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813B1 - 다용도 살균 청소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살균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813B1
KR100871813B1 KR1020080069996A KR20080069996A KR100871813B1 KR 100871813 B1 KR100871813 B1 KR 100871813B1 KR 1020080069996 A KR1020080069996 A KR 1020080069996A KR 20080069996 A KR20080069996 A KR 20080069996A KR 100871813 B1 KR100871813 B1 KR 10087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housing
air
upper housing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민
Original Assignee
허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민 filed Critical 허재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813B1/ko
Priority to PCT/KR2009/0017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3401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본체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속옷 및 수건, 유아용 의류, 침구류 등의 살균 소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들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도에 맞도록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살균 청소기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자외선 방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내부에 제 2 자외선 방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살균 청소기, 분리, 착탈, 자외선, 살균

Description

다용도 살균 청소기 {Multipurpose sterilizing cleaner}
본 발명은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본체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속옷 및 수건, 유아용 의류, 침구류 등의 살균 소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들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도에 맞도록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더불어 바닥의 청소물질을 흡입하고, 흡입한 청소물질을 분리하여 공기 중의 미세한 이물질을 각종 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는 구성을 갖는다.
최근 들어,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청소기에 살균기능을 첨가한 제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1619호에는 침구용 살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침구용 살균장치의 기술적 구성은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자외선 방사부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된 흡입구와, 측면에 형 성된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와,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저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의 일부와, 상기 저면의 일부에서 연장되어 측면에 흡착방지통로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구측의 공기를 상기 공기통로를 통하여 배출구 측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팬이 구비된 모터와, 상기 흡입구와 모터 사이의 공기통로 상에 설치된 제1필터부를 포함하는 침구용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 상의 모터와 배출구의 사이에는 상기 제1필터부와 모터부를 통과한 공기중의 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제2필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침대나 이불 및 카페트 만을 살균 청소할 수 있는 한계가 있고, 의류나 속옷 및 수건과 같은 물품은 살균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면역력이 약한 유아의 의류나 천 기저귀 등은 고온에 삶아 세탁하여도 일부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유해한 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속옷 및 수건, 유아용 의류, 천 기저귀, 침구류 등을 하나의 청소기로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가 현존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청소대상물들을 하나의 청소기로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로 청소대상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청소대상물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서 흡입구에 달라붙지 않고 통과되면서 살균 및 청소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살균 청소기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자외선 방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내부에 제 2 자외선 방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자외선 방사부는 각각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로 청소대상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부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공급부는 청소대상물이 결합되어 안치되는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에 안치된 상태의 청소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클러치 및 청소대상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전,후방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치부는 청소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가 끼움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고 가이드가 상부에 안치되는 안치대와, 상기 안치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는 내부 하우징이 부가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결합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및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청소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가 구비된 롤러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는 청소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롤러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스프링이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팬 모터가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팬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제 