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478B1 -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478B1
KR100915478B1 KR1020070084431A KR20070084431A KR100915478B1 KR 100915478 B1 KR100915478 B1 KR 100915478B1 KR 1020070084431 A KR1020070084431 A KR 1020070084431A KR 20070084431 A KR20070084431 A KR 20070084431A KR 100915478 B1 KR100915478 B1 KR 10091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op
cleaning tool
mix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039A (ko
Inventor
한정미
Original Assignee
한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미 filed Critical 한정미
Priority to KR102007008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4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62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 B60S1/66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for cleaning vehicle exteri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는 물, 오일, 유화제 및 소포제의 혼합액을 형성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형성된 혼합액과 청소용 맙을 함께 넣고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맙을 짜기 위한 탈수기 및; 상기 탈수기에서 짜낸 맙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오일이 함유된 청소용구는 사용시 별도로 오일을 함침시키지 않더라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Oil-saturated cleaning tool,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일을 함유하는 청소용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먼지털이개와 같은 청소용구에 장기간 사용가능한 방식으로 오일을 함침시킨 청소용구와, 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어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손잡이부와 그 손잡이부의 상단에 형성된 맙(Mop)부로 형성되며, 시판의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상기 몸부를 차량등의 차체에 묻어있는 먼지를 털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맙부는 단순히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를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세척력이 우수하지 못하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맙부에 묻혀서 사용하고 있지만, 그 사용방법은 맙부에 단순히 스프레이등을 이용하여 오일을 묻힘으로써, 물이나 세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차량등에 묻어있는 먼지를 제거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맙부에 기름을 묻히는 청소용구에 있어서는, 오일용기를 항상 차량의 트렁크등에 지참하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자칫 잘못하여 오일용기의 뚜껑등이 열리거나 하는 경우에는 기름이 트렁크의 내부를 더럽힌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항상 오일이 용기내에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뿐 아니라, 수시로 오일용기를 꺼내어 맙부에 묻혀주지 않으면 맙부의 유분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탈락되어 먼지를 잘 제거할 수 없는 상태로 될 수 있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수시로 오일을 맙부에 가하지 않아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청소용구의 출현이 기대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등이 수시로 오일용기에 들어 있는 오일을 스프레이등에 의하여 가하지 않고도 장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오일함유 청소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용구의 맙부에 오일을 수시로 가하지 않고도 장시간 사용가능한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와 같은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함유 청소용구는, 손잡이부와 그 손잡이부의 다른 끝단에 부착된 맙(Mop)부로 구성되는 청소용구에 있어서, 상기 맙부에 오일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는: 물, 오일, 유화제 및 소포제의 혼합액을 형성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형성된 혼합액과 청소용 맙을 함께 넣고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맙을 짜기 위한 탈수기 및; 상기 탈수기에서 짜낸 맙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교반기와 탈수기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교반기 및 탈수기의 잔여오일을 혼합기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방법은: 물, 오일, 유화제 및 소포제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액과 청소용 맙(mop)을 교반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맙을 짜서 탈수하는 공정 및; 맙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탈수공정후, 탈수후 사용하고 남은 오일을 혼합공정으로 되돌리는 공정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맙부에 원천적으로 오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력이 우수하며, 오일용기등을 항상 지참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항상 오일이 용기내에 들어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도 없으며, 수시로 오일용기를 꺼내어 맙부에 묻혀주지 않더라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맙의 유분탈락이 지연되기 때문에, 수시로 오일을 맙부에 가하지 않아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혼합기 20 : 교반기
30 : 탈수기 40 : 건조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의 개념도로서, 도면중 부호 10은 혼합기를, 부호 20은 교반기를, 부호 30은 탈수기를, 부호 40은 건조기를 각각 나타낸다.
혼합기(10)는, 청소용구인 맙(mop)에 함침시킬 오일과 물을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과 오일을 중량비로 95:5 내지 50:50 으로 혼합한 것에, 이들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0.01 내지 1중량부 및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포제를 0.001 내지 1중량부 첨가한다.
물이 중량비로 95이상 혼합되면, 맙부에 오일의 양이 적게 함침되는 단점이 있으며 건조시간도 장시간으로 된다. 오일의 양이 많을 경우 오일이 맙에 깊숙히 함침되지 않으며, 오히려 오일이 맙으로부터 배어나와 피청소물에 묻어나게 된다.
유화제가 상기 범위보다 적게 되면 물과 기름이 잘 섞이지 않아 맙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오일이 함침되지 않으며, 유화제가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데,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가의 소포제도 많이 넣어야 할 뿐 아니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소포제가 적을 경우는 거품이 많이 발생되므로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많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오일의 혼합비는 75:25이며, 유화제는 물과 오일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중량부, 소포제는 0.0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용구인 맙(mop)은, 사전에 염색공정에서 염색이 완료된 상태이며, 상기 혼합기(10)에서 혼합된 혼합액과 함께 교반기(20)에 넣고 교반한다. 투입된 혼합액중에 있는 오일이 충분히 맙에 완착될 수 있도록 약 20 분 내지 30분 정도의 시간동안 충분히 교반을 실시한다.
교반이 끝난 뒤에는 교반기(20)로부터 맙을 꺼내고 탈수기(30)로 옮겨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맙을 짠다. 탈수시간은 맙의 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교반기(20) 및 탈수기(30)에는 맙에 함침된 오일 이외의 오일이 잔존하게 되므로, 이를 다시 혼합기(10)로 되돌려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기(40)에 넣어진 맙은 약 90℃의 온도까지 상승시켜서 맙에 남아 있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건조시킨다.

