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282A -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282A
KR20070072282A KR1020050136348A KR20050136348A KR20070072282A KR 20070072282 A KR20070072282 A KR 20070072282A KR 1020050136348 A KR1020050136348 A KR 1020050136348A KR 20050136348 A KR20050136348 A KR 20050136348A KR 20070072282 A KR20070072282 A KR 2007007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water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륜
안정길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5013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2282A/ko
Publication of KR2007007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자동차 보수용 중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분자량이 14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우레탄디스퍼전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분자량이 500 내지 4,000인 아크릴 폴리올수지 1 내지 20 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20 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로서 우수한 작업성, 외관, 수용성 상도에 우수한 부착성 및 내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A PAINT COMPOSITION FOR REPAIRING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보수용 중도 도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기용제를 배제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이고, 수용성 상도에 대해 우수한 부착성 및 내수성을 나타내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중도 도장에는 휘발성 혼합 유기 용제의 증발속도 조절이 용이하고, 도장 작업성이 양호하며, 수지 용해력과 상용성이 양호한 유용성 중도 도료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유용성 중도 도료는 도장 및 소부경화 후 우수한 광택과 외관 품질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도료 조성물 중 40% 이상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므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도장시 발생하는 유기용제 및 유해 중금속의 사용은 정책적으로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자동차 도 료의 기술 흐름은 수계화가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도료 건조 및 경화 과정에 필요한 공정을 단축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공정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며, 우리나라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성 중도 도료의 기본 물성을 유지하며, 수용성 상도에 대해 우수한 부착성, 내수성, 작업성을 제공하는 수용성 중도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자량이 14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우레탄디스퍼전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분자량이 500 내지 4,000인 아크릴 폴리올수지 1 내지 20 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20 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는 도료 조성물에 빠른 건조성 및 바람직한 경도를 제공하므로 도장 후 후속작업인 샌딩공정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는 알리파틱계의 유백색을 띠며 부착성과 샌딩성, 건조성에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수지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디스퍼젼 수지는 폴리올,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음이온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를 중합시켜 폴리우레탄 수지를 형성하고, 폴리우레탄 내부의 음이온 관능기를 적절한 염기로 중화한 후 물에 수분산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는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이러한 일반적인 제조방법의 일 실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폴리올로부터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폴리올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또는 폴리 카프로락톤 폴리올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헥사 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트, 4,4'-디사이클로 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에 음이온 관능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은 적어도 2개의 수산기 및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기를 가진 화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가 좋은 수분 저항성과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디메틸올 프로피오닉 애시드(DMPA)나 디메틸올 부타노익 애시드(DMBA)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는 글리콜과 산을 중합하여 만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며 산은 아디픽산 및 이소프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테트라메틸 자이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음이온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각각 10 내지 40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및 5 내지 20 중량부 사용된다. 폴리올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합성이 불안정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이 견고하지 않다. 이소시아네이트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이 견고하지 않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성이 불안정하다. 음이온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분산성이 불안하고, 20 중 량부를 초과하면 내수성이 취약하다.
폴리올,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음이온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3차 아민을 이용하여 중화시킨다. 바람직한 3차 아민은 트리에틸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내부의 음이온 관능기의 중화도는 40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다. 40% 미만이면 수분산이 불안하고, 80%를 초과하면 도막의 내수성이 취약하다. 중화된 폴리우레탄 수지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산시킨다. 수분산은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40℃ 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디스퍼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40,000~1,0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00~700,000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40,000 미만이면 부착성 및 내수성이 저하되고, 1,000,000을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진다. 또한,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의 함량은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20 ~ 4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5 ~ 35 중량부이다.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도장 후 부착성 및 내수성이 나빠지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샌딩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의 고형분은 20~4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이다. 고형분이 20 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낮아지고 피도체에 실제 도포량이 줄어들게 되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작업성이 떨어진다.
도료 조성물에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만을 사용할 경우 도막의 경도 및 부착성은 향상되나 내수성이 약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료 조성물의 내수성을 보완하기 위해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쇄연장제와 반응시킨 뒤, 개시제, 아크릴 모노머와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는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이러한 일반적인 제조방법의 일 실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쇄연장제는 최소한 두개 이상의 반응기를 가지는 1가 또는 2가 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 디아민, 하이드라진,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헥사 메틸렌 디아민을 포함한다. 쇄연장제의 첨가량은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비를 기준으로 60 내지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이다. 쇄연장제의 첨가량이 6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 반응이 합성이 이루어지지 안으며, 90%를 초과하면 후속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쇄연장시 반응은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에서 진행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시제는 반응 온도가 60℃ 내지 80℃에서 사용될 수 있다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용성 또는 유용성 개시제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개시제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benzoyl peroxide) 또는 AIBN (2,2-azo bis-iso butyronitril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모노머는 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지를 중합하는데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개시제, 아크릴 모노머는 각각 20 내지 60 중량부, 0.5 내지 4.0 중량부 및 20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양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합성이 불안정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수성이 저하된다. 개시제의 양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합성이 불안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물성이 저하된다. 아크릴 모노머의 양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물성이 저하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성이 불안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0 ~ 80,000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내수성 등의 물성이 취약해지고, 100,000을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진다. 또한,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함량은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10 ~ 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부이다.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도장 후 내수성이 나빠지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샌딩 페이퍼에 로딩(loading) 현상이 발생하여 샌딩성 및 부착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고형분은 20~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이다. 고형분이 20 중량% 미만이면 내수성 등의 물성이 취약해지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된다.
