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672A -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672A
KR20070066672A KR1020050128112A KR20050128112A KR20070066672A KR 20070066672 A KR20070066672 A KR 20070066672A KR 1020050128112 A KR1020050128112 A KR 1020050128112A KR 20050128112 A KR20050128112 A KR 20050128112A KR 20070066672 A KR20070066672 A KR 2007006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ultraviolet light
suction
upr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최성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672A/ko
Publication of KR2007006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모터가 발생시키는 진공압에 의해 청소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로의 선단에 설치되어 청소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가 바닥측에 형성된 흡입헤드와, 상기 흡입헤드의 흡입구 상에 설치되어 청소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브러쉬와, 상기 흡입헤드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회전 브러쉬 또는 청소되는 바닥면을 살균시키는 자외선 광원과, 상기 자외선 광원과 연결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진공청소기, 업라이트형, 자외선 광원,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 자외선 램프

Description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STERILIZABLE UPRIGHT-TYPE CLEANER USING ULTRAVIOLET RADI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드 평면에 설치된 자외선 광원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헤드 배면에 설치된 자외선 광원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광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들 12 : 청소 조작부
14 : 살균 조작부 20 : 본체
30 : 집진유닛 50 : 흡입헤드
51 : 하부커버 51h: 흡입구
52 : 이동바퀴 53 : 보조바퀴
55 : 상부커버 57 : 브러쉬
58 : 모터조립체 60 :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
62 : 자외선 램프 64 : 하우징 본체
66 : 투과판 68 : 하우징 커버
S : 실링부재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 측에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회전 브러쉬 및 청소하는 바닥면을 살균시킬 수 있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더불어 바닥의 청소물질을 흡입하고, 흡입한 청소물질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흡입한 공기의 미세한 이물질을 각종 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사용용도 및 이동방법에 따라 실린더형의 플로어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드 타입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플로어 타입은 주로 가정용으로 마루 바닥과 같이 딱딱한 바닥면을 청소하는데 유리하고, 업라이트 타입은 카펫 등과 같은 바닥면을 청소하는데 유리하며, 핸드 타입은 계단, 책상 위 등과 같은 좁은 면적의 청소에 유리하다.
전술한 플로어 타입이나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대개 흡입력을 발생시켜 흡입 유로상에서 청소물질을 분리함과 동시에 흡입 공기 중의 먼지 등과 같은 미세 이물질을 걸러주는 본체 및 이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청소물질과 그 주변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헤드 또는 흡입 노즐 부로 이루어진다.
특히,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노즐이 흡입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흡입성능이 뛰어날 뿐 아니라 흡입구 측에 청소되는 바닥면을 눌러주어 청소물질이 손쉽게 흡입되도록 하는 회전 브러쉬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최근 카페트, 소파, 침대 등으로부터 먼지 등과 같은 청소물질을 부양시켜 청소해주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단순히 청소되는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만 흡입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인체와 접촉이 많은 카페트, 소파, 침대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 및 세균이 직접 청소하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회전 브러쉬로 전달되어 자체적으로 번식하고, 나아가 회전 브러쉬가 다른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드기 및 세균이 청소하는 바닥면 전체로 옮겨져 비위생적이며, 이로 인하여 비위생적인 주거공간에 거주하는 면역력이 약한 병자 또는 영, 유아 등에게 호흡기 질환, 피부 감염 등과 같은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동안 회전 브러쉬 및 청소하는 바닥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입모터가 발생시키는 진공압에 의해 청소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로의 선단에 설치되어 청소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가 바닥측에 형성된 흡입헤드와, 상기 흡입헤드의 흡입구 상에 설치되어 청소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브러쉬와, 상기 흡입헤드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회전 브러쉬 또는 청소되는 바닥면을 살균시키는 자외선 광원과, 상기 자외선 광원과 연결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자외선 광원으로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살균이 가능한 형태의 자외선 광원이라면 어떠한 형태여도 좋다. 다만,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A(300~400 nm), B(280~320 nm), C(180~280 nm)로 나눌 수 있으며, C(180~280 nm) 영역의 자외선이 미생물을 죽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광원은 180~28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00~200 nm의 파장을 자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오존을 형성시켜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집먼지 진드기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헤드 평면 및 배면에 설치된 자외선 광원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자외선 광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10)과, 상기 핸드(10) 하측에 연결되어 먼지 등과 같은 청소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면부에 안착되어 흡입공기로부터 청소물질이 걸러지는 집진유닛(30)과, 상기 본체(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청소하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청소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헤드(50)와, 상기 흡입헤드(50) 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 및 각종 구성부품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10)은 상기 본체에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더라도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전면에 상기 흡입모터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청소 조작부(12)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살균 조작부(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청소 조작부(12) 및 살균 조작부(14)는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이 각각 흡입모터 및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 등으로 공급되는 입력 전원을 제어한다.