Claims (8)

  1. 삭제
  2. 물, 오일, 유화제 및 소포제의 혼합액을 형성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형성된 혼합액과 청소용 맙을 함께 넣고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맙을 짜기 위한 탈수기 및; 상기 탈수기에서 짜낸 맙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와 탈수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교반기 및 탈수기의 잔여오일을 혼합기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장치.
  5. 물, 오일, 유화제 및 소포제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혼합액과 청소용 맙(mop)을 교반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액이 함침된 맙을 짜서 탈수하는 공정 및; 맙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물과 오일을 중량비로 95:5 내지 50:50 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 0.01 내지 1중량부 및 소포제를 0.001 내지 1중량부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물과 오일의 혼합비는 75:25 이며, 유화제는 물과 오일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중량부, 소포제는 0.0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공정후, 탈수후 사용하고 남은 오일을 혼합공정으로 되돌리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함유 청소용구의 제조방법.
KR1020070084431A 2007-08-22 2007-08-22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1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431A KR100915478B1 (ko) 2007-08-22 2007-08-22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431A KR100915478B1 (ko) 2007-08-22 2007-08-22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39A KR20090020039A (ko) 2009-02-26
KR100915478B1 true KR100915478B1 (ko) 2009-09-03

Family

ID=4068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431A KR100915478B1 (ko) 2007-08-22 2007-08-22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4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918B1 (ko) * 2020-06-19 2021-07-28 곽승호 기름걸레의 세탁방법
KR102326553B1 (ko) * 2020-06-19 2021-11-15 곽승호 항균기능을 구비한 기름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03053A1 (ko) * 2021-07-21 2023-01-26 곽승호 기름걸레의 세탁방법
WO2023074958A1 (ko) * 2021-10-29 2023-05-04 곽승호 항균기능을 구비한 기름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62B1 (ko) * 2011-07-22 2013-11-05 이법림 실리콘 베이크드 순면 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용 먼지 털이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897B1 (ko) * 1989-12-09 1992-03-06 백범석 광택작용을 겸비한 티슈형 일회용 세척포의 제조방법
KR200305667Y1 (ko) * 2002-11-05 2003-03-03 김영렬 먼지 털이개
KR200415344Y1 (ko) * 2006-02-20 2006-05-02 박종승 차량 세정용 먼지털이개
KR20070067445A (ko) * 2005-12-23 2007-06-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897B1 (ko) * 1989-12-09 1992-03-06 백범석 광택작용을 겸비한 티슈형 일회용 세척포의 제조방법
KR200305667Y1 (ko) * 2002-11-05 2003-03-03 김영렬 먼지 털이개
KR20070067445A (ko) * 2005-12-23 2007-06-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수성 왁스 조성물, 이를 함유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의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가공극세사 섬유원단
KR200415344Y1 (ko) * 2006-02-20 2006-05-02 박종승 차량 세정용 먼지털이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918B1 (ko) * 2020-06-19 2021-07-28 곽승호 기름걸레의 세탁방법
KR102326553B1 (ko) * 2020-06-19 2021-11-15 곽승호 항균기능을 구비한 기름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03053A1 (ko) * 2021-07-21 2023-01-26 곽승호 기름걸레의 세탁방법
WO2023074958A1 (ko) * 2021-10-29 2023-05-04 곽승호 항균기능을 구비한 기름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039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478B1 (ko) 오일함유 청소용구,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4372867A (en) Upholstery cleaning pa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11502886A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およびスポット除去組成物
JPH11502887A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法
CN104305940B (zh) 一种以无纺布为主的清洁抹布及其生产工艺
KR101889639B1 (ko) 수동-조작식 의류 세척 장치
KR200454404Y1 (ko) 비누통
JP2012530856A (ja) 繊維、皮革または毛皮製品を化学的に洗浄するためのジエーテル化合物の使用
BR102015027601A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formulação de solução química para impregnação de artigo de limpeza e produto resultante
US20050005655A1 (en) Portable clothes washing device
JP2008044970A (ja) 発泡型洗浄具及び発泡型洗浄方法
CN108085994A (zh) 一种简易廉价的共溶剂引发超疏水整理方法
WO1998058113A2 (en) Wash apparatus and method
ES2323365T3 (es) Procedimiento de limpieza en seco.
KR101324762B1 (ko) 실리콘 베이크드 순면 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용 먼지 털이게
CN206560417U (zh) 一种纺织染料车间洗涤池
CN109137391A (zh) 一种酒店布草的洗涤方法
KR20110122945A (ko) 파렛트
CN107007230A (zh) 自清洁多功能抹布及其制作方法
US9657254B1 (en) Paint, ink and resin remover composition
KR920001897B1 (ko) 광택작용을 겸비한 티슈형 일회용 세척포의 제조방법
EP0858764B1 (en) Method for removing either dry or damp dirt from a surface
CN204158333U (zh) 一种多功能拖把
CN110192820A (zh) 固体物上的污渍快速清洁湿巾及其制备办法
KR200472779Y1 (ko) 건조기능을 갖는 물걸레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