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985A -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985A
KR20070070985A KR1020050134075A KR20050134075A KR20070070985A KR 20070070985 A KR20070070985 A KR 20070070985A KR 1020050134075 A KR1020050134075 A KR 1020050134075A KR 20050134075 A KR20050134075 A KR 20050134075A KR 20070070985 A KR20070070985 A KR 20070070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terilization
composition
formula
fungic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욱
유정수
신정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0985A/ko
Publication of KR2007007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01N4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containing —N=CX2 groups, e.g. isothiourea
    • A01N47/44Guanid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과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을 포함하여 살균 효과 및 속효성이 우수하고 지속력이 향상되어 소독용품 및 화장품을 비롯하여 각종 수처리 장치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박테리아, 곰팡이 및 조류의 살균을 가능케 하는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균제,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염,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 방부제, 살균력, 살균 지속성, 세균, 곰팡이

Description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STERILIZATION COMPOSI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 11, 실시예 12 및 비교예 2의 살균제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 효과 및 속효성이 우수하고 지속력이 향상되어 소독용품 및 화장품을 비롯하여 각종 수처리 장치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박테리아, 곰팡이 및 조류의 살균을 가능케 하는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공장, 냉각수, 폐수, 섬유산업에서 사용되는 유제 등의 산업용수에는 미생물, 세균, 곰팡이, 조류 등이 생장하여 산업 공정의 효율적 운전을 저해하고 있다. 이중 미생물은 산업용수에 함유되어있는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증식하고, 다당류 (Polysaccharides)를 분비하며, 이와 같이 분비된 다당류에 다양한 유,무기물들이 결합되어 슬라임이라는 점성의 덩어리가 생성된다.
특히 제지공정의 경우 백수 중에 존재하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및 섬유소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들이 미생물의 풍부한 영양원이 되어 유체의 흐름이 약해지는 부분에 슬라임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임의 형성은 펄프품질의 저하, 지절 등으로 인한 제조시간의 손실 및 장치의 능률저하 등 직,간접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산업용 냉각탑의 경우, 냉각수 설비와 같이 물이 많이 모이거나, 물이 재순환되는 곳에서 미생물이 활발히 생장하면서, 파울링 (Fouling)현상을 야기한다. 또한, 열전달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금속을 부식시키거나, 목재부의 침식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균은 단세포성 원핵생물로서 여러 종류의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증식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다당류를 외부로 분비하여 생물막(Biofilm)을 형성하여 생물학적 부식 (Microbiologically Induced Corrosion)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곰팡이는 진핵생물로, 세균과 유사하게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증식할 수 있으며, 이중 셀룰라아제(Cellulase)를 분비하는 종류들은 냉각탑 등의 목재부분의 섬유질을 분해함으로써 목재부를 변색시키고 부패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다른 진핵생물인 조류(Algae)는 빛, 공기 및 소량의 무기물 환경 하에서도 광합성을 통해 증식한다. 조류에서 생성된 탄수화물은 세균, 곰팡이와 같은 다른 미생물들의 영양원으로 이용되어 파울링 현상을 가속화시킨다. 특히 냉각수 설비, 수영장 등 태양에 노출된 부위에서는 조류(Algae)의 증식으로 인한 파울링 (Algal Fouling)현상이 심화되어, 수관을 메우는 현상(Clogging)을 유발하고, 열 전달 효율을 저하시킨다. 그뿐만 아니라, 산소를 발생시켜 금속표면을 산화시키 고, 사멸시 국부적 전지작용을 통해 금속의 구멍부위에서 부식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미생물, 곰팡이, 조류 등을 죽이거나, 금속 등에의 표면 부착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살균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살균제는 일반적으로 산화성 살균제와 비산화성 살균제로 구분된다.
