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350A -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350A
KR20070067350A KR1020050128568A KR20050128568A KR20070067350A KR 20070067350 A KR20070067350 A KR 20070067350A KR 1020050128568 A KR1020050128568 A KR 1020050128568A KR 20050128568 A KR20050128568 A KR 20050128568A KR 20070067350 A KR20070067350 A KR 20070067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sp
image sensor
hsync
vsy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헌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7350A/ko
Publication of KR2007006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터 레지스터에 Vsync값을 갱신하여 저장하는 ISP, 및 카운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V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현재 주기의 Vsync값이 일치하면 ISP를 초기화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가 ESD에 의해 동작상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쉽게 검출하여 복구할 수 있다.
ESD, 이미지 센서, ISP, 동기 신호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vering error in camera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촬상 장치의 구성의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SP(Image Signal Processor)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카메라 모듈
120 : 카메라 제어부
130 : 이미지 센서
140 : ISP(Image Signal Processor)
210 : Vsync 인터럽터
220 : Hsync 인터럽터
230 : I2C 컨트롤러
240 : Hsync 카운터
250 : 제어부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 및 박형의 촬상 소자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 및 박형의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촬상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격지로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정보도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촬상 소자는 휴대 전화기나 PDA 뿐 아니라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도 구비되어 다양한 장치에서 외부 영상을 전자적인 데이터로 보유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0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촬상 장치의 구성의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영상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촬상 장치는 카메라 모듈(110) 및 카메라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이외에, 촬상 장치는 렌즈, 렌즈 구동 드라이버, 변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이미지 센서(130) 및 ISP(Image Signal Processor, 14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30)는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을 가지는 센서로서, 단위 픽셀별로 렌즈를 통해 입력된 빛의 양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raw data)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130)는 10/11/12 비트의 RGB 베이어 포맷의 전기 신호를 ISP(140)로 출력한다.
ISP(140)는 이미지 센서(130)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raw data)를 YUV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YUV 값을 카메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ISP(140)는 16비트가 한 픽셀을 이루는 YUV422 방식의 영상 신호를 카메라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8비트씩 두 번 출력되어 한 픽셀에 해당되는 영상 신호가 카메라 제어부(120)로 출력될 수 있다. YUV방식은 사람의 눈이 색상보다는 밝기에 민감하다는 사실에 착안한 방식으로, 색을 밝기(Luminance)인 Y성분과 색상(Chrominance)인 U와 V 성분으로 구분한다. Y성분은 오차에 민감하므로 색상 성분인 U와 V보다 많은 비트를 코딩한다. 전형적인 Y:U:V의 비율은 4:2:2 이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카메라 컨트롤 프로세서(Camera Control Processor) 등의 백엔드 디바이스(Back-End Device)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촬상 장치는 정전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 - 이하, 'ESD'라 칭함)에 민감한 특성을 가진다. 즉, ESD에 의한 영향으로 이미지 센서(130), ISP(140) 및/또는 별도의 광학 시스템이 오동작 또는 동작 불능 상태가 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영상 신호가 카메라 제어부(120)로 전달될 수 없다.
촬상 장치가 ESD의 영향을 받는 경우로는 정전기 성능 시험(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각종 테스트 중 하나인 ESD 테스트)의 경우, 표시부 주위에 가해진 ESD가 렌즈 부위로 침투하여 카메라 모듈(110)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등이 있다.
카메라 모듈(110)이 ESD에 의한 영향을 받아 동작 오류 또는 동작 불능 상태가 된 경우 카메라 모듈(110)은 스스로 동작 복귀를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종래에는 카메라 제어부(120)가 ISP(140)의 상태만을 확인하여 ESD에 의한 동작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촬상 장치를 리셋(reset)하여 동작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ISP(140)가 동작 불능 상태인 경우 카메라 제어부(120)가 촬상 장치를 리셋하여 카메라 모듈(110)이 동작을 재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할 때, ISP(14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이미지 센서(130)만이 ESD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경우 이미지 센서(130)의 동작 상태에 대한 확인은 불가능하며, 카메라 모듈(110) 전체의 동작 오류 또는 동작 불능 상태로 인식하여 촬상 장치 자체를 리셋하여 동작 복귀를 시도한다.