1 공기흡입부가 제 1 공기통로에 의해 팬 모터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팬 모터의 타측에는 제 1 공기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팬 모터와 제 1 공기흡입부의 사이에는 청소대상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와 팬 모터의 사이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이물질이 팬 모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제 2 공기흡입부가 상기 제 1 공기흡입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중공 형태의 손잡이가 제 2 공기통로에 의해 상기 제 2 공기흡입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공기통로의 일측에는 제 2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제 1 공기통로와 제 2 공기통로를 연결하는 제 3 공기통로가 설치되고, 제 2 공기통로와 제 3 공기통로의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공기의 이동방향을 절환하는 공기통로절환부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자외선 방사부와 제 1 공기 흡입부 사이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각각 기어가 구비된 제 1 브러시와 제 2 브러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제 1 공기흡입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수단이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시 상부 하우징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제 1 자외선 방사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의 하부에는 구동부재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타측 단부와 절첩부재의 사이에는 구동기어가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 1 자외선 방사부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리모콘 수광센서가 설치되고, 하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는 리모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의하면, 하나의 청소기를 이용하여 속옷, 수건, 유아용 의류, 천 기저귀 및 침구류 등을 모두 살균,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내부 공기통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자동 공급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자동 공급부 중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 징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어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상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하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제 1 자외선 방사부를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청소기의 본체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속옷 및 수건, 유아용 의류, 침구류 등의 살균 소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들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도에 맞도록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200)과 제 2 자외선 방사부(70a)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95,95a,96,96a)와 상부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홈(98,98a,97,97a)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부 하우징(200)과 상부 하우징(100)에는 각각 제 1 자외선 방사부(70)와 제 2 자외선 방사부(70a)가 설치되어 사용 목적에 따라 상부 하우 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분리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하여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청소 대상물을 통과시켜 제 1 자외선 방사부(70)와 제 2 자외선 방사부(70a)로부터 동시에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청소 대상물을 살균 소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70)와 제 2 자외선 방사부(70a)는 각각 자외선 램프(77,77a)와 자외선 필터(78)로 구성되는데, 상기 자외선 램프(77,77a)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청소 대상물에 자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자외선 필터(78)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자외선 램프(77,77a)를 보호함과 동시에 자외선 방사부(70,70a)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제 1 자외선 방사부(70)는 구동수단(90)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을 상부 하우징(100)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하부 하우징(200)을 세워서 유아용 장난감, 주방, 소파 등 살균을 요하는 곳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 소독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90)은 고정 프레임(91)과 절첩부재(92)와 제2스프링(93) 및 작동레버(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절첩부재(92)는 일측 단부가 제 1 자외선 방사부(7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하부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9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스프 링(93)의 작동에 의해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93)은 고정 프레임(91)과 절첩부재(92)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절첩부재(92)를 승강시킴으로써 제 1 자외선 방사부(70)를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제2스프링(9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하부 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있다가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설치된 작동레버(94)를 작동시키면 제2스프링(93)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절첩부재(92)를 승강시키게 되어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하부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70)의 하부에는 회동수단이 설치되어 하부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동수단은 구동부재(17)와 구동기어(18) 및 구동모터(1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70)의 하부에는 구동부재(17)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17)의 