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388A -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388A
KR20070066388A KR1020050127493A KR20050127493A KR20070066388A KR 20070066388 A KR20070066388 A KR 20070066388A KR 1020050127493 A KR1020050127493 A KR 1020050127493A KR 20050127493 A KR20050127493 A KR 20050127493A KR 20070066388 A KR20070066388 A KR 2007006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vacuum
base
support surf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협디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협디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협디앤피
Priority to KR102005012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388A/ko
Publication of KR2007006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하우징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뚜껑은, 진공밸브; 상기 진공밸브를 수납하는 진공밸브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진공밸브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손잡이는 상기 공동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베이스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한 면은 수직 이격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간 이격거리는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높이보다 커서 상기 진공밸브가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 측면과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벽면간에도 수평 이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에는 공기유동로를 포함하여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수평 이격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하우징이 결착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가 상기 진공밸브 상부에서 밀착되어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위로 들려올려져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용기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간에 형성된 수직이격과 상기 수평이격과 상기 공기유동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용기내 공기의 배출이 끝난 후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대기압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이 상기 제2 지지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A VACCUUM BOWL WHICH CAN BE EASILY CLOSED OR OPE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진공용기의 외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진공밸브 및 진공밸브 수납부와 그 주변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진공용기 상부에 진공흡입기를 부착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흡입시 진공용기 내외부의 공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흡입 완료 후 진공밸브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진공을 해제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a및 도 9b는 진공밸브의 베이스 하부면에 돌출선이 형성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공기유동로의 단부가 진공밸브 수납부의 지지면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진공밸브 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형태의 조립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이 조립된 형태의 단면도.
도 13은 진공밸브 커버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뽑아내면서 동시에 진공을 해제할 때도 매우 간단하게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는 진공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진공용기란, 일반적으로 뚜껑과 몸체, 즉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용기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그 내부에 진공으로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이나 전자제품, 기타 물품을 수납한 후 뚜껑을 덮고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어 밀폐상태로 내부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종래까지 사용되어온 진공용기는 내부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공기를 뽑아내는 구조 및 이를 닫아서 유지하는 구조체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진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열 때에는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 때문에 뚜껑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거나 또는 쉽게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밀폐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구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뽑아내고 이 밀폐상태틀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진공을 해제할 때도 매우 간단하게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는 진공용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하우징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뚜껑은, 진공밸브; 상기 진공밸브를 수납하는 진공밸브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진공밸브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손잡이는 상기 공동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베이스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한 면은 수직 이격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간 이격거리는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높이보다 커서 상기 진공밸브가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 측면과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벽면간에도 수평 이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에는 공기유동로를 포함하여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수평 이격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하우징이 결착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가 상기 진공밸브 상부에서 밀착되어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위로 들려올려져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용기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간에 형성된 수직이격과 상기 수평이격과 상기 공기유동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용기내 공기의 배출이 끝난 후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대기압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이 상기 제2 지지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또 다른 변형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의 공기유동로의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지지면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 중심에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이 가진 공동에 삽입되는 실린더형의 하부지지대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에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선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체 형태로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에는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선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 을 바닥면으로 가지며 상기 뚜껑 본체에 탈착가능한 진공밸브 커버;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포함하여 조립이 용이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진공 용기(100)의 외관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크게 상부의 뚜껑(101)과 하부의 하우징(102)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일반적인 용기의 사용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우징내에 진공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이나 전자제품, 기타 다양한 물건을 수납시킨 후 상부의 뚜껑을 닫는 형식으로 사용된다. 진공용기이므로 뚜껑과 하우징이 맞닿는 가장자리 부분에는 실리콘(silicone)이나 고무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정도의 단단함과 탄성을 함께 구비한 고분자 재료가 테두리(201)로 형성되어 두 부품간의 밀착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은 상부 뚜껑에 위치한 진공밸브(202)와 진공밸브 수납부(203)에 있다.
도 3은 상기 진공밸브 및 진공밸브 수납부와 그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이에 대한 단면도이다.
