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445A -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 Google Patents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445A
KR20070067445A KR1020050128752A KR20050128752A KR20070067445A KR 20070067445 A KR20070067445 A KR 20070067445A KR 1020050128752 A KR1020050128752 A KR 1020050128752A KR 20050128752 A KR20050128752 A KR 20050128752A KR 20070067445 A KR20070067445 A KR 2007006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composition
weight
hydrophilic wax
oil
hydr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292B1 (ko
Inventor
박영환
남창우
이혜정
구창모
이헌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2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8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wax
    • C09G1/10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wax based on mixtures of wax and natural or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locked webs or pile fabrics upon which a resin is applied; Teasing, raising web before resin applic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oil varnishes, i.e. drying oil varnishes, preferably linseed-oil-based; factice (sulfurised oils), Turkish birdlime, resinates reacted with drying oils; naphthenic metal sa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을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수성 왁스 조성물은 일정한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을 함유함으로써, 오일 기능이 지속되므로, 이를 극세섬유로 구성된 원단에 적용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은 우수한 내세탁성 및 내구성이 부여되고, 나아가 상기에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은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뿐만 아니라, 건조 방식으로 세척 또는 광택이 요구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담체, 캡슐, 걸레, 실리콘오일, 실리카, 제올라이트, 세탁내구성

Description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HYDROPHILIC WAX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TEXTILE CONTAINING HYDROPHILIC WAX COMPOSITION AND TEXTILE THEREBY}
도 1a는 본 발명의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표면을 주사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1b는 상기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표면을 세탁 5회 후 주사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1c는 상기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표면을 세탁 10회 후 주사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1d는 상기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표면을 세탁 15회 후 주사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을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오일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이 확보되고, 상기 조성물을 극세섬유 표면에 흡착시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차 시에는 물을 뿌리고 난 후 세제를 직접 칠한 후 다시 물을 뿌려서 세차하므로 세차시간의 소모가 많고 어려우며, 여러 가지의 도구를 준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998-16359호에서는 자동차를 세차하기 위하여 내부에 물을 공급하면서 솔을 이송하여 세차하도록 하면서, 필요한 경우에는 세제를 공급하는 동시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면서 세차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물걸레 청소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2002-63328호는 물과 식물성 섬유의 분말을 적당량 혼합한 액체를 고압(50 ∼ 200kg/㎠)으로 분사함으로써 자동차 표면에 붙어 있는 분진 및 이물질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섬유의 입자와 부딪침으로써 표면 세척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편 세차 시 가급적 물왁스 사용을 자제하는데, 그 이유는 물왁스의 성분은 고농축 샴푸를 300 배 가량 희석시킨 제품으로 산성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차량의 부식이나 불소 코팅물을 산화시켜 광택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유리에 묻었을 경우는 피막이 형성되어 와이퍼의 작동저하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의 표면에 손상은 주지 않고 쉽게 닦이도록 특수 파라핀 오일 처리하여 먼지 제거와 광택의 이중 효과를 내도록 고안한 자동 세차기용 액상 광택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 세차기용 액상 광택제는 유동 파라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미량의 왁스(납(蠟)), 유동파라핀,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단지 약간의 발수 효과만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어 자동 세차기용 액상 광택제를 이용하여 광택 공정을 거칠 경우, 유동 파라핀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만을 이용하여 유화를 시킴으로서 발수성과 초기 광택 효과 및 광택 지속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자동 세차기의 마무리 공정인 건조 공정 후에도 자동차 도장 면에 물방울이 남아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후(後) 처리 건조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물세탁 시에도 상용화될 수 있고, 왁스 성분의 지속성이 향상된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발유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오일 성분을 일정한 기공을 갖는 담체에 담지시켜 캡슐로 제조하고, 이를 함유하는 왁스 조성물을 극세섬유로 구성된 원단에 흡착시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제조하고, 상기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이 오일의 담지가 지속되어 내세탁성 및 내구성이 확보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을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적어도 일면에 기모가 형성된 극세섬유로 구성된 원단에 흡착시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이용함으로써, 내세탁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 3 내지 10 중량%, 변성아미노 유연제 3 내지 10중량%, 수지형 심색제 10 내지 15중량%, 왁스 10 내지 15중량%, 아크릴계 바인더 5 내지 20 중량%, 증점제 10 내지 1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담체가 다공성 실리카 또는 제올라이트이며, 그 입자크기는 1∼10㎛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캡슐은 오일 25∼35중량%, 20∼30Å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 25∼35중량%를 휘발성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2∼3 시간동안 200∼800rpm/min으로 저속 회전하여 휘발성 유기용매가 휘발되면서 오일 성분이 담체 내부에 침투되어 캡슐화된 것이다.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은 솔향 2∼5중량%, 은나노 성분 1∼3중량%, 보습제 3∼5중량% 및 금속보호제 1∼3중량%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의 점도는 4,000∼6,000 cps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기모가 형성된 극세섬유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극세섬유 원단에 대하여, 친수성 왁스 조성물 10∼15중량%가 되도록 픽업율을 조절하여 30∼35 m/min 및 150∼180℃에서 20∼60초간 열 세팅하면서 텐터 가공하여 상기 왁스 조성물을 가공원단 표면에 흡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 3 내지 10 중량%, 변성아미노 유연제 3 내지 10중량%, 수지형 심색제 10 내지 15중량%, 왁스 10 내지 15중량%, 아크릴계 바인더 5 내지 20 중량%, 증점제 10 내지 1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 왁스 조성물은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 형태를 함유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하며, 조성간에 상용(相容)성이 우수하다.