도료 조성물에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와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만을 사용할 경우 도막의 완전경화가 이뤄지지 않아 물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의 경화도를 보완하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을 하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이러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글리콜과 산을 중합하여 만든다. 이때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며 산은 아디픽산, 이소프탈산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 4,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600~3,000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내수성 등의 물성이 취약해지며, 4,000을 초과하면 유동성이 나빠진다. 또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 은 조성물 중에 1 ~ 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15 중량부이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물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 또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는 1~5 %OH이고, 바람직하게는 2 ~ 4 %OH 이다. 수산기가가 1 %OH 미만이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결합이 약해져서 물성이 취약해지고, 5 %OH을 초과하면 가사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은 30~6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40~55 중량%이다. 고형분이 30 중량% 미만이면 물성을 나타내기 위해 많은 양이 필요하게 되며, 60 중량%을 초과하면 유동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화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비황변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바람직하게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다. 경화제의 함량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1~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15 중량부이다. 1 중량부 보다 적으면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물성이 취약해지고, 20 중량부 보다 많으면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물과의 반응으로 인한 기포발생 등 도막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도막 연마시의 기계적-물리적 성질 및 피막 은폐를 보완하기 위해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료의 양은 1 내지 45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이다. 안료의 양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은폐력이 떨어지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부착성이 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는 체질안료, 방청안료 및 색상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체질안료는 연마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탈크(Talc) 및 카올린(Kaolin) 을 포함할 수 있다. 방청안료는 부식방지를 위해 사용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징크포스페이트(Zinc Phosp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안료는 피막 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카본블랙(Carbon Black) 및 티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체질안료의 함량은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1 ~ 20 중량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5 ~ 18 중량부 포함된다. 1 중량부 미만이면 샌딩성이 나빠지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결집력이 약해진다. 방청안료의 함량은 조성물 중에 1 ~ 15 중량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부 포함된다. 1 중량부 미만이면 방청성을 나타내기 힘들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연마가 잘 되지 않는다. 색상안료의 함량은 조성물 중에 1 ~ 15 중량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부 포함된다. 1 중량부 미만이면 은폐가 잘 되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샌딩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임의로 공지의 분산제, 침강방지제, 레벨링제 및 소포제 등의 도료용 첨가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료친화성을 갖는 관능기를 함유한 공중합체 수용액 또는 안료친화성이 높은 관능기를 함유한 유기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용액 등의 분산제; 알칼리에 작용하는 아크릴레이트(Alkali Swellable Acrylate), 소수성으로 수정된 에톡시화된 폴리우레탄(Hydrophobically Modified Ethoxylated Polyurethane) 등의 침강방지제; 폴리에테 르 실록산 공중합체 (Polyether Siloxane Copolymer type) 또는 수용성 양이온 에스테르(Anionic water soluble ester type) 등의 레벨링제; 또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계 또는 유기 고분자 계 등을 포함하는 소포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의미로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산제 5g을 사용하여 탈이온수 13.5g에 체질안료 15g, 방청안료 10g 및 색상안료 5g를 분산시켰다. 분산액에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중량평균분자량: 500,000, 고형분: 32%(wt)) 25g,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중량평균분자량: 50,000, 고형분: 35%(wt)) 15g, 아크릴 폴리올 수지(중량평균분자량: 1144, 수산기가: 3.3%OH, 고형분: 45%(wt)) 10g을 투입한 후 1000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첨가제 및 증점제를 투입하여 제1조성물(주제)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형 5g과 PM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5g을 투입하여 제2조성물(경화제)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조성물(주제)과 제 2조성물(경화제)을 10:1의 부피비로 혼합시켜서 목적하는 중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분산제를 사용하여 탈이온수 13.5g에 체질안료 15g, 방청안료 10g 및 색상안료 5g를 분산시켰다. 분산액에 폴리우레탄 디스퍼전 수지(중량평균분자량: 500,000, 고형분: 32%(wt)) 55g을 투입한 후 1000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첨가제 및 증점제를 투입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분산제를 사용하여 탈이온수 13.5g에 체질안료 15g, 방청안료 10g 및 색상안료 5g를 분산시켰다. 분산액에 아크릴 폴리올 수지(분자량 :968, 수산기가 : 3.9%OH, 고형분: 45중량%) 35g을 투입한 후 1000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첨가제 및 증점제를 투입하여 제 1조성물(주제)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형 10g과 탈이온수 10g을 투입하여 제 2조성물(경화제)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조성물(주제)과 제 2조성물(경화제)을 5:1의 부피비로 혼합시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도료 조성물에 피도체에 상에 60~90㎛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장후 VOC 함량, 내용제성, 연필경도, 도막외관, 부착성, 내수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 및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1) VOC 함량: "ASTM D3960-97"의 측정법에 따라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VOC 함량(g/L)={도료비중*(100-NV-물wt%)*10}/{(100+희석비)/100}
2) 연마성 : 피막조성물을 도장하고 완전 건조시킨 후 연마하여 연마지에 연마가루가 끼이는 정도 및 연마시 도막이 밀리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3) 건조성: 60℃ 오븐에서 도막이 건조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4) 도막외관 :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도막에 오렌지 필(orage feel)경향 없을 것, 핀-홀 없을 것)
양호: 오렌지 필 및 핀-홀이 관찰되지 않음
중간: 오렌지 필 또는 핀-홀이 관찰됨
불량: 오렌지 필 및 핀-홀이 관찰됨
5) 부착성 : “ASTM D3359-02”방법에 의거하여 2mm씩 바둑판 눈금 10×10을 그어서 투명테이프 압착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양호: 10×10개의 테이프가 모두 양호함
중간: 테이프가 2~4개 떨어짐.