진공밸브(202)는 전술한 테두리와 마찬가지로 실리콘이나 고무, 기타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형태는 상부로 튀어나온 손잡이(401)와 이 손잡이를 지지하며 동시에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면서 납작한 원기둥 형태의 베이스(40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하부에는 진공밸브 수납부와의 안정적인 수납을 위해 진공밸브 수납부의 공동에 삽입되는 역시 원기둥 형상의 하부 지지대(40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손잡이, 베이스 및 하부지지대는 서로 별개로 구성되어 조립될 수도 있지만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대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203)는 진공밸브의 베이스(402)를 그 중심에 형성된 공동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뚜껑 본체의 일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203)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402)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404)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405)과,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406)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407)과,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408) 및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空洞, 409)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공밸브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조립될 때, 상기 진공밸브 손잡이(401)는 상기 공동(409)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베이스(402)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지지면(405)과 제2 지지면(407)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상부면(404) 및 하부면(406) 중 어느 한 면은 수직 이격(h)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간 이격거리(H1)는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높이(H2)보다 커서 상기 진공밸 브가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 측면과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벽면간에도 수평 이격(w)이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에는 공기유동로(410)를 포함하여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수평 이격(w)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격들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진공밸브 수납부와 진공밸브간에는 약간의 이격이 존재하도록 처음부터 그 크기가 설계되어 있다. 진공밸브 수납부가 진공밸브를 수납할 때의 상황을 도시한 도 4에서, 진공밸브는 진공밸브 수납부와의 이러한 이격에 의해 위아래로 조금씩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공밸브 수납부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공기유동로(410)는, 일예로 원형의 터널 형태로서 그 한쪽 단부는 도 3에서처럼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다른 단부는 진공밸브와 진공밸브 수납부 벽면간의 수평 이격(w)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제, 이러한 형태를 가진 본 발명의 진공용기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진공용기 상부(501)에 진공흡입기(502)를 부착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진공흡입기는 모터 등에 움직여 그 단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와 그 작동원리는 유사하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 구성부분이 아니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다만 그 단부의 형태가 본 발명의 진공밸브(202) 및 진공밸브 수납부가 형성하는 골에 잘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이 좋다.
도 5a처럼 진공용기 상부에 진공흡입기를 위치시킨 후 도 5b처럼 이를 강하시켜 상기 진공용기 골에 밀착시킨 후 모터를 작동시키면 진공밸브가 위로 들려올려지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상황을 보여주는 부분상세 단면도로서 화살표는 흡입시 공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진공밸브 수납부의 베이스의 상부면(404)이 상기 제1 지지면(405)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용기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간에 형성된 수직이격(h)과 수평이격(w)과 상기 공기유동로(410)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진공흡입기로 흡입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과정이 일정 시간 수행되면 진공밸브와 진공밸브 수납부간 이격을 통해 용기를 빠져나온 공기는 전술한 진공밸브 수납부의 공기유동로를 통해 완전히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흡입 과정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용기내부에 적절한 진공이 형성되면 진공흡입기는 작동을 멈추면서 용기 뚜껑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면 용기내부와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진공밸브는 강한 대기압(701)으로 눌리게 되므로 빠르게 아래로 하강하여 도 7에서처럼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406)이 상기 제2 지지면(407)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그 다음부터는 진공밸브와 진공밸브 수납부 사이의 이격 공간이 없어지므로 더 이상 공기가 용기 내부와 용기 외부 사이를 유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진공상태를 유지한 채로 용기내부가 자동적으로 밀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이런 방식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낸 다 음 용기 내부를 밀폐시켜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매우 간단하게 내부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진공을 해제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전술한 진공밸브의 손잡이(401)를 사용자가 눌러주거나 또는 옆으로 비틀어주면 비록 단단하지만 탄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진공밸브와 진공밸브 수납부는 이러한 비틀림에 의해 그 밀착부위가 틀어지면서 틈새가 만들어지고 이 틈새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급속하게 용기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어느 정도 이상의 공기가 내부로 들어가면 그때부터는 손쉽게 용기 뚜껑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진공밸브의 베이스 하부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선(901)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9a는 그 단면도이며 도 9b는 돌출선이 형성된 베이스 하부면의 형태를 사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돌출선은 제2 지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형태, 가령 베이스의 중심을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 필요한 이유는, 도 7에서처럼 진공밸브 하부면이 진공밸브 수납부의 대응하는 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킬 때 이 돌출선들에 의해 해당 부위가 좀 더 강하게 압착되도록 하여 용기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좀 더 장시간동안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돌출부의 단면 모양 및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시킬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돌출부가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번에는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의 공기유동로(1010)에 있어서,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407)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이 상대적으로 수평이격보다는 좀 더 폭이 크므로 이에 연결된 공기유동로 단부의 직경도 좀 더 크게 할 수 있어서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품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진공밸브 커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형태의 조립상황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즉, 종전 실시예들은 진공밸브 수납부가 뚜껑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진공밸브를 그 사이에 끼워넣어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구조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립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서 진공밸브 상부를 누르는 구조물을 뚜껑과는 별개로 만들어 뚜껑에 조립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뚜껑의 진공밸브 수납부에는 진공밸브가 조립될 구멍(1110)이 형성되고 이에 진공밸브(202)가 얹혀지도록 구성된 다음, 그 상부에서 진공밸브 커버(1112)가 내려와 뚜껑의 결착부에 부착되어 전체가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이렇게 조립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밸브 커버의 하부에는 전술한 공기유동로가 구성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 및 진공밸브 커버(1112) 하부면을 중심으로 도시된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경우 공기유동로(1210)는 진공밸브 커버 하부에 다수 개, 가령 4개인 경우에는 도시된 것처럼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한쪽 단부는 진공밸브와 진공밸브 수납부간 이격에 연결되고 그 나머지 단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원리로 기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진공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매우 간편하게 내부에 진공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 용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진공밸브를 건드리는 것만으로 그 진공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감적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형태를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데, 가령 전술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조합한다든지, 또는 그 평면이 사각형이거나 적어도 원형이 아닌 진공밸브 베이스 및 그에 대응하는 진공밸브 수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진공밸브의 단부에 좀 더 크게 만들어진 구슬 형태의 손잡이를 부착하거나 또는 진공밸브 커버와 그 결착부위를 도시된 형태와 다른 형태로 구성하는 것 등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그 권리범위가 국한되지 않는다.