상기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로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실리카 또는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입자크기가 1∼10㎛인 것을 사용한다. 특히, 다공성 실리카는 내열성이 높고, 외형이 투명하여 가공제품의 색상변화가 적어 품질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오일을 포집하여 결합하여 보호하므로 오일의 특성이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한다.
상기 오일성분은 기름 분진 및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식물성 유분 및 오일 성분이 세척된 자동차의 표면에 흡착되기 때문에 표면 광택 및 보호 효과도 있다.
상기 캡슐은 오일 25∼35중량%,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 25∼35중량%를 잔량의 휘발성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2∼3 시간동안 200∼800rpm/min으로 저속 회전하여 휘발성 유기용매가 휘발되면서 오일 성분이 담체 내부에 침투되어 캡슐화된다. 이때, 휘발성 유기용매가 휘발되면서 삼투압가공법에 의하여, 상기 실리콘 오일이 다공성 실리카 내부에 담지될 수 있다.
휘발성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다.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의 점도는 4,000∼6,000 cps인 것을 바람직하며, 이때, 점도가 4,000 cps 미만이면, 약제 손실량 및 약제사용량이 많고, 6,000 cps를 초과하 면, 촉감이 딱딱해지며 작업성, 생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친수성 왁스 조성물 중에서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은 오일 성분이 전체 수용성 조성물에 상용화되어 엉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때, 3 중량% 미만이면, 오일성분이 지나치게 소량 함유되어 섬유 가공 시, 적용표면에 광택을 부여하기에 미흡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왁스 조성물의 친수성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오일 이외에도 별도의 왁스 성분을 함유하여 광택성이 증가하여 색상 명도 20%를 증가시킨다.
변성아미노 유연제는 매끈한 표면감촉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3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형 심색제는 광택 및 심색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체 조성물에 대해서는 10 내지 15중량%를 사용한다.
아크릴계 바인더는 엉킴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5 내지 20 중량%가 함유된다.
증점제로는 원단 및 친수성 왁스 조성물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10 내지 15 중량%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성 왁스 조성물은 솔향 2∼5중량%, 은나노 성분 1∼3중량%, 보 습제 3∼5중량% 및 금속보호제 1∼3중량%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솔향은 제품 사용 시,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은나노 성분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나노 입자 크기의 은성분 0.5∼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함량 조절로 경제성을 높이면서 얻고자 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0.5∼1 중량%를 함유한다.
금속보호제는 자동차 표면의 금속성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용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1∼3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기모가 형성된 극세섬유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극세섬유 원단에 대하여 친수성 왁스 조성물 10∼15중량%가 되도록 픽업율을 조절하여 30∼35 m/min 및 150∼180℃에서 20∼60초간 열 세팅하면서 텐터 가공하여 상기 왁스 조성물을 가공원단 표면에 흡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10 중량% 미만이면, 광택저하, 내구성저하, 오염제거기능이 저하되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비용이 높아지고 생산성 및 촉감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에 대하여, 내세탁성 및 내구성을 세탁 전, 5회, 10회 및 15회 세탁 후의 표면상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1,000 배 확대한 사진으로서, 15회 세탁이후에도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탈락되지 않고, 35∼40 중량%가 유지되었다.
