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037A -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037A
KR20070070037A KR1020060070756A KR20060070756A KR20070070037A KR 20070070037 A KR20070070037 A KR 20070070037A KR 1020060070756 A KR1020060070756 A KR 1020060070756A KR 20060070756 A KR20060070756 A KR 20060070756A KR 20070070037 A KR20070070037 A KR 20070070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primer
cement mortar
finishing materia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6378B1 (ko
Inventor
이귀연
Original Assignee
이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귀연 filed Critical 이귀연
Publication of KR2007007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천장이나 벽면의 모서리 등에 설치하여 실내 장식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늬 및 형상이 전면에 표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와 밀착되는 부착면을 배면에 형성한 스티로폼; 상기 스티로폼의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하는 시멘트 몰탈; 및 상기 시멘트 몰탈의 외부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하는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티로폼의 표면에 시멘트 몰탈 및 프라이머를 보강함으로써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석재의 질감을 유지하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실내 장식, 마감재

Description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Molding member for interior desig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마감재 110: 스티로폼
120: 시멘트 몰탈 130: 프라이머
140: 페인트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장식을 위한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에 천장이나 벽면의 모서리 등에 설치하여 실내 장식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장식용 마감재는 건물의 천장의 모서리나 벽면의 모서리 등에 설치하여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실내 장식용 마감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상 천장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천장 마감재와,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바닥 마감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재들은 목재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길게 성형을 하여 상기 천장과 벽면 사이의 모서리에 설치하도록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전면에는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각종 무늬와 모양 등이 표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실내 장식용 마감재는 상기 모서리 또는 벽면에 마감재의 후면 즉 평평한 부착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못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내 장식용 마감재는 목재와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생산 비용을 유지할 수 있으나 화재 발생시 용이하게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마감재는 석재를 사용한 마감재에서 제공하는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석재를 이용한 마감재는 목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마감재보다 월등히 뛰어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마감재의 가공 및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재의 질감을 유지하고 가공 및 생산이 용이한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이나 바닥 또는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로서, 무늬 및 형상이 전면에 표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와 밀착되는 부착면을 배면에 형성한 스티로폼; 상기 스티로폼의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하는 시멘트 몰탈; 및 상기 시멘트 몰탈의 외부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는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층의 상부에 도포되어 마감재의 색상을 미려하게 하는 페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스티로폼의 전면에 무늬 및 형상이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스티로폼의 후면에 상기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와 프라이머 본딩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밀착된 상기 스티로폼의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시멘트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스티로폼의 표면에 도포된 상기 시멘트 몰탈의 건조 후 상기 스티로폼의 외부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가 건조된 마감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가 건조된 마감재나 상기 프라이머의 표면이 샌딩된 마감재의 표면에 페인트 도료를 도포하여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100)는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 등에 설치될 마감재(100)의 형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스티로폼(110)과, 이 스티로폼(110)의 표면에 도포되어 석재의 질감 표출 및 스티로폼(110)의 표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멘트 몰탈(120) 층과, 방수, 보강 및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130) 층을 포함한다.
스티로폼(110)은 마감재(100)의 무늬 및 형상을 결정하는 기초부재로서 가공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무늬가 표출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천장 또는 상기 천장과 이웃하는 벽면이 수직으로 절곡된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후면에 평평한 부착면이 적어도 한 면 이상 형 성되고, 전면에는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하기 위한 무늬 또는 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스티로폼(110)은 일반 단열시공에 사용되도록 폴리스티렌(Polystyrene)을 발포하여 제조한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료를 가열 압축하고 이것을 용융시킨 후 대기압에서 발포시켜 상온에서 숙성시킨 후 원하는 두께,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하는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압출법 발포 폴리스티렌은 일반적인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에 비해 알갱이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없고 가공이 용이하며 부착성이 좋은 것을 볼 수 있다.
시멘트 몰탈(120) 층은 강도가 약해 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스티로폼(110)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스티로폼(110)의 강성을 증가 시키고, 또한 마감재(100)의 표면에 석재의 질감이 표출되도록 한다.
또한, 시멘트 몰탈(120)은 백색 포트랜드 시멘트와 일반 시멘트를 물에 개어 조성하고, 스티로폼(110)의 표면에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1㎜ 이상의 두께로 도포한다. 시멘트 몰탈(120)은 필요에 따라 여러 번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멘트 몰탈(120)의 두께는 스티로폼(110)의 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또한, 시멘트 몰탈(120)은 스티로폼(110)의 불에 대한 내화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프라이머(130)는 시멘트 몰탈(120)의 외부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되고, 아크릴계 폴리머 프라이머를 사용함으로써 방수, 보강은 물론 자외선에 의한 손상이 없고, 마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100)는 스티로폼(110)의 표면에 시멘트 몰탈(120) 및 프라이머(130)를 도포하여 스티로폼(110)의 표면을 보강시킴과 동시에 마감재(100)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차이점은 프라이머(130)의 외부 표면에 도포되어 마감재(100)의 색상을 미려하게 하는 페인트(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페인트(140)의 색상은 마감재(100)가 설치된 실내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부여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제조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감재(100)의 무늬 및 형상이 전면에 표출되도록 하고 후면에 천장, 바닥 또는 벽면의 모서리와 밀착되도록 부착면을 스티로폼(110)에 형성하여 프라이머 본딩(100)하고, 이 스티로폼(110)의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시멘트 몰탈(120)을 도포(S110)한다.
상기 S110단계를 수행한 다음 스티로폼(110)의 표면에 도포된 시멘트 몰탈(120)은 상온에서 건조한 다음 스티로폼(110)의 외부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프라이머(130)를 도포(S120)한다.
상기 S110단계 및 S120단계에서 도포된 시멘트 몰탈(120) 및 프라이머(130)가 도포된 마감재를 상온에서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마감재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거친 경우 상기 마감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샌딩(sanding) 과정을 통해 마감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될 수 있도록 한다(S130).
상기 S120단계 또는 S130단계를 수행한 후 마감재(100)의 표면에는 실내 분위기가 더욱 미려하게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의 페인트 도료를 도포(S140)한다.
따라서 시멘트 몰탈 및 프라이머를 스티로폼의 표면에 보강시킴으로써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페인트 도료를 착색시킴으로써 더욱 미려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는 스티로폼의 표면에 시멘트 몰탈 및 프라이머를 보강함으로써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석재의 질감을 유지하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는 실내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출시킬 수 있어 미려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용 마감재는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칼이나, 톱 등으로 쉽게 재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건물의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로서,
    무늬 및 형상이 전면에 표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천장, 바닥 또는 벽면의 모서리와 밀착되는 부착면을 배면에 형성한 스티로폼;
    상기 스티로폼의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하는 시멘트 몰탈; 및
    상기 시멘트 몰탈의 외부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도포하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의 외부 표면에 도포되어 마감재의 색상을 미려하게 하는 페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
  3. 건물의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스티로폼의 전면에 무늬 및 형상이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스티로폼의 후면에 상기 천장 또는 벽면의 모서리와 프라이머 본딩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밀착된 상기 스티로폼의 표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시멘트 몰탈을 도포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도포된 상기 시멘트 몰탈의 건조 후 상기 스티로폼의 외부 표 면에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두께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및
    d) 단계 b 및 c에서 도포된 상기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건조된 마감재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샌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제조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가 건조된 마감재의 표면에 페인트 도료를 도포하여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마감재의 제조 방법.
KR1020060070756A 2005-12-28 2006-07-27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96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09 2005-12-28
KR20050131709 200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037A true KR20070070037A (ko) 2007-07-03
KR100796378B1 KR100796378B1 (ko) 2008-01-21