일반적으로, 촬상 장치의 제조사는 일정 기준 이하의 ESD 충격을 가하여 촬상 장치가 동작 오류 또는 동작 불능 상태로 전환된 경우 일정 시간 이내에 촬상 장치가 정상화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설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할 때, 촬상 장치 자체를 초기화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복귀를 위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결과적으로 제조사가 제시하는 ESD에 의한 오동작 및 동작 불능에 대한 동작 복귀 시간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가 ESD에 의해 동작상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에서 ESD에 의한 동작상의 문제가 발생된 경우 신속하게 원상 복구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의 다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의 동작 불능 상태를 복구할 수 있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터 레지스터에 Vsync값을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시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및 상기 카운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V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현재 주기의 Vsync값이 일치하면 상기 ISP를 초기화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더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ISP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Hsync값을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H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Hsync값과 현재 주기의 Hsync값이 일치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Vsync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변환 영상 신호는 YUV 영상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Hsync값을 갱신하여 기록하는 Hsync 카운터;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Hsync 카운터가 기록한 Hsync값을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Hsync값과 현재 주기의 Hsync값이 일치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가 제공된다.
상기 ISP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가 갱신된 Vsync값을 기록하는 Vsync 카운터 레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SP는 상기 변환 영상 신호를 카메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V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현재 주기의 Vsync값이 일치한 경우, 상기 ISP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Vsync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및/또는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에 있어서, (a)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ISP(Image Signal Processor) 내부의 카운터 레지스터에 기록된 Vsync값을 독출하는 단계; (b) 상기 독출한 Vsync값이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일치하는 경우, 상기 ISP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SP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시점마다 상기 카운터 레지스터에 기록된 Vsync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ISP 전단에 구비된 상기 이미지 센서가 함께 초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SP(Image Signal Processor)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센서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Hsync값을 갱신하여 기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Hsync 카운터가 기록한 Hsync값을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Hsync값과 현재 주기의 Hsync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SP(Image Signal Processor)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SP(140)는 Vsync 인터럽터(Interrupter)(210), Hsync 인터럽터(220), I2C 컨트롤러(230), Hsync 카운터(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ISP(140)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능(예를 들어, YUV 영상 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위한 각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Vsync 인터럽터(210)는 이미지 센서(13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신호(Interrupt Signal)을 발생하여 제어부(25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Vsync 인터럽트 신호(Interrupt Signal)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구비된 Vsync 카운터 레지스터에 그 값(예를 들어, Vsync 신호가 입력된 횟수)을 업데이트한다. 만일, ESD의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이미지 센서(130) 및/또는 ISP(140)가 동작 불능 상태로 된 경우 Vsync 카운터 레지스터의 값이 갱신될 수 없 으므로, 카메라 제어부(120)는 I2C 버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Vsync 카운터 레지스터의 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미지 센서(130) 및/또는 ISP(140)가 동작 불능 상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Hsync 인터럽터(220)는 이미지 센서(130)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신호(Interrupt Signal)을 발생하여 제어부(25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I2C 컨트롤러(230)는 I2C 버스를 통해 카메라 제어부(120)와 결합되어 상호간에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Hsync 카운터(240)는 Hsync 인터럽터(220)에 의해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카운팅하여 기록한다.