본 발명의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은 99.9%의 우수한 항균성을 보이며, 세탁 5회, 10회, 및 15회 실시 이후에도 99.9%의 항균력이 보존된다.
또한, 상기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에 대한 탈취시험을 수행한 결과, 단시간에 높은 탈취효과를 보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탈취율이 향상되며, 세탁 5회, 10회, 및 15회 실시 후에도 우수한 탈취율이 보존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왁스 조성물이 균일하게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는 자동차 세척 후, 자동차 외장을 문질러서 광택 및 오염방지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을 함유하는 왁스 조성물을 원단에 적용한 것으로서, 발유성 및 광택성을 부여하는 오일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내구성이 부여되고 이로부터 세척 및 광택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왁스 조성물이 균일하게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은 자동차 외장에 적용 이외에 건식방식으로 세척 및 광택 부여가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그의 일례로는 장롱, 전화기, TV, 플라스틱 제품 등의 실내가구; 책상, FAX, 복사기, 컴퓨터 키보드, 모니터 등의 사무용품; 자동차 실내, 자동세척기, 벽; 및 나무;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이용한 섬유제조
단계 1: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의 제조
실리콘 오일 30중량% 및 실리카 30중량%를 메틸알코올 40중량%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이때, 실리카의 입자크기는 5㎛이고 30Å의 기공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 후, 밀링기(Milling machine) 내 2.5 ㎏/㎠ 유압으로 유지된 펌프를 이용하고 55∼60℃에서 2 시간동안 200∼800 rpm/min으로 저속 회전하여 서서히 휘발성 용매를 휘발시켜 실리콘 오일이 실리카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였다.
단계 2: 오일성분이 함유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하기 조성과 혼합하여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 10중량%
아미노변성유연제(Softer)............................. 5중량%
수지형심색제(Hyrex LK)................................ 5중량%
왁스(Waxlon) ......................................... 5중량%
폴리우레탄 바인더.................................... 25중량%
아크릴계 바인더(이태리 리베르터 바인더).............. 25중량%
은 나노(Ag-1030)..................................... 0.5중량%
잔량의 물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은 점도가 낮은 조성부터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에 은나노 성분,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 수지형심색제, 왁스, 폴리우레탄, 아크릴계 바인더 순서로 혼합하였다. 이때 친수성 왁스 조성물의 점도는 5,000 cps였다.
초미세 섬유 양쪽 면에 1 mm 정도의 기모가 가공된 극세섬유원단을 120℃ 최고온도에서 고착 염색 가공하여 원단을 준비하였다.
상기 원단에 대하여, 친수성 왁스 조성물 10∼15 중량%가 되도록 픽업율을 조절하여 30∼35 m/min 및 180℃온도에서 20∼60초간 텐더에서 열세팅하여 적절한 왁스량이 원단 표면에 흡착되도록 하였다.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원단표면에 완전히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이후, 다공성 실리카를 건조하고 주사전자현미경(MODEL: JSM-5510)을 이 용하여 1,000배 확대하여 다공성 실리카 표면에 실리콘 오일이 흡착되었는지를 외관 및 정성분석으로 확인하였다(도 1a).
<실시예 2>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섬유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실리콘 오일 30중량% 및 실리카 30중량%를 이소프로필 알코올 40중량%에 혼합한 후, 800 rpm/min으로 2 시간동안 저속 회전하여 서서히 휘발성 용매를 휘발시켜 실리콘 오일이 제올라이트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여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이용한 섬유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 10중량%
아미노변성유연제(Softer)............................. 5중량%
수지형심색제(Hyrex LK)................................ 5중량%
왁스(Waxlon).......................................... 10중량%
폴리우레탄 바인더.................................... 10중량%
아크릴계 바인더(이태리 리베르터 바인더).............. 5중량%
은 나노(Ag-1030)..................................... 1중량%
보습제(DEG) ......................................... 3중량%
금속보호제(KR-101).................................... 1중량%
발수제(F)............................................. 4중량%
솔향(러시아산)........................................ 2중량%
잔량의 물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은 점도가 낮은 조성부터 혼합하는 것으로, 물에 유화제, 보습제, 금속보호제, 은나노 성분,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 수지형심색제, 왁스, 폴리우레탄, 아크릴계 바인더 순서로 혼합하였다. 이때 친수성 왁스 조성물의 점도는 6,000 cps였다.
<실험예 1> 내세탁성 및 내구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에 대하여, 내세탁성 및 내구성 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5회, 10회 및 15회 세탁 후 주사전자현미경(MODEL: JSM-5510)을 이용하여 1,000 배 확대하여 관찰하였다(도 1a 내지 도 1d).