다음, 상기 본체(20)는 내부에 상기 흡입모터가 소정의 흡입유로 상에 설치되고, 그 이외에도 다양한 부품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청소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유닛(30)이 장착되도록 전면으로부터 상기 집진유닛(3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장착부(21)가 형성되되, 상기 집진유닛(30)이 상기 본체의 장착부(21)로부터 전면으로 손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측면에는,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슬릿홀 형상의 배기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부(22)에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필터(미도시)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집진유닛(30)에서 청소물질이 걸러진 흡입공기가 상기 배기부(22)에서 다시 필터링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됨으로 보다 깨끗한 공기가 배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와 흡입헤드(50) 사이에는 상기 흡입헤드(50)를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노즐호스(23) 및 이와 연결된 연결호스(24)가 더 설치되되, 상기 흡입헤드(50)로부터 유입된 흡입공기는 상기 노즐호스(23)와 연결호수(24)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집진유닛(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20)와 흡입헤드(50) 사이에는 상기 본체(20)를 상기 흡입헤드(50)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레버(25)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0)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회동레버(25)를 가압하면, 상기 본체(20)의 상부는 상기 흡입헤드(5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되고, 청소 수행시에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하는 바닥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되더라 도 상기 흡입헤드(50)는 바닥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집진유닛(3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먼지봉투 등과 같은 각종 필터부재가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먼지봉투 없이 싸이클론 방식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싸이클론 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흡입헤드(5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커버(51)와, 상기 하부커버(5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구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55)와, 청소 수행시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바퀴(52) 및 보조 바퀴(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커버(51)는 저면에 외부 공기의 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되, 그 내측 전방에는 대략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모양의 분리벽(51a)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벽(51a) 최상단 중앙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가 조립될 수 있도록 안착홀(H)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벽(51a)은 상기 흡입헤드(50)의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여 후방 중앙에서 'U' 형상의 절개부(51b)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51b)는 상기 노즐호스(23)의 단부에 연통되도록 장착된 공기안내부재(23a)가 장착되되, 상기 공기안내부재(23a)는 상기 흡입구(51h)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노즐호스(23)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의 흡입구(51h)에는, 청소하는 바닥면과 접촉되어 눌러줌으로 청소물질을 보다 손쉽게 부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 브러쉬(5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 브러쉬(57)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몸체(57a)와, 상기 몸체(57a)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브러쉬(57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의 흡입구(51h) 일측에는, 상기 회전 브러쉬(57)로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 조립체(58)가 설치되되, 상기 모터 조립체(58)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전원 인가시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의 상면을 차폐하여 상기 모터의 유동을 규제하는 모터커버(58a)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의 우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모터축(58b)이 형성되어 동력을 상기 회전 브러쉬(57)로 전달한다.