타측은 구동기어(18)에 의해 절첩부재(92)의 상부에 연결되어, 구동기어(18)에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19)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부재(17)가 구동기어(18)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 1 자외선 방사부(70)를 좌,우로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리모콘 수광센서(59)가 설치되어, 상기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이 상부 하우징(100)과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리모콘(미도시)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자외선이 인체에 해로우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함과 동 시에 아이들에 의해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청소대상물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주는 자동공급부(300)가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되는데, 상기 자동공급부(300)는 청소대상물이 결합되어 안치되는 안치부(50)와, 상기 안치부(50)에 안치된 상태의 청소대상물을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클러치(51) 및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청소대상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전,후방센서(82,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치부(50)는 속옷, 의류, 수건 등과 같은 살균 소독하기 위한 청소대상물을 살균 청소기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하여 준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치부(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이드(20)와, 상기 가이드(20)가 끼움 결합되는 프레임(26)과, 상기 프레임(26)의 내측에 결합되고 가이드(20)가 상부에 안치되는 안치대(28)와, 상기 안치대(28)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20)에 청소대상물을 결합시킨 후, 프레임(26)의 전방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홈(26a)에 가이드(20)를 끼워 넣음으로써 안치대(28)의 상부에 가이드(20)에 결합된 청소대상물을 차례대로 안치시키면 안치대(28)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27)에 의해 안치대(28)가 상승하면서 최상단에 위치한 가이드(20)가 상기 ㄱ자 형상의 홈(26a)의 상부 가로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 이, 클러치(51)에 의해 살균 청소기의 내부 즉,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상기 안치대(28)에 위치한 청소대상물이 클러치(51)에 의해 하나씩 살균 청소기의 내부로 이동되어 살균 소독되고, 이때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방 센서(82)및 후방 센서(81)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진입하거나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가는 청소 대상물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살균 및 청소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방 센서(82)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가는 청소 대상물을 검지하고, 후방 센서(81)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진입하는 청소대상물 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후방센서(81)가 검지되지 않으면 바로 클러치(51)가 작동하여 다음 청소대상물을 진입시킴으로써 살균 및 청소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센서(82) 및 후방 센서(81)가 동시에 일정 시간 동안 검지되지 않으면 자동공급부(300)에 보관된 청소대상물에 대한 살균 및 청소작업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 청소기의 작동이 중단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2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21)가 형성되어 청소 대상물을 세탁하여 건조시킬 때 옷걸이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20)에는 스프링(23)이 구비된 봉(22)을 추가 설치하여 속옷 등의 고무밴드가 매설된 의류의 겹쳐져 있는 부분을 당겨서 의류가 펴진 상태로 상기 봉(22)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수건 등의 청소 대상물은 가이드(20)의 결합망(24)에 결합되는데 이때, 결합망(24)에 결합되는 청소대상물은 반으로 접어서 안치대(28)에 안치시켜 클러치(51)가 안치대(28)의 최상단에 위치한 청소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다른 청소대상물과 엉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망(24)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여 청소대상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망(24)을 눌러주면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가 결합되어 청소대상물이 살균 소독과정 중간에 가이드(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이드(20)를 구성함으로써 세탁이 완료된 청소대상물을 바로 가이드(20)에 결합하여 고리(21)를 이용하여 건조대에 걸어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가 완료된 청소대상물을 바로 자동공급부(300)에 안치시켜 살균 소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청소대상물의 건조시와 살균 소독시에 별도로 청소대상물을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리(21)는 살균 소독시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20)의 본체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상부 하우징(100)의 하부 및 하부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클러치(51)에 의해 살균 청소기의 내부로 들어온 청소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30,30a,30b,30c,30d,30e)가 다수 구비되는데, 상기 롤러(30,30a,30b,30c,30d,30e)에는 모터(45)에 의해 구동하는 기어(53,53a,53b,53c,53d,53e)가 연결 설치되어 롤러(30,30a,30b,30c,30d,30e)는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균 청소기의 전원을 켜면 모터(45)가 구 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모터(45)와 동축상에 설치된 제1기어(5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52)와 맞물린 제2기어(52a)와 상기 제2기어(52a)와 동축상에 설치된 제3기어(52b)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기어(52b)에는 청소 대상물 진입부의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롤러(30e)와 연결 설치된 기어(53)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제3기어(52b)의 회전에 의해 청소 대상물 