산화성 살균제로는 주로 염소, 브롬 등과 같은 할로겐화합물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산화력이 강하고 저가이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화성 살균제는 냉각탑의 목재부 침식 및 금속부식을 유발하고, 대기중으로 쉽게 방출 되면서 살균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더불어 비특이적으로 반응함에 따라 생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원인이 되는 미생물과 반응하기 전에 이들이 분비한 다당류(Polysaccharides)와 먼저 반응하여, 실질적인 살균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한 비산화성 살균제로는 3-이소티아졸론, 4급 암모늄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방출 화합물, 글루타르 알데히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단독으로 사용된다.
상기 4급 암모늄화합물계는 소독성분으로 염화벤잘코늄, 메틸도데실 벤질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메틸도데실크실렌 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데실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화합물(역성비누 또는 양성(陽性)비누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이들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원충, 조류 등 광범위한 소독력을 갖고 있으나,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 온, 철 이온 등이 존재하는 경수에서는 살균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 4급 암모늄화합물계는 유기물에 침투효과가 미약하여 유기물이나 단백질 존재시 소독효과가 저하되고 이미 생성된 암모니아가스나 황화수소가스 등의 악취제거 효과가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부식성 물질인 불소, 염소등의 할로겐 화합물을 방출하므로 탄소강, 주철, 스테인레스강, 구리등의 부식성 금속이 사용되는 곳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살균제에 속효성을 부여하기 위해 4급 암모늄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거품성 등의 문제가 야기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인산염은 속효성을 지니며 수처리 분야 및 소독제 등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미생물의 보다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제어에 사용되고 거품성이 적은 반면, 자체로서 항균 스펙트럼이 넓지 않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속효성을 지녀 각종 세균 및 곰팡이의 발생 및 증식을 억제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알킬렌 구아니딘염; 및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
을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3 내지 C17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렌기이고,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렌기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는 N, O 또는 S 원자로 치환되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젖산, 사과산, 구연산, 호박산, 옥살산, 주석산, 개미산, 글리콜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고,
n/m이 0.1 내지 100이다.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Y는 Br, Cl, F 및 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할로겐 원소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균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조류에 의해서 오염되는 영역에 상기 살균제 조성물을 투입하여 상기 박테리아, 곰팡 이, 또는 조류를 사멸시키거나, 생장을 억제하는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구아니딘염과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을 일정비로 함유하여, 각 화합물의 살균 특성과 더불어 혼합에 의한 상승작용을 가지고 속효성을 지녀 각종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조류에 대한 항균 스펙트럼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된다.
상기 폴리알킬렌 구아니딘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3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R1은 C3 내지 C17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렌기이고,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렌기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는 N, O 또는 S 원자로 치환되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젖산, 사과산, 구연산, 호박산, 옥살산, 주석산, 개미산, 글리콜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고,
n/m이 0.1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R1은 헥사메틸디아민, 도데카디아민,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폴리옥시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이때 X는 인산, 염산, 글루콘산 및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알킬렌 구아니딘염은 살균 조성물로 중금속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을 함유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지닌 저독성의 살균제로 피부 자극이 없고, 속효성을 지닌다. 이에, 수처리 분야, 소독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미생물의 보다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제어에 효과적인 살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그 살균력도 우수하고, 거품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항균 스펙트럼이 넓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단점을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을 일정 함량 첨가함으로써 해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인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Y는 Br, Cl, F 및 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할로겐 원소이고, 바람직하기론 Cl이다.
