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651A -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651A
KR20070073651A KR1020070011020A KR20070011020A KR20070073651A KR 20070073651 A KR20070073651 A KR 20070073651A KR 1020070011020 A KR1020070011020 A KR 1020070011020A KR 20070011020 A KR20070011020 A KR 20070011020A KR 20070073651 A KR20070073651 A KR 2007007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plant extracts
piperasc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훈
이종성
정은선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651A/ko
Publication of KR2007007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나리추출물, 고사리추출물, 두릅나무추출물, 미나리추출물, 박하추출물, 부추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영산홍꽃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옥수수엽추출물, 완두콩추출물, 유채추출물, 조릿대추출물, 포공영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한 주름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뛰어나 세포독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주름, 콜라겐, 개나리, 고사리, 두릅나무, 미나리, 박하, 부추, 어성초, 영산홍꽃, 오이풀뿌리, 옥수수엽, 완두콩, 유채, 조릿대, 포공영

Description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 on Skin Comprising Plant Extracts}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대조군: 무처리군, RA: 1 uM 레티노산).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에 세포 독성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 대조군: 무처리군, RA: 1 uM 레티노산).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며 나선형 구조를 하고 있다.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등의 기능을 통해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 노화에 따른 세포활성의 감소와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콜라겐 함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하여 콜라겐 생합성이 감소되고, 콜라겐 분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해서 피부주름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서 기존에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beta, 동물태반 유래의 단백질 (JP8-231370), 베툴린산 (betulinic acid) (JP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JP40523), 율피추출물 (KR-10-1997-0058952)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로서 빛(자외선), 수분, 열, 공기(산소)에 민감하여 쉽게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생체에서의 안전성, 안정성이 높고 콜라겐 합성율이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제주 자생식물 100여종을 대상으로 콜라겐 생성 촉진 물질을 스크리닝하였다. 스크리닝 결과, 다수종의 식물 추출물이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며, 인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고, 안전성이 우수해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새로이 밝혀진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조성물로 제조된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식품 및/또는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개나리추출물, 고사리추출물, 두릅나무추출물, 미나리추출물, 박하추출물, 부추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영산홍꽃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옥수수엽추출물, 완두콩추출물, 유채추출물, 조릿대추출물, 포공영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100여종의 식물추출물을 주름개선 물질 스크리닝에 이용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한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는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개나리 (Forsythia koreana)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서,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열매를 약으로 쓰는데 생약명이 연교 혹은 왕수단이며 해열, 해독, 소염, 이뇨, 소종 등에 효능이 있어 오한이나 열이 날 때, 신장염 이나 임파선염 또는 각종 종기나 습진의 치료약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꽃과 줄기이다.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는 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봄에 잎이 피지 않은 어린 순을 삶아서 나물로 먹거나 국의 재료로 쓰며, 한방에서는 어린순을 약재로 쓰는데, 위와 장에 있는 열독을 풀어 주고 가벼운 이뇨 작용이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줄기와 뿌리이다.
두릅나무 (Aralia elata)는 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서, 새순은 식용하며, 생약의 총목피는 나무껍질을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열매와 뿌리를 해수, 위암, 당뇨병, 소화제에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당뇨병에 나무껍질이나 뿌리를 달여 먹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줄기와 뿌리이다.
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 DC.)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전초는 수근, 화는 근화라 하며 약용한다. 수근은 청열, 이수의 효능이 있다. 폭열번갈, 황달, 수종, 임병, 대하, 유행성이하선염, 류머티즘 신경동통을 치료하고, 근화는 맥일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 줄기와 뿌리이다.
박하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로서, 박하유의 주성분인 멘톨은 도포제, 진통제, 흥분제, 건위제 등으로 약용하고 치약, 사탕, 잼, 화장품, 담배 등에 향료나 청량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이다.
부추 (Allium tuberosum)는 정구지, 소풀, 원담초, 기양초라고도 하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비늘줄기는 건위, 정장, 화상에 사용하고, 씨는 한방에서 구자라 하여 비뇨의 약재로 사용하고, 연한 식물체는 식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부위는 잎과 줄기이다.