진입부의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롤러(30b)가 회전하면서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 하우징(100)에 설치된 롤러(30) 및 다른 롤러(30a,30b,30c,30d)들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30,30a,30b,30c,30d,30e)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스프링(42,42a,42c,42d,42f,42g)이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를 통과하는 청소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롤러(30,30a,30b,30c,30d,30e)의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팬 모터(65)가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상기 팬 모터(65)의 구동에 의해 청소대상물에 붙어 있는 먼지,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제 1 공기흡입부(60a)가 제 1 공기통로(61a)에 의해 팬 모터(65)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기통로(61a)가 연결 설치된 팬 모터(65)의 타측에는 제 1 공기흡입부(60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64)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팬 모터(65)와 제 1 공기흡입부(60a)의 사이에는 제 1 공기흡입 부(60a)를 통해 흡입된 청소대상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모으기 위한 집진부(62)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집진부(62)와 팬 모터(65)의 사이에는 필터(66)가 설치되어 집진부(62)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팬 모터(65)의 타측에 설치된 배출구(64)를 통해서는 공기만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집진부(62)로 모인 이물질들은 하부 하우징(200)의 외측에 설치된 집진부 커버(62a)를 통해 제거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 1 공기흡입부(60a)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 하우징(100) 하부에는 제 2 공기흡입부(60)가 설치되어 제 1 공기흡입부(60a)와 동시에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 2 공기흡입부(60)는 제 2 공기통로(61)에 의해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된 중공형태의 손잡이(40)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기통로(61)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 2 공기흡입부(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6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의 b)에 나타낼 바와 같이 제 2 공기통로(61)의 일측면에는 판스프링(61c)이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61c)의 단부에는 압력조절수단(68)이 결합되어 제 2 공기흡입부(6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면 압력조절수단(68)이 제 2 공기통로(61)로부터 안쪽으로 벌어져 공기가 외부로 유입 되어 공기의 압력을 떨어뜨린 후 판스프링(61c)의 탄성에 의해 다시 제 2 공기통로(61)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부 하우징(100)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 2 공기흡입부(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높 아지면 청소대상물이 제 2 공기흡입부(60)에 밀착되어 상부 하우징(100)이 밀리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압력조절수단(68)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 2 공기통로(61)로부터 떨어져 공기를 외측으로 부터 유입시킴으로써 압력을 저하시켜 제 2 공기흡입부(60)에 밀착된 청소대상물을 자동으로 떨어트릴 수 있게 되고, 청소대상물이 떨어지고 나면 판스프링(61c)의 복원력에 의해 압력조절수단(68)이 다시 제 2 공기통로(61)의 벽면에 밀착되어 원활히 살균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 청소하고자 하는 청소 대상물이 상기 상부 하우징(100)의 저부와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 사이를 통과할 때 제 1 공기흡입부(60a) 및 제 2 공기흡입부(60b)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공기흡입부(60a,60)의 입구부에 흡입 방지망(69,69a)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에는 제 1 공기통로(61a)와 제 2 공기통로(61)를 연결하는 제 3 공기통로(71)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제 3 공기통로(71)는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팬 모터(65)를 이용하여 상부 하우징(100)에 설치된 제 2 공기흡입부(60)에서도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2 공기통로(61)와 제 3 공기통로(71)의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절환하는 공기통로 절환부(73)가 설치되는데 상기 공기통로 절환부(73)는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40)의 회동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공기통로(61a,61,7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절환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결합되어 사 용되는 경우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가 전방을 향하게 되고 공기통로 절환부(73)는 손잡이(40)를 통해 제 2 공기통로(6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막게 된다. 즉, 살균 청소기의 작동시 팬 모터(65)를 구동하게 되면 하부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 1 공기통로(61a)를 통해 제 1 공기흡입부(60a)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임과 동시에 손잡이(40)를 통해 제 2 공기통로(6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막혀 있으므로, 제 3 공기통로(71)를 통해 상부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 2 공기흡입부(60)에서도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하우징(100)이 하부 하우징(200)과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가 후방을 향하게 되고 공기통로 절환부(73)는 제 3 공기통로(71)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막게 된다. 