상기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은 다양한 미생물, 박테리아 및 조류에 대해 항 균효과를 가지며, 순간 살균력 및 속효성이 적고 거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나, 이러한 단점은 전술한 바의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을 사용함으로써 보완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염 및 상기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의 혼합비는 100:1 내지 300:1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0:1의 범위를 갖도록 한다. 만약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 및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두 살균제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가 저하되거나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 및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의 혼합물을 살균제 조성물로 사용하면, 상기 폴리알킬렌 구아니딘염이 곰팡이에 대한 살균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을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이 보완하고, 상기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이 속효성, 세균, 및 슬라임에 대한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을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이 보완할 뿐만 아니라, 혼합 살균제의 살균작용은 각각의 화합물이 가지는 살균작용의 합보다 커지는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살균 기작이 다른 2 종류의 화합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광범위하게 미생물을 억제할 수 있고,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내성 균주의 출현빈도를 낮춰주는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분말, 과립, 에멀젼, 콜로이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살균제 유효 성분은 벤질 알콜(Benzyl alcohol), 2,4-디클로로벤 질 알콜(2,4-Dichlorobenzyl alcohol), 2-페녹시에탄올(2-phenoxyethanol), 2-페녹시에탄올 헤미포르말(2-phenoxyethanol hemiformal), 페닐에틸 알콜(Phenylethyl alcohol), 5-브로모-5-니트로-1,3-다이옥산(5-Bromo-5-nitro-1,3-dioxane), 디메틸올디메틸히단토인(Dimethyloldimethylhydantoin), 글리옥살(Glyoxal), 글루타르디알데히드(Glutardialdehyde), 소르빅산(Sorbic acid), 벤조익산(Benzo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p-하이드록시벤조익 에스테르(p-Hydroxybenzoic acid), 클로로아세트아미드(Chloroacetamide), N-메틸올클로로아세트아미드(N-Methylolchloroacetamide), p-클로로-m-크레졸(p-chloro-m-cresol), N-메틸올우레아(N-Methylolurea), N,N'-디메틸올우레아(N,N'-Dimethylolurea), 벤질 포르말(Benzyl formal), 4,4-디메틸-1,3-옥사졸리딘(4,4-Dimethyl-1,3-oxazolidine), 1,3,5-헥사하이드로트리아진(1,3,5-Hexahydrotriazine) 유도체, N-알킬-N,N-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N-alkyl-N,N-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와 디-n-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i-n-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와 같은 4기로 된 암모늄 화합물,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디구아니딘(Diguanidine), 클로로헥시딘(chlorohexidine),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1,2-Dibromo-2,4-dicyanobutane), 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3,5-Dichloro-4-hydroxybenzaldehyde), 에틸렌 글리콜 헤미포르말(Ethylene glycol hemiformal), 테트라(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늄(Tetra(hydroxymethyl)phosphonium) 염, 디클로로펜(Dichlorophene),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3-요오드-2-프로피닐-N-부틸카바메이트(3-Iodo- 2-propynyl-N-butylcarbamate), 메틸 N-벤지미다졸-2-일카바메이트(Methyl N-benzimidazol-2-ylcarbamate), 2-n-옥틸이소티아졸린-3-온(2-n-Octylisothiazolin-3-one), 4,5-디클로로-2-n-옥틸이소티아졸린-3-온(4,5-Dichloro-2-n-octylisothiazolin-3-one), 4,5-트리메틸렌-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4,5-Trimethylene-2-methylisothiazolin-3-one), 디-N-메틸-2,2'-디티오디벤즈아미드(Di-N-methyl-2,2'-dithiodibenzamide), 2-티오시아노메틸티오벤조티아졸(2-Thiocyanomethylthiobenzothiazole), 2-하이드록시메틸-2-니트로-1,3-프로판디올(2-hydroxymethyl-2-nitro-1,3-propanediol)과 같은 C-포르말,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Methylene bisthiocyanate), 포름알데히드와 알란토인(allantoin)의 반응물을 포함한다. 첨가제로는 증점제(thickener), 거품 억제제(antifoam), pH 조절제 (pH regulator)와 안정제(stabilizer), 방향제(perfume), 분산제(dispersant), 착색 물질과 예를 들어 착화제와 같은 변색 방지용, 유효성분의 분해 방지용의 안정제들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과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과 더불어 전술한 바의 각종 첨가 성분을 더욱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혼합기에 용매에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과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용매에 분산시켜 분말 및 과립과 같은 고상, 또는 에멀젼 및 서스펜젼과 같은 액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때 살균제 조성물 내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과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 각각은 전체 살균제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극성 용매 및 무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가 가능하다. 