持电子设备
KR102010247B1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92697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엘시디모듈 제조용 패널 접합장치
KR20070074154A (ko) 표시패널 테이프 부착설비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테이프 부착방법
CN108861575A (zh) 不良品分选机构以及pcb自动封装设备
KR101291313B1 (ko) 패널 부착장치
JP5345032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958827B1 (ko) U 가이드를 갖는 비접촉식 필름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부착방법
KR20100086242A (ko)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KR100622410B1 (ko)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이 조립장치를 이용한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방법
CN105242421A (zh) 可除静电的手机偏光片自动贴合机
CN109031578A (zh) 一种用于光学镜头的自动组立装置
KR20160135071A (ko) 테이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착방법
KR20190014262A (ko) 유연기판 벤딩장치
KR2013000052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테이프 벤딩장치 및 테이프 부착장비
CN208898097U (zh) 一种基板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