즉, 상부 하우징(100)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40)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제 3 공기통로(71)가 열려 있게 되면 흡입되는 공기가 제 3 공기통로(71)를 통해 유입되므로 흡입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공기통로 절환부(73)를 통해 제 3 공기통로(71)를 막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제 1 공기흡입부(60a)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수단(75)이 부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을 하부 하우징(200)과 분리한 상태에서 제 3 공기통로(71)와 손잡이(40)를 호스(16)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제 1 공기흡입부(60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개폐조절수단(75)은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100)이 하부 하우징(200)에 결합될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100)의 누름 작용에 의해 제 1 공기흡입부(60a)가 열리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하우징(100)이 하부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100)의 누름 작용이 해제되어 개폐조절수단(75)이 돌출되면서 제 1 공기흡입부(60a)가 막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자외선 방사부(70)와 제 1 공기흡입부(60a) 사이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각각 기어(56,56a)와 제1스프링(42b,42e)이 구비된 제 1 및 제 2 브러시(63a,63)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1 브러시(63a)와 제 2 브러시(63)는 상기 롤러(30,30a,30b,30c,30d,30e)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 또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쓸어내려 제 1 공기흡입부(60a) 또는 제 2 공기흡입부(60)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브러시(63a)와 제 2 브러시(63)에 구비되는 기어(56,56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30d,30a)에 구비된 기어(53e,53b)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기어(56,56a)의 잇수를 조절하여 제 1 브러시(63a)와 제 2 브러시(63)가 롤러(30,30a,30b,30c,30d,30e)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다수 개의 롤러(30c,30d,30e)와 클러치(51)에 구비된 기어(53d,53e,53,51a)들은 제 1 벨트(5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부 하우징(100)에 설치된 다수 개의 롤러(30,30a,30b)에 구비된 기어 (53a,53b,53c)들은 제 2 벨트(57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에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결합시 상부 하우징(10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72,74)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부 하우징(100)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상부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 2 자외선 방사부(70a)에서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전원 연결부(7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0)을 하부 하우징(200)과 분리한 상태에서 제 3 공기통로(71)와 손잡이(40)를 호스(16)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전선(67)을 통해 상부 하우징(100)에 형성된 전원(15a)과 연결시킴으로써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부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내부 하우징(400)이 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내부 하우징(400)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결합 스프링(41,41a)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부 하우징(100)을 하부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할 경우 상기 결합 스프링(41,41a)에 의해 내부 하우징(400)이 전체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이불, 침대 등의 다양한 청소 대상물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센서(80)가 설치되어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제 1 자외선 방사부(70)와 제 2 자외선 방사부(70a)에 구비된 자외선 램프(77,77a)가 소등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미설명 부호 10과 11은 각각 하부 하우징(200)과 상부 하우징(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부조작부(10)와 상부조작부(11)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에 나타낸 미설명 부호 15와 15a는 각각 하부 하우징(200)과 상부 하우징(100)에 형성된 전원(15,15a)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사용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는 청소기의 본체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물품들을 용도에 맞도록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사이로 속옷, 수건, 의류 등을 통과시킴으로써 살균 및 소독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부 하우징(100)을 이용하여 침구류 및 소파 등을 살균 및 소독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200)의 제 1 자외선 방사부(70)를 돌출시켜 유아용 장난감, 주방, 소파 등 살균을 요하는 곳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 소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결합은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95,95a,96,96a)를 상부 하우징(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홈(98,98a,97,97a)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분리는 하부 하우징(200)의 전면에 설치된 레버(85)를 앞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분리된다.
먼저,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이드(20)에 청소대상물을 결합하여 자동공급부(300)의 안치대(28)에 적재하고, 전원(15)을 켜면, 모터(45)가 구동하기 시작하여 제1기어(52), 제2기어(52a) 및 제3기어(52b)가 구동하고 이에 따라 제 1 벨트(57) 및 제 2 벨트(57a)에 의해 연결된 다수 개의 기어(53,53a,53b,53c,53d,53e,56,56a)가 구동하여 롤러(30,30a,30b,30c,30d,30e)와 제 1,2 브러시(63a,63)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자외선 램프(77,77a)가 점등되며, 팬 모터(65)가 작동된다.
이때,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설치된 후방 센서(81)가 청소 대상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청소 대상물이 없으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자동공급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클러치(51)를 작동시켜 청소대상물과 결합되어진 가이드(20)를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공급한다.