또한 표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상기 동일한 세탁횟수에 따라 각 성분별 함량 변화를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OXFORD MODEL:6587)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이때, 수치의 단위는 중량%이였다.
Figure 112005075751903-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회 세탁 후에도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성분별 함량 변화가 유지되고, 특히 10회 세탁 후, 그 잔류량이 35∼40 중량% 유지되므로, 내세탁성 및 내구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함유하지 않고, 단순히 조성을 혼합하여 제조된 섬유의 경우, 5회 세탁 후, 세제 조성물이 떨어져 세척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 전, 세탁 5회, 10회 및 15회 실시 후 비교한 결과,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탈락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실험예 2> 항균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에 대하여, KS K 0693-2001 방법으로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균주로는 식중독의 주원인균인 황색포도상 구균(Staphylcoccus aureus ATCC 6538) 및 폐렴균인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을 0.05% 비이온계 계면활성제(Snogen) 상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균을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표준포는 KS K 0905 염색견뢰도용 면소재 백포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항균성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기재하였다.
세탁 5회 실시 후 항균성 측정
대상균주 구분 초기농도 18시간 후 농도 정균감소율(%)
황색포도상구균 표준포 3.4ㅧ104 2.0ㅧ106 -
실시예 1 < 2.0ㅧ102 99.9
폐렴막대균 표준포 4.6ㅧ104 3.6ㅧ106 -
실시예 1 < 2.0ㅧ102 99.9
세탁 10회 실시 후 항균성 측정
대상균주 구분 초기농도 18시간 후 농도 정균감소율(%)
황색포도상구균 표준포 5.1ㅧ104 3.4ㅧ106 -
실시예 1 < 2.0ㅧ102 99.9
폐렴막대균 표준포 7.3ㅧ104 4.0ㅧ106 -
실시예 1 < 2.0ㅧ102 99.9
세탁 15회 실시 후 항균성 측정
대상균주 구분 초기농도 18시간 후 농도 정균감소율(%)
황색포도상구균 표준포 5.4ㅧ104 5.6ㅧ106 -
실시예 1 < 2.0ㅧ102 99.9
폐렴막대균 표준포 5.3ㅧ104 3.1ㅧ106 -
실시예 1 < 2.0ㅧ102 99.9
상기 표 2 및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경우, 모두 초기 균주의 농도를 감소시켜 정균감소율 99.9%의 우수한 항균성을 보였으며, 세탁 5회, 10회, 및 15회 실시 후 측정한 결과, 99.9%의 항균력이 보존되었다.
<실험예 3> 탈취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 오일이 캡슐화된 다공성 실리카를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흡착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에 대하여, 암모니아가스가 들어있는 용기 내에 노출시켜 흡수되고 남은 양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 KFIA-FI-1004 시험방법으로 탈취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내지 표 7에 기재하였다. 블랭크농도는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이다.
세탁 5회 실시 후 탈취실험
경과시간(분) 블랭크 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초기 500 500 -
30 490 80 84
60 480 65 86
90 460 50 89
120 450 45 90
세탁 10회 실시 후 탈취실험
경과시간(분) 블랭크 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초기 500 500 -
30 490 85 83
60 480 65 86
90 460 55 88
120 450 50 89
세탁 15회 실시 후 탈취실험
경과시간(분) 블랭크 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초기 500 500 -
30 490 95 81
60 480 75 84
90 460 65 86
120 450 60 87
상기 표 5 내지 표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에 대한 탈취시험을 수행한 결과, 단시간에 높은 탈취효과를 보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탈취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세탁 5회, 10회, 및 15회 실시 후에도 우수한 탈취율이 보존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은 일정한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을 함유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오일 기능이 지속되므로, 이를 극세섬유로 구성된 원단에 적용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은 우수한 내세탁성 및 내구성이 부여되었다.