어성초 (Houttuynia cordata)는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꽃이 피기 전의 식물체를 이뇨제와 구충제로 사용하고, 잎을 짓찧어 종기와 독충에 물렸을 때 바른다. 민간에서는 부스럼, 화농, 치질 등에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식물체를 임질, 장염, 요로감염증, 폐렴, 기관지염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 줄기와 뿌리이다.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은 진달래과 (Ericaceae)의 상록활엽관목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의 꽃이 이용된다.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inne)은 장미과 (Rosaceae)에 속한다. 오이풀은 설사, 대장염, 출혈, 악창, 화상 등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지혈작용이 강하여 갖가지 출혈에 피를 멎게 하는 데 많이 사용한다. 산오이풀, 가는잎오이풀, 큰오이풀 등 비슷한 식물이 여러 가지 있으며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뿌리이다.
옥수수 (maize: Zea mays)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이의 열매는 완숙 후에 수확하여 식량으로 이용하고 있다. 과자, 빵 ,만두, 죽을 만들며, 가축의 사료로도 쓰인다. 공업원료로서는 종실에서 옥수수녹말, 포도당, 풀, 양조용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옥수수잎이다.
완두콩 (Pisum sativum L.)은 콩과의 재배하는 월년초로서, 어린순과 열매는 식용한다. 종자를 완두라 하며 약용한다. 종자에는 피토아글루티닌, 아브시신Ⅱ 및 지베렐린 A20이 함유되어 있고 미숙한 종자에는 4-클로로인돌릴-3-아세틸-l-아스파트산 모노메틸 에스테르가가 함유되어 있다. 두과에는 지베렐린이 함유되어 있다. 화중, 하기, 소변을 용이하게 하며 창독을 해결하는 효능이 있다. 곽란, 전근, 각기, 옹종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부분이다.
유채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는 십자화과의 2년생 초본으로서, 종자로 기름을 짜며, 어린 뿌리와 잎은 약용한다. 운대는 산혈, 소종의 효능이 있다. 산후혈풍 및 어혈, 노상, 토혈, 혈리, 단독, 열독, 창, 유옹을 치료한다. 운대자는 행혈, 파기, 소종, 산결의 효능이 있다. 산후복통, 하혈, 혈리, 종독, 치루, 몽정을 치료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꽃과 줄기부분이다.
조릿대 (Sasa borealis (Hack.) Makino)는 벼과의 상록 관엽 지피식물로서, 잎을 치열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부분이다.
포공영 (Mongolian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민들레, 안질방이, 앉은방이, 코딱지나물, 보개초, 포공초라고도 한다.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으로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꽃과 줄기 부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추출물은 각각의 식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추출하거나 개개 성분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수 추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들을 물에 가하여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 시간은 줄어들지만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손실될 수 있고, 상기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완전하게 추출되지 않으므로 온도 조절과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추출액은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추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에틸렌,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유기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로서, 상기한 식물을 채집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헥산으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40 내지 100 ℃로 1 내지 5 시간 가온추출하거나, 실온에서 1 내지 30 일간 침적시켜 추출할 수 있다.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중 각각의 식물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건조 중량으로 약 0.0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의 촉진 활성을 용량-의존적으로 나타내었고 (실험실시예 1, 도 1), 시험관 내 실험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실시예 2, 도 2). 또한, 임상 실험에서도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실험실시예 3, 표 3), 인체 피부에 대한 누적 자극 실험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실험실시예 4, 표 5).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추출물은 단일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식물추출물을 배합 사용하여 보다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들 식물추출물은 주요성분으로 또는 첨가제로서 피부 주름개선 목적의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식물추출물로 제조된 화장품, 식품 또는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경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세안바, 세안 크림, 세안폼, 영양젤, 마사지크림, 모이스처크림, 팩, 바디샴푸, 헤어샴푸, 헤어린스, 핸드크림 및 파운데이션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에 사용되는 경우, 피부외용 연고제, 패치제, 에어로졸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식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기능성 식품에 관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당 분야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한 식물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타민, 펩티드, 다당류,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향료,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언트제로는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 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 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지, 식물성유지,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실시예 1: 식물추출물의 제조