불량: 테이프가 4개 이상 떨어짐.
6) 내수성 : 40℃로 수조에서 10일 경과 후 도막의 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양호: 블리스터(blister) 및 오렌지 필이 관찰되지 않음
중간: 블리스터 또는 오렌지 필이 관찰됨
불량: 블리스터 및 오렌지 필이 관찰됨
Figure 112005078701697-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중도 도료 조성물은 우수한 작업성, 외관, 수용성 상도에 우수한 부착성 및 내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분자량이 14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우레탄디스퍼전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아크릴릭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분자량이 500 내지 4,000인 아크릴 폴리올수지 1 내지 20 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20 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4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보수용 수용성 중도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 고형분 기준으로 1 내지 5 %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수용 수용성 중도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수용 수용성 중도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디스퍼전수지의 고형분이 20 내지 40 중량%이 고, 아크릴 폴리우레탄 수분산수지의 고형분이 20 내지 50 중량%이며, 아크릴 폴리올수지의 고형분이 3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수용 수용성 중도 도료 조성물.
KR1020050136348A 2005-12-31 2005-12-31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KR20070072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348A KR20070072282A (ko) 2005-12-31 2005-12-31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348A KR20070072282A (ko) 2005-12-31 2005-12-31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282A true KR20070072282A (ko) 2007-07-04

Family

ID=3850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348A KR20070072282A (ko) 2005-12-31 2005-12-31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228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19B1 (ko) * 2007-09-14 2014-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KR20160119361A (ko) * 2015-04-03 2016-10-13 (주)엘지하우시스 표면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시트
KR20180048012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케이씨씨 난연성 도료 조성물
KR20180056839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CN110183951A (zh) * 2019-05-29 2019-08-30 张家港市天源制漆涂装有限公司 一种水性丙烯酸聚氨酯面漆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19B1 (ko) * 2007-09-14 2014-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 조성물
KR20160119361A (ko) * 2015-04-03 2016-10-13 (주)엘지하우시스 표면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시트
KR20180048012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케이씨씨 난연성 도료 조성물
KR20180056839A (ko) * 2016-11-21 2018-05-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CN110183951A (zh) * 2019-05-29 2019-08-30 张家港市天源制漆涂装有限公司 一种水性丙烯酸聚氨酯面漆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6665B (zh) 水性涂料组合物
JP5601760B2 (ja) 水性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塗装方法
CN101675132B (zh) 基于氨基甲酸酯的水基双层涂料体系,其用途和用其涂覆的基材
TWI531587B (zh) 輻射硬化性組成物
JP424606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水性塗料組成物、塗装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RU268690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красочной системы на пластмассовых основах
CA2839503C (en) Aqueous binder compositions
WO2012108492A1 (ja) 水性ポリウレタン樹脂分散体及びその使用
JP6037506B2 (ja) 多成分系の水性塗料組成物
WO2019005284A1 (en) AQUEOUS DISPERSIONS, COATING COMPOSITIONS FORMED FROM AQUEOUS DISPERSIONS, AND MULTI-LAYER COATINGS
WO2013191104A1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方法
CN112080197B (zh) 干燥之后具有柔软触感的水性涂料组合物
KR20070072282A (ko)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WO2017082363A1 (ja) 水性塗料組成物
JP6399548B2 (ja) 水性着色ベース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塗装方法
EP2410000A1 (en) Aqueous binder compositions
CN106010042B (zh) 水性着色基础涂料组合物
JP2005200497A (ja) 水性硬化性組成物、前記水性硬化性組成物を含む塗料及び接着剤
CN102690592A (zh) 水性涂料组合物
CN104910789A (zh) 水性着色基础涂料组合物以及使用其的修补涂装方法
KR101031307B1 (ko) 나노 아크릴 혼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04315A (ja) 水性アクリル変性ウレタン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70429B1 (ko) 아크릴-우레탄-아크릴블록공중합체수분산수지의제조방법및이를함유한수용성도료조성물
KR970001538B1 (ko) 수분산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CN116426181B (zh) 水性涂料组合物及由其形成的漆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