Claims (9)

  1. 하우징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진공밸브;
    상기 진공밸브를 수납하는 진공밸브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손잡이는 상기 공동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베이스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한 면은 수직 이격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간 이격거리는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높이보다 커서 상기 진공밸브가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 측면과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벽면간에도 수평 이격 이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에는 공기유동로를 포함하여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수평 이격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하우징이 결착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가 상기 진공밸브 상부에서 밀착되어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위로 들려올려져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용기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간에 형성된 수직이격과 상기 수평이격과 상기 공기유동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용기내 공기의 배출이 끝난 후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대기압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이 상기 제2 지지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2. 하우징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진공밸브;
    상기 진공밸브를 수납하는 진공밸브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 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손잡이는 상기 공동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베이스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한 면은 수직 이격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간 이격거리는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높이보다 커서 상기 진공밸브가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 내부에는 공기유동로를 포함하여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지지면에 연결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하우징이 결착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가 상기 진공밸브 상부에서 밀착되어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위로 들려올려져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용기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간에 형성된 수직이격과 상기 공기유동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용기내 공기의 배출이 끝난 후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대기압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이 상기 제2 지지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 중심에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이 가진 공동에 삽입되는 실린더형의 하부지지대가 추가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에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선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에는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선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6. 하우징과 뚜껑으로 이루어진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진공밸브;
    상기 진공밸브를 수납하는 진공밸브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는, 진공밸브의 상기 베이스를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면을 바닥면으로 가지며 상기 뚜껑 본체에 탈착가능한 진공밸브 커버;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면; 이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을 연결하는 벽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관통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밸브 손잡이는 상기 공동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밸브의 베이스가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에 대해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어느 한 면은 수직 이격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간 이격거리는 상기 진공밸브 베이스의 높이보다 커서 상기 진공밸브가 위아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 측면과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벽면간에도 수평 이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공밸브 커버 바닥면에는, 그 한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또 다른 단부는 상기 수평 이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오목하게 형성된 공기유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과 상기 하우징이 결착된 상태에서 진공흡입기가 상기 진공밸브 상부에서 밀착되어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위로 들려올려져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용기내 공기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간에 형성된 수 직이격과 상기 수평이격과 상기 공기유동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용기내 공기의 배출이 끝난 후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은, 상기 진공밸브가 대기압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이 상기 제2 지지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 중심에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이 가진 공동에 삽입되는 실린더형의 하부지지대가 추가적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에는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선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에는 상기 진공밸브 하부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밸브 수납부의 제2 지지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선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KR1020050127493A 2005-12-22 2005-12-22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KR20070066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493A KR20070066388A (ko) 2005-12-22 2005-12-22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493A KR20070066388A (ko) 2005-12-22 2005-12-22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388A true KR20070066388A (ko) 2007-06-27

Family

ID=3836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493A KR20070066388A (ko) 2005-12-22 2005-12-22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3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707B1 (ko) 날개부를 갖는 패킹이 일체로 형성된 뚜껑을 갖는 용기
KR20080014536A (ko)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8029265B2 (en) Burger press
JP2009530193A (ja) 真空貯蔵容器
US20060180591A1 (en) Internal cover for enclosing container contents
JP5084593B2 (ja) 真空保存装置
JP3238113U (ja) 取っ手の下部にオープナーを備えた垂直型栓抜き
JPH09154617A (ja) 食品容器
JP2024515429A (ja) ポンプ組立体
WO2014160608A1 (en) Vacuum container, cap, and vacuum container assembly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070066388A (ko) 개폐가 용이한 진공용기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EP3964452A1 (en) Sealing packing coupled to container lid
KR102130913B1 (ko)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용기
USD488961S1 (en) Cylindrical vacuum container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KR200403774Y1 (ko) 흡착식 용기커버
US20070017926A1 (en) Nozzle device for vacuum container
KR101252474B1 (ko) 진공용기
KR20210142343A (ko) 진공보관함
KR101849611B1 (ko) 무패킹 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의 제작을 위한 금형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0601400B1 (ko) 상하 개폐용기
KR200412892Y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