개나리의 꽃과 줄기(난지농업연구소), 고사리의 줄기와 뿌리(난지농업연구소), 두릅나무의 줄기와 뿌리(난지농업연구소), 미나리의 잎, 줄기와 뿌리(제주 재래시장), 박하의 잎과 줄기(제주 재래시장), 부추의 잎과 줄기(제주 재래시장), 어성초의 잎, 줄기와 뿌리(난지농업연구소), 영산홍꽃(난지농업연구소), 오이풀뿌리 (제주 재래시장), 옥수수엽(제주 재래시장), 완두콩의 잎과 줄기(제주 재래시장), 유채의 꽃과 줄기(난지농업연구소), 조릿대의 잎과 줄기(난지농업연구소), 포공영의 꽃과 줄기(난지농업연구소)을 채집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10 부피의 에탄올로 실온에서 10 일간 침적시켜 추출하였다.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실시예 1: 타입 I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타입 I, II, III, IV 및 V)들은 프로콜라겐이라는 전구물질의 형태로 합성된다. 프로콜라겐은 아미노 말단과 카복시 말단에 프로펩티드라는 펩티드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프로펩티드의 기능은 소포체 내에서 프로콜라겐 분자의 폴딩을 도와줌과 동시에 콜라겐 중합반응이 일어날 때 콜라겐 분자로부터 절단, 분리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분리된 프로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포내에서의 콜라겐 생합성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태평양)를 6-웰 디시에 일정수 (1 X 105 세포)의 세포를 시딩하고, 하루 동안 배양한 후, FBS가 0.05% 들어있는 각각의 웰에 제조실시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고 수집한 각 샘플에서의 타입 I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A450nm에서 ELISA 리더로 정량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레티노산을 사용하였다.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주자생 식물추출물 16종 모두 콜라겐 생성율을 증가시켰다 (도 1).
실험실시예 2: 세포독성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태평양) 배양을 이용하여 식물추출물들에 대한 세포 독성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제조실시예에서 제조한 추출물로 샘플 처리 후 혈청-비함유 상태로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MTT (3-(4,5-dimet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TT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생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쇄효소에 의해 개열하고 암청색의 포르마잔을 생성한다.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포르마잔의 생성량은 생세포수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16종의 추출물(1 ug/ml, 10 ug/ml) 모두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독성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2).
실험실시예 3: 인체에서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
제조실시예에서 제조한 제주자생 식물추출물들을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하기 위해, 식물추출물 각각을 포함하는 크림을 아래 표의 방법대로 제조하였다.
A.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들을 함유한 크림 제조예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들을 각각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 예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필렌 글리콜을 70 ℃로 가열 용해하였다.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 ℃로 가열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 ℃로 냉각시키고 아시아티코사이드와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 ℃로 냉각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 (개나리, 고사리, 두릅나물, 미나리, 박하, 부추, 어성초, 영산홍꽃, 오이풀뿌리, 옥수수엽, 완두콩, 유채, 조릿대 또는 포공영) 0.01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 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 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B. 정제수를 함유한 크림 제조예 (비교제조예)
상기 단락 A에서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들을 첨가하지 않고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의 제조예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성분 함량 (중량 %)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 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 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A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들을 각각 0.01% 함유한 영양 크림) 및 제조예 B (정제수를 함유한 영양 크림)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여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부탄력의 측정은 온도 24 내지 26 ℃, 습도 38 내지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건강한 여성 30명 (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제조예 A와 제조예 B의 영양 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크림 제조예 A (0.01 % 식물추출물) 크림 제조예 B
개나리 고사리 두릅나무 포공영 미나리 박하 부추 어성초 영산홍꽃 오이풀뿌리 옥수수엽 완두콩 유채 조릿대
피부탄력도 3.2 3.1 3.0 2.8 2.9 2.9 3.3 3.1 2.9 2.9 3.2 3.1 2.9 3.0 1.6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A가 비교 제조예에 비해 주름개선 효과가 훨씬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험실시예 4: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4-1. 피부외용제의 제조
상기와 같이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하다고 판명된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들을 인체피부에도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주 자생 식물추추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를 제조하고 이에 의한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는 하기 표 4의 성분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서 대조군은 주름개선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피부외용제이며, 시험군은 각각의 식물추출물을 포함한 피부외용제이다.