상기 청소대상물을 후방 센서(81)에서 감지하면 클러치(51)의 작동을 멈추고, 가이드(20)에 결합된 청소대상물은 롤러(30,30a,30b,30c,30d,30e)에 의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의 사이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자외선 방사부(70,70a)에서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 소독을 하고, 제 1 및 제 2 브러시(63a,63)는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쓸어내며, 제 1 및 제 2 공기흡입부(60a,60)에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 1 및 제 3 공기통로(61a,71)를 경유하여 집진부(62)로 모으고, 공기는 필터(66)를 통과하여 배출구(6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66)에 의해 걸러져서 집진부(62)에 모인 이물질은 하부 하우징(200)의 외측면에 설치된 집진부 커버(62a)를 통해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청소대상물을 살균 소독한 후, 전방 센서(82)와 후방 센서(81)가 모두 일정 시간 동안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 자동 공급부(300)에 안치된 청소대상물이 모두 살균 소독된 것으로 판단하여 살균 청소기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다음, 상기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 하부 하우징(200)의 전단부에 설치된 레버(85)를 잡아 당기면 하부 하우징(200)이 상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센서(80)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자외선 방사부(70,70a)에서 자외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부 하우징(100)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40)와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형성된 제 3 공기통로(71)를 호스(16)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전원(15a)과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전원 연결부(72)를 전선(67)을 통해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40)는 후방으로 회전시켜 공기통로 절환부(73)가 상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 3 공기통로(71)를 막도록 함으로써 제 3 공기통로(71)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막음과 동시에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형성된 개폐조절수단(75)이 돌출되면서 하부 하우징(200)의 제1공기흡입부(60a)를 통한 공기의 유입 또한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하부 하우징(200)에 설치된 전원(15)을 켜게 되면 제 2 자외선 방사부(70a)에서 자외선을 방사하고, 제 2 공기흡입부(60)를 통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진공청소기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커튼, 침구류, 소파 등을 살균 소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을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하우징(200)의 상면에 설치된 작동레버(94)를 밀어 올려 구동수단(90)을 작동시킴으로써 제 1 자외선 방사부(70)를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구동모터(19)를 작동시켜 구동기어(18)와 연결 설치된 구동부재(17)를 이용하여 제 1 자외선 방사부(7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유아용 장난감, 주방, 소파 등 살균을 요하는 곳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리모콘 수광센서(59)가 설치되어, 상기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이 상부 하우징(100)과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 1 자외선 방사부(70)가 리모콘(미도시)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하여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이 사용자 또는 아이들을 향해 방사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의하면, 하나의 청소기를 이용하여 속옷, 수건, 유아용 의류, 천 기저귀 및 침구류 등을 모두 살균,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200)을 분리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본체를 이루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속옷 및 수건, 유아용 의류, 침구류 등의 살균 소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들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도에 맞도록 살균 및 청소할 수 있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내부 공기통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자동 공급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자동 공급부 중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어의 구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상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하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살균 청소기 중 제 1 자외선 방사부를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가이드 30, 30a ∼ 30e : 롤러
50 : 안치부 53, 53a ∼ 53e : 기어
60 : 제 2 공기 흡입부 60a : 제 1 공기 흡입부
70 : 제 1 자외선 방사부 70a : 제 2 자외선 방사부
80 : 센서 90 : 구동수단
100 : 상부 하우징 200 : 하부 하우징
300 : 자동 공급부 400 : 내부 하우징

Claims (19)

  1. 살균 청소기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자외선 방사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내부에 제 2 자외선 방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자외선 방사부는 각각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로 청소대상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부가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급부는 청소대상물이 결합되어 안치되는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에 안치된 상태의 청소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클러치 및 청소대상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전,후방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는 청소 대상물이 결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가 끼움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고 가이드가 상부에 안치되는 안치대와, 상기 안치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는 내부 하우징이 부가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결합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 및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청소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가 구비된 롤러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롤러에는 청소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롤러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스프링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팬 모터가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팬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제 1 공기흡입부가 제 1 공기통로에 의해 팬 모터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팬 모터의 타측에는 제 1 공기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와 제 1 공기흡입부의 사이에는 청소대상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와 팬 모터의 사이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이물질이 팬 모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제 2 공기흡입부가 상기 제 1 공기흡입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는 중공 형태의 손잡이가 제 2 공기통로에 의해 상기 제 2 공기흡입부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통로의 일측에는 제 2 공기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제 1 공기통로와 제 2 공기통로를 연결하는 제 3 공기통로가 설치되고, 제 2 공기통로와 제 3 공기통로의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공기의 이동방향을 절환하는 공기통로절환부가 부가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자외선 방사부와 제 1 공기흡입부 사이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각각 기어가 구비된 제 1 브러시와 제 2 브러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제 1 공기흡입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수단이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시 상부 하우징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는 구동수단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플레임과 제 1 자외선 방사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의 하부에는 구동부재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타측 단부와 절첩부재의 사이에는 구동기어가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 1 자외선 방사부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는 리모콘 수광센서가 설치되고, 하부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제 1 자외선 방사부는 리모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살균 청소기.