상기 극성 용매로는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하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알킬렌 글리콜; 부틸 글리콜 및 부틸 디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에테르; 부틸 디글리콜아세테이트 및 2,2,4-트리메틸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2,2,4-trimethylpentanediol monoisobutyrate)를 포함하는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 글리콜;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상기 무극성 용매는 자이렌, 톨루엔과 알킬벤졸 (alkylbenzol)과 같은 방향족 물질들과 파라핀, 프탈레이트(phthalate)와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무극성 에스테르들, 에폭시화 지방산들과 그 유도체들,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독성이 낮아 피부 자극이 없고, 속효성을 지녀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조류에 의해서 오염되는 영역에 투입하여 상기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조류를 사멸시키거나, 생장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아킬렌구아니딘염과 디데실 디메 틸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엔테로박터 에어로겐스(Enterobacter aerogens ATCC 13048),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11229),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ATCC 9341),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ATCC 1560),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s ATCC 15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바실러스 섭틸러스(Bacillus subtilis ATCC 6984)의 세균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 ATCC9642)와 같은 곰팡이에 대해 살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각을 사용한 것에 비해 혼합 사용함으로써 적은 양을 사용하고도 높은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각종 세균,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 등이 서식 또는 성장하는 영역에 처리하여 우수한 살균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박테리아, 섬질(纖質,filamentous) 균류, 이스트와 조류 등에 의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paint), 초벌칠(rendering), 리그노술포네이트(lignosulfonate), 초크 서스펜젼(chalk suspension), 접착제, 광화학 물질(photochemicals), 카세인 함유 생성물, 전분 함유 생성물, 역청(bitumen) 에멀젼, 계면활성제 용액, 연료, 세제, 화장용 생산품, 산업 공정의 냉각수, 고분자 디스퍼젼, 냉각 윤활제, 펄프 또는 제지공장의 냉각탑, 소독용 살균제, 페인트, 라텍스용 방부제, 샴푸 등 에멀젼 제품의 첨가제, 슬라임 콘트롤제, 피혁제품용 방부제 및 금속 가공유용 방부제, 섬유제직용 낙호방지제, 및 제지와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미생물의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보호되어야 할 물질 전체에 근거해 일반적으로 전체 농도가 50 내지 1,000pp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800ppm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실제로 사용되는 때에는, 살균제 조성물은 미리 조합해 놓은 상태(ready mix)로서 또는 살균제와 조성물의 선택적인 나머지 성분들을 각각 따로 보호되어야 하는 물질에 첨가함으로써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 세균에 대한 살균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의 엔테로박터 에어로겐스(Enterobacter aerogens ATCC 13048),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11229),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ATCC 9341),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ATCC 1560),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s ATCC 15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바실러스 섭틸러스(Bacillus subtilis ATCC 6984)의 8 종의 세균에 대한 살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반응기에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이하 'DDAC'라 한다.)과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인산염 (Polyhexamethyleneguanidine phosphate, 이하 'PHMG'라 한다. SKYBIO 1100TM, 에스케이케미칼사 제품)을 혼합하여 살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살균제 조성물을 Difco사의 트립틱 소이브로스 (Tryptic Soy Broth)를 사용하여 2배 계열회석법 (Two fold dilution method)에 따라 희석한 후 살균제 및 혼합 균주가 첨가된 배양액을 30 ℃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생육을 저해하는 가장 낮은 농도의 혼탁도를 육안 관찰하는 방법으로 최소 생육 억제 농도(MIC)로 측정한 다음, 살균제의 상승작용 효과를 계산하였다.
살균제의 상승작용은 Kull, F.C. et al.의 논문(Appl . Microbiol . 9:538∼544(1961))에 발표된 방법에 따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된 비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Qa/QA와 Qb/QB의 합이 1 보다 작은 경우 상승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5
상기 수학식 1에서,
Qa는 PHMG+DDAC 혼합 조성 중 PHMG의 MIC 값(ppm)이고,
Qb는 PHMG+DDAC 혼합 조성 중 의 MIC 값(ppm)이고,
QA는 유일성분 살균제로서의 PHMG 단독의 MIC 값(ppm)이고,
QB는 유일성분 살균제로서의 DDAC 단독의 MIC 값(ppm)이다.