제어부(250)는 ISP(140) 내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또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예를 들어, 자동 노출 보정(AE), 자동 백색 보정(AWB)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Vsync 인터럽터(210) 또는 Hsync 인터럽터(220)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이미지 센서(130)로부터 입력되는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1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이미지 센서(1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ISP(140)는 Hsync 카운터(240)는 포함하나 Vsync 카운터는 포 함하고 있지 않다. 이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신호)의 경우 제어부(250)의 관점에서는 상당히 간헐적으로 입력되는 신호(즉, 30fps의 영상 신호의 경우 수직 동기 신호는 1/30초 마다 발생됨)임에 비해, 수평 동기 신호(Hsync 신호)의 경우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는 신호이기때문에 이를 항상 인터럽트 처리 하는 경우, 부하(load)가 과중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제어부(250)의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라면 매 수평 동기 신호마다 인터럽트 처리한다면 기타 중요 동작들이 느려지거나 순서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Hsync 인터럽터(220)를 구비함으로써 성능이 떨어지는 제어부(250)일지라도 미리 설정된 수평 동기 신호의 수와 Hsync 카운터(240)에 의해 카운팅된 수평 동기 신호의 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여 이미지 센서(130)가 정상 동작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입력되는 신호인 수직 동기 신호는 제어부(250)가 충분히 처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Vsync 카운터가 생략된 것이나, 필요에 따라 Vsync 카운터가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미지 센서(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P(140)로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이미지 센 서(130)가 ESD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경우, 수직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수평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ISP(140)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30)가 ESD에 의해 동작 불능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는 상술한 세 가지 유형을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ISP(140)가 ESD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경우, 각 구성 요소 또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ISP(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120)가 ISP(140)의 동작 상태를 I2C 버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ISP(140)의 정상 동작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초기화 방법이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카메라 제어부(120)는 I2C 버스를 통해 ISP(140) 내부의 Vsync 카운터 레지스터에 기록된 값(이하, Vsync 값이라 칭함)을 확인한다.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는 카메라 제어부(120)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예를 들어 MCU일 수 있다.
단계 315에서 카메라 제어부(120)는 확인한 Vsync 값이 직전 주기에서 확인한 Vsync 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Vsync 카운터 레지스터에는 Vsync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Vsync 값이 갱신되어 기록되므로 Vsync 신호가 입력되는 매 시점 이후마다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Vsync 신호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Vsync 값을 확인하는 주기는 예를 들어 600ms일 수 있다.
Vsync 값이 갱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듈(11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는 Vsync 신호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므로 카메라 모듈을 초기화하기 위한 것이며, 초기화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110)에 설정되는 값은 가장 최근에 Vsync 신호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던 시점의 설정값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만을 초기화하는 방법은 구동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인가하는 방법, 소프트웨어적으로 초기화하도록 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카메라 제어부(120)는 ISP(140)만이 초기화되도록 제어하고, ISP(140)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이미지 센서(130)를 초기화하는 2단계에 의해 카메라 모듈(110)이 초기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Vsync 값이 갱신되었다면 단계 325로 진행하여 현재 시점이 검사 주기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사 주기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310으로 다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검사 주기를 만족할 때까지 대기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초기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즉, ESD에 의해 ISP(140)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이미지 센서(130)가 영향을 받은 경우 이를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ISP(140)의 제어부(250)는 Hsync 카운터(240)에 기록된 값(즉, 입력된 수평 동기 신호의 수, 이하 Hsync 값이라 칭함)을 확인한다.