KR1020080069996A 2008-04-28 2008-07-18 다용도 살균 청소기 KR10087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787 WO2009134017A2 (ko) 2008-04-28 2009-04-07 다용도 살균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9254 2008-04-28
KR1020080039254 2008-04-28
KR2020080005921 2008-05-06
KR20080005921 2008-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813B1 true KR100871813B1 (ko) 2008-12-03

Family

ID=4037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96A KR100871813B1 (ko) 2008-04-28 2008-07-18 다용도 살균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8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356A1 (en) * 2008-12-23 2010-07-01 Soon Kyu Joung Sterilization and drier device for the bedclothes and clothes
CN107888737A (zh) * 2017-11-23 2018-04-06 国家电网公司 一种消毒电话机
CN114166595A (zh) * 2021-11-18 2022-03-11 吴丹丹 一次性卫生用品样品前处理装置
CN114711573A (zh) * 2022-02-16 2022-07-08 戴博思昆(杭州)科技有限公司 通用柜体l型智能层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762A (ja) 1996-10-29 1998-05-19 Ushio Inc 紫外線硬化装置
JPH1157039A (ja) * 1997-08-20 1999-03-02 Roji Pack:Kk 携帯型水虫治療器
KR200183685Y1 (ko) 1999-12-18 2000-06-01 김득남 침구 및 의류 살균장치
KR200432479Y1 (ko) 2006-09-20 2006-12-04 원유정 랜턴형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762A (ja) 1996-10-29 1998-05-19 Ushio Inc 紫外線硬化装置
JPH1157039A (ja) * 1997-08-20 1999-03-02 Roji Pack:Kk 携帯型水虫治療器
KR200183685Y1 (ko) 1999-12-18 2000-06-01 김득남 침구 및 의류 살균장치
KR200432479Y1 (ko) 2006-09-20 2006-12-04 원유정 랜턴형 살균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356A1 (en) * 2008-12-23 2010-07-01 Soon Kyu Joung Sterilization and drier device for the bedclothes and clothes
CN107888737A (zh) * 2017-11-23 2018-04-06 国家电网公司 一种消毒电话机
CN107888737B (zh) * 2017-11-23 2023-08-11 国家电网公司 一种消毒电话机
CN114166595A (zh) * 2021-11-18 2022-03-11 吴丹丹 一次性卫生用品样品前处理装置
CN114166595B (zh) * 2021-11-18 2023-12-22 广州华程纸业有限公司 一次性卫生用品样品前处理装置
CN114711573A (zh) * 2022-02-16 2022-07-08 戴博思昆(杭州)科技有限公司 通用柜体l型智能层板
CN114711573B (zh) * 2022-02-16 2023-11-03 戴博思昆(杭州)科技有限公司 通用柜体l型智能层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548B2 (en) Vacuum cleaner
CN102475522B (zh) 真空吸尘器
KR100926761B1 (ko) 공기청정기
KR102018521B1 (ko)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KR10220408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KR101604798B1 (ko) 배기열을 이용한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지는 청소기
KR100871813B1 (ko) 다용도 살균 청소기
KR200457354Y1 (ko) 다목적 uv램프모듈 및 이 uv램프모듈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로봇청소기
KR101302673B1 (ko) 진공청소기
KR101434751B1 (ko) 실내공기 정화 겸용 살균 소독기
CN211268110U (zh) 宠物护理器
IT201700014029A1 (it) Aspirapolvere multifunzione
KR101083478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120100150A (ko) 휠체어 바퀴 클리너
KR100773980B1 (ko) 진공 청소기 겸용 로봇 공기 청정기 및 이에 연결되는진공청소기용 헤드
KR20070066672A (ko) 자외선 살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N210810776U (zh) 床铺清洁设备
KR20100012812U (ko) 충전식 휴대용 살균 청소기
WO2009134017A2 (ko) 다용도 살균 청소기
CN211130858U (zh) 床铺清洁设备及启闭系统
KR101261474B1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청소기
CN210382373U (zh) 一种被褥除螨仪
CN109157157B (zh) 一种全身除尘装置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KR200448183Y1 (ko) 핸드형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