나아가 상기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은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뿐만 아니라, 건조 방식으로 세척 또는 광택이 요구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의 일례로 장롱, 전화기, TV, 플라스틱 제품 등의 실내가구; 책상, FAX, 복사기, 컴퓨터 키보드, 모니터 등의 사무용품; 자동차 실내, 자동세척기, 벽 및 나무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에 오일성분이 담지된 캡슐 3 내지 10 중량%, 변성아미노 유연제 3 내지 10중량%, 수지형 심색제 10 내지 15중량%, 왁스 10 내지 15중량%, 아크릴계 바인더 5 내지 20 중량%, 증점제 10 내지 1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왁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가 다공성 실리카 또는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또는 제올라이트의 입자크기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이 실리콘계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 오일 25∼35중량%, 20∼30Å 크기의 기공을 갖는 담체 25∼35중량%를 휘발성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2∼3 시간동안 200∼800rpm/min으로 저속 회전하여 휘발성 유기용매가 휘발되면서 오일 성분이 담체 내부에 침투되어 캡슐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이 솔향 2∼5중량%, 은나노 성분 1∼3중량%, 보습제 3∼5중량% 및 금속보호제 1∼3중량%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의 점도가 4,000∼6,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친수성 왁스 조성물.
  8. 적어도 일면에 기모가 형성된 극세섬유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가공원단에 대하여 친수성 왁스 조성물 10∼15중량%가 되도록 픽업율을 조절하여 30∼35 m/min 및 150∼180℃에서 20∼60초간 열 세팅하면서 텐터 가공하여 상기 왁스 조성물을 가공원단 표면에 흡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9. 제8항에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 광택용 걸레.
KR1020050128752A 2005-12-23 2005-12-23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KR10073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52A KR100733292B1 (ko) 2005-12-23 2005-12-23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52A KR100733292B1 (ko) 2005-12-23 2005-12-23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45A true KR20070067445A (ko) 2007-06-28
KR100733292B1 KR100733292B1 (ko) 2007-06-29

Family

ID=3836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52A KR100733292B1 (ko) 2005-12-23 2005-12-23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78B1 (ko) * 2007-08-22 2009-09-03 한정미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2173809A2 (en) * 2007-07-26 2010-04-14 PolyOne Corporation Colored biofiber for plastic art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319B1 (ko) 2008-04-04 2011-04-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초극세사 원단의 후가공 방법 및 이로 후가공된 초극세사원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4982A1 (en) 1996-03-22 1997-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system having release barrier loaded zeolite
HUP0203565A3 (en) * 1999-12-03 2006-06-28 Procter & Gamble Delivery system having encapsulated porous carrier loaded with additives, particularly detergent additives such as perfumes
US20030045446A1 (en) * 2001-02-12 2003-03-06 Dihora Jiten Odhavji Delivery system having encapsulated porous carrier loaded with additives
CN1630696A (zh) * 2001-09-25 2005-06-22 大金工业株式会社 亲水化蜡组合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3809A2 (en) * 2007-07-26 2010-04-14 PolyOne Corporation Colored biofiber for plastic articles
EP2173809A4 (en) * 2007-07-26 2010-09-29 Polyone Corp COLORED BIOFIBER FOR PLASTIC ARTICLES
KR100915478B1 (ko) * 2007-08-22 2009-09-03 한정미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292B1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3476B1 (en) Cleaning device
CN100334291C (zh) 具有纳米自清洁功能的羽绒服面料或成衣制品的制备方法
CA2648344C (en) Cleaning method and formulation comprising polymeric particles
US2009020629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surface properties of fabrics, garments, textiles and other substrates
KR100733292B1 (ko)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CA2333749C (en) A cleaning solution and method
KR100797098B1 (ko) 항균 섬유 가공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처리된 기능성섬유
CN108699494B (zh) 用于处理基材的消毒水性组合物和方法
EP1649102A1 (en) A composition, wipe and method for cleaning, protecting and imparting gloss to a substrate
JP4017613B2 (ja) 抗菌性の化粧用ブラシとその製造方法
KR100515131B1 (ko) 고분자 물품 및 그 제조방법
EP3186351B1 (de) Vollwaschmitteltuch mit waschaktivem substrat
EP2144751A2 (en) Composition
US20220403294A1 (en) Performance gear, textile technology, and cleaning and protecting systems and methods
US10294610B2 (en) Sealant compositions
EP3224335B1 (en) Method for treating fabric having oily stains
MX2010012824A (es) Proceso para tratamiento de un genero.
KR20070086430A (ko) 세정제
JPS59105100A (ja) 乾式掃除剤
JP3192195B2 (ja) レンタル用ガラスクリーナ
JPS59129285A (ja) 清掃用含油繊維の製造方法
CN1073492A (zh) 一种清洁上光纸
JP2000070211A (ja) 靴磨き布帛
JP2006138033A (ja) 合成繊維および繊維製品の処理方法
AT7366U1 (de) Imprägnie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