단계 415에서 제어부(250)는 Hsync 카운터(240)에 갱신된 Hsync 값이 기록되 었는지 여부(즉, 직전 주기에서 확인한 Hsync 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50)는 미리 지정된 주기(예를 들어, 10ms)마다 Hsync 카운터(240)에 갱신된 Hsync 값이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주기마다 확인하는 Hsync 값이 갱신되지 않았다면 이미지 센서(130)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Hsync 값이 갱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 420으로 진행하여 이미지 센서(13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는 Hsync 신호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므로 이미지 센서(130)를 초기화하기 위한 것이며, 초기화 과정에서 이미지 센서(130)에 설정되는 값은 가장 최근에 Hsync 신호의 출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던 시점의 설정값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0)만을 초기화하는 방법은 구동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인가하는 방법, 소프트웨어적으로 초기화하도록 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Hsync 값이 갱신되었다면 단계 425로 진행하여 현재 시점이 검사 주기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사 주기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410으로 다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검사 주기를 만족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은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가 ESD에 의해 동작상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쉽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및/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에서 ESD에 의한 동작상의 문제가 발생된 경우 신속하게 원상 복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원시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터 레지스터에 Vsync값을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시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및
    상기 카운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V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현재 주기의 Vsync값이 일치하면 상기 ISP를 초기화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P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Hsync값을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H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Hsync값과 현재 주기의 Hsync값이 일치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더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Vsync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영상 신호는 YUV 영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원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변환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Hsync값을 갱신하여 기록하는 Hsync 카운터; 및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Hsync 카운터가 기록한 Hsync값을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Hsync값과 현재 주기의 Hsync값이 일치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가 갱신된 Vsync값을 기록하는 Vsync 카운터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ISP는 상기 변환 영상 신호를 카메라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Vsync값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현재 주기의 Vsync값이 일치한 경우, 상기 ISP는 상기 카메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Vsync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9. 카메라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에 있어서,
    (a)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ISP(Image Signal Processor) 내부의 카운터 레지스터에 기록된 Vsync값을 독출하는 단계;
    (b) 상기 독출한 Vsync값이 직전 주기의 Vsync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일치하는 경우, 상기 ISP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SP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시점마다 상기 카운터 레지스터에 기록된 Vsync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ISP 전단에 구비된 상기 이미지 센서가 함께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11. ISP(Image Signal Processor)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센서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Hsync값을 갱신하여 기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Hsync 카운터가 기록한 Hsync값을 확인하여 직전 주기의 Hsync값과 현재 주기의 Hsync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KR1020050128568A 2005-12-23 2005-12-23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KR20070067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68A KR20070067350A (ko) 2005-12-23 2005-12-23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68A KR20070067350A (ko) 2005-12-23 2005-12-23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350A true KR20070067350A (ko) 2007-06-28

Family

ID=3836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568A KR20070067350A (ko) 2005-12-23 2005-12-23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73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304B1 (ko) * 2011-10-07 2013-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능동형 자가진단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1283273B1 (ko) * 2011-11-08 2013-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 영상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304B1 (ko) * 2011-10-07 2013-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능동형 자가진단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1283273B1 (ko) * 2011-11-08 2013-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 영상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52291B1 (en) Sma motor control method in camera device and camera device
WO2020171583A1 (en) Electronic device for stabiliz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0901925B2 (en) Configurable input / output connector in a camera
WO2021141445A1 (en) Method of improving image quality in zoom scenario with single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542318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KR20120058337A (ko) Cds 회로,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CN102547087B (zh) 成像设备、图像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25935B1 (ko) 이미지 생성 장치 및 이미지 생성 방법
WO2019156308A1 (ko)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92631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方法
EP3432572A1 (en) Image capturing accessory,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EP3864835A1 (en) Camera module having multi-cell structure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00096523A (ko)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1441393A (zh) 连接书画照相机装置来投影图像的投影装置、投影方法
KR20070067350A (ko)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불능 상태 복구 방법
KR10145482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듀얼 카메라를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261919A1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WO2021215795A1 (ko) 전자 장치의 컬러 필터, 및 그 전자 장치
KR100620684B1 (ko) 불량화소 검출 및 복원이 가능한 카메라폰 및 그 방법
KR10162272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i2c 노이즈 감소 방법
JP7345109B2 (ja) 撮像装置
WO2021162301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타임 랩스 영상 생성 방법
JP2009177612A (ja) 電子機器,カメラ、ならびに、電子機器の起動制御方法およ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US20240163550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22169124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영상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