피부외용제 제조를 위하여,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70 ℃에서 용해하였으며 (수상 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 ℃에서 용해하였다 (유상 파트). 상기 유상 파트를 수성 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을 최종 첨가하였다. 혼합액에서 생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
대조군 시험군
정제수 72 72
글리세린 8.0 8.0
부틸렌글리콜 4.0 4.0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 (개나리, 고사리, 두릅나무, 미나리, 박하, 부추, 어성초, 영산홍꽃, 오이풀뿌리, 옥수수엽, 완두콩, 유채, 조릿대 또는 포공영) 0 1.0
카프릴릭 카프리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스쿠알란 5.0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트리메탄올아민 0.1 0.1
총중량 100 100
4-2. 피부누적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각 피부외용제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첩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ul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x 반응도/ 총피검자수 x 최고점수 (4점)] x 100 ] ÷ 검사회수 (9회)
이 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ㅁ + ++ ㅁ + ++ ㅁ + ++ ㅁ + ++ ㅁ + ++ ㅁ + ++ ㅁ + ++ ㅁ + ++ ㅁ + ++
대조군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개나리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고사리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두릅나무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미나리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박하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부추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어성초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영산홍 꽃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오이풀뿌리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옥수수엽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완두콩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유채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조릿대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포공영 추출물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피검인원 30 30 30 30 30 30 30 30 30
상기 표 5에서처럼 시험군의 경우, 특별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상기 기재된 식에 따라 계산하면, 14종 모두의 평균 반응도가 0.18이 되어, 3 이하가 되므로 안전한 조성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주 자생 식물추출물 14종은 피부주름개선 주성분인 레티놀과 유사한 콜라겐생합성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인체 안전성 시험에서 어떠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하지 않아 인체사용에 있어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주 자생 식물 14종은 주름개선 목적의 화장료나 의약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가능하다.

Claims (3)

  1. 박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하 추출물은 박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하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건조 중량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11020A 2007-02-02 2007-02-02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3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20A KR20070073651A (ko) 2007-02-02 2007-02-02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20A KR20070073651A (ko) 2007-02-02 2007-02-02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051A Division KR100829832B1 (ko) 2006-01-04 2006-01-04 두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651A true KR20070073651A (ko) 2007-07-10

Family

ID=3850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020A KR20070073651A (ko) 2007-02-02 2007-02-02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6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857B1 (ko) * 2010-03-18 2013-02-15 (주)솜니허브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920A (ko) * 2015-09-23 2015-10-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20150115704A (ko) * 2015-09-23 2015-10-1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857B1 (ko) * 2010-03-18 2013-02-15 (주)솜니허브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920A (ko) * 2015-09-23 2015-10-0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20150115704A (ko) * 2015-09-23 2015-10-1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Verma et al. A review on parts of Albizia lebbeck (L.) Benth. used as ayurvedic drugs
JP2002179586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2B1 (ko) 두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0729833B1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anu et al. A review on bioactive compounds of yam varieties for human disease management
Dhingra et al. Review on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lant Calendula officinalis Linn.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070073651A (ko)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168555A (ja) 鑑別方法
JP2011168555A5 (ko)
Singh et al. Phytochemistry and medicinal uses of moringa oleifera: an overview
KR20070073650A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29832B1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70073652A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70073653A (ko)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Garg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Moringa oleifera Lam in skin disorders and cosmetics: nutritional analysis, phytochemistry, geographical distribution, ethnomedicinal uses, dermatological studies and cosmetic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16

Effective date: 2008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