MIC(ppm) PHMG: DDAC 중량비 SI
Qa(PHMG) Qb(DDAC)
실시예 1 78 2 39:1 0.63
실시예 2 78 5 15:1 0.83
실시예 3 39 5 8:1 0.58
실시예 4 20 5 4:1 0.46
실시예 5 10 5 2:1 0.40
QA: 156 ppm (MIC) QB: 15 ppm (MIC)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1 나타낸 바와 같이, DDAC를 약 1/2만 사용하고, PHMG의 사용량을 1/2까지 줄이더라도 동일한 미생물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두 가지 화합물을 혼합하면, 두 가지 물질을 단독으로 각각 사용할 때 보다 세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PHMG와 DDAC의 상승 효과는 세균혼합액에 대해 2:1의 중량비로 처리될 때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내지 9: 곰팡이에 대한 방부 효과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의 곰팡이에 대한 방부 상승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브로스(Potato Esxtrose Broth: Difco사)를 사용하여 곰팡이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 ATCC9642)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고,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상승 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MIC(ppm) PHMG: DDAC 중량비 SI
Qa Qb
실시예 6 313 78 4:1 1.0
실시 7 126 78 2:1 0.75
실시예 8 78 78 1:1 0.62
실시예 9 39 78 1:2 0.5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9에서 DDAC를 PHMG의 함량에 대해 1/2만 사용하고,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인산염의 사용량을 1/16까지 줄이더라도 동일한 미생물 사멸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PHMG와 DDAC 두 가지 화합물을 혼합하게 되면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곰팡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PHMG와 DDAC와 상승 효과는 세균혼합액에 대해 각 화합물을 1:1 내지 4:1의 중량범위로 혼합 사용하는 경우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및 비교예 1-2
PHMG와 DDAC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살균 조성물을 쿨링 타워 공정수 및 4종 개별 균주(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Micrococcus leteus ATCC9341, Aspergillus niger ATCC 9642)에 처리하여 각각에 대한 살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MIC 시험은 24 멀티 웰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살균제를 2배 연속 희석법에 따라 희석한 후, 104 CFU/㎖의 농도로 미생물을 접종한 후 30℃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미생물의 생장 여부를 탁도를 기준으로 육안 판정하는 방법으로 MIC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배지는 디프코사의 트립틱 소이 브로스 (Tryptic Soy Broth, Difco Co.)를 사용하여 탁도를 관찰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아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0의 살균제 조성물은 PHMG와 DDAC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비교예 1에는 DDAC 단독을, 비교예 2는 Vantocil IB: DDAC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물에 30 중량%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Microorganism MIC (ppm)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0
마이크로코코스 레투스(Micrococcus leteus) 15 4.9 4.9
스태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15 9.7 9.7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 156 156 78
Cooling tower water 156 78 78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가지 미생물에 대해서 비교예 1에서와 같이 DDAC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실시예 10과 같은 혼합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제어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품인 DDAC와 Vantocil IB 성분이 1:1 비율 (DDAC+Vanticil IB)로 혼합된 살균 조성물과 비교하여 곰팡이에 대해서는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살균제 혼합물 및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용액에 대해 미생물을 사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Killing Time), 속효성 및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미생물의 농도가 약 104 CFU/㎖인 중합 냉각탑의 냉각수에 실시예 10의 혼합물을 각각 500 ppm(실시예 11)과 1,000 ppm(실시예 12) 그리고 비교예 2의 살균제 혼합물을 1,000 ppm(비교예 3) 투입하여 70시간까지 미생물의 활성을 관찰해 보았다. 이때 살균제가 첨가되지 않은 용액을 블랭크(Blank)로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시간에 따른 미생물의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예 3의 살균제 혼합물은 62시간 후부터 미생물 활성이 나타나 살균효과의 지속성이 62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및 12의 살균제 조성물은 투입 15시간 후 미생물 활성이 블랭크와 비교하여 1/2 정도의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70 시간까지 계속해서 살균지속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과 2-에틸이소티아졸린-3-온을 각각 사용할 때 보다 혼합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MIC와 비교하여 적은 양으로 처리하여도 우수한 살균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독성이 낮아 피부 자극이 없고, 속효성을 지녀 피부에 접촉하는 소독 용품 및 화장 용품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 및 곰팡이가 증식하는 수처리 장치 내부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알킬렌 구아니딘염; 및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3 내지 C17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렌기이고,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알킬렌기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는 N, O 또는 S 원자로 치환되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HCl, HBr, HI, HNO3, 탄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탈수소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소르빈산, 푸마린산, 말레인산, 젖산, 사과산, 구연산, 호박산, 옥살산, 주석산, 개미산, 글리콜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고,