물론, 상기 회전 브러쉬(57)와 모터 조립체(58)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각종 구성부품이 포함되되, 상기 회전 브러쉬(57)는 그 회전축 일측에 연결풀리(57c)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조립체(58)는 상기 모터축(58b)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 브러쉬의 연결풀리(57c) 사이에 감겨져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전달벨트(58c)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달벨트(58c)가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모터축(58b)이 상기 회전 브러쉬(57)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모터커버(58a)는 상기 모터의 상부 외관과 대응되는 내부 형상을 가지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51)의 상면에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됨으로 상기 모터의 유동을 규제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커버(55)가 분해되더라도 상기 모터커버(58a)는 외부의 이물이 상기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인체가 상기 모 터에 직접 닿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달벨트(58c)가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회전 브러쉬(57) 역시 상기 모터 집합체(58)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흡입헤드(51)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 브러쉬(57)의 이탈을 규제하는 이탈규제구(59)가 부착되되, 상기 이탈규제구(59)는 대략 'L' 모양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상부는 상기 모터축(58b)이 상기 흡입헤드(51)의 저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반면, 좌우측단부는 상기 회전 브러쉬(57)의 전후방향 유동을 규제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62)와, 상기 자외선 램프(62)가 안착되는 하우징 본체(64)와, 상기 자외선 램프(64)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설정 파장으로 투과시키는 투과판(66)과, 상기 하우징 본체(64)의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커버(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자외선이 상기 회전 브러쉬(57) 이외에도 청소하는 바닥면에 골고루 조사되어 살균되도록 한다.
대개, 상기 투과판(66)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석영판으로 제작됨으로 가벼운 충격에도 깨어지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투과판(66)이 상기 자외선 램프(62)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64)와 상기 하우징 커버(68) 사이에 설치되기 전에 그 전후면 둘레 부분에 한 쌍의 실링부재(S)가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링부재들(S)은 상기 하우징 본체(64)와 상기 투과판(66)과 상기 하우징 커버(68) 사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64)는 상기 자외선 램프(62)가 측면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는 반면, 상기 하우징 커버(68)는 상기 하우징 본체(64)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62)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을 통과시키도록 전면 중앙에 투과홀(미도시)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커버(68)는 상기 하우징 본체(64)에 그 둘레 부분이 나사 조립된다.
이외에도,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지만,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동일한 살균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역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는 상기 흡입헤드(51) 내측인 분리벽(51a)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브러쉬(57) 및 청소하는 바닥면에 동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더라도 상기 흡입헤드(51)가 청소하는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청소가 이루어짐으로 외부로 자외선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청소 조작부(12) 및 살균 조작부(14)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흡입모터, 모터, 자외선 램프(62) 등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살균 조작부(14)가 눌러지면, 청소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자외선 램프(42)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보통, 자외선은 주변 공기의 풍속이 대략 2m/sec 풍속 이상에서 그 살균 효 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데,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는 상기 흡입모터의 작동으로 인하여 진공압에 의해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60) 주변에 풍속이 발생한다.
따라서, 진공압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과정 동안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살균 조작부(14)가 눌러져 상기 자외선 램프(62)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 보다, 상기 살균 조작부(14)가 눌러지더라도 청소과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자외선 램프(62)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살균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살균 조작부(14)가 눌러지면, 청소과정이 완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자외선 램프(62)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전체적인 청소시간을 줄일 수 있기도 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살균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흡입헤드(50)를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청소 조작부(12) 및 살균 조작부(14)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청소 조작부(12)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흡입모터 및 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회전 브러쉬(57)가 회전되면서 청소하는 바닥면을 눌러주는 동안, 상기 흡입모터가 작동됨에 따라 진공압에 의해 청소하는 바닥면에 먼지 등과 같은 청소물질이 분리되어 상기 흡입구(51h), 분리벽(51a) 및 공기안내부재(23a), 노즐호스(23), 연결호스(24)를 따라 상기 집진유닛(30)으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집진유닛(30)으로 유입된 흡입공기는 대부분의 청소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 배기부(22) 