Family

ID=3850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756A KR100796378B1 (ko) 2005-12-28 2006-07-27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940B1 (ko) * 1998-03-19 2000-03-15 김재한 스티로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용스티로폴 외장벽재
KR100864240B1 (ko) * 2004-05-01 2008-10-17 (주) 거산코아트 조형물
KR20040053022A (ko) * 2004-05-29 2004-06-23 이영수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4429A (ko) * 2005-07-28 2007-02-01 김경수 건축내외장재용 이피에스몰딩체와 그 성형방법
KR100554008B1 (ko) 2005-09-09 2006-02-22 이재승 건축장식용 몰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78B1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1583A (zh) 复合地板产品及其制造方法
KR100752399B1 (ko)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US20100173128A1 (en) Coating or cladding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0796378B1 (ko) 실내 장식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69889B1 (ko) 건물 외부 장식용 몰딩
KR100851231B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내장패널
KR100348524B1 (ko) 투명내외장재
WO2005118241A3 (en) Building material for forming an architectural surface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S2275108T3 (es)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superficial de articulos de arcilla, ceramica o cemento.
JP4352051B2 (ja) 建築用装飾建材
KR100864240B1 (ko) 조형물
JPH0724403A (ja) 建築用化粧板の塗装方法
KR20070014429A (ko) 건축내외장재용 이피에스몰딩체와 그 성형방법
JP2007270605A (ja) 板状建材の施工方法
KR100972726B1 (ko) 건축마감재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45307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소품
GB2240561A (en) Ornamental or decorative coving member
CN2213058Y (zh) 竹木胶合竹面装饰板
KR102190967B1 (ko) 건축용 외장몰딩 구조체 및 제조방법
US7784241B1 (en) Architectural detailings
CN218881401U (zh) 一种基于水性微晶彩的基面涂装结构
CN204754040U (zh) 一种室内墙体装饰材料
US20090117326A1 (en) Multi-piece panels for siding system
KR200364409Y1 (ko) 건축용 판재
KR20070046046A (ko)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