    n/m이 0.1 내지 100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78027788-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Y는 Br, Cl, F 및 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할로겐 원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헥사메틸디아민, 도데카디아민,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및 폴리옥시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는 인산, 염산, 글루콘산 및 구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Y는 Cl인 것인 살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폴리알킬렌구아니딘염:디데실 디메틸 암모늄염이 1:100 내지 10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살균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엔테로박터 에어로겐스(Enterobacter aerog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슈도모나스 에어루 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섭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lus niger)를 포함하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를 가지는 살균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을 분말 또는 과립의 고상으로 적용하거나, 용매에 분산시킨 에멀젼 또는 서스펜젼의 액상 형태로 사용하는 미생물의 살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조성물을 1 내지 100,000 ppm의 농도로 사용하는 살균방법.
KR1020050134075A 2005-12-29 2005-12-29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20070070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075A KR20070070985A (ko) 2005-12-29 2005-12-29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075A KR20070070985A (ko) 2005-12-29 2005-12-29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985A true KR20070070985A (ko) 2007-07-04

Family

ID=3850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075A KR20070070985A (ko) 2005-12-29 2005-12-29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09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4786A (zh) * 2022-12-26 2023-03-28 广东迪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基于发酵的植物去屑止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4786A (zh) * 2022-12-26 2023-03-28 广东迪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基于发酵的植物去屑止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7766A1 (en) Synergistic, Silver-Containing Biocide Composition
EP0593250A1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bination of polyether phosphonates and non-oxidizing biocides
KR100325124B1 (ko)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KR101253259B1 (ko)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JPS5950642B2 (ja) 工業用殺菌剤
EP1056340B1 (en) Potentiation of biocide activity using a diethanolamide
KR101095395B1 (ko) 살균 상승작용을 지닌 저독성 방부조성물
KR20070070985A (ko)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0573962B1 (ko) 살균 상승효과를 갖는 살균 조성물
EP0651608B1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2-(2-bromo-2-nitroethenyl)furan
KR100315439B1 (ko) 4급암모늄인산염 및 3-이소티아졸론을 포함하는 상승작용을 지닌 수용성 살균조성물
CN105050407A (zh) 一氯代脲和改性一氯代脲的协同组合
KR100283139B1 (ko) 3-이소티아졸론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살균 조성물
KR20070070983A (ko)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100383098B1 (ko) 이소티아졸론 용액의 침전형성 방지방법 및 그 조성물
JPH02250805A (ja) 工業用殺菌剤
HUT60101A (en) 3-isothiazolone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hydrazine, as well a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application
KR20090053208A (ko)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KR101514733B1 (ko) 방부제용 조성물
US8309110B2 (en) Biocide composition and steril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73926B1 (ko) 가정용 살균소독제 조성물
KR20040038041A (ko) 살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KR20010063993A (ko) 제지공정용 슬라임콘트롤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슬라임콘트롤 방법
KR101209262B1 (ko) 메틸살리실레이트와 이소티아졸론을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JP2000053511A (ja) 工業用殺菌・防腐剤及びその殺菌・防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