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기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청소물질도 다시 걸러져서 토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살균 조작부(14)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자외선 램프(62)로 전원을 공급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외선 램프(62)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상기 회전 브러쉬(57) 및 청소하는 바닥면으로 조사되어 살균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하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흡입헤드 내측에 자외선 광원을 장착하여 자외선이 흡입헤드의 흡입구 측에 회전 브러쉬 및 청소하는 바닥면으로 조사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자외선 광원을 통하여 살균 효과가 뛰어난 특정한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고, 나아가 자외선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뿐 아니라 회전 브러쉬 및 청소하는 바닥면으로 동시에 조사되기 때문에 회전 브러 쉬와 청소하는 바닥면에 존재하는 세균, 진드기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흡입모터가 발생시키는 진공압에 의해 청소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로의 선단에 설치되어 청소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가 바닥측에 형성된 흡입헤드와,
    상기 흡입헤드의 흡입구 상에 설치되어 청소되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브러쉬와,
    상기 흡입헤드의 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회전 브러쉬 또는 청소되는 바닥면을 살균시키는 자외선 광원과,
    상기 자외선 광원과 연결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를 둘러싸는 자외선 램프 하우징: 그리고, 자외선을 투과시키며 상기 자외 선 램프 하우징에 구비되는 투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상기 회전 브러쉬 및 흡입구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헤드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안착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은 180~280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의 자외선 발생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살균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20050128112A 2005-12-22 2005-12-22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70066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112A KR20070066672A (ko) 2005-12-22 2005-12-22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112A KR20070066672A (ko) 2005-12-22 2005-12-22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672A true KR20070066672A (ko) 2007-06-27

Family

ID=3836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112A KR20070066672A (ko) 2005-12-22 2005-12-22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67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83Y1 (ko) * 2008-02-19 2010-03-24 (주)엘하이코 핸드형 진공청소기
KR101250058B1 (ko) * 2010-12-21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구용 진공청소기의 살균장치
KR101335516B1 (ko) * 2007-11-27 201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외선발생 유닛을 구비한 노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CN103480015A (zh) * 2012-06-12 2014-01-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紫外线引导装置的紫外线杀菌装置
CN104013354A (zh) * 2014-06-10 2014-09-03 常州华亿阳电器有限公司 具有杀菌功能的吸尘器
RU2552495C1 (ru) * 2012-12-27 2015-06-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редства для чистки покрытий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16B1 (ko) * 2007-11-27 201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외선발생 유닛을 구비한 노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KR200448183Y1 (ko) * 2008-02-19 2010-03-24 (주)엘하이코 핸드형 진공청소기
KR101250058B1 (ko) * 2010-12-21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구용 진공청소기의 살균장치
CN103480015A (zh) * 2012-06-12 2014-01-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紫外线引导装置的紫外线杀菌装置
RU2552495C1 (ru) * 2012-12-27 2015-06-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редства для чистки покрытий
CN104013354A (zh) * 2014-06-10 2014-09-03 常州华亿阳电器有限公司 具有杀菌功能的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6672A (ko)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1250058B1 (ko) 침구용 진공청소기의 살균장치
WO2013100131A1 (ja) 電気掃除機
KR20070066673A (ko) 자외선 살균 로봇청소기
JP2007144118A (ja) 介護用洗浄装置
JP4502973B2 (ja) 装着型排泄装置
JP2004283545A (ja) 紫外線殺菌機能を有するブラシ型掃除機
JP2007125379A (ja) 真空掃除機
CN109700387A (zh) 一种具备杀毒装置的清洁机器人
JP2013090833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317118B1 (ko) 열풍을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세로형 진공청소기
KR100871813B1 (ko) 다용도 살균 청소기
JP2010227466A (ja) 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645037B1 (ko) 진공 청소기
JP3183236U (ja) 掃除機
US20060010639A1 (en) Electro-optical vacuum cleaner
KR20040036182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2374606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로봇청소기 및 이의 동작방법
KR200448183Y1 (ko) 핸드형 진공청소기
KR20060089446A (ko) 진공청소기
KR200258304Y1 (ko) 자외선소독겸용 흡입구
US20240090657A1 (en) Novel electric toothbrush system
CN211484341U (zh) 一种除螨吸尘器
JP6054032B2 (ja) 電気掃除機
KR20120063682A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26

Effective date: 201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